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9128A - 와이어 조임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조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9128A
KR20220159128A KR1020210067111A KR20210067111A KR20220159128A KR 20220159128 A KR20220159128 A KR 20220159128A KR 1020210067111 A KR1020210067111 A KR 1020210067111A KR 20210067111 A KR20210067111 A KR 20210067111A KR 20220159128 A KR20220159128 A KR 20220159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ole
tightening
winding
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핀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핀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핀온
Priority to KR1020210067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9128A/ko
Publication of KR20220159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1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81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driving the reel or the material
    • B65H75/4492Manual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57Arrangements of the frame or housing
    • B65H75/4471Housing enclosing the r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6Wires

Landscapes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 등에 설치 시, 와이어를 감아 들이는 부분의 위치를 하우징 내에서 높이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하우징을 출입하는 와이어가 제품의 표면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 와이어 조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중앙에 상하방향의 관통홀이 형성된 권취휠과, 상기 권취휠의 관통홀에 위치하고 래칫결합에 의해 권취휠과 결합하며 하부에 하우징의 걸림니에 걸리는 물림니가 구비된 승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와이어 조임장치{Apparatus for fastening wire}
본 발명은 와이어 조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 가방, 모자, 의복 등에 설치되어 와이어를 감아 조이거나 풀어 느슨하게 할 수 있는 구조의 와이어 조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신발의 착용 시, 신발끈의 매듭을 묶거나 풀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해, 신발끈을 간편하게 조이거나 풀 수 있는 조임장치가 많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한 조임장치는 신발 뿐 아니라, 가방, 모자, 의복 등에도 설치되어 끈 또는 와이어를 조이는 용도로 활용됨으로써 그 사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다.
도 1 및 도 2의 (a) 및 (b)는 종래 신발의 와이어 조임장치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48815호에 기재된 것이다.
도 1 및 도 2의 (a) 및 (b)를 참고하면, 종래 신발의 와이어 조임장치는, 하우징(1), 권취휠(2), 기어부재(3), 스프링부(4), 그리고 조임캡(5)이 하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조립된다.
도 2의 (a)와 같이, 조임캡(5)과 기어부재(3)를 눌러 스프링부(4)의 탄성에 의해 하강시킨 상태에서, 기어부재(3)와 권취휠(2)이 상호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되, 제1방향 회전이 구속되므로 와이어를 감는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조임캡(5)과 기어부재(3)를 올려 스프링부(4)의 탄성에 의해 상승시킨 상태에서는, 기어부재(3)와 권취휠(2) 간의 결합이 해제되어, 권취휠(2)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와이어를 자유롭게 풀어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와이어 조임장치의 구성은 스프링부(4) 등 그 조립되는 부품의 수가 많고 조립이 까다로워 제작과정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와이어 조임장치의 적층구조는, 대체로 와이어를 감아들이는 권취휠(2)이 하우징(1)의 내부에서 가장 하층에 위치하므로, 출입하는 와이어가 하우징(1)의 저부를 통해 출입하게 되는 바, 와이어 조임장치가 설치되는 제품의 표면에 와이어가 지속적으로 간섭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 등에 설치되어 와이어를 조이는 조임동작이 원활히 이루어 질 수 있으면서도, 전체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조립이 비교적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의 와이어 조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발 등 제품에 설치 시 돌출되는 전체 높이를 높이지 않으면서도, 와이어를 감아 들이는 부분의 위치를 하우징 내에서 높이는 적층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하우징을 출입하는 와이어가 제품의 표면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 와이어 조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 제작하고 조립이 까다로운 스프링과 같은 위치유지수단을 제거하고 상승 및 하강위치를 유지하는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구성의 와이어 조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와이어 조임장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저부에 걸림니가 형성된 하우징; 중앙에 상하방향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둘레의 외주면에 와이어가 감기는 권취홈이 형성되며, 상기 권취홈의 하측에서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에 제1래칫부가 설치되고, 상부에 결합니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권취휠; 상기 권취휠의 상기 관통홀에 위치하고, 하부에 상기 제1래칫부와 물림되어 상기 권취휠의 제1방향 회전을 허용하고 제2방향 회전을 차단하기 위한 제2래칫부를 구비하고, 하단부에 상기 걸림니에 걸리는 물림니가 구비된 승강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을 덮은 상태로 위치되고 하강시 상기 결합니와 결합되어 와이어를 감는 방향으로 상기 권취휠을 회전시키기 위한 조임니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승강부재와 함께 승강작동하는 조임캡;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권취휠이 상승하는 것을 차단하는 구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권취휠에는, 상기 관통홀의 상부의 외측에 측방향으로 융기된 융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임캡에는, 상기 융기부를 탄성에 의해 타고 넘는 것으로서, 상기 융기부보다 상측높이에서 상기 물림니가 상기 걸림니와 이격되고 상기 융기부보다 하측높이에서 상기 물림니가 상기 걸림니와 걸림되도록 하는 위치설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 조임장치는, 상기 승강부재와 상기 조임캡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서로 