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891Y1 - 가축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가축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891Y1
KR200492891Y1 KR2020190001086U KR20190001086U KR200492891Y1 KR 200492891 Y1 KR200492891 Y1 KR 200492891Y1 KR 2020190001086 U KR2020190001086 U KR 2020190001086U KR 20190001086 U KR20190001086 U KR 20190001086U KR 200492891 Y1 KR200492891 Y1 KR 2004928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hole
operating rod
livestock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0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101U (ko
Inventor
이창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연합축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연합축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연합축산
Priority to KR20201900010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891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1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1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8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8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25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 A01K5/0233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dispensing by dosing means actively operated by the anim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축들이 작동봉을 밀어주는 동작에 따라 호퍼 내부의 사료가 사료받침대로 자동 배출되도록 하며, 또한 일부의 사료가 지지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쌓여 부패되지 않도록 한 가축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 유도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료 배출관의 내부 공간에 위치한 상태로 고정되며 중앙으로는 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양측으로는 통로부를 형성시키는 지지프레임, 상기 사료 배출관의 배출구멍 외부로 끝단이 노출되고 그 선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구멍을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되, 상기 구멍 보다 직경이 작게 제작하여 가축들이 상기 배출구멍의 외부로 노출된 끝단을 밀어 주는 동작에 따라 상기 구멍을 중심으로 틸팅 동작을 수행하는 작동봉, 상기 작동봉의 선단 외경에 결합되며 상기 호퍼의 출구 아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작동봉의 틸팅 동작에 따라 상면에 쌓여 있는 사료를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 통로부를 통해 사료배출관의 배출구멍으로 떨어뜨리는 사료배출유도판 및 상기 작동봉의 선단이 끼워지기 위한 공간을 가지며 상기 작동봉의 선단과 상기 사료배출유도판 사이의 틈을 차단시키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가축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 유도장치{Feeding discharge inducing apparatus for livestock feeding}
본 고안은 가축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 유도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축들이 작동봉을 밀어주는 동작에 따라 호퍼 내부의 사료가 사료받침대로 자동 배출되도록 하며, 또한 일부의 사료가 지지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쌓여 부패되지 않도록 한 가축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돼지사료 급여장치는 하부에 사료 배출수단을 가지는 호퍼와 그 아래의 용기 즉 받침대로 구성된다. 그리고 물을 먹을 수 있도록 일측에 급수장치를 가지게 됨에 따라 이는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로 구분된다.
한편, 상기한 돼지사료 급여장치와 관련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본 출원인이 2006년 4월 18일자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하여, 2006년 06월 20일자로 등록받은 등록번호 제 20-0419952 호(명칭: 돼지사료 급여장치)(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사료저장통 하부에 레버의 작동으로 회전하는 회전판이 구비되고 그 아래에 받침대로 구성되며 일측으로 물공급관에 연결된 급수니플들이 장착되는 돼지사료 급여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저장통 상부에 설치된 배출량 조절핸들에 의해서 수직으로 작동되며 하단부에 양측으로 갈라지는 다리가 형성된 세로조절봉과, 상기 세로조절봉과 조립되어 사료저장통 하부의 배출구 외측에서 수직으로 작동하고, 회전판 상면에 안치되어 간격을 조절하는 원통형의 조절구와, 상기 조절구 외측으로 끼워지는 링이 구비되고 상기 링 외측 하부에 네개 이상의 긁기판들이 구성되는 스크레이퍼로 구성됨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스크레이퍼를 가축들이 밀어 회전판을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회전판은 수평선상으로만 회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회전판에 쌓인 사료는 오로지 회전판의 수평 회전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하며 사료받침대로 떨어지게 됨으로서 사료의 배출량이 많지 않으며, 또한 스크레이퍼가 사료받침대의 중앙돌출부 외면에 근접 설치된 관계로 가축들이 주둥이로 스크레이퍼를 밀어주기가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다른 선행기술에는 작동봉을 사료배출관 아래로 노출한 상태에서 상기 작동봉을 가축이 주둥이로 밀어주면 사료판에 쌓인 사료가 떨어지며 사료가 배출되도록 한 장치가 개발된 바 있으나, 상기 선행기술은 작동봉이 사료판에 설치될 때, 사료판과 작동봉 사이에 틈새로 흘러내려 사료판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프레임에 사료가 쌓이게 되면서 부패되고 부패된 사료를 가축들이 섭취하게 됨으로서 질병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따라서 지지프레임에 쌓인 사료를 주기적으로 청소해야하는 번거로움과, 