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175Y1 - 배터리 버스바 - Google Patents

배터리 버스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175Y1
KR200493175Y1 KR2020180005561U KR20180005561U KR200493175Y1 KR 200493175 Y1 KR200493175 Y1 KR 200493175Y1 KR 2020180005561 U KR2020180005561 U KR 2020180005561U KR 20180005561 U KR20180005561 U KR 20180005561U KR 200493175 Y1 KR200493175 Y1 KR 2004931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portions
battery
terminal contact
bridge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5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352U (ko
Inventor
치-팅 첸
체인-충 쑨
Original Assignee
인더스트리얼 테크놀로지 리서치 인스티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더스트리얼 테크놀로지 리서치 인스티튜트 filed Critical 인더스트리얼 테크놀로지 리서치 인스티튜트
Publication of KR202000003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3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1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1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8Short-circuiting members for bridging contacts in a counter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5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 singl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6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4Conductive members located under head of screw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3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ons to contact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개시는 전도성 시트, 적어도 2개의 브릿지부들 및 적어도 2개의 단자 접촉부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버스바를 제공한다. 전도성 시트는 적어도 하나의 공동부를 갖는다. 적어도 2개의 브릿지부들 각각은 서로 대향하는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가지고, 브릿지부들의 제1단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공동부의 상이한 면들에 각각 연결된다. 단자 접촉부들은 서로 이격되어 있고 브릿지부들의 제2단자들에 각각 연결된다. 폭 방향은 적어도 2개의 브릿지부들 중 하나의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통과하는 선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것으로 정의된다. 폭 방향을 따라, 브릿지부의 폭은 단자 접촉부의 폭보다 작다.

Description

배터리 버스바{BATTERY BUSBAR}
본 개시는 배터리 버스바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 년간, 원유 매장량은 감소해왔고, 화석 연료에 의존하는 문제가 지구 온난화를 악화시켜, 환경적 인식이 커지고 있다. 화석 연료를 대체하는 전기 에너지는 지속적인 에너지 혁명의 추세가 된다. 그 결과, 2차 배터리(충전 배터리라고도 함)에 대한 수요가 매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충전 리튬 배터리(rechargeable lithium battery)는 무게가 가볍고 고출력 밀도 및 긴 서비스 수명을 갖기 때문에, 자전거, 오토바이 또는 자동차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차량에 널리 사용된다. 다양한 응용 분야에 의해 필요로 하는 원하는 전압 및 전기 용량에 따라, 많은 양의 리튬 배터리가 특정 방식으로 직렬/병렬 연결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배터리는 점 용접(spot welding) 장치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점 용접 장치는 니켈 시트(nickel sheet)를 배터리의 단자 상에 용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점 용접 장치는 금속 로드 중 하나를 통해 고출력 전류를 니켈 시트 및 셀 전극(cell electrode, 또는 셀 단자라고도 함)의 금속 표면으로 공급하고 원하는 전류 루프(current loop)를 끝내기 위해 다른 금속 로드로 돌아오는 2개의 금속 로드를 갖는다. 바람직한 점 용접 공정은 니켈 시트의 금속 및 셀의 단자가 잘 용접됨을 의미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전류는 저항이 짧고 낮은 경로를 통과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종종 전류는 셀의 단자를 향해 흐르는 대신에 다른 금속 로드로 직접 흐를 수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니켈 시트는 2개의 용접 지점들 사이에서 니켈 시트 상의 전류 경로(electric current path)를 증가(즉, 저항을 증가시킴)시킬 수 있는, 용접 지점들 사이에 형성된 갭(gap)을 설계하며, 이에 따라 전류가 되돌아 가기 전에 단자 내로 흐르게 한다. 불행하게도, 용접 지점들 사이에서 니켈 시트 상의 저항이 여전히 낮기 때문에, 갭은 효과적인 해결책이 아니어서, 전류는 여전히 단자 내로 흐르는 데에 자주 실패한다. 그 결과, 각각의 배터리는 항상 적어도 3회 이상 점 용접 공정이 수행되어야 하며, 이는 제조 효율성을 감소시키고 불안정한 용접 품질을 초래한다. 게다가, 점 용접 공정은 니켈 시트가 단자들 상에 편평하게 위치되는 것을 필요로 지만, 편평한 니켈 시트는 방진 기능을 가지지 않아 임의의 외력이 니켈 시트 및 단자들 사이의 용접 지점을 쉽게 파괴할 수 있다. 상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일부 제조업체들은 버스바 및 셀의 단자를 연결하기 위해 합금 와이어를 사용하는 테슬라(Tesla)의 와이어 결합(bonding) 기술과 같은 다른 수단에 의해 배터리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합금 와이어는 퓨즈 기능 또한 가지지만 주요 문제는 장치가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와이어 결합은 이 분야의 진보 및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전도성 시트(conductive sheet), 적어도 2개의 브릿지부(bridge portion)들 및 적어도 2개의 단자 접촉부(terminal contact portion)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버스바를 제공한다. 전도성 시트는 적어도 하나의 공동부(cavity portion)를 가진다. 적어도 2개의 브릿지부들 각각은 서로 대향하는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갖고, 적어도 2개의 브릿지부들 중 제1단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공동부의 상이한 면들에 각각 연결된다. 적어도 2개의 단자 접촉부들은 서로 이격되어 있고 적어도 2개의 브릿지부들의 제2단부들에 각각 연결된다. 폭 방향은 적어도 2개의 브릿지부들 중 하나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통과하는 선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것으로 정의된다. 폭 방향을 따라, 브릿지부의 폭은 단자 접촉부의 폭보다 작다.