결합된 상태로 함께 승강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한편,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의 와이어 조임장치는, 내부공간을 둘러싸는 측벽과 저부에 형성된 걸림니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결합되어 승강운동이 가능한 조임캡과,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중앙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외주면의 권취홈에서 와이어를 감는 권취휠과, 상기 관통홀 내에 위치하여 상기 권취휠과 결합되고, 상기 조임캡과 상기 관통홀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관통홀 내에서 상기 조임캡과 함께 승강운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승강운동 시 상기 걸림니에 걸림되거나 분리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조임캡의 상승 시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걸림니와 분리되어 상기 권취휠이 와이어를 풀어내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허용하고, 상기 조임캡의 하강 시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걸림니와 결합되어 상기 권취휠이 와이어를 감는 방향으로의 회전만 허용되고 반대방향의 회전은 차단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권취휠이 상승하는 것을 차단하는 구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권취휠에는, 상기 관통홀의 상부의 외측에 측방향으로 융기된 융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임캡에는, 상기 융기부를 탄성에 의해 타고 넘는 것으로서, 상기 융기부보다 상측높이에서 상기 물림니가 상기 걸림니와 이격되고 상기 융기부보다 하측높이에서 상기 물림니가 상기 걸림니와 걸림되도록 하는 위치설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 조임장치는, 상기 조임캡이 외측캡과 상기 외측캡의 내부에 고정되는 내측캡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캡에 상기 위치설정부가 형성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한편,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의 와이어 조임장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저부에 걸림니가 형성된 하우징; 중앙에 상하방향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둘레의 외주면에 와이어가 감기는 권취홈이 형성되며, 상기 권취홈의 하측에서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에 제1래칫부가 설치되고, 상부에 결합니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권취휠; 상기 권취휠의 상기 관통홀에 위치하고, 하부에 상기 제1래칫부와 물림되어 상기 권취휠의 제1방향 회전을 허용하고 제2방향 회전을 차단하기 위한 제2래칫부를 구비하고, 하단부에 상기 걸림니에 걸리는 물림니가 구비된 승강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을 덮은 상태로 위치되고, 하강시 상기 결합니와 결합되어 와이어를 감는 방향으로 상기 권취휠을 회전시키기 위한 조임니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승강부재와 함께 승강작동하는 조임캡;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권취휠이 상승하는 것을 차단하는 구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의 내주면에는 측방향으로 융기된 융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임캡에는, 상기 융기부를 탄성에 의해 타고 넘는 것으로서, 상기 융기부보다 상측높이에서 상기 물림니가 상기 걸림니와 이격되고 상기 융기부보다 하측높이에서 상기 물림니가 상기 걸림니와 걸림되도록 하는 위치설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 조임장치는, 상기 권취휠의 상단부에 상단훅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캡에는, 조립시, 상기 상단훅을 탄성에 의해 타고 넘어 걸림되는 걸림훅이 형성되어, 상기 상단훅이 제한하는 범위까지 상기 조임캡이 상승하고, 상기 조임캡의 상승이, 상기 물림니가 상기 걸림니와 이격될 수 있는 범위의 상승인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한편,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의 와이어 조임장치는, 내부공간을 둘러싸는 측벽과 저부에 형성된 걸림니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결합되어 승강운동이 가능한 조임캡과,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중앙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외주면의 권취홈에서 와이어를 감는 권취휠과, 상기 관통홀 내에 위치하여 상기 권취휠과 결합되고, 상기 조임캡과 상기 관통홀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관통홀 내에서 상기 조임캡과 함께 승강운동하는 것이며, 상기 승강운동 시 상기 걸림니에 걸림되거나 분리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조임캡의 상승 시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걸림니와 분리되어 상기 권취휠이 와이어를 풀어내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허용하고, 상기 조임캡의 하강 시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걸림니와 결합되어 상기 권취휠이 와이어를 감는 방향으로의 회전만 허용하고 반대방향의 회전은 차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권취휠이 상승하는 것을 차단하는 구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의 내주면에는 측방향으로 융기된 융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임캡에는, 상기 융기부를 탄성에 의해 타고 넘는 것으로서, 상기 융기부보다 상측높이에서 상기 물림니가 상기 걸림니와 이격되고 상기 융기부보다 하측높이에서 상기 물림니가 상기 걸림니와 걸림되도록 하는 위치설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는, 하우징의 내부에서 조임캡과 직접 물림되는 권취휠의 관통홀에 승강부재를 배치하고, 승강부재가 상기 관통홀 내에서 승강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와이어를 조이는 조임동작이 원활히 이루어 질 수 있으면서도, 공간효율적으로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전체 부품의 수를 줄이고 제품의 조립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는, 권취휠에서 와이어가 감기는 권취홈을 상부에 형성하고 하부의 내부에 제1래칫부가 설치되며, 승강부재의 제2래칫부가 권취휠의 하부의 내부에서 제1래칫부와 결합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를 감아들이는 권취홈의 위치를 하우징 내에서 높일 수 있고, 와이어 조임장치의 전체적인 높이는 높이지 않는 적층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하우징을 출입하는 와이어가 제품의 표면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제품에 설치시 와이어 조임장치의 돌출높이도 높아지지 않아 그 돌출높이로 인해 외부 간섭 또는 충격을 쉽게 받을 수 있는 문제도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 제작하고 조립이 까다로운 스프링과 같은 금속재질의 위치유지수단을 제거하고, 권취휠 또는 하우징의 융기부와, 조임캡의 위치설정부가 탄성으로 서로 타고 넘어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부품의 조립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면서도 작동을 원활히 하고 있다.
