KR200289880Y1 - 애완견용 줄 - Google Patents

애완견용 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880Y1
KR200289880Y1 KR2020020019471U KR20020019471U KR200289880Y1 KR 200289880 Y1 KR200289880 Y1 KR 200289880Y1 KR 2020020019471 U KR2020020019471 U KR 2020020019471U KR 20020019471 U KR20020019471 U KR 20020019471U KR 200289880 Y1 KR200289880 Y1 KR 2002898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g
string
case
shock absorbe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94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묵
Original Assignee
최현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묵 filed Critical 최현묵
Priority to KR20200200194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8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8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880Y1/ko
Priority to PCT/KR2003/001240 priority patent/WO2004002219A1/en
Priority to AU2003244250A priority patent/AU2003244250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5Quick-couplings, safety-couplings or shock-absorbing devices between leash and colla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애완견의 목에 채워진 목줄에 연결하는 줄에 완충기를 구비하여 애완견의 갑작스런 움직임에 의해 줄이 당겨지는 힘을, 상기 완충기내의 스프링이 먼저 압축되면서 흡수하도록 한, 애완견용 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애완견용 줄은, 외주면에 나사가공된 결합돌기(21A)가 일측 외주면에 연장형성된 손잡이(21)와; 손잡이의 상기 결합돌기(21A)에 일측단부가 나사결합되며 코일 스프링(22B)이 내장된 원통형 케이스(22A), 케이스(22A)에 삽입되는 인너 케이스(22A'), 두 케이스(22A)(22A') 내부에 장착되고 강·약 두 종류로 구성된 코일 스프링(22B), 양단부에 원판상 플렌지가 구비된 바형 압축로드(22C) 및 압축로드의 타측 플렌지(F') 외면에 연장형성된 원통형 결합부(22D)로 구성된 완충기(22)와; 완충기(22)의 상기 결합부(22D)에 삽입되어 일측단부가 고정결합되는 줄부재(23)와; 줄부재(23)의 타측단부에 고정결합되며, 개의 목에 채워진 목줄에 연결하기 위한 고리(24)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애완견용 줄은 개의 갑작스러운 움직임에 의해 손으로 전달되는 충격이 강·약의 두 스프링에 의해 2차에 걸쳐 완화되기 때문에, 특히 힘이 부족한 노약자가 애완견을 묶은 상태로 데리고 다니는 경우 개의 갑작스런 움직임에 의해 줄을 놓치거나 넘어지는 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애완견용 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애완견용 줄{The rope for tying a pet dog}
본 고안은 애완견용 줄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애완견과 함께 산책시 애완견이 멀리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애완견의 목에 채워진 목줄에 연결하는 줄에 완충기를 구비하여 애완견이 갑작스럽게 달리는 경우, 상기 완충기내의 스프링이 먼저 압축되면서 줄이 당겨지는 힘을 흡수하도록 하므로써, 줄을 놓치거나, 어린이의 경우 줄의 일측단부에 구비된 폐루프 내에 끼워진 손목이 다치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애완견용 줄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의 사회는 매우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그에 맞추어 모든 사람들의 일상도 주위 환경에 신경쓸 틈도 없이 진행되어 감에 따라, 모든 사람들이 주위 사람들로부터 점차 소외되어 가고 있으며, 독립하여 생활하는 노인들의 경우에는 자식들을 만나는 것조차 쉽지 않다.
더욱이, 어린이들의 경우에는 컴퓨터와 오락기의 발전과 각종 학원 교습 때문에 친구들과 밖에서 놀 수 있는 시간이 거의 없어 학원에 다니는 시간을 제외하고는 거의 집에서 지내야 하나, 근래에는 각 가정을 구성하는 자녀들의 수가 적기 때문에 컴퓨터 내지는 게임기 오락을 하는 외에는 집에서 놀기도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노인이나 어린이의 정서를 위하여 각종 애완 동물을 키우는 가정의 수가 근래에 들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 결과 애완 동물 병원, 애완 동물 전용 용품점, 애완 동물 미용점 등이 호황을 누리고 있다.
