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428Y1 - 유지보수가 용이한 풍속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유지보수가 용이한 풍속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428Y1
KR200493428Y1 KR2020160006284U KR20160006284U KR200493428Y1 KR 200493428 Y1 KR200493428 Y1 KR 200493428Y1 KR 2020160006284 U KR2020160006284 U KR 2020160006284U KR 20160006284 U KR20160006284 U KR 20160006284U KR 200493428 Y1 KR200493428 Y1 KR 2004934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wind speed
pillar
wire
speed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2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324U (ko
Inventor
손정민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62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428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3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3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4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4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5/0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 G01P5/02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measuring forces exerted by the fluid on solid bodies, e.g. anemometer
    • G01P5/06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measuring forces exerted by the fluid on solid bodies, e.g. anemometer using rotation of vanes
    • G01P5/065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measuring forces exerted by the fluid on solid bodies, e.g. anemometer using rotation of vanes with mechanical coupling to the indicat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dicating Or Recording The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AREA)

Abstract

선박의 최상부에 설치되어 풍속을 감지하는 풍속감지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풍속감지장치는, 풍속을 감지할 수 있는 풍속 감지부(10)와; 상기 풍속 감지부가 선박의 최상부에 설치된 기둥(4)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연장하는 지지부재(20)와; 유지보수가 필요할 때 상기 지지부재를 선회시킬 수 있는 선회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지보수가 용이한 풍속감지장치 {WIND SENSOR DEVICE CAPABLE OF CONVENIENT MAINTENANCE}
본 고안은, 각종 선박의 최상단 부분에 설치되어 풍속을 감지하는 풍속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하고 편리하게 유지보수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풍속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상에서 사용되는 각종 선박이나 플랜트는 바람을 영향을 받게 된다. 풍향이 선박이나 플랜트에 대해 수직인 방향일 때 풍속이 빨라지면 선박이나 플랜트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큰 풍압이 발생하므로, 선체의 좌우 요동이 심해질 우려가 있다.
시추선을 예로 들면, 일반적으로, 시추선은 원유나 가스 등의 해양 지하자원을 탐사하여 시추하는 선박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고정식 플랫폼, 반잠수식 시추선, 드릴쉽 등이 있다.
이러한 시추선은 해저면에 매장되어 있는 석유 및 천연가스를 탐사 및 채굴하는데 필요한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서, 작업 해역이 수심 200m 내외의 대륙붕과 같은 얕은 해역에서 2,000m 이상의 심해나 극지와 같은 환경이 열악한 지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시추선은 시추작업을 위해 갑판 상에 데릭이 설치되는데, 그로 인해 풍압이 가해지는 면적이 일반적인 선박에 비해 커질 수 있다. 또한, 시추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도중에 측방향으로 강한 풍압이 가해지면 선체가 좌우로 요동하여 정상적인 시추작업을 수행하기 어렵다.
그에 따라 풍속을 정확하게 측정할 필요가 있으며,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주변에 장애물이 없어야 하기 때문에 시추선에서는 통상 데릭의 최상부에 풍속감지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나아가서, 데릭의 최상부에 설치된 기둥으로부터도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풍속감지장치가 설치된다.
따라서 풍속감지장치에 대한 작업자의 접근이 매우 어렵고, 유지보수 작업이 필요한 경우 작업자는 상당한 위험부담을 안고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풍속 감지부를 데릭의 최상부에 설치된 기둥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켜 위치시키기 위해 기둥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부재를, 유지보수가 필요할 때 아래쪽으로 선회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풍속 감지부에 대한 작업자의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풍속감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의 최상부에 설치되어 풍속을 감지하는 풍속감지장치로서, 풍속을 감지할 수 있는 풍속 감지부와; 상기 풍속 감지부가 선박의 최상부에 설치된 기둥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연장하는 지지부재와; 유지보수가 필요할 때 상기 지지부재를 선회시킬 수 있는 선회 유닛; 을 포함하는, 풍속감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풍속 감지부가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은 상기 기둥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기둥 사이에는 힌지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기둥에 대하여 선회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선회시 아래쪽으로만 선회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과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에 