청소를 위해 분리장치를 별도로 비용을 들여서 구성해야하는 원가 상승 요인이 있었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419952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가축들이 작동봉을 밀어주는 동작에 따라 호퍼 내부의 사료가 사료받침대로 자동 배출되도록 한 가축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 유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료배출유도판의 상면에 쌓여있는 사료가 아래의 지지프레임으로 떨어져서 쌓이지 않도록 하여 사료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가축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 유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료가 저장되는 호퍼, 상기 호퍼 아래에 위치하는 사료받침대, 상기 호퍼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호퍼에 저장된 사료를 아래의 배출구멍을 통해 상기 사료받침대로 배출하는 사료배출관으로 구성한 가축용 급이기에서 상기 사료 배출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사료의 배출을 유도하는 가축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 유도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 배출관의 내부 공간에 위치한 상태로 고정되며 중앙으로는 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양측으로는 통로부를 형성시키는 지지프레임, 상기 사료 배출관의 배출구멍 외부로 끝단이 노출되고 그 선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구멍을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되, 상기 구멍 보다 직경이 작게 제작하여 가축들이 상기 배출구멍의 외부로 노출된 끝단을 밀어 주는 동작에 따라 상기 구멍을 중심으로 틸팅 동작을 수행하는 작동봉, 상기 작동봉의 선단 외경에 결합되며 상기 호퍼의 출구 아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작동봉의 틸팅 동작에 따라 상면에 쌓여 있는 사료를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 통로부를 통해 사료배출관의 배출구멍으로 떨어뜨리는 사료배출유도판 및 상기 작동봉의 선단이 끼워지기 위한 공간을 가지며 상기 작동봉의 선단과 상기 사료배출유도판 사이의 틈을 차단시키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가축들이 작동봉을 밀어주는 동작에 따라 호퍼 내부의 사료가 사료받침대로 자동 배출되도록 하며, 또한 사료가 쌓여 있는 사료 배출 유도판이 작동봉과 함께 틸팅 동작하며 사료를 떨어뜨리도록 하여 사료를 보다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고안은 사료배출유도판과 작동봉 사이 틈을 캡으로 밀폐 구성함으로서 사료배출유도판의 상면에 쌓여있는 사료가 아래의 지지프레임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사료의 부패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 유도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주요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입체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고안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축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 유도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가축용 급이기는 사료가 담기는 사료받침대(20), 호퍼(10) 및 사료배출관(3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사료받침대(20)는 호퍼(10) 및 급수배관을 통해 공급된 사료와 물을 담아 돼지들이 섭취할 수 있도록 담아 저장하게 된다.
상기 사료받침대(30)는 중앙으로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둘레를 따라 사료를 담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이 함몰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호퍼(10)는 상기 사료받침대(20) 위에 일정거리 떨어지게 위치한 상태에서 일정량의 사료를 저장하는 수단으로서, 내부에는 사료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며, 그 하단에는 사료배출관(30)이 형성된다.
상기 사료배출관(30)은 원통의 파이프 형태로서 상기 호퍼(10)의 하단 출구 아래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호퍼(10) 내부 공간에 저장된 사료를 상기 호퍼(10) 아래의 사료받침대(20)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사료배출관(30)의 내부에는 본 고안의 사료 배출 유도장치(100)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32)이 마련되고 그 하단 중앙에는 사료를 사료받침대(20)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멍(34)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사료 배출 유도장치(100)는 상기 사료 배출관(30)의 내부 공간(32)에 설치되며 가축들이 작동봉(60)을 밀어주는 동작에 따라 사료 배출유도판(70)이 틸팅 동작하며 움직이도록 구성하여 상기 사료 배출 유도판(70)에 쌓인 사료를 지지프레임(50)의 통로부(56)를 통해 사료 배출관(30)의 배출구멍(34)으로 신속하게 떨어뜨릴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사료는 통로부(56)외에 360°전체적으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 사료 배출 유도장치(100)는 상기 지지프레임(50), 작동봉(60), 사료 배출 유도판(70) 및 캡(8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50)은 상기 작동봉(60) 및 사료 배출 유도판(70)을 사료배출관(30)의 내부 공간(32)에 지지시키는 프레임으로서,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전, 후면에는 고정플레이트(54)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54)의 양단은 상기 사료 배출관(30)의 내부 공간(32)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프레임(50)을 상기 사료 외부 배출관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지지프레임(50)과 상기 고정플레이트(54)는 그 길이를 서로 다르게 구성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플레이트(54)의 길이를 상기 지지프레임(50) 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 고정플레이트(54)의 양단이 사료 배출관(30)의 내부공간 내면에 고정되고 나면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양측에는 사료가 통과하기 위한 통로부(56)가 마련되도록 한다.
