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188Y1 - 퓨즈 - Google Patents

퓨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188Y1
KR200493188Y1 KR2020197000042U KR20197000042U KR200493188Y1 KR 200493188 Y1 KR200493188 Y1 KR 200493188Y1 KR 2020197000042 U KR2020197000042 U KR 2020197000042U KR 20197000042 U KR20197000042 U KR 20197000042U KR 200493188 Y1 KR200493188 Y1 KR 2004931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copper sleeve
pin
inner tub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70000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804U (ko
Inventor
관루이 리앙
Original Assignee
그룹 탤런트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룹 탤런트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그룹 탤런트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018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8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1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1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2Intermediate or auxiliary parts for carrying, holding, or retaining fuse, co-operating with base or fixed holder, and removable therefrom for renewing the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2General constructions or structure of high voltage fuses, i.e. above 1000 V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43Electrical contacts; Fastening fusible members to such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01H85/175Casings characterised by the casing shape o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48Protective devices wherein the fuse is carried or held directly by the base
    • H01H85/50Protective devices wherein the fuse is carried or held directly by the base the fuse having contacts at opposite ends for co-operation with the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08Fusi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fusible member
    • H01H85/10Fusi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fusible member with constriction for localised f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01H85/175Casings characterised by the casing shape or form
    • H01H85/1755Casings characterised by the casing shape or form composite casing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퓨즈는 양단이 개구된 외관체, 상기 외관체 내에 설치되는 양단이 개구된 내관체, 상기 내관체 내에 설치되는 퓨즈 코어, 상기 외관체 양단에 설치되고 피복되는 좌우 내부 동 슬리브, 상기 내부 동 슬리브와 상기 외관체 양단에 설치되고 피복되는 좌우 외부 동 슬리브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내부 동 슬리브의 일단은 제 1 개구단 및 타단은 제 1 밀폐단이고, 상기 제 1 밀폐단의 단면에는 제 1 개구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개구단은 스탬핑에 의하여 상기 외관체와 억지 끼워맞춤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퓨즈 코어의 말단이 연장되어 상기 제 1 개구를 관통하고, 스폿 용접에 의하여 상기 제 1 밀폐단의 단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외부 동 슬리브의 일단은 개구단 및 타단은 밀폐단이고, 상기 외부 동 슬리브의 개구단이 스탬핑에 의하여 상기 제 1 밀폐단 및/또는 상기 외관체와 억지 끼워맞춤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퓨즈
본 고안은 퓨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관형, 바람직하게는 이중관형 퓨즈에 관한 것이다.
퓨즈는 전기회로에 연결되어 전기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소자이다. 전기회로에서 흐르는 전류가 너무 클 때, 그중의 금속선 또는 금속편은 고온을 발생하며 녹아 끊어져 단로가 되어 전류가 흐르는 것이 중단됨으로써 전기회로를 보호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시중에 있는 퓨즈는, 주로 두가지 디자인이 있는데, 단일관(세라믹관)에 내, 외부 동 슬리브가 구비되고, 퓨즈선은 내, 외부 동 슬리브로 고정되거나; 또는 단일관(섬유관)에 단일 동 슬리브가 구비되고, 퓨즈선은 납땜으로 고정된 것이다.
이밖에, 이중관형 퓨즈도 존재하는 바, 현재의 이중관 디자인은 주로 정격전류와 정격전압이 비교적 큰 퓨즈에 적용되고, 이러한 퓨즈의 메인 관체는 모두 유리 섬유 수지/멜라민관인 바, 이러한 관은 전기적 성능이 좋고, 소호 성능이 뛰어나 퓨즈의 차단 능력 수요에 유리하지만, 원가가 비교적 높고,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여 이러한 관체에 직접 인쇄할 수 없다.