적어도 하나의 내부 엣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 엣지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동부를 갖는 전도성 시트; 적어도 2개의 브릿지부들; 및 적어도 2개의 단자 접촉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브릿지부들 각각은, 서로 대향하는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가지고, 상기 적어도 2개의 브릿지부들의 상기 제1단부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동부공동부를 형성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 엣지의 상이한 면들에 각각 직접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단자 접촉부들은,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브릿지부들의 상기 제2단부들에 각각 직접 연결되며, 여기서 폭 방향은 상기 적어도 2개의 브릿지부들 중 하나의 상기 제1단부 및 상기 제2단부를 통과하는 선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것으로 정의되고, 폭 방향을 따라, 상기 브릿지부의 폭은 상기 단자 접촉부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적어도 2개의 브릿지부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 엣지의 2개의 대향하는 면들에 각각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배터리 버스바에 따르면, 단자 접촉부들 및 전도성 시트 사이에 연결된 브릿지부들은 외력에 의해 야기된 진동을 흡수하도록 진동 완충제로서 작용할 수 있어, 이에 따라 배터리 버스바 및 배터리 단자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보장하고 배터리 버스바의 신뢰성을 증가시킨다.
게다가, 공동부의 상이한 면들에 연결되는 브릿지부들, 즉 단자 접촉부들 사이에서 배터리 버스바 상의 전류 경로가 증가된다. 이는 용접 지점들 사이에서 배터리 버스바 상의 저항을 증가시킨다. 그 결과, 점 용접 공정 동안, 전류는 단자 접촉부들 중 하나로부터 다른 단자 접촉부로 직접 흐르는 대신에 배터리 단자 내로 흐른 다음 전류의 원하는 루프를 끝내기 위해 다른 단자 접촉부로 되돌아 흐르는 경향이 있으므로, 전류는 용접 지점들 및 배터리 단자들을 통해 흐르는 것이 보장되어, 이에 따라 용접 품질을 보장 및 개선하고 용접 공정이 수행되는 횟수를 감소시킨다.
본 문헌은 이하에 주어진 상세한 설명 및 단지 설명을 위해 주어져 본 문헌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닌 첨부된 도면들로부터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배터리들 상에 배치된 본 문헌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버스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확장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부분 확장 측면도이다.
도 4는 절곡되기 전에 도 1의 배터리 버스바의 부분 확장 평면도이다.
도 5는 배터리 상에 배치된 본 문헌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버스바의 부분 확장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5의 배터리 버스바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배터리 버스바의 다른 예시이다.
도 9는 도 5의 배터리 버스바의 또 다른 예시이다.
도 10은 도 5의 배터리 버스바의 또 다른 예시이다.