상기 작동봉(60)은 끝단은 상기 사료 배출관(30)의 배출구멍(3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그 선단은 상기 지지프레임(50)의 구멍(52)을 관통한 상태에서 사료 배출 유도판(70)에 끼워지도록 하여 상기 사료 배출 유도판(70)을 상기 작동봉과 함께 흔들어주도록 하여 사료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작동봉(60)의 직경은 상기 지지프레임(50)의 구멍(52) 직경 보다 작은 지경을 가지도록 제작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가축들이 작동봉(60)을 밀어줄 때, 상기 작동봉(60)이 수평 방향으로 전, 후, 좌, 우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사료 배출 유도판(70)은 평판의 플레이트 타입으로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상면에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작동봉(60)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봉(60)의 동작으로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며 상면에 쌓여 있는 사료를 지지프레임(50)의 양측 통로부와 360° 전제적으로 떨어뜨리게 된다.
상기 사료 배출 유도판(70)과 상기 사료 배출관(30)의 사이에는 사료가 빠져나올 수 있는 틈새가 마련되며, 따라서 사료 배출관(30)을 통해 상기 사료 배출 유도판(70)의 상면에 쌓여진 사료는 상기 작동봉(60)의 동작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사료 배출 유도판(70)을 통해 지지프레임(50)의 양측 통로부(56)로 신속하게 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사료 배출 유도판(70)에 결합되어 있는 작동봉(60)의 선단은 상기 사료 배출 유도판(70)의 위로 일부 노출된 상태로 결합되는 데, 이때 사료 배출 유도판(70)의 상면에 쌓여 있는 사료는 상기 사료 배출 유도판(70)과 상기 작동봉(60)의 선단 사이 틈으로 유입되어 사료 배출 유도판(70)의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지지프레임(50)의 상면에 계속적으로 쌓이게 되는 데, 지지프레임(50)에 쌓인 사료는 외부로 배출되지 못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사료의 부패를 유발하는 원인으로 작용하며, 따라서 지지프레임(50)으로 사료가 쌓이지 않도록 차단할 필요가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사료 배출 유도판(70)의 상면으로 노출된 작동봉(50)의 선단에는 캡(80)이 씌워지도록 한다.
상기 캡(80)은 하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상기 작동봉(60)의 선단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82)이 형성되고 그 하단 외면에는 플랜지부(84)를 연장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부(84)는 상기 사료 배출 유도판(7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용접 접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캡(80)은 플랜지부(84)를 구성하지 않고 사료배출유도판(70)에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캡(80)을 상기 사료배출 유도판을 통과시킨 상태로 용접으로 결합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캡(80)이 작동봉(60)의 선단에 덮혀지고 나면 캡(80)의 플랜지부(840)는 사료 배출 유도판(70)의 상면에 밀착되며 작동봉(60)과 사료 배출 유도판(70)의 사이 틈을 밀폐시키게 되며, 따라서 사료가 사료 배출 유도판(70) 아래의 지지프레임(50)으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사료의 부패를 차단할 수 있다.
