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5627B1 - 추락방지용 구명줄 - Google Patents

추락방지용 구명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5627B1
KR100665627B1 KR1020060083237A KR20060083237A KR100665627B1 KR 100665627 B1 KR100665627 B1 KR 100665627B1 KR 1020060083237 A KR1020060083237 A KR 1020060083237A KR 20060083237 A KR20060083237 A KR 20060083237A KR 100665627 B1 KR100665627 B1 KR 100665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oupling
lifeline
fall prevention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3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동석
Original Assignee
허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동석 filed Critical 허동석
Priority to KR1020060083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56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7Attachments for lifelines and lanya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로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벨트에 형성된 후크를 걸어 놓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구명줄에 관한 것으로, 벽체에 고정된 결합고정부의 고정대에 연결되되 고리부를 등간격으로 형성한 연결단과 상기 연결단의 끝단에 형성되는 걸이대로 구성된 이음벨트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추락방지용 구명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추락방지용 구명줄은 근로자가 착용한 안전벨트의 일측에 형성된 후크를 손쉽게 걸 수 있도록 일측 벽체에 고정 연결된 연결단에 걸이대와 고리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일정 반경 내에서 근로자가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음과 동시에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추락방지용 안전 벨트는 고리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고정벨트를 양측 벽체에 고정시킨 후,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고리부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연결장치의 연결부위에 따라 높이 조절을 용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넓은 장소에서도 설치를 손쉽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근로자가 착용한 안전벨트의 후크를 걸을 시 손쉽게 걸 수 있음은 물론, 근로자의 이동반경 확대와 더불어 하나의 구명줄을 다수의 근로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추락방지, 건설현장, 벨트, 구명줄

Description

추락방지용 구명줄{Protecting falling for lifesaving rop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구명줄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너트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고정부를 벽체에 고정하는 전, 후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구명줄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비너가 구성된 추락방지용 구명줄의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구명줄의 설치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구명줄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비너를 사용한 추락방지용 구명줄의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에 제2실시 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구명줄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1b : 벽체 2 : 연결부
3 : 너트 4 : 머리부
5, 5a, 5b : 인서트 너트 6, 6a, 6b : 인서트볼트
7 : 후크 10 : 결합고정부
11 : 결합홈 12 : 고정대
20 : 이음벨트 21 : 연결단
22 : 걸이대 23 : 고리부
30 : 제1고정벨트 31 : 제1결합홈
32 : 제1고정대 33 : 제1결합고정부
34 : 제1고리부 35 : 제1연결단
40 : 제2고정벨트 41 : 제2결합홈
42 : 제2고정대 43 : 제2결합고정부
44 : 제2고리부 45 : 제2연결단
50 : 연결장치 51, V : 비너
52 : 샤클 100, 100a : 추락방지용 구명줄
본 발명은 추락방지용 구명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현장과 같은 곳에서 근로자가 착용하는 안전벨트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벽체에 구명줄을 설치하고, 상기 구명줄에 근로자가 착용한 안전벨트의 후크를 걸어 놓음으로써 근로자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하는 추락방지용 구명줄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과 같이 추락의 위험이 있는 높은 장소나, 경사지붕 등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법적으로 안전관리자의 지도에 따라 안전장치를 착용한 후, 작업을 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안전장치로는 안전벨트를 들 수 있는데, 상기 안전벨트는 일측으로 후크를 형성한 이음단을 구성하고 있으며, 사용시 상기 후크를 물체에 고정시킴으로써, 근로자의 추락 방지를 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건설현장과 같은 곳에서는 사실상 상기 후크를 걸 수 있을 만한 장소가 부재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하더라도 근로자의 추락을 막을 방법이 없었을 뿐만 아니라, 안전장치로써 사용할 수 없는 거추장스러운 안전벨트의 착용으로 인하여 오히려 근로자의 움직임에 불편함을 줌으로써, 추락의 위험을 더욱 높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근로자가 착용하는 안전벨트의 일측에 형성된 후크를 손쉽게 걸 수 있도록 일측 벽체에 고정 연결된 연결단에 걸이대와 고리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일정 반경 내에서 근로자가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음과 동시에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추락방지용 구명줄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고리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고정벨트를 양측 벽체에 고정시킨 후,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고리부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연결장치의 연결부위에 따라 높이 조절을 용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넓은 장소에서도 설치를 손쉽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근로자가 안전벨트의 후크를 걸을 시 손쉽게 걸 수 있음은 물론, 근로자의 이동반경 확대와 더불어 하나의 구명줄을 다수의 근로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추락방지용 구명줄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추락방지용 구명줄은 벽체에 고정된 결합고정부의 고정대에 연결되되 고리부를 등간격으로 형성한 연결단과 상기 연결단의 끝단에 형성되는 걸이대로 구성된 이음벨트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추락방지용 구명줄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구명줄의 설치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너트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고정부를 벽체에 고정하는 전, 후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구명줄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비너가 구성된 추락방지용 구명줄의 사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구명줄의 설치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구명줄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비너를 사용한 추락방지용 구명줄의 사시도이며, 도 9은 본 발명에 제2실시 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구명줄의 사용 상태도이다.