도 11은 본 문헌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버스바의 부분 확장 사시도이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의 목적으로 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수많은 특정 세부 사항들이 제시된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이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시들에서, 잘 알려진 주요 구조들 및 장치들은 도면을 단순화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도 1은 배터리들 상에 배치된 본 문헌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버스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분 확장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는 복수의 배터리들(9a) 상에 용접될 수 있는 배터리 버스바(1a)를 제공한다. 배터리 버스바(1a)는 니켈과 같이 전기 전도성이 높고 가요성(flexible)인 재료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재료는 2차 배터리(2차 셀 또는 충전 배터리라고도 함)의 단자 상에 용접되기에 적합하다. 일 실시예에서, 이 재료는 내식성 코팅(anticorrosion coating)이 추가적으로 제공되거나 내식성(corrosion resistance)을 증가시키기 위해 특정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9a)는 18650 리튬 이온 배터리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9a)의 전후방을 각각 덮는 2개의 커버들(8a)이 있고, 배터리 버스바(1a)는 배터리들(9a)로부터 떨어진 커버들(8a) 중 하나의 면 상에 배치되며, 배터리 버스바(1a)는 커버(8a)의 관통홀들(810)을 거쳐 배터리들(9a)의 단자들(91a)(배터리 단자라고도 함)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게다가, 커버들(8a)은 배터리들(9a)을 위치시킬 수 있고 서로 접촉하지 않아야 하는 배터리들(9a)의 부분들 및 배터리 버스바(1a)를 적절하게 분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배터리 버스바(1a)는 다음 단락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2를 참조하고 도 3 및 도 4를 더 참조하여, 도 3은 도 1의 부분 확장 측면도이고, 도 4는 절곡되기 전에 도 1의 배터리 버스바의 부분 확장 평면도이다. 도 3의 커버(8a)가 단순화를 위해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의 배터리 버스바(1a)는 배터리 버스바(1a)의 구성의 쉬운 설명을 위해 아직 절곡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된다.
이 실시예에서, 배터리 버스바(1a)는 일체로 만들어지고, 전도성 시트(10a), 복수의 브릿지부들(20a) 및 복수의 단자 접촉부들(30a)을 포함한다.
전도성 시트(10a)는 복수의 공동부들(110a)을 갖는다. 복수의 공동부들(110a)은 커버(8a)의 관통홀들(810) 및 배터리들(9a)의 단자들(91a)에 대응한다.
단자 접촉부들(30a)은 단자들(91a)과 전기적 접촉에 사용되고 또한 점 용접 또는 초음파 용접과 같은 용접 공정에 의해 단자들(91a) 상에 용접되는 데에 사용되는 부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공동부(110a)에 2개의 브릿지부들(20a) 및 2개의 단자 접촉부들(30a)이 있고, 브릿지부들(20a)은 전도성 시트(10a)에 대해 절곡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브릿지부(20a)는 서로 대향하는 제1단부(201) 및 제2단부(202)를 갖는다. 각각의 공동부(110a)에서, 브릿지부들(20a)의 제1단부들(201)은 공동부(110a)의 상이한 면들에 각각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 브릿지부들(20a)의 제1단부들(201)은 공동부(110a)의 2개의 대향하는 면들에 각각 연결되지만, 본 문헌은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공동부에서 브릿지부들의 제1 단부들은 다른 2개의 위치들에 위치될 수 있고, 2개의 브릿지부들의 확장 방향들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 단자 접촉부들(30a)은 브릿지부들(20a)의 제2단부들(202)에 각각 연결된다; 즉, 브릿지부(20a)는 사이에 위치되고 전도성 시트(10a) 및 단자 접촉부들(30a) 중 하나에 연결된다.
이 구성에 의해, 브릿지부(20a)는 아래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어서 단자 접촉부(30a)의 위치를 낮추고, 단자 접촉부(30a)가 배터리들(9a) 중 하나의 단자(91a)에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릿지부들(20a)을 아래 방향으로 절곡함으로써, 전도성 시트(10a)및 단자 접촉부들(30a)은 상이한 수평면들 상에 위치될 수 있고(즉, 전도성 시트(10a) 및 단자 접촉부들(30a)은 동일 평면이 아님(non-coplanar)) 특정 거리로 이격될 수 있으며, 이는 전도성 시트가 단자들 상에 편평하게 위치되는 문제를 회피하도록 돕는다.