10: 호퍼 30: 사료배출관
50: 지지프레임 52: 구멍
56: 통로부 60: 작동봉
70: 사료배출유도판 80: 캡
84: 플랜지

Claims (1)

  1. 사료가 저장되는 호퍼(10), 상기 호퍼(10) 아래에 위치하는 사료받침대(20), 상기 호퍼(10)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호퍼(10)에 저장된 사료를 아래의 배출구멍(34)을 통해 상기 사료받침대(20)로 배출하는 사료배출관(30)으로 구성한 가축용 급이기에서 상기 사료 배출관(30)의 내부 공간(32)에 위치한 상태로 고정되며 중앙으로는 구멍(52)이 관통 형성되고 양측으로는 통로부(56)를 형성시키는 지지프레임(50), 상기 사료 배출관(30)의 배출구멍(34) 외부로 끝단이 노출되고 그 선단은 상기 지지프레임(50)의 구멍(52)을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되, 상기 구멍(52) 보다 직경이 작게 제작하여 가축들이 상기 배출구멍(34)의 외부로 노출된 끝단을 밀어 주는 동작에 따라 상기 구멍(52)을 중심으로 틸팅 동작을 수행하는 작동봉(60), 상기 작동봉(60)의 선단 외경에 결합되며 상기 호퍼(10)의 출구 아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작동봉(60)의 틸팅 동작에 따라 상면에 쌓여 있는 사료를 상기 지지프레임(50)의 통로부(56)를 통해 사료배출관(30)의 배출구멍(34)으로 떨어뜨리는 사료배출유도판(70)으로 구성한 가축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 유도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봉(60)의 선단이 끼워지기 위한 공간(82)을 가지며 상기 작동봉(60)의 선단에 끼워지는 캡(80)을 포함하며;
    상기 캡(80)의 하단 외면에는;
    상기 사료 배출 유도판(7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용접되며 상기 작동봉(60)의 선단과 상기 사료배출유도판(70)의 사이 틈을 차단시키는 플랜지(84)가 일체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 유도장치.

KR2020190001086U 2019-03-18 2019-03-18 가축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 유도장치 KR2004928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086U KR200492891Y1 (ko) 2019-03-18 2019-03-18 가축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086U KR200492891Y1 (ko) 2019-03-18 2019-03-18 가축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 유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101U KR20200002101U (ko) 2020-09-28
KR200492891Y1 true KR200492891Y1 (ko) 2020-12-29

Family

ID=72661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086U KR200492891Y1 (ko) 2019-03-18 2019-03-18 가축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891Y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2678Y1 (ko) * 1997-03-13 1999-07-15 송태섭 가축사료 자동공급장치
KR200419952Y1 (ko) 2006-04-18 2006-06-26 이창현 돼지사료 급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101U (ko) 2020-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9508B2 (en) Water feeder for pets and filter therefor
KR101618240B1 (ko)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
JP4921679B2 (ja) 自動給餌装置
US6691640B1 (en) Animal feeder insert with desiccant cavity
KR101692761B1 (ko) 돼지사료 급여장치의 사료받침대 스크래퍼
KR100913645B1 (ko) 양돈용 급여기의 사료 및 식수 받침대
KR20130029155A (ko) 축산용 식수 및 사료 급여기
KR101718841B1 (ko) 돼지사료 급여장치
KR200492891Y1 (ko) 가축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 유도장치
KR101737522B1 (ko) 축산용 사료 공급장치
US6659040B1 (en) Self-metering feed dispensing system
KR102142184B1 (ko) 센서가 설치되는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
KR101608711B1 (ko) 사료 급이기의 사료배출장치
KR200369245Y1 (ko) 돼지사료 급여장치.
KR20170133205A (ko) 돼지사료 급여기의 사료조 분리장치
KR101963490B1 (ko) 액상 사료 급여기
KR101573265B1 (ko) 사료급이기의 사료 토출장치
US2505396A (en) Rabbit feeder
KR102292962B1 (ko) 액상사료 급여기의 사료조
KR101730103B1 (ko) 사료 계량통의 사료 배출 장치
KR101683363B1 (ko) 돼지사료 급여장치
SE529033C2 (sv) Anordning vid behållare för bränngods anordnat att transporteras medelst en transportör från behållaren till efterföljande hantering
KR101901052B1 (ko) 방습식 자동 먹이 급여기
KR101979227B1 (ko) 양돈용 사료공급기
KR200316988Y1 (ko) 양돈용 사료 공급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