의해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선회 유닛은, 상기 기둥의 하부에 배치되는 와이어 스토퍼와, 상기 기둥의 상부에 배치되는 도르래와, 일단은 상기 와이어 스토퍼에 감기고 타단은 상기 도르래를 통해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스토퍼는, 유지보수가 필요할 때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와이어를 풀거나 감을 수 있도록 원통형 몸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와이어의 타단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재에는 패드아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드아이는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기둥 사이에 설치된 힌지수단으로부터 반대쪽에서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풍속 감지부를 데릭의 최상부에 설치된 기둥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켜 위치시키기 위해 기둥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부재를, 유지보수가 필요할 때 아래쪽으로 선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풍속감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고안의 풍속감지장치에 의하면, 풍속 감지부에 대한 작업자의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작업자는 안전하게 유지보수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속감지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풍속감지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풍속감지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속감지장치는, 풍속을 감지할 수 있는 풍속 감지부(10)와, 풍속 감지부(10)가 데릭의 최상부에 설치된 기둥(4)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기둥(4)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부재(20)와, 유지보수가 필요할 때 지지부재(20)를 선회시킬 수 있는 선회 유닛을 포함한다.
풍속 감지부(10)는 풍속을 측정할 수 있다면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종류의 센서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풍속 감지부(10)에서 측정된 풍속값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제어부(도시생략)에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과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에 의해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지지부재(20)의 일단에는 풍속 감지부(10)가 배치되고, 지지부재(20)의 타단은 기둥(4)에 결합된다. 지지부재(20)와 기둥(4) 사이의 결합은 힌지수단(22)에 의해 이루어져, 지지부재(20)가 필요시 기둥(4)에 대하여 선회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20)가 선회할 때 아래쪽으로만 선회할 수 있도록 힌지수단(22)의 힌지축 위치가 결정된다.
선회 유닛은, 작업자가 기둥을 올라가지 않고 데릭의 최상단에 설치된 플랫폼(2) 상에서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기둥(4)의 하부에 배치되는 와이어 스토퍼(32)와, 기둥(4)의 상부에 배치되는 도르래(34)와, 일단은 와이어 스토퍼(32)에 감기고 타단은 도르래(34)를 통해 지지부재(20)에 연결되는 와이어(36)를 포함한다.
와이어 스토퍼(32)는, 유지보수가 필요하지 않은 평상시에는 와이어(36)가 풀리지 않도록 고정시켜 두는 기능을 수행하고, 유지보수가 필요할 때에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와이어(36)를 풀거나 감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와이어 스토퍼(32)는 와이어(36)를 감을 수 있는 원통형 몸체를 가질 수 있다. 와이어 스토퍼(32)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동작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예컨대 전동모터(도시생략)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와이어(36)의 타단을 연결하기 위해 지지부재(20)에는 구멍이 형성된 패드아이(24)가 부착될 수 있다. 패드아이(24)는 지지부재(20)에 있어서 힌지수단(22)으로부터 반대쪽 끝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속감지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풍속 감지부(10)의 유지보수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기둥(4)에 대해 지지부재(20)가 대략 수직을 이루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와이어(36)가 풀리지 않도록 와이어 스토퍼(32)는 고정 상태로 유지된다. 와이어(36)는, 일단이 와이어 스토퍼(32)에 감기고, 타단이 도르래(34)를 거쳐 지지부재(20)의 패드아이(24)에 연결된다.
풍속 감지부(10)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작업자가 데릭 최상단에 위치하는 플랫폼(2)까지 올라간 후, 와이어 스토퍼(32)를 조작하여 와이어 스토퍼(32)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고 와이어(36)를 풀어낸다.
와이어(36)가 풀리면, 지지부재(20)는 자중에 의해 힌지수단(22)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선회한다. 도 1에는 지지부재(20)가 수평으로 연장한 위치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하여 풍속 감지부(10)를 하강시키고 있는 상태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와이어(36)를 완전히 풀어내면 지지부재(20)는 기둥(4)과 평행한 상태까지 선회하여 풍속 감지부(10)에 대한 작업자의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그에 따라 작업자는 상대적으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풍속 감지부(10)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유지보수 작업을 완료하면, 작업자는 와이어(36)를 감아 지지부재(20)가 힌지수단(22)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반대 방향으로(즉, 시계 방향으로) 선회되도록 조작한다. 지지부재(20)가 최초 위치까지 선회하면, 힌지수단(22)에 포함된 한 쌍의 금속편이 서로 맞닿아 더 이상의 선회가 규제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와이어 스토퍼(32)를 고정시켜 와이어(36)가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풍속 감지부
20: 지지부재
22: 힌지수단
32: 와이어 스토퍼
34: 도르래
36: 와이어

Claims (9)