본 고안은 퓨즈를 공개하였으며, 이는 양단이 개구된 외관체, 상기 외관체 내에 설치되는 양단이 개구된 내관체, 상기 내관체 내에 설치되는 퓨즈 코어, 상기 외관체 양단에 설치되고 피복되는 좌우 내부 동 슬리브, 상기 내부 동 슬리브와 상기 외관체 양단에 설치되고 피복되는 좌우 외부 동 슬리브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내부 동 슬리브의 일단은 제 1 개구단 및 타단은 제 1 밀폐단이고, 상기 제 1 밀폐단의 단면에는 제 1 개구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개구단은 스탬핑에 의하여 상기 외관체와 억지 끼워맞춤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퓨즈 코어의 말단이 연장되어 상기 제 1 개구를 관통하고, 스폿 용접에 의하여 상기 제 1 밀폐단의 단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외부 동 슬리브의 일단은 개구단 및 타단은 밀폐단이고, 상기 외부 동 슬리브의 개구단이 스탬핑에 의하여 상기 제 1 밀폐단 및/또는 상기 외관체와 억지 끼워맞춤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동 슬리브와 상기 외관체 양단에 설치되고 피복되는 좌우 핀 동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핀 동 슬리브의 일단은 제 2 개구단 및 타단은 제 2 밀폐단이고, 상기 제 2 밀폐단의 단면은 스탬핑에 의하여 개구 부분과 핀 부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핀 부분은 상기 제 2 밀폐단의 단면의 외측으로 180°로 절곡되어 상기 핀 동 슬리브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핀 또는 플러그인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개구단은 스탬핑에 의하여 상기 외부 동 슬리브의 밀폐단 및/또는 상기 외관체와 억지 끼워맞춤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핀 부분은 T 형 핀 부분이고, 상기 핀 부분은 상기 제 2 밀폐단의 단면의 외측으로 180°로 절곡되어 T 형 핀 부분의 긴 부분이 상기 핀 동 슬리브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핀 또는 플러그인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핀 또는 플러그인의 연장방향은 상기 퓨즈의 축선방향과 직교된다.
일부 기타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동 슬리브와 상기 내부 동 슬리브 사이에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밀폐단의 단면 상의 스폿 용접 부분에 피복되는 차단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차단 부재는 절연재료로 제조 및 상기 퓨즈의 전류 및/또는 아크 차단 능력이 향상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외관체의 외면에 인쇄가능한 마크 부분이 구비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외관체와 내관체는 두가지 다른 재료로 구성되고, 밀착되게 겹쳐져서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되, 여기서 상기 외관체는 고온에 견딜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내관체는 간편하고 생산하기 편리한 재료로 구성되며; 및 상기 외관체와 내관체는 상기 퓨즈의 전기물리적 기능을 향상시키고 고(高)전기물리적 기능을 수요하는 퓨즈의 총원가를 낮추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외관체는 세라믹 또는 유리로 제조 및 상기 내관체는 유리 섬유, 폴리 에스테르, 수지, 유리 섬유 수지 및/또는 멜라민으로 제조되며, 상기 외관체와 내관체의 내경과 외경의 크기는 양자가 밀착되게 겹쳐지기 쉽도록 설계되고; 및/또는 상기 외관체와 내관체는 양자 사이에 인가되는 점착물 또는 점착제에 의하여 고정 및/또는 밀착되는 효과를 달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개구의 형상은 반원형, 삼각형, 직사각형, 다각형 및/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퓨즈 코어는 선형 또는 시트형의 형식을 사용하고; 및/또는 상기 퓨즈 코어는 서로 이격되는 다수의 천공홀을 구비하는 시트형의 형식을 사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퓨즈 코어는 상기 내관체의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및/또는 상기 퓨즈 코어의 축선은 상기 내관체의 축선과 중첩되거나 평행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범례를 통하여 본 공개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기술하는 것 인바, 도면에서,
도 1은 본 공개의 범례성 퓨즈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범례성 퓨즈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공개의 범례성 퓨즈의 범례성 내부 동 슬리브의 모식도이다.
