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570B1 - 당김줄을 구비한 끈 조임장치 - Google Patents
당김줄을 구비한 끈 조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68570B1 KR102568570B1 KR1020210120877A KR20210120877A KR102568570B1 KR 102568570 B1 KR102568570 B1 KR 102568570B1 KR 1020210120877 A KR1020210120877 A KR 1020210120877A KR 20210120877 A KR20210120877 A KR 20210120877A KR 102568570 B1 KR102568570 B1 KR 1025685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eth
- guide
- lifting
- string
- rot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1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 B65H75/442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acting on the reel or on a reel blocking mechanis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57—Arrangements of the frame or housing
- B65H75/4471—Housing enclosing the re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7—Ratche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9—Other types of filamentary materials or special application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김줄을 이용하여 끈을 조이는 조임장치에서 내부의 승강부가 수평상태로 정확히 승강운동할 수 있는 끈 조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당김줄이 풀리는 방향으로 릴부의 회전 시, 회전유도이빨과 접촉된 제2래칫이빨에 의해 승강부도 회전됨과 동시에 회전에 의해 승강부가 제1가이드를 따라 상승하여 제2래칫이빨이 제1래칫이빨과 물리고 걸림이빨이 정지이빨과 걸림되어 역회전 방지상태를 형성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당김줄을 구비하는 끈 조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 모자, 가방, 의복 등 끈을 조여 사용하는 물품에 부착되어 당김줄을 당김으로써 끈의 조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끈 조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끈을 묶는 대신, 끈 조임장치에 의해 끈을 조임으로써 신발 등의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그와 같은 종래의 끈 조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201078호에 기재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종래 끈 조임장치는, 내부에 작동공간을 구비하고 작동공간(1d)에 접하는 내면에 제1물림이빨(1a)을 구비한 하우징(1)과, 외주면에 형성되어 와이어(6a)와 견인줄(6b)을 권취하는 와이어권취홈 및 견인줄권취홈과 중심공의 둘레에 설치된 제1래칫이빨(2c)과 중심공의 둘레에 하나의 회전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 푸쉬이빨(3d)을 구비하여, 작동공간(1d)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 릴부재(4)와, 상기 제1물림이빨(1a)과 물림되기 위한 제2물림이빨(5a)과 외측을 향해 연장되고 단부에 제1래칫이빨(2c)과 물리는 제2래칫이빨(5c)이 형성된 제1탄성날개(5b)와, 푸쉬이빨(3d)과 물림되고 푸쉬이빨(3d)이 중심공을 중심으로 회전시 푸쉬이빨(3d)과 슬라이딩되어 상측으로 밀리도록 형성된 승강이빨(5d)을 구비하여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부재(5)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와이어(6a)를 감아 조이기 위해 견인손잡이(9)로 견인줄(6b)을 당기는 경우, 릴부재(4)에서 견인줄(6b)이 풀려나가면서 릴부재(4)를 회전시키고, 도 2의 (a)와 같이 와이어(6a)는 릴부재(4)에 감겨 들어간다.
이때, 릴부재(4)가 회전을 시작하는 시점에, 푸쉬이빨(3d)이 승강부재(5)의 승강이빨(5d)을 강제로 밀어올리고, 승강부재(5)가 상승된 위치로 전환된다.
이러한 상승상태에서, 와이어(6a)를 감아 조이도록 견인줄(6b)이 풀려나가는 방향으로의 회전은 허용되나, 그 역회전에 대하여는 회전이 차단된 상태이다.