중요하게는, 브릿지부(20a)는 단자 접촉부(30a) 상의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외력에 의해 야기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 완충제로써 작용할 수 있어, 배터리 버스바(1a) 및 배터리들(9a)의 단자들(91a)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보장한다. 따라서, 외력이 전체 시스템에 적용되어 진동을 야기할 때, 배터리들(9a) 및 배터리 버스바(1a)는 상대 변위를 가질 수 있고, 이 시점에서, 브릿지부들(20a)은 전도성 시트(10a)가 단자들(91a)과 함께 이동하여 단자 접촉부(30a) 상의 진동을 감소시키도록 할 수 있어, 이에 따라 단자 접촉부들(30a) 및 단자들(91a) 사이의 용접 연결들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게다가, 단자 접촉부(30a) 및 브릿지부(20a)는 형상이 상이하다. 예를 들어, 이 실시예에서, 브릿지부(20a)는 가늘고 긴 형상(elongated shape)이고, 각 단자 접촉부들(30a)은 반원형(semicircle shape), 또는 중심각이 180도인 부채꼴(fan shape)이다. 따라서, 각 공동부(110a)에서, 2개의 단자 접촉부들(30a)은 배터리(9a)의 단자(91a)의 형상과 일치(match)하는 원과 같은 형상을 함께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점 용접 공정 동안 단자 접촉부들(30a)을 단자들(91a)에 맞추어 정렬하도록 돕는다. "일치(match)"는 2개의 단자 접촉부들(30a)에 의해 형성된 형상이 단자(91a)의 형상과 유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각 단자 접촉부의 형상은 단자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서, 단자 접촉부들의 각 쌍은 정사각형 형상인 단자와 일치하는 정사각형을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언급할만한 것은 브릿지부들(20a)이 전도성 시트(10a) 상의 전류 경로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상세하게, 브릿지부들(20a)은 공동부(110a)의 대향하는 면들에 각각 연결되므로, 단자 접촉부들(30a) 사이에서 전도성 시트(10a) 상의 전류 경로는 비교적 길다(상기 전류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부(20a)에서 다른 브릿지부로의 공동부(110a)의 모서리의 길이를 포함한다). 따라서, 2개의 용접 지점들 사이에서 전도성 시트(10a) 상의 저항은 증가된다. 이러한 경우에, 점 용접 공정 동안, 전류는 단자 접촉부들(30a) 중 하나로부터 다른 단자 접촉부(30a)를 향해 직접 흐르는 대신에 단자(91a) 내로 흐른 다음 전류의 원하는 루프를 끝내기 위해 다른 단자 접촉부(30a)로 흐르는 경향이 있어, 이에 따라 용접 품질을 보장 및 개선한다. 게다가, 대향하게 배치된 브릿지부들(20a)이 각 공동부(110a)에서 단자 접촉부들(30a) 사이의 전도성 시트(10a) 상의 전류 경로(즉, 저항)를 최대로 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D)은 브릿지부(20a)의 제1단부(201) 및 제2단부(202)를 통과하는 선(L)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것으로 정의된다. 폭 방향(D)을 따라, 브릿지부(20a)의 폭(W1)은 단자 접촉부(30a)의 폭(W2)보다 작다.
보다 구체적으로, 브릿지부(20a)의 사양(예를 들면, 폭, 길이 및/또는 두께, 등)을 조정하는 것은 브릿지부(20a)의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들에서, 브릿지부(20a)의 저항의 증가함에 따라, 브릿지부(20a)는 퓨즈로 간주될 수 있으므로, 전류가 너무 높으면 브릿지부(20a)가 녹을 수 있다.
표 1은 이 실시예의 브릿지부의 사양의 예시를 도시한다.
표 1
재료: Ni200 (순 니켈)
전기 저항률ρ(Ωm)=9E-08
용융점(°C)=1455
비열 용량(J/g*K)=0.452
밀도 (g/cm3)=8.9
길이 L (mm) 2.5
폭 W (mm) 0.3
두께 (mm) 0.3
단면적 (m2) 0.00000009
표면적 (m2) 0.0000015
체적 (m3) 2.25E-10
질량 (g) 0.0020025
저항 R(Ω) 0.025
수량 2
총 저항 R(Ω) 0.005
전류 (A) 20
전력 (W) 2
표 2는 다양한 조건들 하에 표 1의 브릿지부 점 용접의 결과들을 도시한다.