상기 애완 동물들 중에서 가장 보편적인 종류가 애완견으로서, 애완견은 다른 애완 동물에 비하여 영리하고, 간단한 훈련에 의해 사람과 단순하나마 의사 소통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게 되고, 특히 어린들의 경우에는 가장 받고 싶은 선물로도 꼽히고 있다.
근래의 애완견은 주로 주거 공간 내에서 길러지고 있으며, 외출시에는 그 크기가 작아 사람이 직접 안거나 바구니 등에 넣고 다니기도 하지만, 애완견의 건강을 위해서는 가끔씩은 애완견 스스로 실외에서 걷거나 뛰도록 해 줄 필요가 있다.
그러나, 애완견을 풀어 놓을 경우 사람을 물 수도 있고, 잃어 버리거나 움직임에 통제가 안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바, 애완견의 목에 목줄을 채운 후 그 목줄에 줄을 연결하여 줄의 범위 내에서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개의 움직임을 통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종래의 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단부에 개의 목줄에 분리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고리(11)가 연결되고, 타측단부에는 손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표면처리가 된 그립부(12) 또는 손목에도 걸 수 있는 폐루프(L)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줄을 사용하여 애완견을 데리고 다니는 경우, 애완견이 다소 크거나 어린이나 노인과 같이 힘이 부족할 때에는 애완견을 줄에 메어 데리고 다니는 것이 위험할 수 있다.
즉, 애완견이 갑자기 움직이는 경우 손으로 잡고 있는 줄의 그립부(G)를 놓치거나 넘어지게 될 수 있으며, 상기 폐루프(L)에 의해 손목을 다치게 될 수도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애완견을 묶는 종래의 일반적인 줄은, 길이 방향으로 탄력성이 거의 없거나, 그 정도가 미미하여 개의 갑작스런 움직임을 완충하지 못하여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이 상존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종래 애완견용 줄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줄에 개의 갑작스런 움직임에 의한 줄의 급격한 당겨짐을 완충하여 손에 전달되는 순간적인 충격력을 감소시키므로써 넘어지거나 손목 등을 다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는 애완견용 줄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애완견용 줄을 보인 것으로,
(가)는 일측단부에 그립부가 구비된 줄의 사시도이고,
(나)는 일측단부에 손목 등에 끼울 수 있는 폐루프가 구비된 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 일실시예 줄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일실시예 완충기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완충기를 구성하는 압축로드의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완충기를 구성하는 다른 실실예 스프링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다른 실시예 완충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줄 11,24. 고리
21. 손잡이 22. 완충기
23. 줄부재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애완견용 줄의 일측부에 결합된 완충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애완견용 줄은 손잡이와, 완충기와, 줄부재와, 고리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줄부재'란 일반적으로 '줄' 또는 '끈'을 뜻하는 것으로, 본 고안 전체를 뜻하는 '줄'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였으며, 줄의 특정 위치에서 상기 손잡이측 방향을 '일측', 개의 목줄에 연결되는 고리측 방향을 '타측'으로 표기한다.
본 고안의 애완견용 줄에 구비된 상기 완충기는 케이스 내부에 코일 스프링이 내장되고, 이 코일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개의 갑작스런 움직임에 의해 줄부재를통하여 손으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본 고안의 애완견용 줄은, 일측단부에 구비된 손잡이에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일측단부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완충기에 그 특징이 있으며, 이 완충기는 케이스, 압축로드, 스프링 및 줄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로 구성되고, 압축로드는 막대형 바의 양 선단면에 두 개의 원판상 플렌지가 각각 수직하게 결합된 구조이다.