즉, 제1물림이빨(1a)과 제2물림이빨(5a)의 물림에 의해 승강부재(5)가 하우징(1)에 구속되어 회전할 수 없는 상태이고, 회전할 수 없는 승강부재(5)의 제2래칫이빨(5c)이 릴부재(4)의 제1래칫이빨(2c)에 물림되어 와이어(6a)가 풀리는 방향으로 릴부재(4)가 회전하는 것은 차단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견인줄(6b)을 당겨 릴부재(4)를 회전시켜 견인줄(6b)을 당김으로써 와이어(6a)를 조이는 작용이 원활할 수 있고, 조여진 와이어(6a)가 릴부재(4)로부터 풀려나가는 것은 방지되어 와이어(6a)의 조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와이어(6a)를 릴부재(4)로부터 풀어내는 작동은, 도 2의 (b)와 같이, 캡부재(7)을 눌러 승강부재(5)를 하강시킴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종래의 와이어 조임장치에서 견인줄(6b)을 당겨 승강부재(5)가 상승작동하는 경우, 릴부재(4)의 푸쉬이빨(3d)이 승강부재(5)의 승강이빨(5d)을 강제로 밀어올리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상승작동 시 오동작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푸쉬이빨(3d)의 경사각, 승강이빨(5d)과의 물림구조가 매우 정확히 형성될 필요가 있으므로, 각 부품의 형상이 정밀하게 제작되어야 하고 각 부품간의 조립이 일정이상의 정밀도를 가지고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승강부재(5)의 승강운동이 정확한 수평상태로 이루어져야 승강운동이 반복될 때마다 릴부재(4)의 제1래칫이빨(2c)에 제2래칫이빨(5c)이 원활히 물려 들어갈 수 있으므로, 승강부재(5)의 승강운동도 매우 정확한 수평상태로 동작되도록 제작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당김줄을 이용하여 끈을 조이는 조임장치가 종래에 비해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내부의 승강부가 수평상태로 정확히 승강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승강운동 시의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끈 조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끈 조임장치는, 상측으로 개방된 작동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간의 중심부에 축기둥이 수직으로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작동공간을 상측에서 덮도록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고 상기 작동공간을 접하는 하면에는 정지이빨이 설치된 덮개부와, 중심부에 승강공이 형성된 환형의 부재이고, 상기 작동공간에 상기 축기둥을 중심으로 수용되어 회전가능하며, 외주면에 끈과 당김줄을 각각 권취하는 끈권취홈 및 당김줄권취홈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승강공의 둘레를 따라 회전유도이빨과 제1래칫이빨이 각각 하부와 상부에 형성된 릴부와, 상기 승강공에 위치하고 상면에 상기 정지이빨에 걸림되기 위한 걸림이빨이 형성되며 상기 제1래칫이빨과 물리기 위한 제2래칫이빨이 단부에 형성된 탄성암이 둘레에 설치된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기둥의 외주면에 나선형상으로 상하연장되어 형성된 제1가이드와, 상기 승강부의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축기둥이 삽입되고 상기 제1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가이드가 형성된 가이드공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당김줄이 풀리는 방향으로 상기 릴부의 회전 시, 상기 회전유도이빨과 접촉된 상기 제2래칫이빨에 의해 상기 승강부도 회전됨과 동시에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부가 상기 제1가이드를 따라 상승하여 상기 제2래칫이빨이 상기 제1래칫이빨과 물리고 상기 걸림이빨이 상기 정지이빨과 걸림되어 역회전 방지상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덮개부의 중심부에 버튼공이 상하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정지이빨은 상기 버튼공의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승강부의 상면에는 버튼이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의 상승 시 상기 버튼이 상기 버튼공에서 상승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유도이빨은 상기 제2래칫이빨이 접촉하여 타고 넘을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축기둥을 중심으로 상기 릴부의 양 방향 모두의 회전에 대하여, 상기 회전유도이빨이 상기 탄성암을 탄성변형시키면서 상기 제2래칫이빨이 상기 회전유도이빨을 타고 넘을 수 있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강부의 몸체의 둘레에 상기 탄성암이 소용돌이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된 것이고, 상기 작동공간에서 상기 축기둥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승강부의 몸체와 상기 탄성암 사이의 겨드랑이틈에 끼워지도록 바닥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승강지지대가 복수개 형성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가이드가 상기 축기둥의 외주면을 나선형상으로 감도록 돌출된 돌출레일이고, 상기 제2가이드는 상기 돌출레일이 끼워지도록 상기 가이드공의 가장자리에 나선형상으로 상하연장된 골의 형상이며, 상기 돌출레일과 상기 승강지지대에는 상기 승강부가 상승 시 올라앉을 수 있는 걸침턱이 형성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끈 조임장치는, 끈권취홈 및 당김줄권취홈을 구비한 릴부와, 릴부의 승강공에서 상하이동가능면서 릴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승강부가 구비됨으로써, 당김줄에 의해 릴부재를 회전시키고 끈을 감아 조이는 구성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부의 상승동작이, 축기둥의 외주면에 나선형상으로 형성된 제1가이드와, 상기 승강부의 가이드공에 형성된 제2가이드와, 승강부를 회전유도하는 릴부의 회전유도이빨이, 서로 결합됨에 의해 매우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승작동 시의 오동작 발생이 방지되고, 승강부의 상승을 위해 각 부품을 매우 정밀하고 정확한 형상으로 가공해야 하는 등의 