더욱이, 융기부가, 권취휠의 상부에서 관통홀의 외측이나, 하우징의 내부면에 위치하여, 상기 융기부를 권취휠의 관통홀보다 큰 직경으로 둘레에 형성함으로써 융기부와 위치설정부의 접촉면적 및 범위를 넓힐 수 있는 바, 탄성변형이 크지 않아 작은 변형이 발생하는 소재로 제작될지라도, 융기부와 위치설정부가 서로 타고 넘는 힘을 일정크기 이상으로 유지시키도록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원활한 작동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구성에서 조임캡이 하우징의 상단을 덮도록 조립 시, 권취휠의 융기부와 조임캡의 위치설정부가 서로 접촉하면서 조립이 이루어지고 접촉상태에서 승강운동이 이루어지는 바, 권취휠에 대한 조임캡의 위치가 항상 정확히 유지될 수 있고, 조임니와 결합니의 이격 및 물림동작이 항상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와이어 조임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2의 (a) 및 (b)는 도 1의 와이어 조임장치가 조립된 상태에서 단면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가 분해된 상태에서 상면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가 분해된 상태에서 하면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가 조립된 상태에서 와이어를 조일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 단면구성을 도시하는 구성 및 작용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가 조립된 상태에서 와이어를 풀어 낼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 단면구성을 도시하는 구성 및 작용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가 분해된 상태에서 상면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가 분해된 상태에서 하면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가 조립된 상태에서 와이어를 조일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 단면구성을 도시하는 구성 및 작용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가 조립된 상태에서 와이어를 풀어 낼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 단면구성을 도시하는 구성 및 작용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는, 내부공간(114)이 형성되고 저부에 걸림니(115)가 형성된 하우징(110)과, 중앙에 상하방향의 관통홀(12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21)의 둘레의 외주면에 와이어(160)가 감기는 권취홈(123)이 형성되며, 상기 권취홈(123)의 하측에서 관통홀(121)의 내주면에 제1래칫부(126)가 설치되고, 상부에 결합니(127)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114)에 위치하는 권취휠(120)과, 상기 권취휠(120)의 관통홀(121)에 위치하고, 하부에 제1래칫부(126)와 물림되어 권취휠(120)의 제1방향 회전을 허용하고 제2방향 회전을 차단하기 위한 제2래칫부(136)를 구비하고, 하단부에 걸림니(115)에 걸리는 물림니(135)가 구비된 승강부재(130), 및 상기 하우징(110)의 상단을 덮은 상태로 위치되고 하강시 결합니(127)와 결합되어 와이어(160)를 감는 방향으로 권취휠(120)을 회전시키기 위한 조임니(147)가 형성되며, 승강부재(130)와 결합되어 승강부재(130)와 함께 승강작동하는 조임캡(14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공간(114)을 둘러싸는 측벽(111a)과, 저부에 걸림니(115)가 형성된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10)은, 신발 등 제품에 부착되는 것으로 오목한 안착홈(114a)을 가진 베이스부(113)와, 베이스부(113)의 안착홈(114a)에 결합되어 내부공간(114)을 둘러싸고 측벽(111a)을 형성하는 원통측벽부(111)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니(115)는 베이스부(113)의 안착홈(114a)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10)의 상단에는 권취휠(120)이 내부공간(114) 내에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승을 차단하는 구속부(117)가 형성되고, 그 구속부(117)는 구체적으로 권취휠(120)의 외주면의 상단이 걸리는 턱이다.
조립된 상태에서 구속부(117)는 내부공간(114)측으로 돌출되어 권취휠(120)의 상단이 걸려 상승하지 못하도록 제한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제한돌부(118)가 형성되어 조임캡(140)이 하우징(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제한한다.
또한, 상기 원통측벽부(111)와 베이스부(113)가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공간(114)으로 와이어(160)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와이어출입공(116)이 형성된다.
상기 원통측벽부(111)와 베이스부(113)는 일체화되어 하나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조임캡(140)은 하우징(110)의 상부와 결합되어 승강운동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회전시킬 수 있는 부분이다.
조임캡(140)은 원통용기형상으로 하우징(110)의 상단을 덮는 구조로 결합되고, 하단에 제한턱(148)이 형성되어 하우징(110)의 제한돌부(118)에 걸려 조임캡(140)이 상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승강이 가능하다.