표 2
시간(s) 니켈 시트의 열 방출/열량을 고려하지 않음(J) 니켈 시트의 열 방출/온도 상승을 고려하지 않음(°C) 니켈 시트 표면의 대류열 방출 열량(J) 니켈 시트의 대류열 방출/열량을 고려함(J) 니켈 시트의 대류열 방출/온도 상승을 고려함(°C)
0.01 0.02 22.09627 9.94332E-06 0.019990057 22.08529
0.05 0.1 110.4814 0.000248583 0.099751417 110.2067
0.1 0.2 220.9627 0.000994332 0.199005668 219.8642
0.15 0.3 331.4441 0.002237248 0.297762752 328.9724
0.2 0.4 441.9255 0.003977329 0.396022671 437.5313
0.25 0.5 552.4068 0.006214577 0.493785423 545.5409
0.3 0.6 662.8882 0.008948991 0.591051009 653.0012
0.35 0.7 773.3696 0.012180571 0.687819429 759.9123
0.4 0.8 883.8509 0.015909317 0.784090683 866.2741
0.45 0.9 994.3323 0.020135229 0.879864771 972.0866
0.5 1 1104.814 0.024858308 0.975141692 1077.35
0.55 1.1 1215.295 0.030078552 1.069921448 1182.064
0.6 1.2 1325.776 0.035795963 1.164204037 1286.229
0.65 1.3 1436.258 0.04201054 1.25798946 1389.844
0.7 1.4 1546.739 0.048722283 1.351277717 1492.91
표 1 및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릿지부들(20a)은 표1에 기재된 사양에 따라 만들어진다. 즉, 각 브릿지부(20a)는 2.5mm의 길이, 0.3mm의 폭, 및 0.3mm의 두께를 가지므로, 각 브릿지부(20a)는 큰 저항을 갖는다. 이러한 경우에, 20A의 전류가 브릿지부(20a)를 통해 흐르면, 브릿지부(20a)는 용융 온도에 도달하여 파괴되기까지 약 0.7초가 걸린다. 이는 브릿지부(20a)의 높은 저항으로 인해, 갑작스러운 고전류가 브릿지부(20a) 상에 대량의 열 축적을 야기할 수 있고 브릿지부(20a)의 온도를 갑자기 상승시켜 브릿지부(20a)를 녹일 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브릿지부(20a)의 크기(예를 들면, 폭, 길이 및/또는 두께)를 조정하는 것이 브릿지부(20a) 자체가 단락 사고 등의 경우에 퓨즈가 되도록 도울 수 있고, 이에 따라 적용 범위가 확장되고 안전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브릿지부(20a)는 정격 전류에서 허용 가능한 온도 범위 내에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 버스바(1a)는 다음의 이점들을 갖는다.
(a) 저가의 점 용접 장치를 계속 사용하여 점 용접 공정을 수행한다;
(b) 대향하게 배치된 브릿지부들을 갖는 함께 단자 접촉부들은 전류가 용접 지점들 및 단자를 통해 흐르도록 도와, 용접 품질을 보장하고 용접 공정이 수행되는 횟수를 감소시킨다;
(c) 전도성 시트는 금속시트를 절단한 다음 절곡하여 만들어지므로, 제조 비용이 낮고 제품이 넓은 적용 가능성을 갖는다.
(d) 단자 접촉부들에 의해 형성된 형상은 배터리 단자와 일치하고, 이는 단자 접촉부들을 배터리 단자들에 맞추어 정렬하도록 도와 제조 효율성을 증가시킨다;
(e) 브릿지부는 외력에 의해 야기된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 완충제로써 작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터리 버스바 및 배터리 단자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보장되고 배터리 버스바의 신뢰성이 증가된다.
(f) 특정 크기로 만들어진 브릿지부는 단락 사고 등의 경우에 퓨즈로 간주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적용 범위가 확장되고 안전성이 증가된다.
그러나, 본 문헌은 전술된 배터리 버스바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도 5는 배터리 상에 배치되어 있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버스바의 부분 확장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도이고, 도 7은 도 5의 배터리 버스바의 부분 평면도이다.
이 실시예는 배터리 버스바(1b)를 제공한다. 배터리 버스바(1b)는 커버(8b)를 거쳐 배터리(9b) 상에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배터리 버스바(1b)는 구리로 만들어지고, 배터리 버스바(1b)는 나사(7)를 거쳐 배터리(9b)의 단자(91b) 상에 고정된다. 상기 배터리(9b)는, 예를 들어, 자동차용 배터리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버스바(1b)는 일체로 만들어지고 전도성 시트(10b), 2개의 브릿지부들(20b) 및 2개의 단자 접촉부들(30b)을 포함한다. 전도성 시트(10b)는 공동부(110b)를 갖는다. 각 단자 접촉부(30b)는 "C" 형상이다. 2개의 단자 접촉부들(30b)은 2개의 브릿지부들(20b)을 거쳐 공동부(110b)의 상이한 면들에 각각 연결된다. 예를 들어, 2개의 브릿지부들(20b)은 공동부(110b)의 2개의 대향하는 면들에 각각 연결된다. 단자 접촉부들(30b)은 나사(7)의 삽입을 위한 고정홀(310)을 함께 형성하고, 나사(7)는 단자(91b) 내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외력이 전체 시스템에 적용되어 진동을 야기할 때, 배터리(9b) 및 전도성 시트(10b)는 상대 변위를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이 시점에서, 브릿지부들(20b)은 또한 단자 접촉부들(30b) 및 단자(91b) 사이의 연결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도성 시트(10b) 및 단자(91b) 사이의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 완충제로써 작용할 수 있다.
