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692Y1 - 선박의 진동감쇄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진동감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692Y1
KR200493692Y1 KR2020160005511U KR20160005511U KR200493692Y1 KR 200493692 Y1 KR200493692 Y1 KR 200493692Y1 KR 2020160005511 U KR2020160005511 U KR 2020160005511U KR 20160005511 U KR20160005511 U KR 20160005511U KR 200493692 Y1 KR200493692 Y1 KR 2004936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ibration
magnetic force
power supply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5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889U (ko
Inventor
김정해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55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692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8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8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6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6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81Vibration isolation or damping elements or arrangements, e.g. elastic support of deck-hou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 F16F7/1005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characterised by active control of the m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 F16F7/1005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characterised by active control of the mass
    • F16F7/1011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characterised by active control of the mass by electro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선박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하여 설정된 중량물을 가지는 선박의 진동감쇄장치에 있어서,
진동발생체;
상기 진동발생체에 설정된 중량을 가지고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자력반응부가 형성된 이동중량부;
상기 자력반응부와 설정된 이격거리를 가지고 고정, 설치되며 전원공급에 따라 자력의 방향을 변환시켜 상기 이동중량부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어자력부;
상기 제어자력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전원공급부
를 포함하는 선박의 진동감쇄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선박의 진동감쇄장치{Apparatus of vessel for reducing vibration}
본 기술은 선박의 진동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선박의 진동발생체에 제어전원공급부의 전원공급에 의하여 자력을 발생하는 제어자력부를 통하여 설정된 중량을 가지고 있는 이동중량부의 위치를 변경하여 진동을 감쇄시키는 선박의 진동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 공개특허 출원번호 "10-2000-0013682"에는 "선박의 선루익(브릿지윙) 진동방지 구조"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선박의 거주구는 엔진 또는 프로펠러에서 발생하는 기진력으로 인하여 진동이 발생한다. 거주구의 고유 진동수는 특정 기진력 주파수 성분과 근접하거나 일치하게 되면 공진(resonance)이 발생하여 큰 진동이 유발되고 이로 인하여 승무원의 작업 및 거주성을 해칠 수 있다.
이러한 공진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선루익 하부에 복수의 구획된 공간을 구비하고 각각의 공간에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탱크를 설치하였다.
이 탱크 내에 물의 양을 조절하여 선루익의 중량을 변경하여 선루익의 고유 진동수를 변경하여 선박의 거주구의 진동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선루익의 중량 조절방법은 선박을 시운전하여 계측된 주파수에 응답값에 따라 탱크에 물을 채워 넣거나 빼내는 방식으로 조절하였는 바, 사용자에게 큰 불편을 초례하였으며, 만약에 공진 주파수가 변경되어 선루익의 중량을 변경하려는 경우 그 변경의 신속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대체하기 위하여 선루익에 모터에 따라서 이동을 할 수 있는 중량체를 설치하였으나 모터를 통하여 이동하는 중량체는 소음이 크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선루익의 중량을 변경하여 진동수를 변경하되 저소음으로 동작할 수 있는 선박의 진동감쇄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국내 공개특허 출원번호 "10-2000-0013682" "선박의 선루익 진동방지 구조"
본 고안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한 선박의 진동감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저소음으로 동작하는 선박의 진동감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실시간으로 진동발생체의 진동을 측정하고 그에 따라 아주 용이한 방법으로 진동발생체의 중량을 이동할 수 있는 선박의 진동감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선박의 조건 등이 변경되어 진동발생체의 중량을 이동하여 고유 진동수를 변경하려는 경우 아주 용이하게 진동발생체의 중량을 이동할 수 있는 선박의 진동감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선박의 진동감쇄장치는 진동발생체, 이동중량부, 제어자력부 및 제어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하는 진동감쇄장치는 선박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하여 설정된 중량물을 가진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하는 진동감쇄장치는 진동발생체; 상기 진동발생체에 설정된 중량을 가지고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자력반응부가 형성된 이동중량부; 상기 자력반응부와 설정된 이격거리를 가지고 고정, 설치되며 전원공급에 따라 자력의 방향을 변환시켜 상기 이동중량부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어자력부; 상기 제어자력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동중량부는, 상기 설정된 중량을 가지는 바디체와 상기 바디체의 일측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바디체의 수직길이보다 적어도 작지 않은 길이를 가지는 자력반응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자력반응부는 일면만이 자력에 반응하는 자력반응면을 포함하고, 상기 자력반응면은 상기 자력반응부와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자력부는 도체와 상기 도체의 외측면에 나선형의 형태로 권선되어 상기 제어전원공급부와 연결된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전원공급부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제어자력부 사이에서 형성되어 공급되는 전원의 방향을 바꿔주는 전원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전원공급부는, 전원의 세기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무선통신을 할 수 있는 전원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한다.