도 4a 내지 4b는 본 공개의 범례성 퓨즈의 범례성 핀 동 슬리브가 상이한 형태인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결합하여 본 공개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하여 기술적 해결수단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이들에 도시된 것은 각각 본 공개의 범례성 퓨즈(100)의 모식도와 분해도이다. 도시된 범례성 퓨즈(100)는 이중관형 퓨즈(100)로서, 이는 양단이 개구된 외관체(70), 상기 외관체(70) 내에 설치되는 양단이 개구된 내관체(60), 상기 내관체(60) 내에 설치되는 퓨즈 코어(50), 상기 외관체(70) 양단에 설치되고 피복되는 좌우 내부 동 슬리브(40), 상기 내부 동 슬리브(40)와 상기 외관체(70) 양단에 설치되고 피복되는 좌우 외부 동 슬리브(20)를 포함하고;
일부 실시예에서, 퓨즈(100)는 단일관형 퓨즈로서, 이는 외관체(70)만 포함하고; 기타 구조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것과 대체로 같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외관체(70)의 외면에는 인쇄가능한 마크성능과 파라미터를 갖는 부분이 구비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퓨즈 코어(50)는 선형 또는 시트형의 형식을 사용한다. 바람작하게는, 상기 퓨즈 코어는 서로 이격되는 다수의 천공홀을 구비하는 시트형의 형식을 사용하는 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퓨즈 코어는 상기 내관체의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및/또는 상기 퓨즈 코어의 축선은 상기 내관체의 축선과 중첩되거나 평행되는 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 공개에 따르면, 상기 내부 동 슬리브(40)의 일단은 외관체와 인접하는 제 1 개구단 및 타단은 외관체와 멀어지는 제 1 밀폐단이고, 상기 제 1 밀폐단의 단면에는 제 1 개구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개구단은 스탬핑에 의하여 상기 외관체와 억지 끼워맞춤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행기술의 양단이 모두 개구단인 같은 직경의 내부 동 슬리브에 비해, 본 공개의 내부 동 슬리브는 비교적 많은 동재료를 구비하여, 퓨즈로 하여금 내부 저항을 낮추도록 하고, 양호한 전기적 접촉을 유지 및 퓨즈에 전기가 흐를 때 승온되는 것을 낮출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개구의 형상은 반원형, 삼각형, 직사각형, 다각형 및/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밀폐단의 단면(44)에는 반원형의 제 1 개구(42)가 구비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공개의 퓨즈 코어(50)의 말단이 연장되어 상기 제 1 개구(42)를 관통하고, 스폿 용접에 의하여 상기 제 1 밀폐단의 단면(44)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행기술의 퓨즈에 비하면, 이 퓨즈 코어/퓨즈는 일반적으로 납땜선으로 내부 동 슬리브의 가장자리/단측을 납땜하여 고정하는 것이고, 본 공개의 단면(44)은 지지면을 제공함으로써 퓨즈 코어(50)가 스폿 용접 방식에 의해 고정될 뿐 납땜방법이 필요없게 되어, 퓨즈가 외부열을 받아 승온되어 퓨즈 코어의 도전성에 주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공개의 상기 외부 동 슬리브(20)의 일단은 개구단 및 타단은 밀폐단이고, 상기 외부 동 슬리브(20)의 개구단은 스탬핑에 의하여 상기 제 1 밀폐단 및/또는 상기 외관체와 억지 끼워맞춤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작시, 상기 퓨즈의 외부 동 슬리브(20)는 공지된 클램퍼에 의해 전기회로기판과 연결되거나 또는 전기회로기판의 전용 소켓에 삽입가능하여 전기회로를 보호함으로써 이가 너무 큰 전류에 의한 손상을 받지 않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퓨즈(100)는 상기 외부 동 슬리브와 상기 외관체 양단에 설치되고 피복되는 좌우 핀 동 슬리브(10)를 더 포함한다.
도 4 a 내지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 동 슬리브(10)의 일단은 제 2 개구단 및 타단은 제 2 밀폐단이고, 상기 제 2 밀폐단의 단면(14)은 스탬핑에 의하여 개구 부분과 핀 부분(1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핀 부분은 상기 제 2 밀폐단의 단면(14)의 외측으로 180°로 절곡되어 상기 핀 동 슬리브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핀 또는 플러그인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개구단은 스탬핑에 의하여 상기 외부 동 슬리브(20)의 밀폐단 및/또는 상기 외관체와 억지 끼워맞춤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 부분은 T 형 핀 부분(12)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핀 부분(12)은 상기 제 2 밀폐단의 단면(14)의 외측으로 180°로 절곡되어 T 형 핀 부분의 긴 부분이 상기 핀 동 슬리브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핀 또는 플러그인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핀 또는 플러그인의 연장방향은 상기 퓨즈의 축선방향과 직교되거나 서로 수직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핀 동 슬리브는 퓨즈 양단에 장착되어, 퓨즈가 회로기판(PCB)에 장착되거나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핀 동 슬리브는 기계적으로 고정되어, 납땜 사용이 생략됨으로써, 퓨즈가 솔더 포트를 경유할 때(리플로우 솔더링/웨이브 솔더링) 외부열을 받아 승온되어 퓨즈의 퓨즈선의 도전성에 주는 영향을 줄이고; 퓨즈는 핀 동 슬리브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어, PCB에 직접 용접되기 편리하다. 본 공개의 이러한 핀 동 슬리브는, 사용자가 퓨즈로부터 어렵게 제거하거나 또는 제거할 수 없게 되는 바, 이는 선행기술의 퓨즈 동 클립의 적용과 구별된다. 다시 말하자면, 퓨즈를 교체해야 할 경우, 전체 퓨즈를 핀 동 슬리브와 함께 PCB로부터 제거해야 되는데, 이는 경험이 있는 기술자가 관련 기구를 사용하여 퓨즈를 교체해야 하기에, 통상적인 비(非) 기술자들의 안전을 보장하고, 최종 사용자의 안전도 보장한다.