애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승강부의 상승 및 하강동작 시, 승강부의 겨드랑이틈에 끼워지는 승강지지대가 승강부를 안내할 수 있으므로, 승강부의 승강운동이 정확한 수평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승강부의 제2래칫이빨이, 릴부의 회전유도이빨과 제1래칫이빨 사이를 상하이동하면서 물리는 작용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 끈 조임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의 (a) 및 (b)는 도 1의 끈 조임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장치의 전체 구성을 상측에서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장치의 전체 구성을 하측에서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장치에서 하우징의 내부의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구성도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장치에서 승강부의 상면 및 하면의 구성을 각각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장치에 끈 및 당김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장치에서 승강부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장치에서 승강부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구성도
도 2의 (a) 및 (b)는 도 1의 끈 조임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장치의 전체 구성을 상측에서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장치의 전체 구성을 하측에서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장치에서 하우징의 내부의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구성도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장치에서 승강부의 상면 및 하면의 구성을 각각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장치에 끈 및 당김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장치에서 승강부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장치에서 승강부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구성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 조임장치는, 상측으로 개방된 작동공간(31)이 내부에 형성되고 작동공간(31)의 중심부에 축기둥(32)이 수직으로 형성된 베이스부(10)와, 상기 작동공간(31)을 상측에서 덮도록 베이스부(10)와 결합되고 작동공간(31)을 접하는 하면에는 정지이빨(41)이 설치된 덮개부(40)와, 중심부에 승강공(51)이 형성된 환형의 부재이고, 작동공간(31)에 축기둥(32)을 중심으로 수용되어 회전가능하며, 외주면에 끈(91)과 당김줄(92)을 각각 권취하는 끈권취홈(63) 및 당김줄권취홈(73)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승강공(51)의 둘레를 따라 회전유도이빨(64)과 제1래칫이빨(74)이 각각 형성된 릴부(50)와, 상기 승강공(51)에 위치하고 상면에 정지이빨(41)에 걸림되기 위한 걸림이빨(81)이 형성되며 제1래칫이빨(74)과 물리기 위한 제2래칫이빨(82)이 단부에 형성된 탄성암(83)이 둘레에 설치된 승강부(8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10)는 조임장치의 하부 및 외벽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오목하여 상측으로 개방된 원형의 작동공간(31)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작동공간(31)의 중심부에는 바닥에서부터 수직으로 축기둥(32)이 형성된다.
베이스부(10)는 신발 등 제품의 표면에 부착되는 스티치(20)와 스티치(20)에 결합되는 하우징(30)을 포함한다.
하우징(30)은 스티치(20)의 장착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하우징(30)의 내부에 원형의 오목한 작동공간(31)이 형성되며, 하우징(30)은 작동공간(31)을 둘레에서 감싸하는 외벽을 형성한다.
상기 작동공간(31)은 상측에서 베이스부(10)에 결합되는 덮개부(40)에 의해 덮여 상측이 폐쇄되고 보호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40)는 베이스부(10)와 결합되어 고정 또는 걸림된 상태로서 축기둥(3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결합상태이고, 작동공간(31)을 접하는 하면에는 정지이빨(41)이 설치된다.
덮개부(40)의 중심부에는 버튼공(42)이 상하로 관통형성되어 후술하는 승강부(80)의 버튼(88)이 상하로 승강하여 출몰할 수 있고, 상기 정지이빨(41)은 버튼공(42)의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릴부(50)는 끈(91)과 당김줄(92)을 각각 권취하는 끈권취홈(63) 및 당김줄권취홈(73)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중심부에 승강공(51)이 형성된 환형의 부재이다.
릴부(50)는 작동공간(31)에 수용된 상태에서 당김줄(92)과 끈(91)의 풀림에 의해 축기둥(32)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의 회전이 발생되고 있다.
릴부(5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끈권취홈(63)이 하측에 형성되고 당김줄권취홈(73)이 끈권취홈(63)의 상측에 형성된다.
당김줄(92)이 당김줄권취홈(73)에 감긴 방향과, 끈(91)이 끈권취홈(63)에 감긴 방향은 서로 반대로 되어 있어, 당김줄(92)이 풀리는 경우는 끈(91)이 릴부(50)에 감기고, 끈(91)이 풀리는 경우는 당김줄(92)이 릴부(50)에 감기도록 한다.
당김줄(92)은 릴부(50)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베이스부(10)의 외부에 위치하는 타단은 손잡이부(95)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부(95)를 잡아 당길 수 있다.
끈(91)은 베이스부(10)에서 하우징(30)의 측면에 형성된 양측 끈출입공(37)을 통해 출입하고, 끈(91)이 신발 등에 묶인 상태에서 끈(91)의 양단이 양측 끈출입공(37)을 통해 릴부(50)에 각각 고정되므로, 릴부(50)에 감기는 회전의 경우 끈(91)은 양측에서 동시에 릴부(50)로 끌려 들어오고, 릴부(50)로부터 풀리는 회전의 경우에는 양측에서 동시에 풀려나가게 된다.