이때, 상기 압축로드의 일측 플렌지는 케이스 내부에서 코일 스프링의 일측 선단면에 밀착되고, 상기 일측 플렌지 중앙부로부터 일측선단면이 직립결합된 바는 코일 스프링의 중공을 관통하여 케이스 타측단부 중앙의 관통공을 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며, 케이스 외부로 연장형성된 바의 타측선단면에 타측 플렌지가 수직하게 결합되므로써, 상기 타측 플렌지의 내면이 케이스 타측단부의 외면에 밀착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케이스 내의 코일 스프링은 일측 선단면이 상기 압축로드의 일측 플렌지 내면에 밀착되고, 타측 선단면은 케이스 내부 타측단부 내면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줄의 고리에 묵여진 애완견이 줄을 갑작스럽게 잡아당기게 되면, 케이스의 타측단부 외면에 접촉되어 있던 상기 압축로드의 타측 플렌지가 케이스의 타측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면서 바에 결합된 일측 플렌지가 케이스 내부에서 타측단부측으로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압축로드의 일측 플렌지 내면과 케이스 타측단부 내면 사이에 장착된 코일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줄의 갑작스런 당김력이 완화되게 된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에 본 고안 애완견용 줄의 분리 사시도를, 도 2에 완충기의 단면 구조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줄(2)은, 외주면에 나사가공된 결합돌기(21A)가 일측 외주면에 연장형성된 손잡이(21)와; 이 손잡이의 상기 결합돌기(21A)에 일측단부가 분리가능토록 나사결합되는 완충기(22)와; 완충기(22)의 타측단부에 일측단부가 고정결합되는 줄부재(23)와; 줄부재(23)의 타측단부에 고정결합되며, 개의 목에 채워진 목줄에 연결하기 위한 고리(2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기(22)는 케이스(22A)와, 압축로드(22C)와, 연결구(22D)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22A)는 원통형으로서, 상기 손잡이 결합돌기(21A)의 길이(L)만큼 그 일측단부로부터 떨어진 거리의 내주면에 원판상 일측벽(W)이 일체로 형성되어 패쇄되고, 타측단부는 중앙부에 관통공(H)이 형성된 환형 타측벽(W')에 의해 막혀지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22A)의 일측단부와 원판상 일측벽(W) 사이의 내주면은 나사가공되어 손잡이의 결합돌기(21A) 외주면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압축로드(22C)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원판상 플렌지(F)(F')의 내면(S1)(S'1) 중심부에 바(R)의 양단부가 각각 직립하여 고정되는 구조로서, 일측 플렌지(F)는 케이스(22A) 내부에 위치하면서 코일 스프링(22B)에 의해 케이스 내주면을 따라 움직이게 되며, 타측 플렌지(F')는 케이스(22A) 외부에 위치하여 그 내면(S'1)이 케이스의 타측벽(W') 외면에 접하게 되고, 두 플렌지(F)(F')는 케이스 타측벽 중앙의 관통공(H)을 통하여 케이스 내·외부를 관통하는 바(R)에 의해 일체화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로드의 타측 플렌지(F') 외면(S'2)의 테두리부에는 원통형 결합부(22D)가 직립하여 구비되며, 이 결합부(22D)의 중공에 줄부재(23)의 일측단부가 삽입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완충기(22)를 구성하는 코일 스프링(22B)의 다른 실시예를 도 5에 도시하였다.
즉, 상기 코일 스프링(22B)은 와셔(w)가 개재된, 탄성력이 상이한 두 개의 스프링(22B1)(22B2)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두 개의 스프링으로 할 경우에는 손잡이(21)측 스프링(22B1)은 약한 스프링으로, 줄부재(23)측 스프링(22B2)은 강한 스프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탄성력이 다른 두 개의 스프링(22B1)(22B2)을 사용하게 되면, 줄이 당겨지는 힘이 약할 경우에는 약한 스프링(22B1)만이 압축되고, 줄이 당겨지는 힘이 강할 경우에는 약한 스프링(22B1)이 당기는 힘을 1차 감소시킨 후 강한 스프링(22B2)이 나머지 힘을 감소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강·약 스프링(22B2)(22B1)을 일렬로 배치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완충기(22)의 길이가 필요 이상으로 길어질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완충기 케이스(22A)의 직경을 다소 증가시켜 완충기(22)의 길이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형 몸체(B)의 양선단부에 몸체(B)보다 큰 외경을 갖는 원판상 플렌지(F") 및 환상 플렌지(F'")가 중심이 일치되도록 결합되어 일측은 폐쇄되고 타측은 환상 플렌지(F'")의 중공을 통해 개방된 인너 케이스(22A')를, 상기 원판상 플렌지(F") 및 환상 플렌지(F'")가 각각 케이스(22A)의 내·외부에 위치하도록, 케이스(22A)에 삽입한다.