이러한 퓨즈는 핀 동 슬리브의 형상을 자재를 절약하는 디자인으로 설계하는데, 이는 핀 부분(12) 자체가 핀 동 슬리브의 단면 또는 저부로부터 밖으로 젖히게 되었기에, 핀 동 슬리브의 단면 또는 평면 부분의 재료를 충분히 이용하기 때문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퓨즈(100)는 상기 외부 동 슬리브(20)와 상기 내부 동 슬리브(40) 사이에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밀폐단의 단면 상의 스폿 용접 부분에 피복되는 차단 부재(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차단 부재(30)는 절연재료로 제조 및 상기 퓨즈의 전류 및/또는 아크 차단 능력이 향상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부재(30)는 원형으로 성형될 수 있고; 기타 실시예에서, 차단 부재(30)는 반원형, 삼각형, 직사각형, 다각형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외관체와 내관체는 두가지 다른 재료로 구성되고, 밀착되게 겹쳐져서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되, 여기서 상기 외관체는 고온에 견딜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내관체는 간편하고 생산하기 편리한 재료로 구성되는 바, 반대로 해도 마찬가지이며(특정된 적용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및 상기 외관체와 내관체는 상기 퓨즈의 전기물리적 기능을 향상시키고 고(高)전기물리적 기능을 수요하는 퓨즈의 총원가를 낮추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외관체는 바람직하게는 세라믹 또는 유리로 제조 및 상기 내관체는 바람직하게는 유리 섬유, 폴리 에스테르, 수지, 유리 섬유 수지 및/또는 멜라민으로 제조되며; 또 다른 특정된 실시예에서, 상기 내관체는 바람직하게는 세라믹 또는 유리로 제조가능하고, 및 상기 외관체는 바람직하게는 유리 섬유, 폴리 에스테르, 수지, 유리 섬유 수지 및/또는 멜라민으로 제조가능하며; 상기 외관체와 내관체의 내경과 외경의 크기는 양자가 밀착되게 겹쳐지기 쉽도록 설계되고; 및/또는 상기 외관체와 내관체는 양자 사이에 인가되는 점착물 또는 점착제에 의하여 고정 및/또는 밀착되는 효과를 달성한다.
본 공개의 이중관형 퓨즈를 사용하면, 퓨즈의 차단능력이 단일관형 퓨즈보다 훨씬 높을 수 있고; 그 다음, 재료의 원가를 낮출 수 있으며; 이밖에, 퓨즈의 성능 마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쉽게 떨어지고 손상되는 스티커 마크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첨부된 청구항에 기재된 특징(공통적으로 및 적절하게 단독적으로)은 본 공개의 일부분을 형성하여, 여기서 참조부분으로 인입(引入)된다.
본 명세서에서 상이한 범례 또는 실시예를 기술하였으나, 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지 보호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문에 제공되는 범례성 적용에서, 핀 동 슬리브와 내, 외부 동 슬리브 등등은 각각 환형/원형을 갖는 형상으로 나타나거나 구성되지만, 일반성을 상실하지 않을 경우, 본 공개의 실질적인 내용에 따른 기타 형상과 구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이한 범례성 실시예의 부분 또는 부재는 적합한 상황에서 서로 조합 및/또는 혼합 매칭될 수 있어, 기타 변형을 이루어 일반성을 상실하지 않도록 한다.