제1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의한 추락방지용 구명줄(100)은 건설현장이나 경사지붕과 같은 곳에서 근로자가 작업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 너트(5)와, 인서트 볼트(6)와, 결합고정부(10)와, 이음벨트(20)로 구성되어 진다.
먼저, 상기 인서트 너트(5)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구조로 이루어진 연결부(2)와 너트(3)가 삽입된 머리부(4)로 구성되어 지는 것으로, 바닥면에 콘크리트로 벽체(1)를 만들 시 벽체(1)의 상측 또는 천장에 매립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서트 볼트(6)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서트 너트(5)와 결합되어 상기 인서트 너트(5)와 후술될 결합고정부(10)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결합고정부(10)를 벽체(1)에 고정 결합시키도록 하는 것이며, 선행된 인서트 너트(5)가 잘못 매립되거나, 형성되지 않은 벽체(1)에 사용할 때에는 스트롱 앙카로서 대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결합고정부(10)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서트 너트(5)와 결합되는 인서트 볼트(6)가 삽입되도록 일측으로 결합홈(11)을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고정대(12)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고정부(10)는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된 이음벨트(20)가 연결되는 고정대(12)가 벽체(1)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곡선형으로 함으로써, 상기 결합홈(11)이 형성된 부분과 고정대(12)가 형성된 부분의 높낮이를 다르게 하여 근로자가 이동하면서 작업시 상기 이음벨트(20)가 벽체(1)와의 마찰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음벨트(20)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고정부(10)와 연결되는 것으로, 고정대(12)에 연결되면서 고리부(23)를 등간격으로 형성한 연결단(21)과 상기 연결단(21)의 끝단에 고정 형성되는 D형 걸이대(2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음벨트(20)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고정부(10)의 고정대(12)에 연결되는 연결단(21)으로 구성하고, 상기 고정대(12)에 연결된 연결단(21)의 일측으로는 상기 연결단(21)과 동일 재질로 이어서 형성된 다수개의 고리부(23)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고리부(23)의 간격은 작업자의 신장에 따라 안전벨트(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후크(7)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50cmm 정도의 간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음벨트(20)의 구성을 상기 연결단(21)의 일측으로 비너(V)가 더 포함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비너(V)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단(21)을 상기 결합고정부(10)의 고정대(12)에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결합고정부(10)와 이음벨트(20)를 연결하도록 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이음벨트(20)는 강한 연성저항력을 지니는 재질이면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나일론 등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연성저항력이 더욱 뛰어난 폴리에스터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제1실시 예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추락방지용 구명줄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구명줄(100)을 준비한 다음, 콘크리트 벽체(1)를 타설시 인서트 너트(5)를 삽입하여 벽체(1) 타설을 완료한다.
이때, 인서트 너트(5)의 매설 위치는 벽체(1)의 상측 또는 천장으로 함으로 써 근로자가 작업시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인서트 너트(5)를 콘크리트 벽체(1)에 타설한 후에는, 결합고정부(10)의 결합홈(11)을 벽체(1)의 상측에 형성된 상기 인서트 너트(5)의 연결부(2)에 위치시킨 후, 인서트 볼트(6)를 이용하여 상기 결합고정부(10)를 벽체(1)에 고정 결합시킨다.
여기서, 상기 이음벨트(20)의 구성이 비너(V)를 더 포함한 구성으로 되어 있을 시에는, 상기 이음벨트(20)의 연결단(21) 일측에 구성된 비너(V)를 벽체(1)에 고정 결합된 상기 결합고정부(10)의 고정대(12)에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결합고정부(10)와 이음벨트(20)의 결합을 완료해야 한다.
그 후, 상기 결합고정부(10)의 고정대(12)에 연결되어 형성된 이음벨트(20)의 걸이대(22) 또는 등간격으로 형성된 고리부(23)에 근로자가 착용하고 있는 안전벨트의 후크(7)를 걸어놓음으로써, 사용이 용이한 위치에 손쉽게 후크를 걸 수 있음을 물론, 위험 발생시 근로자의 추락이 방지되게 된다.