  1. 선박의 최상부에 설치되어 풍속을 감지하는 풍속감지장치로서,
    풍속을 감지할 수 있는 풍속 감지부와;
    상기 풍속 감지부가 배치되는 지지부재로서, 상기 풍속 감지부가 선박의 최상부에 설치된 기둥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기둥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부재와;
    유지보수가 필요할 때 상기 지지부재를 선회시킬 수 있는 선회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풍속 감지부가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은 상기 기둥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기둥 사이에는 힌지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기둥에 대하여 선회할 수 있는, 풍속감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선회시 아래쪽으로만 선회할 수 있는, 풍속감지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과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에 의해 절곡된 형태를 가지는, 풍속감지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회 유닛은, 상기 기둥의 하부에 배치되는 와이어 스토퍼와, 상기 기둥의 상부에 배치되는 도르래와, 일단은 상기 와이어 스토퍼에 감기고 타단은 상기 도르래를 통해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풍속감지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스토퍼는, 유지보수가 필요할 때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와이어를 풀거나 감을 수 있도록 원통형 몸체를 갖는, 풍속감지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타단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재에는 패드아이가 형성되는, 풍속감지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패드아이는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기둥 사이에 설치된 힌지수단으로부터 반대쪽에서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되는, 풍속감지장치.
KR2020160006284U 2016-10-28 2016-10-28 유지보수가 용이한 풍속감지장치 KR2004934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284U KR200493428Y1 (ko) 2016-10-28 2016-10-28 유지보수가 용이한 풍속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284U KR200493428Y1 (ko) 2016-10-28 2016-10-28 유지보수가 용이한 풍속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324U KR20180001324U (ko) 2018-05-09
KR200493428Y1 true KR200493428Y1 (ko) 2021-03-29

Family

ID=62166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284U KR200493428Y1 (ko) 2016-10-28 2016-10-28 유지보수가 용이한 풍속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42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99914B (zh) * 2021-09-24 2024-05-07 煤炭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折叠式全断面测风仪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869Y1 (ko) * 2004-01-10 2004-04-29 김종근 기상관측장비 설치용 지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897A (ko) * 2009-09-11 2010-01-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접철식 데릭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869Y1 (ko) * 2004-01-10 2004-04-29 김종근 기상관측장비 설치용 지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324U (ko) 2018-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8741B2 (en) System for sensing riser motion
KR101246059B1 (ko) 데릭 로드 테스트 방법
NO341753B1 (no) Bevegelseskompensasjonssystem
US8136597B2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extinction of an underwater well for the extraction of hydrocarbons under uncontrolled fluid discharge conditions
KR200493428Y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풍속감지장치
AU2016311392B2 (en) Going on location feasibility taking into account off-shore location ocean conditions
EP2700605B1 (fr) Stabilisateur de câble de manoeuvre d 'une charge, telle qu'une embarcation, et installation de manutention de charge intégrant un tel stabilisateur
KR101994916B1 (ko) 터렛의 가이드장치
NO152980B (no) Fremgangsmaate for noeyaktig installering av en marin dypvannskonstruksjon, samt konstruksjon for anvendelse under utfoerelse av fremgangsmaaten
Van den Boom et al. Offshore monitoring; Real world data for design, engineering, and operation
KR101360272B1 (ko) 좌표정보와 지형정보와 수심정보를 확보해서 정밀한 해저데이터를 완성하는 해저지형정보 관리시스템
JP2009047699A (ja) ナビゲーション・プロセッサ、該ナビゲーション・プロセッサを備えた処理構成、該ナビゲーション・プロセッサを備えた測定システム及び水中システムの位置及び姿勢を測定する方法
CN205438385U (zh) 一种管桩式水下磁传感器安装装置
US10329893B2 (en) Assembly and method for dynamic, heave-induced load measurement
JP4485895B2 (ja) 音速メータを備えた音響アレイを含む、水中の装置の位置を測定する装置
JP2003119761A (ja) 水底着座型コーン試験装置
JP2888325B2 (ja) 流体荷役装置における船舶の甲板検知制御装置
JP7060399B2 (ja) 地盤改良装置、地盤改良システム、及び地盤改良方法
RU2364543C1 (ru) Гидрографический трал
KR200481887Y1 (ko) 전자석을 이용한 탈부착식 브라켓 일체형 커서레일 및 이를 가지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200483818Y1 (ko) Bop 테스트용 압력용기
KR101626342B1 (ko) 해양 플랫폼의 비상탈출 가이드 장치
US10387023B2 (en) Going on location feasibility
WO2016164570A1 (en) Riser deflection mitigation
Lescoeur et al. Design and Construction of an Autonomous, Miniature Drilling Rig-Contribution to the DrillboticsTM Competition 2017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