여기서, 진동감쇄장치는 상기 진동발생체의 진동을 감지하여 감지된 진동값을 상기 전원통신부로 전송하는 진동측정부를 특징으로 포함한다.
여기서, 진동측정부는 상기 진동발생체에 설치되어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감지센서와 상기 진동감지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진동감지센서가 측정한 진동값을 상기 전원통신부로 전송하는 측정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한다.
여기서, 진동발생체와 상기 이동중량부가 맞닿는 부분에는 상기 이동중량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포함한다.
여기서, 가이드레일에는 상기 이동중량부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측정센서가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포함한다.
여기서, 이동중량부와 상기 제어전원공급부는 하나의 바디에 설치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으로 형성되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선박의 진동감쇄장치는 사용자의 편의성이 도모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형성되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선박의 진동감쇄장치는 자력제어부와 이동중량부 사이에 발생되는 인력과 척력을 통하여 이동중량부의 이동을 제어하는바 저소음으로 동작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형성되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선박의 진동감쇄장치는 실시간으로 진동발생체의 진동을 측정하고 그에 따라 아주 용이한 방법으로 진동발생체의 중량을 이동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형성되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선박의 진동감쇄장치는 선박의 조건 등이 변경되어 진동발생체의 중량을 이동하여 고유 진동수를 변경하려는 경우 아주 용이하게 진동발생체의 중량을 이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선박의 진동감쇄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선박의 진동감쇄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전원공급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전원공급부와 진동측정부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선박의 진동감쇄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선박의 진동감쇄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기술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선박의 진동감쇄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선박의 진동감쇄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이다.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의한 선박의 진동감쇄장치는 진동발생체(1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이동중량부(200), 제어자력부(300), 제어전원공급부(400), 진동측정부(500) 및 가이드레일(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진동발생체(100)는 고유진동수를 가지며 공진을 통하여 더욱더 크게 진동하는 대상이면 문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진동발생체(100)를 선루익(wing bridge)에 한정하여 이 선루익에 설치되는 것을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선루익은 거주구(wheel house)의 양측면에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서 접히고 펴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선루익은 적어도 설정된 두께를 가지고 설정된 길이를 가진다. 그리고 선루익의 적어도 일측면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각종 의장품 또는 구성품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선루익은 고유진동수를 가지며 선박의 다른 장치들이 발생하는 고유진동수와 공진하여 진동이 증폭될 수 있다.
이러한 선루익에는 전술한 일측면에 선박의 진동감쇄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선박의 진동감쇄장치는 설정된 중량을 가지고 선루익에 고정되어 설치되지 않고 선루익의 진동수를 변경할 필요성에 따라서 이동이 가능하다.
이동중량부(200)는 설정된 중량을 가지고 선루익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이동중량부(200)의 슬라이딩 이동은 자석의 인력과 척력에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이동중량부(200)는 바디체(210)와 자력반응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중량부(200)의 바디체(210)는 가이드레일(600)과 맞닿으며 설정된 중량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자력반응부(220)는 바디체(210)와 일측이 연결되며 형성된다.
자력반응부(220)는 바디체(210)의 수직길이보다 적어도 작지 않은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자력반응부(220)는 제어자력부(300)와 이격된 거리를 두고 일면이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자력반응면(230)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고 형성된다.