베이스부(10)의 하우징(30)의 측면에는 당김줄(92)이 출입하는 당김줄출입공(38)도 형성되어 있다.
릴부(50)는 끈권취홈(63)과 당김줄권취홈(73)을 가진 단일의 몸체로 제작될 수 있으나, 제작상의 편의를 위해, 끈권취홈(63)이 형성된 환형링 형태의 하측릴부(60)와, 하측릴부(60)과 결합된 상태에서 당김줄권취홈(73)을 형성하는 상측릴부(70)로 구분하여 제작한 후, 서로간의 조립이 이루어져 일체화된 부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측릴부(70)는 상단부의 상단원반체(70a)에서 하측으로 조립다리(77)가 연장형성되고 그 조립다리(77)가 둘레를 따라 복수개 설치되어 하측릴부(60)의 조립홈(67)에 삽입 및 결합되고 있으며, 복수의 조립다리(77)에 의해 상측릴부(70)과 하측릴부(60)가 조립되어 일체화된다.
조립다리(77)에 의해 상측릴부(70)와 하측릴부(60)가 서로 조립된 상태에서, 상측릴부(70)의 상단원반체(70a)와 하측릴부(60) 사이에 당김줄(92)이 감기는 당김줄권취홈(73)이 형성된다.
또한, 릴부(50)에는 중심부에 승강공(51)이 형성되어 승강부(80)가 위치하여 상하이동운동할 수 있고, 승강공(51)은 상측릴부(70)의 상측승강공(71)과 하측릴부(60)의 하측승강공(61)에 의해 형성된다.
승강공(51)의 둘레를 형성하는 릴부(50)의 내주면에는 하부에 회전유도이빨(64)과 상부에 제1래칫이빨(74)이 각각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회전유도이빨(64)은 하측릴부(60)의 내주면 둘레에 형성되고, 제1래칫이빨(74)은 상측릴부(70)의 내주면 둘레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승강공(51)에서 승강부(80)가 하강위치 및 상승위치에서, 승강부(80)의 제2래칫이빨(82)이 회전유도이빨(64)과 제1래칫이빨(74)에 각각 물린 상태가 될 수 있다.
회전유도이빨(64)은 제2래칫이빨(82)이 접촉하여 양방향 모두에서 타고 넘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회전유도이빨(64)은 통상의 래칫이빨과 달리 편향된 산형이 아니라 각 이빨이 완만하게 융기된 언덕과 같은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회전력이 가해지면 제2래칫이빨(82)이 형성된 탄성암(83)이 변형되면서 제2래칫이빨(82)이 회전유도이빨(64)을 타고 넘을 수 있다.
회전유도이빨(64)은 제2래칫이빨(82)과의 물림에 의해 걸림 또는 정지상태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당김줄(92)을 당겨 릴부(50)가 회전 시에, 제2래칫이빨(82)을 소정 크기의 힘으로 잡아 승강부(80)의 회전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회전유도이빨(64)은 제2래칫이빨(82)이 형성된 탄성암(83)의 탄성력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제2래칫이빨(82)을 잡아 승강부(80)를 회전시킬 수 있고, 탄성암(83)의 탄성력을 넘어서서 탄성암(83)의 변형에 의해 제2래칫이빨(82)이 회전유도이빨(64)을 타고 넘는 범위까지의 회전력만 승강부(80)에 전달되게 된다.
회전유도이빨(64)에 의해 릴부(50)의 회전력이 승강부(80)에 전달되면, 승강부(80)가 상승운동할 수 있다.
회전유도이빨(64)은 축기둥(32)을 중심으로 릴부(50)의 양 방향 모두의 회전에 대하여, 탄성암(83)을 탄성변형시키면서 제2래칫이빨(82)이 회전유도이빨(64)을 타고 넘을 수 있다.
상기 제1래칫이빨(74) 및 제2래칫이빨(82)은 래칫이빨의 편향된 형성방향이, 당김줄(92)을 당겨 풀리는 방향에 대하여 릴부(50)가 회전가능하고, 그 반대방향에 대하여 걸림되어 회전을 차단하도록 한다.