삭제
한편, 제2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추락방지용 구명줄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추락방지용 구명줄(100a)은 도 7 또는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 너트(5a, 5b)와, 인서트 볼트(6a, 6b)와, 제1고정벨트(30)와, 제2고정벨트(40) 와, 연결장치(50)로 구성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인서트 너트(5a, 5b)와, 인서트 볼트(6a, 6b)는 상기 제1실시 예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먼저, 상기 제1고정벨트(30)는 도 7 또는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벽체(1a)에 고정 형성되는 인서트 너트(5a)와 결합되는 인서트 볼트(5b)가 삽입되도록 일측으로 제1결합홈(31)을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제1고정대(32)를 형성한 제1결합고정부(33)와 상기 제1결합고정부(33)의 제1고정대(32)에 연결되는 제1연결단(35)으로 구성되어 지며, 상기 제1연결단(35)에는 다수개의 제1고리부(34)를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결합고정부(33)는 상기 제1연결단(35)이 연결되는 제1고정대(32)가 벽체(1a)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곡선형으로 함으로써, 상기 제1결합홈(31)이 형성된 부분과 제1고정대(32)가 형성된 부분의 높낮이를 다르게 하여 근로자가 이동하면서 작업시 상기 제1연결단(35)이 벽체(1a)와의 마찰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연결단(35)에 형성되는 제1고리부(34)는 후술될 연결장치(50)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50cm 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연결단(35)은 강한 연성저항력을 지니는 재질이면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나일론 등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연성저항력이 더욱 뛰어난 폴리에스터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고정벨트(40)는 도 7 내지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벨트(30)가 형성되지 않은 타측 벽체(1b)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2결합홈(41)과 제2고정대(42)를 구성한 제2결합고정부(43)와 제2고리부(44)를 50cm 간격으로 형성한 제2연결단(45)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고정벨트(30)와 동일한 방식으로 타측 벽체(1b)에 고정 형성되어 진다.
아울러, 상기 제2결합고정부(43)는 상기 제1결합고정부(33)와 마찬가지로 곡선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제2연결단(45)이 벽체(1b)와의 마찰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연결단(45)은 상기 제1연결단(35)과 동일 재질은 폴리에스터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2 고정벨트(30, 40)의 구성을 상기 제1, 2연결단(35, 45)의 일측으로 비너(V)가 더 포함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비너(V)를 이용하여 상기 제1, 2연결단(35, 45)을 상기 제1, 2결합고정부(33, 43)의 제1, 2고정대(32, 42)에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2결합고정부(33, 43)와 제1, 2연결단(35, 45)을 연결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비너(V)를 사용하게 되면, 벽체(1a)와 벽체(1b) 간의 사이가 넓은 공간에서도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2고정벨트(30, 40)에 형성된 제1, 2고리부(34, 44)에 비너(V)가 구성된 다른 하나의 제1, 2연결단(35, 45)을 연결함으로써,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장치(50)는 도 6 내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벨트(30)와 제2고정벨트(40)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제1연결단(35)에 형성된 제1고리부(34)와 상기 제2연결단(45)에 형성된 제2고리부(44)를 연결하여 하나의 구명줄(100a)을 형성함으로써 근로자가 손쉽게 안전벨트의 후크(7)를 연결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연결장치(50)의 연결방법은 도 6 내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벨트(30)와 제2고정벨트(40)를 중앙으로 모아 근로자가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늘어뜨려 위치시킨 후, 비너(51) 내지 샤클(52)을 이용함으로써 용이한 고정을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결장치(50)를 연결 후, 늘어져 밑으로 쳐진 제1, 2고정벨트(30, 40)의 끝단도 다른 연결장치(50)를 이용하여 제1, 2고정벨트(30, 40)에 연결함으로써, 제1, 2고정벨트(30, 40)의 끝단이 밑으로 쳐지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제2실시 예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추락방지용 구명줄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추락방지용 구명줄을 준비한 다음, 상기와 제1실시 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양측 벽체(1a, 1b)에 인서트 너트(5a, 5b)를 매설 시킨다.
이와 같이 인서트 너트(5a, 5b)를 양측 벽체(1a, 1b)에 타설한 후에는, 제1결합고정부(33)의 제1결합홈(31)을 일측 벽체(1a)의 상측에 노출되어 형성된 상기 인서트 너트(5a)에 위치시킨 후, 인서트 볼트(6a)를 이용하여 상기 제1결합고정부(33)를 일측 벽체(1a)에 고정 결합시킨다.