게다가, 브릿지부들(20b)은 특정 크기로 만들어져서, 단락 사고 등의 경우에 퓨즈로도 간주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 실시예에서, 각 브릿지부(20b)는 사전 제작된 노치(pre-made notch, 210)를 갖는다. 사전 제작된 노치(210)는 퓨즈의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 브릿지부(20b)의 저항을 증가시키도록 돕는다. 또한, 외력이 너무 클 때, 브릿지부(20b)는 사전 제작된 노치(210)로부터 파괴되는 경향이 있다. 사전 제작된 노치(210)를 설정하는 것의 이점은 외력이 너무 크고 배터리(9b) 및 전도성 시트(10b) 사이의 큰 상대 변위를 가질 때 사전 제작된 노치(210)로부터 브릿지부(20b)가 파괴됨으로써 응력이 단자(91b) 상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문헌은 전술된 사전 제작된 노치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여, 도 8은 도 5의 배터리 버스바의 또 다른 예시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브릿지부(20b)는 브릿지부(20b)의 뿌리들이 들쭉날쭉하도록 엇갈린(staggered) 하나 이상의 사전 제작된 컷오프(pre-made cut-off, 220)를 갖는다. 유사하게, 사전 제작된 컷오프들(220)은 전술된 사전 제작된 노치(210)와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문헌은 브릿지부들 및 단자 접촉부들의 수량 및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서, 본 문헌은 전류 경로의 수량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공동부의 수량은 2개 이상일 수 있고, 각 공동부에서, 단자 접촉부들 및 브릿지부들의 수량은 2개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도 9는 각 공동부에서 3개의 브릿지부들(20c) 및 3개의 단자 접촉부들(30c)을 포함하는 배터리 버스바(1c)를 제공한다. 도 9의 경우에, 전류 경로들의 수량은 3개로 증가된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도 10은 4개의 브릿지부들(20d) 및 4개의 단자 접촉부들(30d)을 포함하는 배터리 버스바(1d)를 제공한다. 도 10의 경우에, 전류 경로들의 수량은 최대 4개이다. 물론, 브릿지부들 및 단자 접촉부들의 수량은 실제 요구사항들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터리 버스바들은 상호 교환 가능 한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배터리 버스바는 일체로 만들어지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여, 도 11은 본 문헌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버스바의 부분 확장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는 배터리 버스바(1e)를 제공한다. 배터리 버스바(1e)는 전도성 시트(10e), 2개의 브릿지부들(20e) 및 2개의 단자 접촉부들(30e)을 포함한다. 도 5의 배터리 버스바(1b) 및 이 실시예의 배터리 버스바(1e)는 상호교환 가능하다. 배터리 버스바(1e)는 일체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상세하게, 전도성 시트(10e)는 서로 독립적인 제1부분(10e1) 및 제2부분(10e2)을 포함한다. 제1부분(10e1)은 예를 들어, 나사 결합에 의해 제2부분(10e2)의 면에 고정된다. 제1부분(10e1) 및 제2부분(10e2)을 관통하는 공동부(110e)가 있다. 제1부분(10e1), 브릿지부들(20e) 및 단자 접촉부들(30e)은 일체로 만들어지고, 그 재료는 예를 들어 니켈이다. 제2부분(10e2)은 예를 들어 구리로 만들어진다. 이 실시예에서, 브릿지부들(20e)은 또한 전술된 실시예들의 브릿지부들과 동일한 효과, 즉 퓨즈 및 진동 완충제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물론, 이 실시예의 브릿지부들(20e)은 실제 요구사항들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전 제작된 노치들(210)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전 제작된 컷오프들(220)을 추가적으로 가질 수 있다. 또한, 브릿지부들(20e) 및 단자 접촉부들(30e)의 수량은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조정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배터리 버스바에 따르면, 단자 접촉부들 및 전도성 시트 사이에 연결된 브릿지부들은 외력에 의해 야기된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 완충제로써 작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터리 버스바 및 배터리 단자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보장하고 배터리 버스바의 신뢰성을 증가시킨다.
게다가, 대향하게 배치된 브릿지부들을 갖는 단자 접촉부들은 전류가 용접 지점들 및 배터리 단자를 통해 흐르도록 도와, 용접 품질을 보장하고 용접 공정이 수행되는 횟수를 감소시킨다.
더욱이, 특정 크기로 만들어진 브릿지부는 단락 사고 등의 경우에 퓨즈로 간주될 수 있어서, 이에 따라 적용 범위가 확장되고 안전성이 증가된다.