즉, 제1래칫이빨(74) 및 제2래칫이빨(82)은 당김줄(92)을 당겨 당김줄(92)이 풀리는 경우에, 릴부(50)의 역방향의 회전 즉 끈(91)이 풀리는 역방향 회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유도이빨(64)과 제1래칫이빨(74)은 동일수로 동일간격으로 형성되고 제2래칫이빨(82)이 회전유도이빨(64)과 제1래칫이빨(74) 사이를 원활히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회전유도이빨(64)의 골과 제1래칫이빨(74)의 골의 위치가 서로 일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승강부(80)는, 릴부(50)의 승강공(51)에 위치하여 상하운동함에 의해, 릴부(50)에서 당김줄(92)의 풀림 및 끈(91)의 풀림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의 (a) 및 (b)를 참고하면, 상기 승강부(80)는 정지이빨(41)에 걸림되기 위한 걸림이빨(81)이 몸체(80a)의 상면에 상향 돌출되어 있고, 몸체(80a)의 둘레에는 복수의 탄성암(83)이 소용돌이 구조를 이루도록 몸체(80a)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탄성암(83)의 단부에 제2래칫이빨(82)이 형성되고, 제2래칫이빨(82)이 회전유도이빨(64)이나 제1래칫이빨(74)을 타고 넘을 때, 탄성암(83)이 몸체(80a) 측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제2래칫이빨(82)이 회전유도이빨(64)이나 제1래칫이빨(74)을 타고 넘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승강부(80)의 상면에는 버튼(88)이 조립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승강부(80)의 상승 시 상기 버튼(88)이 덮개부(40)의 버튼공(42)에서 노출되어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버튼(88)은 승강부(80)에서 걸림이빨(81)의 내측에 설치되어, 걸림이빨(81)이 버튼(88)의 외측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축기둥(32)의 외주면에 나선형상으로 상하연장되어 형성된 제1가이드(32a)와, 상기 승강부(80)의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축기둥(32)이 삽입되고 제1가이드(32a)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가이드(86)가 형성된 가이드공(85)을 더 포함하는 특징을 가진다.
상기 제1가이드(32a)는 축기둥(32)의 외주면에 나선형상으로 상하연장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승강부(80)의 회전운동을 상승운동으로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제1가이드(32a)는 축기둥(32)의 외주면에 나선형상으로 돌출된 레일이나 파인 홈의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제1가이드(32a)는 도 5와 같이, 축기둥(32)의 외주면을 나선형상으로 감도록 돌출된 돌출레일로 형성하고 있다.
제2가이드(86)는 제1가이드(32a)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부분으로서, 도 6의 (a) 및 (b)와 같이, 승강부(80)의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된 가이드공(85)에 형성되어 제1가이드(32a)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서로 물림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가이드(32a)가 돌출레일로 형성되고, 제2가이드(86)는 돌출레일이 끼워지도록 가이드공(85)의 가장자리에 나선형상으로 상하연장된 골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나선형상의 제1가이드(32a)와 제2가이드(86)의 물림에 의해, 승강부(80)가 회전 시 나선궤적을 따라 상승 및 하강운동한다.
상기 가이드공(85)은 축기둥(32)이 끼워지는 원형의 관통공이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승강부(80)는 몸체(80a)의 둘레에 탄성암(83)이 소용돌이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간(31)에서 축기둥(32)의 외측 둘레에는, 승강부(80)의 몸체(80a)와 탄성암(83) 사이의 겨드랑이틈(87)에 끼워지도록 바닥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승강지지대(34)가 복수개 형성된다.
승강지지대(34)는 작동공간(31)의 바닥인 하우징(30)의 저부에 일체로 수직형성된 것으로서, 승강부(80)가 상하운동 시, 승강부(80)의 겨드랑이틈(87)과 조합되어 승강부(80)의 수평상태를 유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즉, 승강부(80)의 승강운동 시, 승강부(80)가 기울어지는 경우, 승강부(80)의 겨드랑이틈(87)에 끼워진 수직의 승강지지대(34)에 승강부(80)의 몸체(80a)와 탄성암(83)이 접촉하여 기울어질 수 없는 상태로 승강운동하게 한다.
승강지지대(34)는 탄성암(83)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형성된다.
한편,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돌출레일인 제1가이드(32a)와 승강지지대(34)에는 승강부(80)가 상승 시 올라앉을 수 있는 걸침턱(32b,34b)이 형성된다.
상기 걸침턱(32b,34b)은 승강부(80)가 상승위치에서 걸침에 의해 위치가 유지되도록, 돌출레일과 승강지지대(34)의 중간높이에 턱을 형성한 것으로서, 걸침턱(32b,34b)에 의해 승강부(80)가 받쳐질 수 있도록 한다.