그 후,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타측 벽체(1b)에 제2결합고정부(43)를 고정 결합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 2고정벨트(30, 40)의 구성이 비너(V)를 더 포함한 구성으로 되어 있을 시에는, 상기 제1, 2연결단(35, 45)의 일측에 구성된 비너(V)를 벽체(1a, 1b)에 고정 결합된 상기 제1, 2결합고정부(33, 43)의 고정대(32, 42)에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제1, 2결합고정부(33, 43)와 제1, 2연결단(35, 45)의 결합을 완료해야 한다.
이와 같이 결합시킨 후에는, 상기 제1, 2결합고정부(33, 43)에 연결되어 형성된 제1, 2연결단(35, 45)을 중앙으로 모아 근로자가 작업에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늘어뜨려 위치시킨 후, 상기 제1, 2연결단(35, 45)에 등간격으로 구성된 제1, 2고리부(34, 44)를 연결장치(50)를 사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제1, 2고정벨트(30, 40)를 손쉽게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제1, 2고정벨트(30, 40)를 연결한 후에는 상기 연결장치(50)에 의해 연결되지 않고 밑으로 쳐진 제1, 2연결단(35, 45)의 끝단에 형성된 제1, 2고리부(34, 44)에 다른 연결장치(50)를 연결하고, 상기 제1, 2고리부(34, 4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2고리부(34, 44)에 상기 연결장치(50)를 연결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구명줄(100a)의 설치를 완료한다.
이와 같이 구명줄(100a)의 설치를 완료한 후에는 연결장치(50)에 의해 연결된 제1, 2고정벨트(30, 40)에 근로자가 착용하고 있는 안전벨트의 후크(7)를 걸어 놓음으로써 근로자의 추락을 방지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2고정벨트(30, 40)의 구성을 비너(V)를 더 포함한 구성으로 하였을 때에는 상기 제1, 2연결단(35, 45)에 형성된 제1, 2고리부(34, 44)에 다 른 하나의 제1, 2연결단(35, 45)에 형성된 비너(V)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고정벨트(30, 40)의 길이를 용이하게 연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벽체(1a)와 벽체(1b) 간의 공간이 넓은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제2실시 예에 따른 구명줄(100a)은 넓게 펼쳐져 있음과 더불어 안전벨트의 후크(7)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나의 줄로 되어 있어, 근로자가 넓은 범위에서 제약 없이 작업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구명줄(100a)을 다수의 근로자가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추락방지용 구명줄은 근로자가 착용하는 안전벨트의 일측에 형성된 후크를 손쉽게 걸 수 있도록 일측 벽체에 고정 연결된 연결단에 걸이대와 고리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일정 반경 내에서 근로자가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음과 동시에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추락방지용 안전 벨트는 고리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고정벨트를 양측 벽체에 고정시킨 후,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고리부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연결장치의 연결부위에 따라 높이 조절을 용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넓은 장소에서도 설치를 손쉽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근로자가 안전벨트의 후크를 걸을 시 손쉽게 걸 수 있음은 물론, 근로자의 이동반경 확대와 더불어 하나의 구명줄을 다수의 근로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7)

  1. 벽체에 고정 형성된 인서트 너트와 결합되는 인서트 볼트가 삽입되도록 일측으로 결합홈을 구성하고 타측으로는 고정대를 구성한 곡선형태의 결합고정부와, 상기 결합고정부에 연결되는 이음밸트로 이루어져 건설현장에서의 작업시 안전밸트에 부착된 훅을 연결함으로써 근로자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하는 추락방지용 구명줄에 있어서,
    상기 결합고정부(10)의 고정대(12)에 연결되되 고리부(23)를 등간격으로 형성한 연결단(21)과 상기 연결단(21)의 끝단에 형성되는 걸이대(22)로 구성된 이음벨트(2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추락방지용 구명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벨트(20)에는 상기 결합고정부(10)의 고정대(12)와 연결되는 비너(V)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추락방지용 구명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21)은 폴리에스터 재질로 제작된 것에 특징이 있는 추락방지용 구명줄.