Claims (10)

  1. 퓨즈에 있어서, 이는
    양단이 개구된 외관체, 상기 외관체 내에 설치되는 양단이 개구된 내관체, 상기 내관체 내에 설치되는 퓨즈 코어, 상기 외관체 양단에 설치되고 피복되는 좌우 내부 동 슬리브, 상기 내부 동 슬리브와 상기 외관체 양단에 설치되고 피복되는 좌우 외부 동 슬리브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동 슬리브의 일단은 제 1 개구단 및 타단은 제 1 밀폐단이고, 상기 제 1 밀폐단의 단면에는 반원형의 제 1 개구와 상기 퓨즈 코어가 스폿 용접 방식에 의해 고정될 지지면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개구단은 스탬핑에 의하여 상기 외관체와 억지 끼워맞춤으로 연결되고;
    상기 퓨즈 코어의 말단이 연장되어 상기 제 1 개구를 관통하고, 스폿 용접에 의하여 상기 제 1 밀폐단의 단면에 고정되고;
    상기 외부 동 슬리브의 일단은 개구단 및 타단은 밀폐단이고, 상기 외부 동 슬리브의 개구단이 스탬핑에 의하여 상기 제 1 밀폐단 및/또는 상기 외관체와 억지 끼워맞춤으로 연결되고,
    상기 외부 동 슬리브와 상기 외관체 양단에 설치되고 피복되는 좌우 핀 동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핀 동 슬리브의 일단은 제 2 개구단 및 타단은 제 2 밀폐단이고, 상기 제 2 밀폐단의 단면은 스탬핑에 의하여 개구 부분과 핀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핀 부분은 상기 제 2 밀폐단의 단면의 외측으로 180°로 절곡되어 상기 핀 동 슬리브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핀 또는 플러그인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개구단은 스탬핑에 의하여 상기 외부 동 슬리브의 밀폐단 및/또는 상기 외관체와 억지 끼워맞춤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 부분은 T 형 핀 부분이고, 상기 핀 부분은 상기 제 2 밀폐단의 단면의 외측으로 180°로 절곡되어 T 형 핀 부분의 긴 부분이 상기 핀 동 슬리브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핀 또는 플러그인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핀 또는 플러그인의 연장방향은 상기 퓨즈의 축선방향과 직교(正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동 슬리브와 상기 내부 동 슬리브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밀폐단의 단면 상의 스폿 용점 부분에 피복되는 차단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차단 부재는 절연재료로 제조 및 상기 퓨즈의 전류 및/또는 아크 차단 능력을 향상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체의 외면에는 인쇄가능한 마크 부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6. 제 1 항 및 제3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구의 형상은 반원형, 삼각형, 직사각형, 다각형 및/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7. 제 1 항 및 제3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코어는 선형 또는 시트형의 형식을 사용하고; 및/또는 상기 퓨즈 코어는 서로 이격되는 다수의 천공홀을 구비하는 시트형의 형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8. 제 1 항 및 제3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코어는 상기 내관체의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및/또는 상기 퓨즈 코어의 축선은 상기 내관체의 축선과 중첩되거나 평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9. 제 1 항 및 제3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체와 내관체는 두가지 다른 재료로 구성되고, 밀착되게 겹쳐져서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외관체는 고온에 견딜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내관체는 간편하고 생산하기 편리한 재료로 구성되며; 및 상기 외관체와 내관체는 상기 퓨즈의 전기물리적 기능을 향상시키고 고(高)전기물리적 기능을 수요하는 퓨즈의 총원가를 낮추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10. 제 1 항 및 제3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체는 세라믹 또는 유리로 제조 및 상기 내관체는 유리 섬유, 폴리 에스테르, 수지, 유리 섬유 수지 및/또는 멜라민으로 제조되며, 상기 외관체와 내관체의 내경과 외경의 크기는 양자가 밀착되게 겹쳐지기 쉽도록 설계되고; 및/또는 상기 외관체와 내관체는 양자 사이에 인가되는 점착물 또는 점착제에 의하여 고정 및/또는 밀착되는 효과를 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KR2020197000042U 2016-12-22 2017-12-20 퓨즈 KR20049318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21417122.1U CN206893586U (zh) 2016-12-22 2016-12-22 熔断器
CN201621417122.1 2016-12-22
PCT/IB2017/058183 WO2018116188A1 (zh) 2016-12-22 2017-12-20 熔断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804U KR20190001804U (ko) 2019-07-15
KR200493188Y1 true KR200493188Y1 (ko) 2021-02-10

Family

ID=61327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7000042U KR200493188Y1 (ko) 2016-12-22 2017-12-20 퓨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03032B2 (ko)
JP (1) JP3225063U (ko)
KR (1) KR200493188Y1 (ko)
CN (1) CN206893586U (ko)