걸침턱(32b,34b)이 제1가이드(32a)와 승강지지대(34)에 모두 형성되어 승강부(80)가 다수의 지점에서 걸침이 이루어지므로 안정된 수평상태로 상승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걸침턱(32b,34b)은 1~2mm정도의 좁은 길이로 형성하고 끝단의 모서리는 라운드를 줌으로써 승강부(80)가 걸침턱(32b,34b)을 쉽게 이탈하여 하강할 수 있도록 하고 승강부(80)의 하부에서 걸침턱(32b,34b)에 걸쳐지는 부분도 모서리에 라운드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걸침턱(32b,34b)이 승강부(80)에 작용하는 중력에 대향하여 받쳐지는 정도의 걸침이 발생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버튼(88)을 눌러 승강부(80)를 강제 하강시키는 강한 힘에 대하여는, 승강부(80)와 승강지지대(34)를 형성하는 합성수지 소재 자체의 탄성변형과 함께 좁은 걸침턱(32b,34b)의 면적 및 모서리의 라운드진 형상에 의해 쉽게 미끄러져 이탈되어 승강부(80)의 하강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임장치의 작동과정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승강부(80)가 하강된 위치는, 릴부(50)의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여 신발끈 등 끈(91)이 당겨지는 외력에 의해 끈(91)이 풀려나갈 수 있는 상태이고, 승강부(80)가 상승된 위치는 당김줄(92)의 당김에 의해 끈(91)의 조임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이거나 조임이 완료된 상태로서, 릴부(50)가 구속되어 끈(91)이 풀려나가지 않는 상태이다.
도 8은 신발끈 등의 끈(91)이 조임된 상태로부터 조임을 해제하도록 전환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덮개부(40)의 버튼공(42)에 상승되어 있는 버튼(88)을 강제로 누르면, 버튼(88)이 결합된 승강부(80)가 축기둥(32)을 따라 하강하고 승강부(80)의 제2래칫이빨(82)도 하강하여 릴부(50)의 회전유도이빨(64)에 물림된 상태가 된다.
그와 같은 승강부(80)의 하강상태에서, 회전유도이빨(64)은 탄성암(83)을 탄성변형시키면서 제2래칫이빨(82)이 타고 넘을 수 있으므로 릴부(50)의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신발끈 등 끈(91)이 외력에 의해 풀리려 하면 릴부(50)가 회전하면서 끈(91)의 자유로운 풀림이 가능하다.
한편, 끈(91)을 조이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당김줄(92)의 손잡이부(95)를 잡아 외측으로 당기게 된다.
이에 따라, 릴부(50)에서 당김줄(92)이 풀리는 방향으로 릴부(50)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회전하는 릴부(50)의 회전유도이빨(64)이 그 회전유도이빨(64)과 물려 접촉해 있는 제2래칫이빨(82)을 소정힘으로 회전시켜 승강부(80)의 회전을 유도한다.
승강부(80)는 회전유도이빨(64)에 의해 회전이 유도됨과 동시에 승강부(80)의 제2가이드(86)가 축기둥(32)의 제1가이드(32a)에 안내되어 승강부(80)의 상승이 이루어지고, 승강부(80)의 버튼(88)은 덮개부(40)의 버튼공(42)에서 상승한 도 9와 같은 상태가 된다.
회전유도이빨(64)이 제2래칫이빨(82)을 회전유도하는 힘의 범위는, 탄성암(83)의 탄성변형으로 제2래칫이빨(82)이 회전유도이빨(64)을 타고 넘는 시점까지의 탄성력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이고, 승강부(80)가 제1가이드(32a)에 안내되어 상승할 수 있는 회전력은 큰 회전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탄성암(83)의 탄성력에 의해 충분한 크기의 회전력이 제공될 수 있다.
릴부(50)의 회전에 의해 상승하는 승강부(80)는 상승과정에서, 축기둥(32)과 승강지지대(34)의 안내를 받아 정확한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상승이 이루어진다.
이는 승강부(80)의 수평상태가 가이드됨으로써, 제2래칫이빨(82)이 회전유도이빨(64)에서 제1래칫이빨(74)로 이동해 가는 과정을 매우 원활하게 하고, 오동작 발생의 위험을 차단한다.
승강부(80)가 상승한 상태에서 릴부(50)의 제1래칫이빨(74)이 승강부(80)의 제2래칫이빨(82)과 물림되고, 승강부(80)의 걸림이빨(81)이 덮개부(40)의 정지이빨(41)에 걸림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는 제2래칫이빨(82)과 물린 제1래칫이빨(74)이 승강부(80)를 끈(91)이 풀려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려 하더라도, 걸림이빨(81)이 덮개부(40)의 정지이빨(41)에 걸려 회전이 차단된 역회전 방지상태가 되므로, 끈(91)은 릴부(50)로부터 풀려날 수 없다.
그러나, 당김줄(92)을 당겨 끈(91)을 더 감아 들이는 회전방향에 대하여는, 제1래칫이빨(74)이 제2래칫이빨(82)을 눌러 탄성암(83)을 탄성변형시키면서 제2래칫이빨(82)이 제1래칫이빨(74)을 타고 넘을 수 있으므로 그 회전이 허용된다.
