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377Y1 -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 - Google Patents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377Y1
KR200493377Y1 KR2020200003183U KR20200003183U KR200493377Y1 KR 200493377 Y1 KR200493377 Y1 KR 200493377Y1 KR 2020200003183 U KR2020200003183 U KR 2020200003183U KR 20200003183 U KR20200003183 U KR 20200003183U KR 200493377 Y1 KR200493377 Y1 KR 2004933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ope
work
scaffold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1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근
Original Assignee
김한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근 filed Critical 김한근
Priority to KR20202000031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3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3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3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4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Abstract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에 관한 것으로, 일방향으로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라운드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작업자의 하중에 따라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부재;를 마련하여 작업자의 체중에 따라 직물시트와 인장스프링의 변형에 의해 작업자가 보다 편하게 앉을 수 있게 되고, 작업에 필요한 다수의 물품 등을 후크에 걸어둘 수 있으며, 후크의 상단이 만곡되게 형성되어 있어 물품 등의 이탈 및 추락 등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Scaffolding for exterior wall work of high-rise buildings}
본 고안은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층 건물의 청소 시 작업자 등이 착석 시 허리에 통증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면서 쿠션을 제공하여 작업에 따른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달비계라 함은 매달린 외줄 달기 섬유 로프에 부착되어 지지 되는 작업 의자를 이용하여 근로자가 작업할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을 말하는 것이다.
주로 고층건물의 도장, 견출, 청소, 보수, 검사 등의 작업에 사용되는 도구이다.
고층 건축물이나 특정 구조물 등의 외부 표면은 미관 및 보수를 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청소나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건축물이나 구조물 등은 지면에서부터 높은 곳에 위치되어 있어 크레인과 같은 일정 높이의 위치까지만 연장시킬 수 있는 중장비는 사용할 수가 없다.
고층 건축물은 작업자가 직접 그 건물의 옥상에 형성된 고정물에 긴 와이어의 일측을 고정시키고 상기 와이어의 타측은 지상까지 늘어뜨린 뒤 와이어를 타고 고층에서 저층으로 점차 내려오면서 작업을 완수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를 타고 작업을 할 때에는 작업자가 의지하여 앉을 수 있도록 나무 널판지로 된 의자가 구비되는 바, 상기 널판지의 양측에는 직각으로 천공된 삽입공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공에 별도로 구비된 로프의 일측을 삽입 고정시키고 상기 로프의 타측은 연결구에 고정시킨 것으로서 상기 연결구에 와이어를 권취시킨 다음 작업자가 권취된 와이어를 풀어줌으로써 높이를 조절하며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달비계는 하측 방향으로 작업이 될 수 있도록 작업의자와 연결고정되는 작업용 로프와,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구성되는 안전 로프, 실제 작업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작업에 사용되는 물품을 걸어놓는 작업의자 및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착용하는 엑스반도와, 안전 로프를 연결 고정시키는 구명줄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작업의자는 작업의자의 4개소 모서리에 연결 고정시킨 연결로프를 샤클에 관통 고정되는 샤클핀에 걸림이 되도록 하여 연결시키고, 작업용 로프는 샤클에 매듭을 한 다음 작업자가 샤클에 매듭된 로프를 조금씩 풀면서 하측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각종 작업을 진행한다.
이때 작업용 로프가 끊어지게 되면 작업자는 안전 로프와 연결된 구명줄에 의해 낙하사고를 방지할 수 있지만, 작업용 로프가 끊어지는 순간에는 작업용 의자 및 작업용 의자에 매달아 놓은 각종 작업용 도구가 낙하하여 낙하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 될 수 있으며, 작업자 역시 구명 로프에 매달려지기는 하나 좌, 우측 방향으로 심한 요동이 발생하여 2차 안전사고가 발생 될 여지가 있었다.
달비계를 이용한 작업은 대부분 지상에서부터 상당히 높은 곳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개인휴대물품 및 각종 작업용 도구를 휴대할 수 없거나, 필요에 따라 옥상에서 로프를 이용하여 작업자에게 전달되도록 한 것이 전부이며, 이마저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효율적인 작업이 되지 못했다.