조임캡(140)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외측캡(141)과, 그 외측캡(141)의 내부에 고정되는 내측캡(143)으로 분리하여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외측캡(141)과 내측캡(143)은 일체화된 하나의 부품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손으로 잡는 부분인 외측캡(141)과, 탄성변형 및 물림작동이 필요한 내측캡(143)을 각각의 특성에 적합하도록 서로 다른 재질로 제작하기 위해 분리구성한다.
상기 조임캡(140)에서, 내측캡(143)의 하면에는, 승강운동 중 하강시 권취휠(120)의 결합니(127)와 결합되어 와이어(160)를 감는 방향으로 권취휠(120)을 회전시키기 위한 조임니(147)가 형성되어 있다.
조임니(147)는 조임캡(140)의 내부의 하면에서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고, 권취휠(120)의 결합니(127)와 물리는 결합이 이루어지면 사용자가 조임캡(140)을 돌리는 회전력이 권취휠(120)에도 전달되어, 와이어(160)를 조이는 방향으로 권취휠(120)을 함께 회전시킬 수 있다.
조임캡(140)이 상승운동하면, 조임니(147)는 결합니(127)와 분리된다.
또한, 조임캡(140)은 승강부재(130)와 권취휠(120)의 관통홀(121)을 통해 결합되어 승강부재(130)와 함께 승강작동할 수 있으나 승강부재(130)의 회전은 허용하도록 서로 결합된다.
이를 위해, 조임캡(140)에서 하향연장되는 하면돌부(142)와 승강부재(130)의 중심부에서 상향연장되는 걸림돌부(132)가 관통홀(21)에서 서로 걸림된 결합구조로 결합되어, 조임캡(140)과 승강부재(130)의 결합이 이루어져, 상하방향으로는 서로 구속되어 함께 승강하고, 회전방향으로는 서로 상대적인 회전을 허용한다.
이에 따라, 조임캡(140)과 승강부재(130)는 상하방향으로는 서로 구속되어 함께 승강하고, 회전시는 서로 구속하지 않음으로써 회전방향으로는 서로 상대적인 회전을 허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조임캡(140)이 하강하여 권취휠(120)을 회전시킴으로써 권취휠(120)이 와이어(160)를 감아 들이는 경우, 승강부재(130)의 간섭을 받지 않고 조임캡(140)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권취휠(120)은, 내부공간(114)에 위치하고, 중앙에 상하방향의 관통홀(121)이 형성되며, 외주면의 권취홈(123)에서 와이어(160)를 감는다.
권취휠(120)의 상부에는 관통홀(121)을 중심으로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결합니(127)가 형성되어 조임캡(140)의 조임니(147)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권취홈(123)은 권취휠(120)의 상부에서 관통홀(121)의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고, 하우징(110)의 한 쌍의 와이어출입공(116)을 통해 출입하는 와이어(160)를 감아 저장하는 부분이다.
권취홈(123)에는 와이어(160)의 단부가 고정되는 와이어고정홈(129)이 형성된다.
상기 권취휠(120)의 관통홀(121)의 하부에는 관통홀(121)의 내주면에 제1래칫부(126)가 설치된다.
상기 관통홀(121)은, 권취홈(123)이 주변 둘레에 형성된 상부관통홀(121a)과, 상기 상부관통홀(121a)보다 큰 직경이고 둘레를 따라 제1래칫부(126)가 형성된 하부관통홀(121b)로 구분되어 형성된다.
하부관통홀(121b)의 제1래칫부(126)는 둘레에 편향하여 경사지게 형성한 래칫이빨을 포함하고, 제1래칫부(126)에 승강부재(130)의 제2래칫부(136)가 래칫결합되어 제1방향으로의 회전만 허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부재(130)는, 관통홀(121)에 위치하여 권취휠(120)과 결합되고, 조임캡(140)과 결합되어 관통홀(121) 내에서 함께 승강운동하는 부분이다.
승강부재(130)는 하부에 제1래칫부(126)와 물림되어, 권취휠(120)에 대하여 제1방향의 회전을 허용하고 제2방향의 회전을 차단하는 제2래칫부(136)를 구비하고, 하단부에 하우징(110)의 걸림니(115)에 걸리는 물림니(135)가 구비되어 승강운동 시 승강부재(130)가 걸림니(115)에 걸림되거나 분리된다.
상기 제1래칫부(126)와 제2래칫부(136)의 물림구조는, 승강부재(130)에 대하여 권취휠(120)이, 와이어(160)를 감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고, 반대방향인 와이어(160)를 풀어내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은 차단하도록, 이빨의 경사방향이 설정된다.