또한, 승강부(80)가 상승한 상태에서 승강부(80)의 저면은 제1가이드(32a)인 돌출레일과 승강지지대(34)의 걸침턱(32b,34b)에 올라앉아 걸칠 수 있고, 이는 승강부(80)가 중력, 진동 등에 의해 자연 하강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그러나, 통상 합성수지제로 제작되는 승강부(80)는 그 작은 크기 및 미소 중량으로 인해, 제1래칫이빨(74)과 제2래칫이빨(82)의 마찰, 및 걸림이빨(81)과 정지이빨(41)의 마찰에 의해 충분히 파지될 수 있어 쉽게 하강하지는 않으므로, 전술한 걸침턱(32b,34b)이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신발끈 등 끈(91)을 풀어 내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도 9와 같이 덮개부(40)의 버튼공(42)에 노출되어 있는 버튼(88)을 강한 힘으로 누르면, 승강부(80)는 강제적으로 하강하여 도 8과 같은 상태로 전환된다.
그 하강하는 과정에서 승강부(80)의 몸체(80a)는 축기둥(32)과 승강지지대(34)의 안내를 받아 수평상태로 하강하고 제1가이드(32a)에 의해 소정각의 회전을 동반하며, 제2래칫이빨(82)은 제1래칫이빨(74)을 벗어나 하강하여 회전유도이빨(64)과 물린 상태가 될 수 있다.
승강부(80)가 하강된 위치에서는, 승강부(80)의 제2래칫이빨(82)이 릴부(50)의 회전유도이빨(64)에 물린 상태이므로, 제2래칫이빨(82)은 회전유도이빨(64)을 양 방향에서 자유롭게 타고 넘을 수 있으므로, 끈(91)을 당기는 외력이 가해지는 릴부(50)에서 끈(91)이 자유롭게 풀려나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베이스부 20; 스티치
30; 하우징 31; 작동공간
32; 축기둥 32b,34b; 걸침턱
34; 승강지지대 37; 끈출입공
38; 당김줄출입공 40; 덮개부
41; 정지이빨 42; 버튼공
50; 릴부 51; 승강공
60; 하측릴부 61; 하측승강공
63; 끈권취홈 64; 회전유도이빨
70; 상측릴부 70a; 상단원반체
71; 상측승강공 73; 당김줄권취홈
74; 제1래칫이빨 77; 조립다리
80; 승강부 80a; 몸체
81; 걸림이빨 82; 제2래칫이빨
83; 탄성암 87; 겨드랑이틈
88; 버튼 91; 끈
92; 당김줄 95; 손잡이부
30; 하우징 31; 작동공간
32; 축기둥 32b,34b; 걸침턱
34; 승강지지대 37; 끈출입공
38; 당김줄출입공 40; 덮개부
41; 정지이빨 42; 버튼공
50; 릴부 51; 승강공
60; 하측릴부 61; 하측승강공
63; 끈권취홈 64; 회전유도이빨
70; 상측릴부 70a; 상단원반체
71; 상측승강공 73; 당김줄권취홈
74; 제1래칫이빨 77; 조립다리
80; 승강부 80a; 몸체
81; 걸림이빨 82; 제2래칫이빨
83; 탄성암 87; 겨드랑이틈
88; 버튼 91; 끈
92; 당김줄 95; 손잡이부
Claims (5)
- 상측으로 개방된 작동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간의 중심부에 축기둥이 수직으로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작동공간을 상측에서 덮도록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고 상기 작동공간을 접하는 하면에는 정지이빨이 설치된 덮개부와,
중심부에 승강공이 형성된 환형의 부재이고, 상기 작동공간에 상기 축기둥을 중심으로 수용되어 회전가능하며, 외주면에 끈과 당김줄을 각각 권취하는 끈권취홈 및 당김줄권취홈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승강공의 둘레를 따라 회전유도이빨과 제1래칫이빨이 각각 하부와 상부에 형성된 릴부와,
상기 승강공에 위치하고 상면에 상기 정지이빨에 걸림되기 위한 걸림이빨이 형성되며 상기 제1래칫이빨과 물리기 위한 제2래칫이빨이 단부에 형성된 탄성암이 둘레에 설치된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기둥의 외주면에 나선형상으로 상하연장되어 형성된 제1가이드와,
상기 승강부의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축기둥이 삽입되고 상기 제1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가이드가 형성된 가이드공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당김줄이 풀리는 방향으로 상기 릴부의 회전 시, 상기 회전유도이빨과 접촉된 상기 제2래칫이빨에 의해 상기 승강부도 회전됨과 동시에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부가 상기 제1가이드를 따라 상승하여 상기 제2래칫이빨이 상기 제1래칫이빨과 물리고 상기 걸림이빨이 상기 정지이빨과 걸림되어 역회전 방지상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조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중심부에는 버튼공이 상하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정지이빨은 상기 버튼공의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승강부의 상면에는 버튼이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의 상승 시 상기 버튼이 상기 버튼공에서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조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도이빨은 상기 제2래칫이빨이 접촉하여 타고 넘을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축기둥을 중심으로 상기 릴부의 양 방향 모두의 회전에 대하여, 상기 회전유도이빨이 상기 탄성암을 탄성변형시키면서 상기 제2래칫이빨이 상기 회전유도이빨을 타고 넘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조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강부의 몸체의 둘레에 상기 탄성암이 소용돌이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된 것이고,