로프와 작업의자의 연결구성은 다양한데, 우선 작업의자의 네 귀퉁이 부분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에 로프의 양단부가 삽입된 후 끝단부를 매듭지어 로프가 상부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구조가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두 개의 로프가 한 쌍으로 설치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의 경우 매듭 부분이 작업의자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어, 작업 시 또는 보관 시에 매듭 부분이 다른 물건과의 마찰로 인한 손상으로 위험이 있었고, 건물의 외관을 손상시키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매듭 부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하나의 긴 로프를 하나의 통공에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하고, 작업의자의 하부로 이동시킨 후 다른 통공을 통해 상부로 인출하여 샤클에 건 후, 다시 다른 통공의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 후 작업의자의 하부로 이동시킨 후 나머지 하나의 통공을 통해 상부로 인출시켜 샤클에 걸고, 로프의 양단부를 매듭지어 고정하는 구조가 사용되었다.
한편 달비계는 작업자가 앉는데 사용됨에 따라 통상 목재 또는 금속재 등의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층 건물의 외부를 청소하는 작업자는 달비계에 지속적으로 앉은 상태에서 작업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허리에 통증이 가해지게 되고, 장시간 작업 도중에도 휴식을 취할 수 없어 작업에 따른 작업 강도가 허리에 모두 가중되어 허리의 통증을 호소하는 작업자가 다반사다.
또한 작업자는 고층 건물의 꼭대기에서부터 지면에 내려올 때까지 계속적인 작업에 의해 피로도가 가중되며, 허리 통증 뿐만 아니라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진 달비계에 앉게 됨에 따라 허벅지가 저리거나 쥐가 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달비계 작업용 로프의 2중 고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달비계 작업용 로프의 2중 고정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앵커 볼트에 의해 용이한 부착 고정이 되도록 고정홈이 다수 개 형성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측 방향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연결수단이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수단 고정용 보조고리와, 상기 본체와 직각 방향에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달비계 작업용 로프 및 안전로프 고정용 고정고리와, 콘크리트 구조물과 앵커 볼트에 의해 용이한 부착 고정이 되도록 고정홈이 다수 개 형성된 보조프레임와, 상기 보조프레임의 외측 방향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연결수단이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수단 고정용 보조고리와, 상기 보조고리를 연결시켜주는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달비계 작업용 로프'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달비계 작업용 로프는 일측 끝단을 링의 형상이 되도록 구부린 다음 고정쇠를 이용하여 2가닥의 로프를 고정하여 형성되는 메인고리와, 상기 메인 고리를 형성시킨 로프의 끝단을 메인 고리의 크기와 동일 내지 유사한 크기로 구부린 다음 고정쇠를 이용하여 2가닥의 로프를 고정하여 형성되는 서브 고리와, 상기 서브 고리를 형성시킨 로프의 끝단을 링의 형상이 되도록 구부린 다음 하나 이상의 고정쇠를 이용하여 2가닥의 로프를 고정하여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메인 고리와 서브 고리 및 손잡이는 하나의 로프에 의해 형성되며 샤클 결합체에 매듭 연결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426315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9-0001428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68639호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층 건물을 청소하는 작업자의 착석 시 쿠션을 제공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의 허리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쿠션을 제공하여 작업자의 허리를 보다 탄력적으로 받쳐 줄 수 있는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장시간 달비계에 앉아 있는 작업자의 허벅지와 직접 접촉되지 않게 하여 작업자의 허벅지에 기해지는 압박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는 일방향으로 설치되는 프레임(11, 12)과, 상기 프레임(11, 12)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라운드프레임(13, 14)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재(10); 상기 프레임(11, 12)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작업자의 하중에 따라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부재(10)는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 상기 제1 프레임(11)과 상기 제2 프레임(12)의 저면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프레임(11) 및 제2 프레임(12)의 양측 선단에 설치되는 제1 라운드프레임(13)과 제2 라운드프레임(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프레임(11)의 양측에는 로프를 끼워 넣을 수 있게 제1 로프구멍(15)과 제2 로프구멍(16)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12)의 양측에는 로프를 끼워 넣을 수 있게 제3 로프구멍(17)과 제4 로프구멍(18)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11, 12)과 상기 라운드프레임(13, 14)의 교차 부위에는 로프를 끼워 넣을 수 있게 제1 로프고리(21), 제2 로프고리(22), 제3 로프고리(23) 및 제4 로프고리(24)가 고정되고, 상기 제1 프레임(11) 및 상기 제2 프레임(12)의 외측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후크(25)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부재(30)는 작업자의 체중에 따라 소정의 길이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는 인장스프링(31); 상기 