그리고, 압축로드(22C)의 일측 플렌지(F) 및 타측 플렌지(F')가 각각 상기 인너 케이스(22A')의 내·외부에 위치하도록, 압축로드(22C)를 인너 케이스(22A')에 삽입하며, 이때 강한 스프링(22B2)은 인너 케이스(22A') 외주면과 케이스(22A) 내주면 사이에, 약한 스프링(22B1) 인너 케이스(22A') 내부에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강한 스프링(22B2)은 케이스의 타측벽(W')과 인너 케이스의 원판상 플렌지(F") 사이에서 압축되고, 약한 스프링(22B1)은 압축로드의 일측 플렌지(F)와 인너 케이스의 환상 플렌지(F'") 사이에서 압축되는 구조이다.
즉, 줄이 당겨지는 힘이 약할 경우에는 상기 약한 스프링(22B1)만이 압축되면서 압축로드(22C)의 타측 플렌지(F")가 인너 케이스(22A')로부터 멀어지게 되면서 줄이 당겨지는 힘을 흡수하게 되고, 줄에 강한 힘이 작용되면 1차로 상기와 같이 약한 스프링(22B1)이 압축된 후 강한 스프링(22B2)이 2차로 압축되면서 인너 케이스의 환상 플렌지(F'")가 케이스(22A)로부터 멀어지면서 강한 힘을 흡수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애완견용 줄은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개의 급격한 움직임에 의해 순간적으로 줄이 강하게 당겨지는 힘을 완화시키므로써, 애완견을 묶은 상태로 산책하는 사람이 줄을 놓치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힘이 부족한 노약자의 경우에 더욱 그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2)

  1. 개의 목줄에 연결하는 애완견용 줄에 있어서, 외주면에 나사가공된 결합돌기(21A)가 일측 외주면에 연장형성된 손잡이(21)와; 이 손잡이의 상기 결합돌기(21A)에 일측단부가 분리가능토록 나사결합되며 코일 스프링(22B)이 내장된 원통형 외형의 완충기(22)와; 완충기(22)의 타측단부에 일측단부가 고정결합되는 줄부재(23)와; 줄부재(23)의 타측단부에 고정결합되며, 개의 목에 채워진 목줄에 연결하기 위한 고리(2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용 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기(22)는, 손잡이 결합돌기(21A)의 길이(L)만큼 그 일측단부로부터 떨어진 거리의 내주면에 원판상 일측벽(W)이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단부는 중앙부에 관통공(H)이 형성된 환형 타측벽(W')에 의해 막혀지며, 상기 일측단부와 원판상 일측벽(W) 사이의 내주면에 나사가공된 원통형 케이스(22A)와;
    파이프형 몸체(B)의 양선단부에 몸체(B)보다 큰 외경을 갖는 원판상 플렌지(F") 및 환상 플렌지(F'")가 중심이 일치되도록 결합되며, 원판상 플렌지(F") 및 환상 플렌지(F'")가 각각 상기 케이스(22A)의 내·외부에 위치하도록 케이스(22A)에 삽입된 인너 케이스(22A')와;
    상기 인너 케이스(22A') 내부 및 외부에 각각 위치하는 일측 플렌지(F)와 타측 플렌지(F')의 각 내면(S1)(S'1) 중심부에 양단부가 각각 직립연결되는 바(R)로이루어진 압축로드(22C)와;
    상기 인너 케이스(22A') 외주면과 케이스(22A) 내주면 사이 및 인너 케이스(22A') 내부에 각각 장착된 강한 스프링(22B2)과 약한 스프링(22B1)으로 구성된 코일 스프링(22B)과;
    상기 압축로드의 타측 플렌지(F') 외면(S'2)의 테두리부에 직립하여 형성된 원통형 결합부(22D)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애완견용 줄.