상기 제2래칫부(136)는, 승강부재(130)의 둘레에 복수개의 래칫날개(136a)가 소용돌이 형상으로 고정되고, 각 래칫날개(136a)의 자유단에 제1래칫부(126)의 래칫이빨과 물려 래칫결합하는 래칫날개이빨(136b)이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승강부재(130)가 하강하여 하우징(110)의 걸림니(115)에 걸려 정지된 상태에서 조임캡(140)이 권취휠(120)을 와이어(160)를 감아 들이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권취휠(120)은 승강부재(130)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제1래칫부(126)의 래칫이빨이 제2래칫부(136)의 래칫날개(136a)를 탄성변형시키면서 래칫날개이빨(136b)을 타고 넘어 회전할 수 있다.
승강부재(130)가 걸림니(115)에 걸린 상태에서 승강부재(130)에 대하여 위의 반대방향으로 권취휠(120)이 회전하려는 경우, 제1래칫부(126)의 래칫이빨이 제2래칫부(136)의 래칫날개이빨(136b)에 걸려 회전이 차단된다.
제1래칫부(126)의 각 래칫이빨이 하부관통홀(121b)의 높이만큼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래칫부(136)의 래칫이빨은 승강부재(130)의 승강운동 시, 제1래칫부(126)의 래칫이빨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면서 물린 상태를 유지한다.
이는 제1래칫부(126)와 제2래칫부(136)가 승강부재(130)의 승강운동 시, 서로 분리되지 않으므로, 분리 및 결합에 따른 물림불량의 문제를 유발하지 않고, 그 승강운동이 매우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다.
상기 권취휠(120)에는, 관통홀(121)의 상부의 외측에 측방향으로 융기된 융기부(128)가 형성된다.
상기 융기부(128)는 권취휠(120)의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측방향 외측으로 융기된 융기부(128)는 전체가 환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임캡의 내측캡(143)에는, 상기 융기부(128)를 탄성에 의해 타고 넘는 위치설정부(145)가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융기부(128)의 환형궤적을 따라 복수개의 위치설정부(145)가 형성되도록 한다.
환형의 융기부(128)와 복수개의 위치설정부(145)의 구성은, 그 구조를 서로 바꾸어, 환형궤적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융기부(128)와 환형의 위치설정부(145)의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고, 서로 타고 넘을 때, 탄성변형에 의해 타고 넘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승강부재(130)와 결합된 조임캡(140)이 상승된 상태 및 하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조임캡(140)의 위치설정부(145)가 융기부(128)보다 상측높이에 있을 때, 승강부재도 함께 상승높이에 있게 되므로, 물림니(135)가 걸림니(115)와 이격되고, 조임캡(140)의 위치설정부(145)가 융기부(128)보다 하측높이에 있을 때, 승강부재도 함께 하강높이에 있게 되어 물림니(135)가 걸림니(115)와 걸림되도록 위치가 설정된다.
전술한 융기부(128)가, 권취휠(120)의 상부에서 관통홀(121)의 외측에 형성되고 있어, 융기부(128)를 권취휠(120)의 관통홀(121)보다 큰 직경으로 둘레에 형성함으로써, 융기부(128)와 위치설정부(145)의 접촉면적 및 범위를 관통홀(121)보다 넓은 환형궤적을 따라 넓게 형성시킬 수 있다.
이는, 조임캡, 권취휠(120) 등의 소재가, 탄성변형이 크지 않아 작은 변형이 발생하는 소재로 제작될지라도, 융기부(128)와 위치설정부(145)가 서로 타고 넘는 힘을 일정크기 이상으로 유지시키도록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원활한 작동도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용이하다.
만일, 상기 융기부(128) 및 위치설정부(145)가 권취휠(120)의 관통홀(121)과 같이 좁은 영역 내에 형성하는 경우, 오작동방지를 위해, 서로 타고 넘기 위해 가하는 힘의 크기가 너무 작지 않도록 하고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탄성이 충분히 크고 변형이 충분히 발생하는 소재를 선택해야 함과 동시에 설계 시 융기부(128)의 형상에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조임캡(140)이 하우징의 상단을 덮도록 조립 시, 권취휠(120)의 융기부(128)와 조임캡(140)의 위치설정부(145)가 서로 접촉하면서 조립이 이루어지고 접촉상태에서 승강운동이 이루어지는 바, 권취휠(120)에 대한 조임캡(140)의 위치가 항상 정확히 유지될 수 있고, 조임니(147)와 결합니(127)의 이격 및 물림동작이 항상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작동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와이어(160)를 감아들여 조이기 위해, 도 5와 같이, 사용자는 조임캡(140)을 눌러 하강시키고 조임캡(140)을 회전시킨다.
상기 조임캡(140)의 하강 시, 상하방향으로 구속된 승강부재(130)가 함께 하강하여 승강부재(130)의 물림니(135)가 하우징(110)의 걸림니(115)와 결합되고, 회전방향 특히 와이어(160)를 감는 방향으로 승강부재(130)가 회전하는 것을 걸림니(115)가 차단하는 상태가 된다.
이 때, 조임캡(140)의 위치설정부(145)가 탄성변형으로 융기부(128)를 타고 넘어 융기부(128)보다 하측높이에서 위치를 유지하고, 승강부재도 함께 하강높이에 유지되게 된다.