인장스프링(3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고리(32)); 상기 한 쌍의 고정고리(32) 사이에 설치되는 직물시트(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물시트(33)의 내측에는 상기 직물시트(33)가 상기 제1 프레임(11)의 상면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제1 고정프레임(34); 상기 직물시트(33)가 상기 제2 프레임(12)의 상면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제2 고정프레임(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에 의하면, 작업자의 체중에 따라 직물시트와 인장스프링의 변형에 의해 작업자가 보다 편하게 앉을 수 있게 되고, 작업에 필요한 다수의 물품 등을 후크에 걸어둘 수 있으며, 후크의 상단이 만곡되게 형성되어 있어 물품 등의 이탈 및 추락 등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에 의하면, 로프구멍 및 로프고리에 로프를 서로 엇갈리거나 교차되게 끼워 결속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로프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 로프의 강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로프의 풀림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트부재가 작업자의 체중에 의해 하측으로 변형이 일어나게 되고, 직물시트의 변형에 따라 인장스프링이 신장되어 작업자의 체형에 따라 편하게 앉을 수 있으며, 인장스프링 및 직물시트의 변형에 의해 시트부재에 보다 안정된 자세로 앉을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를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를 도시한 저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를 도시한 저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를 도시한 입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는 일방향으로 설치되는 프레임(11, 12)과, 상기 프레임(11, 12)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라운드프레임(13, 14)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재(10)와, 상기 프레임(11, 12)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작업자의 하중에 따라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부재(3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는 고층건물의 도장, 견출, 청소, 보수, 검사 등의 작업 시 작업자가 보다 편하게 앉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피로를 줄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고강도 작업에 따른 허리의 통증 및 허벅지 등의 통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는 사각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부재(10)와,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상면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부재(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부재(10)는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와, 상기 제1 프레임(11)과 상기 제2 프레임(12)의 저면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프레임(11) 및 제2 프레임(12)의 양측 선단에 설치되는 제1 라운드프레임(13)과 제2 라운드프레임(1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은 일정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고정된다.
상기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의 저면에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제1 라운드프레임(13)과 제2 라운드프레임(14)이 각각 고정된다.
상기 라운드프레임(13, 14)은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의 저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수평부(13a)와, 상기 한 쌍의 수평부(13a) 사이에 원호상으로 형성되는 원호부(13b)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부(13a)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의 저면에 밀착되게 단면상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호부(13b)는 강성을 갖도록 함은 물론 작업자의 허벅지와 접촉 시 허벅지가 자연스럽게 접촉될 수 있도록 소정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들 수평부(13a)와 원호부(13b)는 하나의 강재로 이루어져 작업자 및 청소 등에 필요한 물품에 의한 하중에 견디는 강성을 갖도록 한다.
또한 작업자가 시트부재(30)에 앉은 경우, 작업자의 체중에 의해 허벅지가 접촉하게 되는데, 이때 허벅지가 보다 안정된 상태로 접촉되어 안정된 자세로 앉을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원호부(13b)가 일직선 상으로 형성된 경우, 작업자의 체중이 허벅지에 가해지게 되므로, 작업자는 허벅지가 강하게 눌린 상태로 앉게 된다. 이와 같이 소정의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된 원호부(13b)는 허벅지에 체중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허벅지의 하중을 분산시켜 작업자가 보다 편안한 자세로 앉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 및 상기 제1 라운드프레임(13)과 제2 라운드프레임(14)의 교차되는 부위에는 로프(미도시)를 끼울 수 있게 로프구멍(15, 16, 17, 18)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프레임(11)의 양측에는 로프를 끼워 넣을 수 있게 제1 로프구멍(15)과 제2 로프구멍(16)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12)의 양측에는 로프를 끼워 넣을 수 있게 제3 로프구멍(17)과 제4 로프구멍(18)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1, 12)과 상기 라운드프레임(13, 14)의 교차 부위에는 로프를 끼워 넣을 수 있게 제1 로프고리(21), 제2 로프고리(22), 제3 로프고리(23) 및 제4 로프고리(24)가 고정되고, 상기 제1 프레임(11) 및 상기 제2 프레임(12)의 외측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후크(25)가 고정된다.