  5. 건설현장에서의 작업시 근로자가 착용한 안전벨트에 부착된 훅을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근로자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하는 추락방지용 구명줄에 있어서,
    일측 벽체(1a)에 고정 형성된 인서트 너트(5a)와 결합되는 인서트 볼트(6a)가 삽입되도록 일측으로 제1결합홈(31)을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제1고정대(32)를 형성한 곡선형태의 제1결합고정부(33)와 상기 제1결합고정부(33)의 제1고정대(32)에 연결되되 제1고리부(34)를 등간격으로 형성한 제1연결단(35)으로 구성된 제1고정벨트(30);
    타측 벽체(1b)에 고정 형성된 인서트 너트(5b)와 결합되는 인서트 볼트(6b)가 삽입되도록 일측으로 제2결합홈(41)을 구성하고, 타측으로는 제2고정대(42)를 구성한 곡선형태의 제2결합고정부(43)와 상기 제2결합고정부(43)의 제2고정대(42)에 연결되되 제2고리부(44)를 등간격으로 형성한 제2연결단(45)으로 구성된 제2고정벨트(40);
    상기 제1, 2연결단(35, 45)에 형성된 제1, 2고리부(34, 44)를 연결하는 연결장치(50)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추락방지용 구명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고정벨트(30, 40)의 제1, 2연결단(35, 45)에는 상기 제1, 2결합고정부(33, 34)의 제1, 2고정대(32, 42)와 연결되는 비너(V)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추락방지용 구명줄.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연결단(35, 45)은 폴리에스터 재질로 제작된 것에 특징이 있는 추락방지용 구명줄.
KR1020060083237A 2006-08-31 2006-08-31 추락방지용 구명줄 KR100665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237A KR100665627B1 (ko) 2006-08-31 2006-08-31 추락방지용 구명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237A KR100665627B1 (ko) 2006-08-31 2006-08-31 추락방지용 구명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5627B1 true KR100665627B1 (ko) 2007-01-09

Family

ID=37867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237A KR100665627B1 (ko) 2006-08-31 2006-08-31 추락방지용 구명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56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023A (ko) 2018-04-19 2019-10-29 이재성 안전 네트 및 안전 네트용 고정 유닛
CN110604880A (zh) * 2019-10-30 2019-12-24 国网宁夏电力有限公司检修公司 作业范围可调的防坠安全保护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63256U (ko) * 1981-04-10 1982-10-14
JPS63160855U (ko) * 1987-04-10 1988-10-20
JPH0168062U (ko) * 1987-10-23 1989-05-01
KR19990057152A (ko) * 1997-12-29 1999-07-15 이계철 주상용 안전밸트
JPH11244402A (ja) 1998-03-03 1999-09-14 Clasp:Kk 輪状ベル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63256U (ko) * 1981-04-10 1982-10-14
JPS63160855U (ko) * 1987-04-10 1988-10-20
JPH0168062U (ko) * 1987-10-23 1989-05-01
KR19990057152A (ko) * 1997-12-29 1999-07-15 이계철 주상용 안전밸트
JPH11244402A (ja) 1998-03-03 1999-09-14 Clasp:Kk 輪状ベル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023A (ko) 2018-04-19 2019-10-29 이재성 안전 네트 및 안전 네트용 고정 유닛
CN110604880A (zh) * 2019-10-30 2019-12-24 国网宁夏电力有限公司检修公司 作业范围可调的防坠安全保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7351B2 (en) Scaffold safety apparatus
US4171032A (en) Safety support for safety belts
CN102316939B (zh) 杆安全组件
US10060146B2 (en) I-beam-attachable lifeline system
US6695095B1 (en) Fall protection restraint apparatus
US8245816B2 (en)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US20120055738A1 (en) Construction safety hanger
US6722470B2 (en) Anchorage adapter,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fall protection
US20150259982A1 (en) Apparatus for detachably securing a ladder to a shoring structur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070114095A1 (en) Positioning and safety lanyard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of use
KR100665627B1 (ko) 추락방지용 구명줄
US20050189171A1 (en) Safety system and method of use for high workers
WO2021011585A1 (en) A fall prevention system
JP2019052477A (ja) 仮設足場用安全装置
JP6215422B1 (ja) 連節ブロック用吊り具
US6688062B2 (en) Rebar loop horizontal lifeline fall arrest system
CN210067510U (zh) 一种安全带/安全绳挂钩装置
US20200129789A1 (en) Fall protection safety apparatus
KR20210146693A (ko) 낙하 방지용 바벨트
CA2499362A1 (en) Fall protection restraint apparatus
CN208749208U (zh) 通信杆塔
US20020051681A1 (en) Safe-T-hanger
JP2010090667A (ja) 送電鉄塔用仮足場
JP3036143U (ja) 墜落防止用安全帯
KR102649039B1 (ko) 자재 인양 개구부의 안전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