조임캡(140)의 하강으로, 조임캡(140)의 조임니(147)가 권취휠(120)의 결합니(127)와 물려 결합상태를 이룬다.
그 상태로, 사용자가 조임캡(140)을 와이어(160)를 감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임니(147)와 결합니(127)의 결합으로 인해 조임캡(140)이 권취휠(120)을 강제 회전시키면서, 와이어(160)를 권취홈(123)으로 감아 들여 조이는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권취휠(120)의 제1래칫부(126)와 승강부재(130)의 제2래칫부(136)의 물림구조는, 승강부재(130)에 대하여 권취휠(120)이 와이어(160)를 감는 방향(제1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게 되므로, 하우징(110)의 걸림니(115)에 걸려 정지상태인 승강부재(130)에 대하여, 권취휠(120)의 제1래칫부(126)가 승강부재(130)의 제2래칫부(136)의 래칫날개(136a)를 탄성변형시키면서 타고 넘어, 권취휠(120)의 회전이 가능하다.
그와 같은 상태에서, 조임캡(140)이 권취휠(120)을 와이어(160)가 풀려나가는 방향(제2방향)으로 회전시키려 하거나, 와이어(160)를 당기는 외력에 의해 와이어(160)가 풀려나가는 방향으로 권취휠(120)이 회전하려 하는 경우, 하우징(110)의 걸림니(115)에 걸려 정지상태인 승강부재(130)에 대하여, 권취휠(120)의 제1래칫부(126)는 제2래칫부(136)에 걸려 회전이 차단되고, 와이어(160)는 풀릴 수 없다.
따라서, 조임캡(140)과 승강부재(130)가 하강상태인 경우는, 권취휠(120)이 와이어(160)를 감아들여 조이는 방향으로의 회전만 가능하다.
한편, 와이어(160)를 풀어내기 위해, 도 6과 같이, 사용자는 조임캡(140)을 잡고 상승시킨다.
이 때, 조임캡(140)의 위치설정부(145)가 탄성변형으로 융기부(128)를 타고 넘어 융기부(128)보다 상측높이에서 위치를 유지하고, 승강부재도 함께 상승높이에 유지되게 된다.
상기 조임캡(140)의 상승 시, 승강부재(130)의 물림니(135)가 하우징(110)의 걸림니(115)와 분리되어 이격되고, 권취휠(120)이 와이어(160)를 풀어내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허용된다.
즉, 승강부재(130)는 조임캡(140)과 상하방향으로 구속되어 함께 상승하여 하우징(110)의 걸림니(115)와는 분리되고, 조임캡(140)과는 회전방향에 대하여 구속되어 있지 않다. 이에, 조임캡(140)이 권취휠(120)과 반드시 함께 회전하는 것은 아니나, 조임캡(140)이 권취휠(120)과 함께 회전하여도 무방하다.
이에 따라, 와이어(160)가 외력에 의해 외부로 당겨질 경우, 권취휠(120)로부터 자유롭게 풀려나갈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를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와이어 조임장치는, 제1실시예의 구성과 비교할 때, 구속부(217) 및 융기부(218)의 형성위치와, 권취휠(220)의 상단훅(228) 및 조임캡(240)의 걸림훅(248)에서 차이가 발생한다.
또한, 조임캡(240) 중 내측캡(243)이, 환형중심공(243a)을 가진 환형으로 형성되고, 조임니(247) 및 하면돌부(242)가 외측캡(241)의 하면에서 외측캡(241)과 일체로 형성되어 환형중심공(243a)에 위치하는 차이가 있다.
상기 구속부(217)는 권취휠(220)이 상승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210)의 하단에 환형인 턱의 형태로 구속부(217)가 형성되고, 권취휠(220)의 하단에 형성된 환형의 구속테(225)를 구속부(217)가 상측에서 덮고 있다.
구속부(217)가 환형의 턱의 형태로 형성되어 권취휠(220)의 구속테(225)를 덮고 있으므로, 권취휠(220)의 회전 시, 구속테(225)가 구속부(217)의 하측에서 구속된 상태이고 권취휠(220)의 회전은 허용된다.
한편, 상기 융기부(218)는 하우징의 상단부의 내주면에 환형으로 형성되고 측방향 내측으로 융기되어 있다.
상기 융기부(218)를 탄성에 의해 타고 넘는 위치설정부(245)는 조임캡(240)의 내측캡(243)에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위치설정부(245)는 절개되어 서로 구분되는 복수개가, 환형궤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탄성변형이 용이하게 발생하여 융기부(218)를 타고 넘는 작용이 보다 원활할 수 있는 측면이서 보다 바람직하다.