상기 프레임부재(10)의 각 모서리에는 로프를 끼워 결속시킬 수 있도록 일측에 제1 로프구멍(15)과 제2 로프구멍(16)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3 로프구멍(17)과 제4 로프구멍(18)이 형성된다.
또한 이들 프레임(11, 12)과 라운드프레임(13, 14)의 교차 부위에는 로프(미도시)를 끼워 결속시킬 수 있게 로프고리(21, 22, 23, 24)가 고정된다.
이들 로프고리(21, 22, 23, 24)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형링으로 형성되고, 상기 로프고리(21, 22, 23, 24)는 각각 프레임(11, 12) 및 라운드프레임(13, 14)에 서로 접촉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제1 프레임(11) 및 제2 프레임(12)의 외측면에는 작업에 필요한 물품 또는 도구 등을 걸어둘 수 있도록 후크(25)가 고정된다.
상기 후크(25)는 단면상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작업 도중에 물품 또는 도구 등이 이탈되지 않게 상단이 내측을 향해 소정의 길이만큼 원호상으로 만곡되게 형성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를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상기 시트부재(30)는 작업자의 체중에 따라 소정의 길이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는 인장스프링(31)와, 상기 인장스프링(3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고리(32)와, 상기 한 쌍의 고정고리(32) 사이에 설치되는 직물시트(33)로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부재(30)는 작업자가 보다 편한 상태로 앉을 수 있도록 인장스프링(31)과, 상기 인장스프링(31)의 양단에 링 형상을 갖도록 고정되는 직물시트(33)가 구비된다.
상기 인장스프링(31)은 소정의 길이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인장스프링(31)의 양측에는 각각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된 고정고리(32)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고리(32)는 인장스프링(3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고리(32)에는 직물시트(33)의 양단에 설치된다.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직물시트(33)의 일측은 고정고리(32)에 고정되고, 직물시트(33)의 타측은 다른 고정고리(32)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직물시트(33)는 인장스프링(31)의 탄성에 의해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직물시트(33)는 작업자의 체중에 견디는 강성을 갖도록 차량에 설치되는 안전벨트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작업자의 체중 및 장기간 사용에 따른 마모 등에도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가지면서 작업자에게 충분한 쿠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차량의 안전벨트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직물시트(33)에는 프레임(11, 12)의 상면에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제1 고정프레임(34)과 제2 고정프레임(35)이 설치된다. 즉, 상기 제1 프레임(11)의 상면에는 제1 고정프레임(34)이 대응되게 설치되고, 제2 프레임(12)의 상면에는 제2 고정프레임(35)이 대응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 고정프레임(34)과 제2 고정프레임(35)은 제1 프레임(11) 및 제2 프레임(12)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는 작업자가 직물시트(33) 상면에 앉을 경우 직물시트(33)의 양측이 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고정프레임(34)과 제2 고정프레임(35)은 다수의 고정볼트(36)에 의해 제1 프레임(11) 및 제2 프레임(12)에 고정된다.
다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는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을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시키고, 상기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의 저면에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제1 라운드프레임(13)과 제2 라운드프레임(14)을 고정한다.