즉, 자력반응부(220)는 일면에 자력에 반응하여 인력과 척력이 발생되는 철 등이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동중량부(200)의 자력반응부(220) 중 제어자력부(300)와 대향하는 면만이 제어자력부(300)의 자력에 따라 인력을 받거나 척력을 받아서 직선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자력반응부(220)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자력부(300)와 마찬가지로 전원인가에 따라서 인력과 척력이 발생되는 도체(310)에 권선된 코일(320)이 내장될 수도 있다.
자력반응부(220)는 바디체(210)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음부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어자력부(300)는 자력반응부(220)와 이격거리를 가지고 고정 설치된다.
제어자력부(300)는 전원공급에 따라 자력의 방향을 변환시켜 이동중량부(200)의 자력반응부(220)에 인력과 척력을 가하여 이동중량부(200)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어자력부(300)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고 진동발생체(100)에 설치되는 도체(310)와 그러한 도체(310)의 외주면에 나선형의 형태로 복수회 권선되는 코일(320)로 제조될 수 있다.
코일(320)은 제어전원공급부(400)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전원공급부(400)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제어자력부(300)는 일방향이 N극 타방향이 S극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반대방향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그와 반대방향으로 극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어전원공급부(400)의 전원공급에 따라 발생되는 자력에 의하여 이동중량부(200)는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어전원공급부(400)는 제어자력부(3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전원공급부(400)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동중량부(200)와 하나의 바디에 설치되어 제조될 수 있다.
즉, 도 1 또는 도 2에서 도시된 것처럼 이동중량부(200)의 타측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전원공급부(400)의 전원공급부(430)는 이동중량부(2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이외의 구성인 전원스위칭부(440), 제어부(410) 등은 이동중량부(200)의 타측에 설치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공급부(430)는 일실시예적으로 전지일 수 있다.
진동측정부(500)는 진동발생체(100)의 진동을 감지하여 감지된 진동값을 제어전원공급부(400)로 전송하는 한다.
가이드레일(600)은 선루익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다.
가이드레일(600)은 이동중량부(200)가 가이드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실시예적으로 이동중량부(200)의 하부면 양단에는 가이드레일(600)에 맞닿으며 배치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서 가이드레일(600)과 맞닿으며 제어자력부(300)의 자력에 따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전원공급부(400)의 일례를 도시한 도이다.
제어전원공급부(400)는 전원공급부(430)와 전원스위칭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어전원공급부(400)의 제어부(410)와 전원통신부(420)는 후술하도록 하겠다.
제어전원공급부(400)의 전원공급부(430)는 전원스위칭부(440)와 연결되어 있다.
전원공급부(430)는 전원을 공급하고 전원스위칭부(440)는 전원의 방향을 바꾸는 역할을 한다.
전원스위칭부(440)는 도체(310)에 나선형으로 권선된 일측과 타측이 연결되어 있다.
전원스위칭부(440)는 제어부(410)와 연결되어 있어서 제어부(410)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코일(320)에 인가되는 방향을 바꿔서 자력의 방향을 변경한다.
일실시예적으로 도 3을 기준으로 도체(310)를 시계방향으로 감는 방향으로 전원스위칭부(440)가 전원을 코일(320)에 인가하면 도체(310)의 상부측은 N극이 되고 하부측은 S극이 되며, 그 반대 방향으로 전원을 코일(320)에 인가하면 도체(310)의 상부측은 S극이 되고 하부측은 N극이된다.
이러한 내용을 통하여 이동중량부(200)에 인력과 척력을 가하여 이동중량부(200)를 이동시킨다.
여기서, 전원의 세기는 전원공급부(430)에 의하여 조정되며 전원공급부(430) 또한, 제어부(410)와 연결되어 있어서 제어부(410)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전원공급량을 변경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전원공급부(400)와 진동측정부(500)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도이다.