위의 구성도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융기부(218)가, 권취휠(220)의 상부에서 관통홀(221)의 외측에 형성되고 있어, 융기부(218)를 권취휠(220)의 관통홀(221)보다 큰 직경으로 둘레에 형성함으로써, 융기부(218)와 위치설정부(245)의 접촉면적 및 범위를 관통홀(221)에 형성하는 경우보다 넓게 형성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권취휠(220)의 상단부에 상단훅(228)이 형성되고, 조임캡(240)에는, 조립시, 상단훅(228)을 탄성에 의해 타고 넘어 걸림되는 걸림훅(248)이 형성된다.
상기 상단훅(228)과 걸림훅(248)은 둘 중 하나가 환형으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절개되어 서로 구분되는 복수개가 환형궤적으로 배치된 구조를 이루는 것이, 탄성변형에 의해 타고 넘어 조립되기에 보다 용이한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탄성변형으로 상단푹(228)과 걸림훅(248)이 서로 조립된 상태에서 걸림될 수 있고, 상단훅(228)이 제한하는 범위까지 조임캡이 상승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단훅(228)이 제한하는 범위까지 조임캡(240)이 상승하되, 조임캡(240)이 상승하는 범위는 물림니(235)가 걸림니(215)와 완전히 이격될 수 있는 범위까지의 상승이 가능한 범위이다.
이러한 구성은 제1실시예의 제한돌부(118) 및 제한턱(148)의 구성을 대체한 것으로서, 조임캡(240)의 내측캡(243)에 걸림훅(248)이 형성되고 권취휠(220)에 상단훅(228)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어, 손으로 잡는 부분인 외측캡(241)이나, 내부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부분인 하우징을, 탄성소재로 형성하기 어려운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구성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10, 210; 하우징 111, 211; 원통측벽부
111a; 측벽 113, 213; 베이스부
114, 214; 내부공간 114a; 안착홈
115, 215; 걸림니 116, 216; 와이어출입공
117, 217; 구속부 118; 제한돌부
120, 220; 권취휠 121, 221; 관통홀
121a, 221a; 상부관통홀 121b, 221b; 하부관통홀
123, 223; 권취홈 126, 226; 제1래칫부
127, 227; 결합니 128, 218; 융기부
129, 229; 와이어고정홈 130, 230; 승강부재
135, 235; 물림니 136, 236; 제2래칫부
136a, 236a; 래칫날개 136b, 236b; 래칫날개이빨
140, 240; 조임캡 142, 242; 하면돌부
145, 245; 위치설정부 147, 247; 조임니
148; 제한턱 160,260; 와이어
225; 구속테 228; 상단훅
248; 걸림훅

Claims (7)

  1.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저부에 걸림니가 형성된 하우징;
    중앙에 상하방향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둘레의 외주면에 와이어가 감기는 권취홈이 형성되며, 상기 권취홈의 하측에서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에 제1래칫부가 설치되고, 상부에 결합니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권취휠;
    상기 권취휠의 상기 관통홀에 위치하고, 하부에 상기 제1래칫부와 물림되어 상기 권취휠의 제1방향 회전을 허용하고 제2방향 회전을 차단하기 위한 제2래칫부를 구비하고, 하단부에 상기 걸림니에 걸리는 물림니가 구비된 승강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을 덮은 상태로 위치되고 하강시 상기 결합니와 결합되어 와이어를 감는 방향으로 상기 권취휠을 회전시키기 위한 조임니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승강부재와 함께 승강작동하는 조임캡;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권취휠이 상승하는 것을 차단하는 구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권취휠에는, 상기 관통홀의 상부의 외측에 측방향으로 융기된 융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임캡에는, 상기 융기부를 탄성에 의해 타고 넘는 것으로서, 상기 융기부보다 상측높이에서 상기 물림니가 상기 걸림니와 이격되고 상기 융기부보다 하측높이에서 상기 물림니가 상기 걸림니와 걸림되도록 하는 위치설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조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와 상기 조임캡은, 상기 관통홀을 통해 서로 결합된 상태로 함께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조임장치
  3. 내부공간을 둘러싸는 측벽과 저부에 형성된 걸림니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결합되어 승강운동이 가능한 조임캡과,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중앙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외주면의 권취홈에서 와이어를 감는 권취휠과,
    상기 관통홀 내에 위치하여 상기 권취휠과 결합되고, 상기 조임캡과 상기 관통홀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관통홀 내에서 상기 조임캡과 함께 승강운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승강운동 시 상기 걸림니에 걸림되거나 분리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조임캡의 상승 시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걸림니와 분리되어 상기 권취휠이 와이어를 풀어내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허용하고, 상기 조임캡의 하강 시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걸림니와 결합되어 상기 권취휠이 와이어를 감는 방향으로의 회전만 허용되고 반대방향의 회전은 차단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권취휠이 상승하는 것을 차단하는 구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권취휠에는, 상기 관통홀의 상부의 외측에 측방향으로 융기된 융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임캡에는, 상기 융기부를 탄성에 의해 타고 넘는 것으로서, 상기 융기부보다 상측높이에서 상기 물림니가 상기 걸림니와 이격되고 상기 융기부보다 하측높이에서 상기 물림니가 상기 걸림니와 걸림되도록 하는 위치설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조임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캡은 외측캡과 상기 외측캡의 내부에 고정되는 내측캡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캡에 상기 위치설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조임장치