이들 프레임(11, 12) 및 라운드프레임(13, 14)은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볼트, 리벳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라운드프레임(13, 14)은 작업자가 앉을 경우 작업자의 체중에 의해 시트부재(30)의 변형으로 허벅지가 접촉하게 된다. 이때 라운드프레임(13, 14)의 원호부(13)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허벅지가 눌리게 되더라도 허벅지가 편안한 상태로 올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허벅지가 작업자의 체중에 의해 눌리게 되더라도 원호부(13b)에 안정되게 놓여지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자는 체중에 의해 허벅지가 눌리게 되더라도 허벅지의 통증 등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보다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프레임(11, 12) 및 라운드프레임(13, 14)의 각 모서리에는 제1 내지 제4 로프구멍(15~18)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들 로프구멍(15~18)에 로프(미도시)를 끼워 로프를 서로 결속 또는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1, 12)과 라운드프레잉(13, 14)의 교차 부위 내측에는 로프를 끼울 수 있게 다수개의 로프고리(21~24)가 고정된다. 이들 로프구멍(15~18) 및 로프고리(21~24)에는 로프의 풀림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로프를 서로 엇갈리거나 교차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로프구멍(15~18) 및 로프고리(21~24)에는 로프를 끼워 결속함에 따라 로프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 로프의 강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로프의 풀림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프레임(11) 및 제2 프레임(12)의 외측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후크(25)를 고정시켜며, 상기 후크(25)에는 작업에 필요한 물품 등을 걸어둘 수 있게 되고, 상기 후크(25)는 상단이 만곡되게 형성되어 있어 물품 등의 이탈 및 추락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프레임(11) 및 제2 프레임(12)의 상면에는 시트부재(30)를 설치하기 위하여 제1 고정프레임(34)과 제2 고정프레임(35)을 소정 높이만큼 이격시켜 고정한다.
아울러 상기 제1 고정프레임(34)과 제2 고정프레임(35)의 외면에는 직물시트(33)를 루프 형상으로 감아 설치하고, 상기 직물시트(33)의 양측에 고정된 고정고리(32)는 인장스프링(31)의 양단에 걸게 된다.
이에 따라 직물시트(33)는 고정프레임(34, 35)의 외면에 폐루프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고정프레임(34, 35)은 고정볼트(36)에 의해 프레임(11, 12)에 고정된다.
이러한 시트부재(30)는 작업자가 착석하면, 작업자의 체중에 의해 하측으로 변형이 일어나게 되고, 직물시트(33)의 변형에 따라 인장스프링(31)이 신장된다.
이와 같이 인장스프링(31) 및 직물시트(33)의 변형에 의해 작업자는 시트부재(30)에 보다 안정된 자세로 앉을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직물시트(33)에 고정벨트(37)가 고정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는 전술한 실시 예와 프레임부재(10)와 시트부재(3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고정벨트(37)는 다수의 직물시트(33)가 서로 움직이지 않게 직물시트(33)를 고정시켜 줌으로써, 작업자가 앉은 상태에서 각각의 직물시트(33)가 따로 움직이지 않게 한다.
즉, 상기 고정벨트(37)는 직물시트(33)에 봉제선 형태로 고정되어 다수개의 직물시트(33)를 서로 고정시켜 주며, 이로 인해 직물시트(33)가 단독으로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프레임부재 11: 제1 프레임
12: 제2 프레임 13: 제1 라운드프레임
14: 제2 라운드프레임 15: 제1 로프구멍
16: 제2 로프구멍 17: 제3 로프구멍
18: 제4 로프구멍 21: 제1 로프고리
22: 제2 로프고리 23: 제3 로프고리
24: 제4 로프고리 25: 후크
30: 시트부재 31: 인장스프링
32: 고정고리 33: 직물시트
34: 제1 고정프레임 35: 제2 고정프레임
36: 고정볼트 37: 고정벨트

Claims (5)

  1. 일방향으로 설치되는 프레임(11, 12)과, 상기 프레임(11, 12)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라운드프레임(13, 14)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재(10);
    상기 프레임(11, 12)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작업자의 하중에 따라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부재(30);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부재(30)는,
    작업자의 체중에 따라 소정의 길이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는 인장스프링(31);
    상기 인장스프링(3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고리(32);
    상기 한 쌍의 고정고리(32) 사이에 설치되는 직물시트(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10)는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