제어전원공급부(400)는 제어부(410), 전원통신부(420), 전원공급부(430), 전원스위칭부(440)로 구성되어 있으며, 진동측정부(500)는 측정통신부(520), 진동감지센서(510)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전원공급부(400)는 진동측정부(500)와 무선통신을 통하여 정보를 출력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진동감지센서(510)는 진동발생체(100)에 설치되어 진동발생체(100)의 진동값을 출력한다.
진동감지센서(510)가 출력한 진동값은 측정통신부(520)를 통하여 전원통신부(420)로 전송된다.
전원통신부(420)는 수신받은 진동값을 제어부(410)로 전송한다.
제어부(410)는 기설정된 데이터값을 가지고 있는데, 이 데이터값은 전송받은 진동에 따라서 이동중량부(200)가 위치해야 되는 위치가 저장된 값이다. .
이러한 위치에 이동중량부(200)가 위치하도록 제어부(410)는 기설정된 데이터값을 이용하여 제어자력부(300)의 자력의 강도와 그리고 자력의 방향을 기결정하여 전원공급부(430)와 전원스위칭부(44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전원공급부(430)는 제어부(410)가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해당하는 전원을 출력하고 전원스위칭부(440)는 제어부(410)가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전원공급부(430)가 공급한 전원의 방향을 변경하거나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원통신부(420)는 사용자의 모바일장치 또는 제어기기와도 무선통신을 통하여 제어신호를 전송받거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모바일장치 또는 제어기기는 진동측정부(500)와도 무선통신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바일장치 또는 제어기기를 통하여 전원통신부(420)를 통하여 제어부(41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진동측정부(500)가 측정한 진동값을 수신받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원통신부(420)를 통하여 각종 장치가 제어전원공급부(400)와 연결되는 것이 아닌 유선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제어부(410)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진동측정부(500)가 사용자의 제어기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진동값을 제어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제어전원공급부(400)와 진동측정부(500)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제어기기 등이 제어전원공급부(4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제어전원공급부(400)가 제어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선박의 진동감쇄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진동감쇄장치는 다른 구성요소는 일실시예에 의한 진동감쇄장치와 동일하나 위치측정센서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위치측정센서는 이동중량부(200)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제어부(410)로 전송한다.
제어부(410)는 위치측정센서에 의하여 정확하게 이동중량부(200)의 위치를 계산하여 이동중량부(200)를 정확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전원공급부(430)와 전원스위칭부(440)에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박의 진동감쇄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박의 진동감쇄장치는 제어자력부(300)가 복수개로 이격되어 진동발생체(10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원공급부(430)만을 도시하였으나 나머지 제어전원공급부(400)의 각 구성요소가 생략된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박의 진동감쇄장치는 이동중량부(200)의 하부면이 자력반응부(220)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의 제어자력부(300)에 의하여 이동중량부(200)가 가이드레일(600)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가사 도 6을 기준으로 좌측 끝단으로 이동중량부(200)를 이동시키려면 도 6의 중앙을 기점으로 좌측에 있는 제어자력부(300)가 차등적인 세기를 가지고 자력을 가지도록 설정되는 방식으로 이동중량부(200)가 좌측 끝단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가사 특정 진동에 따라 이동중량부(200)의 설정된 중량보다 더 큰 중량이 요구되는 경우, 이동중량부(2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어자력부(300)에 전원이 인가되어 이동중량부(200)에 인력을 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고안의 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진동발생체 200 : 이동중량부
210 : 바디체 220 : 자력반응부
230 : 자력반응면 300 : 제어자력부
310 : 도체 320 : 코일
400 : 제어전원공급부 410 : 제어부
420 : 전원통신부 430 : 전원공급부
440 : 전원스위칭부 500 : 진동측정부
510 : 진동감지센서 520 : 측정통신부
600 : 가이드레일

Claims (11)

  1. 선박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하여 설정된 중량물을 가지는 선박의 진동감쇄장치에 있어서,
    진동발생체; 상기 진동발생체에 설정된 중량을 가지고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자력반응부가 형성된 이동중량부; 상기 자력반응부와 설정된 이격거리를 가지고 고정, 설치되며 전원공급에 따라 자력의 방향을 변환시켜 상기 이동중량부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어자력부; 상기 제어자력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전원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중량부는, 설정된 중량을 가지는 바디체와 상기 바디체의 일측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바디체의 수직길이보다 적어도 작지 않은 길이를 가지는 자력반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전원공급부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제어자력부 사이에서 형성되어 공급되는 전원의 방향을 바꿔주는 전원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력반응부는 일면만이 자력에 반응하는 자력반응면을 포함하고, 상기 자력반응면은 상기 자력반응부와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진동감쇄장치는 상기 진동발생체의 진동을 감지하여 감지된 진동값을 전원통신부로 전송하는 진동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측정부는 상기 진동발생체에 설치되어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감지센서와 상기 진동감지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진동감지센서가 측정한 진동값을 상기 전원통신부로 전송하는 측정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발생체와 상기 이동중량부가 맞닿는 부분에는 상기 이동중량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상기 이동중량부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측정센서가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선박의 진동감쇄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자력부는
    도체와 상기 도체의 외측면에 나선형의 형태로 권선되어 상기 제어전원공급부와 연결된 코일인 것
    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선박의 진동감쇄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중량부와 상기 제어전원공급부는 하나의 바디에 설치되어 제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선박의 진동감쇄장치.