  5.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저부에 걸림니가 형성된 하우징;
    중앙에 상하방향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둘레의 외주면에 와이어가 감기는 권취홈이 형성되며, 상기 권취홈의 하측에서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에 제1래칫부가 설치되고, 상부에 결합니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권취휠;
    상기 권취휠의 상기 관통홀에 위치하고, 하부에 상기 제1래칫부와 물림되어 상기 권취휠의 제1방향 회전을 허용하고 제2방향 회전을 차단하기 위한 제2래칫부를 구비하고, 하단부에 상기 걸림니에 걸리는 물림니가 구비된 승강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을 덮은 상태로 위치되고, 하강시 상기 결합니와 결합되어 와이어를 감는 방향으로 상기 권취휠을 회전시키기 위한 조임니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승강부재와 함께 승강작동하는 조임캡;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권취휠이 상승하는 것을 차단하는 구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의 내주면에는 측방향으로 융기된 융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임캡에는, 상기 융기부를 탄성에 의해 타고 넘는 것으로서, 상기 융기부보다 상측높이에서 상기 물림니가 상기 걸림니와 이격되고 상기 융기부보다 하측높이에서 상기 물림니가 상기 걸림니와 걸림되도록 하는 위치설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조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휠의 상단부에는 상단훅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캡에는, 조립시, 상기 상단훅을 탄성에 의해 타고 넘어 걸림되는 걸림훅이 형성되어, 상기 상단훅이 제한하는 범위까지 상기 조임캡이 상승하고,
    상기 조임캡의 상승이, 상기 물림니가 상기 걸림니와 이격될 수 있는 범위의 상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조임장치
  7. 내부공간을 둘러싸는 측벽과 저부에 형성된 걸림니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결합되어 승강운동이 가능한 조임캡과,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중앙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외주면의 권취홈에서 와이어를 감는 권취휠과,
    상기 관통홀 내에 위치하여 상기 권취휠과 결합되고, 상기 조임캡과 상기 관통홀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관통홀 내에서 상기 조임캡과 함께 승강운동하는 것이며, 상기 승강운동 시 상기 걸림니에 걸림되거나 분리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조임캡의 상승 시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걸림니와 분리되어 상기 권취휠이 와이어를 풀어내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허용하고, 상기 조임캡의 하강 시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걸림니와 결합되어 상기 권취휠이 와이어를 감는 방향으로의 회전만 허용하고 반대방향의 회전은 차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권취휠이 상승하는 것을 차단하는 구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의 내주면에는 측방향으로 융기된 융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임캡에는, 상기 융기부를 탄성에 의해 타고 넘는 것으로서, 상기 융기부보다 상측높이에서 상기 물림니가 상기 걸림니와 이격되고 상기 융기부보다 하측높이에서 상기 물림니가 상기 걸림니와 걸림되도록 하는 위치설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조임장치
KR1020210067111A 2021-05-25 2021-05-25 와이어 조임장치 KR202201591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111A KR20220159128A (ko) 2021-05-25 2021-05-25 와이어 조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111A KR20220159128A (ko) 2021-05-25 2021-05-25 와이어 조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128A true KR20220159128A (ko) 2022-12-02

Family

ID=84417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111A KR20220159128A (ko) 2021-05-25 2021-05-25 와이어 조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91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4329B2 (en) Wire tightening device
KR101723579B1 (ko) 와이어 조임장치
US10368613B2 (en) Wire tightening apparatus
TWI593895B (zh) 緊固裝置及其繫線安裝方法
WO2018086068A1 (zh) 紧固装置及其系线安装方法
US11607014B2 (en) Fastening device and lace assembling method
US8245371B2 (en) String securing device
KR102128867B1 (ko) 릴 기반 끈 조임 시스템
KR101607690B1 (ko) 와이어 릴
KR101661233B1 (ko) 와이어 조임장치
KR101804801B1 (ko) 와이어 조임장치
KR101648815B1 (ko) 와이어 조임장치
KR20100009337U (ko) 스트링 고정 장치
KR101707484B1 (ko) 와이어 조임장치
KR101661236B1 (ko) 와이어 조임장치
KR101723578B1 (ko) 와이어 조임장치
KR20220159128A (ko) 와이어 조임장치
KR102132999B1 (ko) 와이어 조임장치
JP2024020177A (ja) 締結装置
KR102568570B1 (ko) 당김줄을 구비한 끈 조임장치
KR102684156B1 (ko) 당김줄에 의해 작동하는 끈 조임장치
KR102201078B1 (ko) 견인줄에 의해 작동되는 와이어 조임장치
TWM537069U (zh) 緊固裝置
KR20230172099A (ko) 당김줄에 의해 작동하는 끈 조임장치
KR102566328B1 (ko) 일체형 권취 핸들을 구비한 줄 길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