KR2020020019471U 2002-06-27 2002-06-27 애완견용 줄 KR2002898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471U KR200289880Y1 (ko) 2002-06-27 2002-06-27 애완견용 줄
PCT/KR2003/001240 WO2004002219A1 (en) 2002-06-27 2003-06-25 Rope for pets with shock absorber
AU2003244250A AU2003244250A1 (en) 2002-06-27 2003-06-25 Rope for pets with shock absor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471U KR200289880Y1 (ko) 2002-06-27 2002-06-27 애완견용 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880Y1 true KR200289880Y1 (ko) 2002-09-19

Family

ID=34225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471U KR200289880Y1 (ko) 2002-06-27 2002-06-27 애완견용 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289880Y1 (ko)
AU (1) AU2003244250A1 (ko)
WO (1) WO200400221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358A (ko) * 2014-10-22 2016-05-02 김민종 애견용 견인줄
KR20200025262A (ko) 2018-08-30 2020-03-10 이상엽 애완견용 리드줄 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60581A1 (en) * 2005-12-02 2009-10-22 Armin Meise Animal Lead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7220U (ko) * 1978-10-13 1980-04-18
US4681303A (en) * 1983-03-07 1987-07-21 Grassano Vincent R Shock-absorbent connector
US4488511A (en) * 1983-03-07 1984-12-18 Grassano Vincent R Shock-absorbent leash for animals
JPH01142663U (ko) * 1988-03-28 1989-09-29
JP3393029B2 (ja) * 1997-01-20 2003-04-07 富士通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の表示画像歪みの補正方法、歪み検出装置、歪み補正装置、及びその歪み補正装置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装置
JPH11318259A (ja) * 1998-05-11 1999-11-24 Kitaro Matsumura 小動物の牽引器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358A (ko) * 2014-10-22 2016-05-02 김민종 애견용 견인줄
KR101641693B1 (ko) * 2014-10-22 2016-07-21 김민종 애견용 견인줄
KR20200025262A (ko) 2018-08-30 2020-03-10 이상엽 애완견용 리드줄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44250A1 (en) 2004-01-19
WO2004002219A1 (en) 2004-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8608B2 (en) Tethering device with force-displacement system
US7182044B1 (en) Animal control arrangement
US3910234A (en) Quick-release dog leash
US6006699A (en) Animal training device
US5361726A (en) Animal leash
US20120186538A1 (en) Roam safely dog leash
US20130192536A1 (en) Pet exercise and training device
KR200473948Y1 (ko) 애완동물 목줄의 완충장치
KR200289880Y1 (ko) 애완견용 줄
WO2005018746A9 (en) Guidance device for a domestic animal
KR102137466B1 (ko) 애완견용 리드줄 조절장치
US6837188B1 (en) Tangle-proof collar assembly
US7909004B2 (en) Cam-lock leash
US20160309683A1 (en) Pet Collar and Leash Device
US6948218B1 (en) Spring clip apparatus
KR200324872Y1 (ko) 애완견용 줄
EP3192363B1 (en) Dog toy comprising a membrane disc
US7040256B2 (en) Animal control arrangement
JP3163270U (ja) 子ども用サブリード及びこれを備えるペットリード
JP4482917B1 (ja) 引張犬散歩リード
JP3217736U (ja) ペット用牽引装置
US20050284410A1 (en) Apparatus for training, exercising & playing with a pet
US20040253908A1 (en) Domestic animal exerciser
US7008330B1 (en) Rope swing handle bar apparatus and system
JPS6019561Y2 (ja) 家畜犬散歩用鎖保持取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