상기 작동공간에서 상기 축기둥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승강부의 몸체와 상기 탄성암 사이의 겨드랑이틈에 끼워지도록 바닥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승강지지대가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조임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는 상기 축기둥의 외주면을 나선형상으로 감도록 돌출된 돌출레일이고, 상기 제2가이드는 상기 돌출레일이 끼워지도록 상기 가이드공의 가장자리에 나선형상으로 상하연장된 골의 형상이며,
상기 돌출레일과 상기 승강지지대에는 상기 승강부가 상승 시 올라앉을 수 있는 걸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조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0877A KR102568570B1 (ko) | 2021-09-10 | 2021-09-10 | 당김줄을 구비한 끈 조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0877A KR102568570B1 (ko) | 2021-09-10 | 2021-09-10 | 당김줄을 구비한 끈 조임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7831A KR20230037831A (ko) | 2023-03-17 |
KR102568570B1 true KR102568570B1 (ko) | 2023-08-22 |
Family
ID=85872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20877A KR102568570B1 (ko) | 2021-09-10 | 2021-09-10 | 당김줄을 구비한 끈 조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68570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9420B1 (ko) | 2012-12-17 | 2013-04-03 | 주식회사 신경 | 와이어 조임장치 |
KR101707484B1 (ko) | 2016-09-12 | 2017-02-16 | 하영호 | 와이어 조임장치 |
KR102132999B1 (ko) | 2018-09-07 | 2020-07-10 | 하민우 | 와이어 조임장치 |
-
2021
- 2021-09-10 KR KR1020210120877A patent/KR10256857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9420B1 (ko) | 2012-12-17 | 2013-04-03 | 주식회사 신경 | 와이어 조임장치 |
KR101707484B1 (ko) | 2016-09-12 | 2017-02-16 | 하영호 | 와이어 조임장치 |
KR102132999B1 (ko) | 2018-09-07 | 2020-07-10 | 하민우 | 와이어 조임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7831A (ko) | 2023-03-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60426B1 (ko) | 와이어 조임장치 | |
KR101723579B1 (ko) | 와이어 조임장치 | |
WO2020087976A1 (zh) | 紧固装置 | |
US8821061B2 (en) | Forward locking pull pin | |
KR101661233B1 (ko) | 와이어 조임장치 | |
TW200930886A (en) | Control unit for lift system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 |
KR101707484B1 (ko) | 와이어 조임장치 | |
KR101723578B1 (ko) | 와이어 조임장치 | |
KR101661236B1 (ko) | 와이어 조임장치 | |
KR102374006B1 (ko) |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 | |
KR102568570B1 (ko) | 당김줄을 구비한 끈 조임장치 | |
KR101768182B1 (ko) | 신발끈 자동 조임 장치 | |
KR20240123281A (ko) | 로프홀딩장치 | |
KR20240004244A (ko) | 체결 장치 및 레이스 조임 및 풀림 방법 | |
KR102684156B1 (ko) | 당김줄에 의해 작동하는 끈 조임장치 | |
KR102201078B1 (ko) | 견인줄에 의해 작동되는 와이어 조임장치 | |
KR20220159128A (ko) | 와이어 조임장치 | |
KR102715729B1 (ko) | 골프용 볼마커 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권취장치 | |
KR100772203B1 (ko) | 타워크레인의 승강장치 | |
KR200493694Y1 (ko) |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애완동물용 견인줄 | |
US10617176B2 (en) | Device for drawstring actuation | |
TWM537069U (zh) | 緊固裝置 | |
KR102566328B1 (ko) | 일체형 권취 핸들을 구비한 줄 길이 조절장치 | |
KR200311435Y1 (ko) | 조명탑의 안전걸쇠장치 | |
JP4256225B2 (ja) | 日射遮蔽装置の遮蔽材昇降装置及び日射遮蔽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