또한, 배터리 버스바는 금속시트를 절단한 다음 절곡하여 만들어지므로, 제조 비용이 낮고 제품이 넓은 적용 가능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배터리 버스바는 배터리 단자 상에 용접될 수 있거나(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터리 버스바) 배터리 단자 상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예를 들면, 도 5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터리 버스바). 전자의 경우, 배터리 단자의 형상과 일치되는, 단자 접촉부들에 의해 형성된 형상은 단자 접촉부들이 배터리 단자에 맞추어 정렬되도록 도와 제조 효율성을 증가시킨다. 후자의 경우, 배터리 상에 배터리 버스바의 장착은 나사 결합에 의해 간단하게 달성될 수 있고, 브릿지부들은 퓨즈의 기능을 보장하도록 저항을 증가시키고 배터리 단자 상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전 제작된 노치들을 갖는다.
당업자들에게는 본 문헌에 대해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만들어질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예시들은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로써 고려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의 청구 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표시된다.
1a: 배터리 버스바
10a: 전도성 시트
110a: 공동부
20a: 브릿지부
201: 제1단부
202: 제2단부
30a: 단자 접촉부
8a: 커버
810: 관통홀
9a: 배터리
91a: 단자

Claims (14)

  1. 적어도 하나의 내부 엣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 엣지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동부를 갖는 전도성 시트;
    적어도 2개의 브릿지부들; 및
    적어도 2개의 단자 접촉부들;
    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브릿지부들 각각은, 서로 대향하는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가지고, 상기 적어도 2개의 브릿지부들의 상기 제1단부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동부를 형성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 엣지의 2개의 대향하는 면들에 각각 직접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단자 접촉부들은,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브릿지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 엣지의 상기 2개의 대향하는 면들에 각각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적어도 2개의 브릿지부들의 상기 제2단부들에 각각 직접 연결되며, 여기서 폭 방향은 상기 적어도 2개의 브릿지부들 중 하나의 상기 제1단부 및 상기 제2단부를 통과하는 선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것으로 정의되고, 폭 방향을 따라, 상기 브릿지부의 폭은 상기 단자 접촉부의 폭보다 작은 배터리 버스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브릿지부들은 상기 전도성 시트에 대해 절곡 가능하여, 상기 적어도 2개의 단자 접촉부들이 상기 전도성 시트와 동일 평면이 아니도록 절곡될 수 있는 배터리 버스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시트, 상기 적어도 2개의 단자 접촉부들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브릿지부들은 일체로 만들어지는 배터리 버스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브릿지부들 각각은 사전 제작된 노치를 갖는 배터리 버스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브릿지부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사전 제작된 컷오프를 갖는 배터리 버스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시트는 상기 적어도 2개의 단자 접촉부들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브릿지부들로부터 독립적인 배터리 버스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시트는 서로 독립적인 제1부분 및 제2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제2부분의 면에 고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동부는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을 관통하고, 상기 제1부분, 상기 적어도 2개의 단자 접촉부들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브릿지부들은 일체로 이루어지는 배터리 버스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단자 접촉부들에 의해 형성된 형상은 배터리의 단자의 형상과 일치하는 배터리 버스바.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단자 접촉부들 각각은 반원형이고, 상기 적어도 2개의 브릿지부들 각각은 가늘고 긴 형상인 배터리 버스바.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단자 접촉부들 각각은 C 형상이고, 상기 적어도 2개의 브릿지부들 각각은 가늘고 긴 형상인 배터리 버스바.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단자 접촉부들은 함께 결합하여 고정홀을 형성하는 배터리 버스바.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동부의 수량은 복수인 배터리 버스바.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단자 접촉부들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브릿지부들은 수량이 동일한 배터리 버스바.