KR2020160005511U 2016-09-22 2016-09-22 선박의 진동감쇄장치 KR2004936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511U KR200493692Y1 (ko) 2016-09-22 2016-09-22 선박의 진동감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511U KR200493692Y1 (ko) 2016-09-22 2016-09-22 선박의 진동감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889U KR20180000889U (ko) 2018-03-30
KR200493692Y1 true KR200493692Y1 (ko) 2021-05-20

Family

ID=61801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511U KR200493692Y1 (ko) 2016-09-22 2016-09-22 선박의 진동감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692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3396B2 (ja) * 2000-04-28 2007-07-11 ビ−エイイ− システムズ パブリック リミテッド カンパニ− 構造的な共振を緩衝することに係る改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682A (ko) 1998-08-12 2000-03-06 이종필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150064764A (ko) * 2013-12-02 2015-06-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진동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60048583A (ko) * 2014-10-24 2016-05-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루익 방진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3396B2 (ja) * 2000-04-28 2007-07-11 ビ−エイイ− システムズ パブリック リミテッド カンパニ− 構造的な共振を緩衝することに係る改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889U (ko) 201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37812B (zh) 非接触供电系统
US9362045B2 (en) System having primary conductor and movable component for inductive movement along primary conductor
CN102709993A (zh) 一种用于水下无线充电系统的激光对准装置及方法
JP6594373B2 (ja) 送電装置
WO2017013825A1 (ja) 送電装置
JP6375703B2 (ja) 送電装置及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JP6919033B2 (ja) 送電装置
KR102641563B1 (ko) 자동차 도어 핸들을 위한 비접촉식 통신 리피터 원격 전원 디바이스
CA2998290A1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a relative position and/or orientation between a primary and a secondary winding structure
KR200493692Y1 (ko) 선박의 진동감쇄장치
US11764612B2 (en) Antenna arrangement and a method of operating an antenna arrangement
KR20160048583A (ko) 선루익 방진 장치
JP2018074856A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
JP7156848B2 (ja) 経路探索方法
KR101378854B1 (ko) 전자석을 구비한 헬리데크 시스템
JP2017130996A (ja) 送電装置、受電装置および送受電システム
KR100919890B1 (ko) 과도기 변위 및 잔류 진동 방지 방법
JP2020085635A (ja) 水槽試験装置、水槽試験システム、および水槽試験方法
CN111152670B (zh) 动态充电方法
CN212046914U (zh) 动态充电系统
JP5035107B2 (ja) 誘導無線用アンテナと誘導線とのギャップ自動調節装置および方法
JP2021002953A (ja) 給電システム
KR101865857B1 (ko) 이동체의 무선 전력 충전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7402641B2 (ja) クレーン
JP7399165B2 (ja) 水上車両の誘導充電電力伝達装置及び誘導充電電力伝達装置を備えた係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