DE (1) DE212017000280U1 (ko)
WO (1) WO20181161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60629A (zh) * 2019-10-30 2020-01-07 常州格力博有限公司 保险装置
US11114266B1 (en) * 2020-03-31 2021-09-07 Littelfuse, Inc. Element sub-structure
JP7429599B2 (ja) * 2020-05-14 2024-02-08 豊田鉄工株式会社 ヒューズ
US11251008B2 (en) * 2020-06-01 2022-02-15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High voltage cartridge fuse assembl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06564A1 (en) * 2011-10-27 2013-05-02 Littelfuse, Inc. Fuse with cavity block
KR101447490B1 (ko) * 2013-05-15 2014-10-07 전태화 고용량 휴즈
KR101463710B1 (ko) * 2014-04-11 2014-11-20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이중관 구조의 퓨즈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47798A (en) * 1918-02-28 1923-03-06 Chicago Fuse Mfg Co Refillable cartridge fuse
US1443886A (en) * 1919-04-21 1923-01-30 Cook Frank B Co Fuse
US1585646A (en) * 1919-05-07 1926-05-25 Henry T Bussmann Electric fuse
US1349269A (en) * 1919-10-16 1920-08-10 Guy D Fernandez Renewable fuse
US1485822A (en) * 1920-05-22 1924-03-04 Chicago Fuse Mfg Co Refillable cartridge fuse
US1968763A (en) * 1933-03-14 1934-07-31 John H Hanson Fuse
US3378659A (en) * 1967-04-24 1968-04-16 Chase Shawmut Co Cartridge fuses
US5239291A (en) * 1992-07-15 1993-08-24 Cooper Industries, Inc. Multi-function heater element for dual element ferrule fuses
JP4155825B2 (ja) * 2001-03-02 2008-09-24 ビックマン−ベルケ ゲーエムベーハー ヒューズエレメントの製造方法
CN101685734B (zh) 2008-09-26 2011-11-09 邱鸿智 节能环保防爆保险丝及其制造方法
CN201667324U (zh) * 2010-04-16 2010-12-08 杨光 一种填充有焊料的保险管
JP5634921B2 (ja) * 2011-03-17 2014-12-03 カワソーテクセル株式会社 電線ヒューズ
KR20140029786A (ko) * 2012-08-30 2014-03-1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전압 퓨즈
CN104810223B (zh) * 2015-04-21 2017-10-20 浙江银河熔断器有限公司 一种太阳能发电保护用熔断器
CN205303406U (zh) * 2015-12-03 2016-06-08 宁波索力特复合材料有限公司 熔断器管
CN205282700U (zh) * 2016-01-14 2016-06-01 浙江凯士通端头有限公司 一种针形绝缘端子
CN205692789U (zh) * 2016-06-02 2016-11-16 绍兴市科业电器有限公司 一种可换芯式熔断器
US10290458B2 (en) * 2016-08-24 2019-05-14 Littelfuse, Inc. Fuse and method of forming a fu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06564A1 (en) * 2011-10-27 2013-05-02 Littelfuse, Inc. Fuse with cavity block
KR101447490B1 (ko) * 2013-05-15 2014-10-07 전태화 고용량 휴즈
KR101463710B1 (ko) * 2014-04-11 2014-11-20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이중관 구조의 퓨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25063U (ja) 2020-02-06
KR20190001804U (ko) 2019-07-15
CN206893586U (zh) 2018-01-16
US10903032B2 (en) 2021-01-26
DE212017000280U1 (de) 2019-07-29
WO2018116188A1 (zh) 2018-06-28
US20200090893A1 (en) 202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3188Y1 (ko) 퓨즈
JP3820143B2 (ja) 表面実装型小型ヒューズ
JP2019533892A (ja) 通気式ヒューズハウジング
JP5130233B2 (ja) 保護素子
JP2017117565A (ja) ヒューズの製造方法及びヒューズ
US10854413B2 (en) Fuse line fixing structure of fuse
US20080088404A1 (en) Metal Oxide Varistor Having Thermal Cut-Off Function
US8274356B2 (en) Voltage dependent resistor with overheated protection structure
KR102257726B1 (ko) 고전압용 복합 온도 퓨즈
CN102403173A (zh) 一种半导体设备保护用快速熔断体
CN210607161U (zh) 保险丝
KR101447490B1 (ko) 고용량 휴즈
JP2007042753A (ja) バリスタ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6655499B2 (ja) ヒューズ
JP5242241B2 (ja) ヒューズ
JP2010061894A (ja) 温度ヒューズ付き抵抗器
CN207637737U (zh) 一种具有防止多片熔体相互缠绕的熔断器
CN207637736U (zh) 一种防止形变的熔体结构
JP6215179B2 (ja) ヒューズ
CN217589320U (zh) 一种转接片及电池
CN215183830U (zh) 一种熔断器熔体结构
KR20050058521A (ko) 통전 단자 및 통전 단자용 어댑터
CN219350132U (zh) 一种温度保险丝
KR20230050153A (ko) 고전압 퓨즈
US10854415B1 (en) F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