KR2020180005561U 2017-12-05 2018-12-03 배터리 버스바 KR20049317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6218078 2017-12-05
TW106218078U TWM559515U (zh) 2017-12-05 2017-12-05 電池匯流排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352U KR20200000352U (ko) 2020-02-13
KR200493175Y1 true KR200493175Y1 (ko) 2021-02-10

Family

ID=62950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561U KR200493175Y1 (ko) 2017-12-05 2018-12-03 배터리 버스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58910B2 (ko)
JP (1) JP3219703U (ko)
KR (1) KR200493175Y1 (ko)
CN (1) CN207896184U (ko)
TW (1) TWM559515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71937B (zh) * 2018-05-25 2019-09-11 加百裕工業股份有限公司 電池導片結構
CN111312974B (zh) * 2018-12-11 2023-04-07 太普动力新能源(常熟)股份有限公司 具有两种不同的电池模组的储能系统
TWI702771B (zh) * 2018-12-19 2020-08-21 大陸商太普動力新能源(常熟)股份有限公司 具有兩種不同的電池模組的儲能系統
CN109742310A (zh) * 2019-03-13 2019-05-10 江苏塔菲尔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动力电池的顶盖
NO20190681A1 (en) 2019-05-28 2020-11-30 Grenland Energy As A battery module
CN110581299B (zh) * 2019-09-25 2022-11-18 的卢技术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电池模组
KR102227007B1 (ko) * 2020-05-20 2021-03-12 인셀(주) 연쇄발화 방지를 고려한 이차 전지 집합구조의 전기적 연결 형상
KR102191300B1 (ko) * 2020-05-20 2020-12-15 인셀(주) 연쇄발화 방지를 고려한 이차 전지 집합구조의 전기적 연결 형상
KR20220152626A (ko) 2021-05-10 2022-11-17 김민지 ㄴ자형 손잡이 높낮이 조절 손수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4097A1 (ja) * 2013-10-31 2015-05-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JP2017076491A (ja) * 2015-10-14 2017-04-20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二次電池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71066B2 (en) 2004-12-22 2008-12-30 Odyne Corporation Battery management and equalization system for batteries using power line carrier communications
TWI318017B (en) 2006-07-21 2009-12-01 First Grace Man Ltd Safe li-ion cell pack
JP5466906B2 (ja) * 2009-09-18 2014-04-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CN102473892A (zh) 2010-06-02 2012-05-2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池组件
CN102097844B (zh) 2011-01-17 2015-08-19 余维 一种智能电池管理系统
CN102916458B (zh) 2011-08-05 2015-06-17 凹凸电子(武汉)有限公司 电池均衡系统、电路及其方法
TWI488352B (zh) 2012-11-30 2015-06-11 原瑞電池科技股份有限公司 鋰電池模組
US9490465B2 (en) 2013-03-11 2016-11-08 Atieva, Inc. Z-shaped bus bar for a battery pack
CN203617379U (zh) 2013-12-18 2014-05-28 山东精工电子科技有限公司 免点焊成型镍片
CN104716289A (zh) 2015-03-17 2015-06-17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锂电池模组的安全防护结构
CN205211838U (zh) 2015-12-25 2016-05-04 成都雅骏新能源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锂离子电池组的汇流排
KR101985387B1 (ko) * 2016-03-14 2019-06-03 신흥에스이씨주식회사 내구성이 우수한 배터리팩
CN205882046U (zh) 2016-04-26 2017-01-11 深圳市沃特玛电池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组连接片结构
CN205863278U (zh) 2016-06-30 2017-01-04 东莞市杉达金属制品有限公司 动力电池汇流排
CN206022497U (zh) 2016-08-30 2017-03-15 东莞市佳超五金科技有限公司 一种连接结构
CN206022500U (zh) 2016-08-30 2017-03-15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一种自带保险装置的方形电池极片
CN206059497U (zh) 2016-09-19 2017-03-29 胜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车用电池模组铜软连接片
CN206040792U (zh) 2016-09-19 2017-03-22 漳州万宝能源科技有限公司 高功率电池组连接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4097A1 (ja) * 2013-10-31 2015-05-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JP2017076491A (ja) * 2015-10-14 2017-04-20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二次電池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58910B2 (en) 2021-10-26
US20190173072A1 (en) 2019-06-06
JP3219703U (ja) 2019-01-17
TWM559515U (zh) 2018-05-01
CN207896184U (zh) 2018-09-21
KR20200000352U (ko) 2020-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3175Y1 (ko) 배터리 버스바
JP7307213B2 (ja) 電池モジュール
JP6775109B2 (ja) 電極部材および集電板、電池ブロック
JP6006134B2 (ja) 接続部材
US11749858B2 (en) Bus bar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20150348731A1 (en) Compact high voltage power fuse and methods of manufacture
KR101413863B1 (ko) 퓨즈
JP2008091183A (ja) 角型電池と組電池
JP2010282811A (ja) パック電池
US10916757B2 (en) Battery, battery module for the battery, and bus bar therefor
JP5244356B2 (ja) 独立仕切式パワー電池組
US9667006B2 (en) Electrically symmetrical battery cell connector
CN111201636A (zh) 用于电动车辆电池块的带状连接互连件
JP7072910B2 (ja) 安全性を向上可能なバッテリモジュール
WO2012171071A1 (en) Adaptor interface
CN109390505B (zh) 蓄电装置
JP7474619B2 (ja) 組電池
JP2021153020A (ja) 組電池
JP2003022798A (ja) リンクヒューズ
JP2021153018A (ja) バスバーおよび組電池
CN215816478U (zh) 电连接结构
WO2017138318A1 (ja) バスバー及びバスバーの製造方法
CN212257536U (zh) 电池模组
CN219017877U (zh) 一种电芯热保护连接结构及电池模组
JP7474618B2 (ja) バスバーおよび組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