    상기 제1 프레임(11)과 상기 제2 프레임(12)의 저면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프레임(11) 및 제2 프레임(12)의 양측 선단에 설치되는 제1 라운드프레임(13)과 제2 라운드프레임(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11)의 양측에는 로프를 끼워 넣을 수 있게 제1 로프구멍(15)과 제2 로프구멍(16)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12)의 양측에는 로프를 끼워 넣을 수 있게 제3 로프구멍(17)과 제4 로프구멍(18)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11, 12)과 상기 라운드프레임(13, 14)의 교차 부위에는 로프를 끼워 넣을 수 있게 제1 로프고리(21), 제2 로프고리(22), 제3 로프고리(23) 및 제4 로프고리(24)가 고정되고,
    상기 제1 프레임(11) 및 상기 제2 프레임(12)의 외측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후크(25)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시트(33)의 내측에는 상기 직물시트(33)가 상기 제1 프레임(11)의 상면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제1 고정프레임(34);
    상기 직물시트(33)가 상기 제2 프레임(12)의 상면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제2 고정프레임(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
KR2020200003183U 2020-09-01 2020-09-01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 KR2004933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183U KR200493377Y1 (ko) 2020-09-01 2020-09-01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183U KR200493377Y1 (ko) 2020-09-01 2020-09-01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377Y1 true KR200493377Y1 (ko) 2021-03-18

Family

ID=75231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183U KR200493377Y1 (ko) 2020-09-01 2020-09-01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377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639Y1 (ko) 2001-12-05 2002-03-16 이수영 건축물의 외벽 청소용 안전의자
JP2009022498A (ja) * 2007-07-19 2009-02-05 Kawashima Selkon Textiles Co Ltd 装飾地係止桿と布バネ座具
KR20100114487A (ko) * 2010-10-05 2010-10-25 (주)칠칠공사 달비계용 작업의자
KR101426315B1 (ko) 2014-05-14 2014-08-05 유지씨 주식회사 달비계 작업용 로프의 2중 고정장치 및 그 고정장치 시공방법
KR20190001428U (ko) 2019-05-27 2019-06-14 이성원 달비계 작업용 로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639Y1 (ko) 2001-12-05 2002-03-16 이수영 건축물의 외벽 청소용 안전의자
JP2009022498A (ja) * 2007-07-19 2009-02-05 Kawashima Selkon Textiles Co Ltd 装飾地係止桿と布バネ座具
KR20100114487A (ko) * 2010-10-05 2010-10-25 (주)칠칠공사 달비계용 작업의자
KR101426315B1 (ko) 2014-05-14 2014-08-05 유지씨 주식회사 달비계 작업용 로프의 2중 고정장치 및 그 고정장치 시공방법
KR20190001428U (ko) 2019-05-27 2019-06-14 이성원 달비계 작업용 로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69837B2 (en) Working platform
US8991126B2 (en) Fall protection systems and methods
KR20110110494A (ko) 지지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낙하방지용 안전망 지지장치
JP3853780B2 (ja) 親綱支柱
US6722470B2 (en) Anchorage adapter,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fall protection
AU2008353317B2 (en) Rigging deck module
KR200493377Y1 (ko)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
KR200489708Y1 (ko) 달비계 작업용 로프
KR101169218B1 (ko) 달비계용 작업의자
KR101008582B1 (ko) 달비계용 2중 안전 샤클조립체
KR100559118B1 (ko) 고소 작업대
JP7023024B1 (ja) 梯子固定ユニットおよび梯子固定方法
CN212535007U (zh) 一种用于悬挑架分段拆除的悬挑平台
JP3306861B2 (ja) 高所作業用ネット
GB2377914A (en) Support means for a safety apparatus for delivery vehicles
JP6895151B1 (ja) 立て看板システム
KR100665627B1 (ko) 추락방지용 구명줄
JP3154576U (ja) 仮設足場の下桟への付加構造
CN211144335U (zh) 一种梯子
CN213654314U (zh) 一种新型建筑施工用安全平网
CN220414808U (zh) 一种用于高层建筑可调节悬挑防护平台
JP6454948B2 (ja) ネット用の取付係止具、該ネット用の取付係止具の設けられた防球用等のネット、及び該ネット用の取付係止具の防球用等のネットへの取り付け方法
US10865576B1 (en) Scaffold securing clip and strap
JP7426704B2 (ja) 親綱支柱
KR200452488Y1 (ko) 작업용 도르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