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2678Y1 - 가축사료 자동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가축사료 자동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2678Y1
KR200152678Y1 KR2019970004664U KR19970004664U KR200152678Y1 KR 200152678 Y1 KR200152678 Y1 KR 200152678Y1 KR 2019970004664 U KR2019970004664 U KR 2019970004664U KR 19970004664 U KR19970004664 U KR 19970004664U KR 200152678 Y1 KR200152678 Y1 KR 2001526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auxiliary
auxiliary discharge
cylinder
livest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46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0578U (ko
Inventor
송태섭
Original Assignee
송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태섭 filed Critical 송태섭
Priority to KR20199700046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2678Y1/ko
Publication of KR199800605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05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26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26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6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actuated by the anim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축에게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돼지우리에 설치하여 돼지에게 사료를 공급하되, 공급되는 사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료를 먹는 가축의 충격작동에 의하여 일정량씩 사료를 공급하도록 하는 가축사료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단부가 상광하협의 역삼각형으로 형성된 통체(10)의 좌우 양측에서 지지대(11)로서 지지하며, 상기 지지대(11)에 양측으로 급수관(12)을 장착하며, 하단부에 급식통(13)을 형성하여서 된 통상의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체(10)의 하단부를 길게 연장하여 협소통로(14)를 형성하고, 그 말단부에 좌,우양측으로 확장된 확장통로(15)(15')를 각각 형성한 보조배출통(16)을 장착하며, 상기 보조배출통(16)의 내측 중앙 상부에 협소통로(14)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차단판(18)을 고정설치하며, 이 차단판(18)의 상측에 한쌍의 보조차단판(19)(19')을 중첩하되 보조배출통(16)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고정된 고정축봉(20)에 회동가능토록 삽착된 한쌍의 작동간(21)(21')을 상기 보조차단판(18)(18')에 각각 유착하였으며, 상기 보조배출통(16)의 내측에 확장통로(15)(15')를 차단하는 ㄷ 자형의 조절판(22)을 삽입하여 보조배출통(16)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하며, 상기 조절판(22)의 승강에 의하여 사료의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하여서 된것이다.

Description

가축사료 자동공급장치
본 고안은 가축에게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돼지우리에 설치하여 돼지에게 사료를 공급하되, 공급되는 사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료를 먹는 가축의 충격작동에 의하여 일정량씩 사료를 공급하도록 하는 가축사료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돼지에게 자동으로 사료를 공급하기 위한 자동공급장치가 제안되어 있었다.
첨부도면 제1도는 종래의 가축사료 자동공급장치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그 구조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료가 충진되는 통체(1)를 좌, 우 양측에서 지지대(2)(2')로 지지되고, 각각 급수관(3)(3')이 연결설치되며, 그 하단부에는 사각형의 급식통(4)이 형성된 것이며, 상기 통체(1)의 하단부는 상광하협의 역삼각형으로 형성하고, 그 최하단부에 배출공(5)을 형성하되, 내측에 상기 배출공(5)의 직경보다 큰 중량의 원구(6)를 삽입하여 그 일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그 위에 반구형의 조절캡(7)을 씌워서 된 것이다.
이와같은 구조로 된 종래의 사료자동공급장치는, 돼지가 사료를 먹기 위하여 급식통(4)에 머리를 넣으면, 돼지의 코끝부분이 상기 원구(6)를 건들여 상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원구(6)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통체(1)내에 있던 사료가 일정량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일정량 배출되는 사료를 먹으면서 돼지는 계속적으로 원구(6)를 건드리게 되어 지속적으로 일정량의 사료가 배출되게 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사료공급장치는 배출공(5)을 차단하고있는 원구(6)가 상당한 무게를 유지하여야 작동이 되는 것이고, 이는 돼지의 코끝을 강하게 자극시키는 것이어서 돼지에게 타격에 의한 스트레스를 제공하게 됨으로써 성장속도에 막대한 지장을 주게되는 중대한 문제점이 있는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급식통(4)에 공급되는 식수의 수분이 배출공(5)을 통하여 통체(1)의 내부로 투입되고, 투입되는 수분에 의하여 배출공(5)의 내주연부에 사료가 엉기게 되며, 이에 의하여 사료와 원구가 긴밀하게 밀착되어 종래에는 원구(6)가 효과적으로 작동되지 못하게 됨으로써 사료의 공급이 중간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고자 안출 된 것으로써, 사료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완전히 차단하지 않고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되, 돼지가 먹이를 먹으면서 배출구에 투입되는 사료를 일정량씩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종래의 공급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측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통 체 11 : 지지대
12 : 급수관 13 : 급식통
14 : 협소통로 15,15' : 확장통로
16 : 보조배출통 17 : 유동공
18 : 차단판 19,19' : 보조차단판
20 : 고정축봉 21 : 작동간
22 : 조절판 23 : 조정간
첨부도면 제2도는 본 고안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의 측면도이며, 제5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하단부가 상광하협의 역삼각형으로 형성된 통체(10)의 좌우 양측에서 지지대(11)로서 지지하며, 상기 지지대(11)에 양측으로 급수관(12)을 장착하며, 하단부에 급식통(13)을 형성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통체(10)를 급식통(13)과 충분한 거리를 이격하도록 고정하며, 상기 통체(10)의 하단부를 길게 연장하여 협소통로(14)를 형성하고, 그 밑단부에 좌,우양측으로 확장된 확장통로(15)(15')를 각각 형성한 보조배출통(16)을 장착하며, 상기 보조배출통(16)의 내측 중앙 상부에 협소통로(14)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중앙부에 유도공(17)이 관통형성된 차단판(18)을 고정설치하며, 이 차단판(16)의 상측에 한쌍의 보조차단판(19)(19')을 중첩하며, 상기 한쌍의 보조차단판(19)(19')에는 보조배출통(16)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고정된 고정축봉(20)에 회동가능토록 삽착된 한쌍의 작동간(21)(21')을 각각 유착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보조배출통(16)의 내측에 확장통로(15)(15')를 차단하는 ㄷ 자형의 조절판(22)을 삽입하여 보조배출통(16)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하며, 상기 조절판(22)에는 조정간(23)을 장착하여 상기 통체(10)의 내측으로 연장하고, 그 말단을 통체(10)의 외부에 장착된 조절손잡이(24)와 연결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조절손잡이(24)에는 고정나사(25)를 설치하여 조절손잡이(24)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통체(10)의 하단에 설치되는 급식통(13)은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적어도 3마리 이상의 가축이 동시에 급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미설명부호 26은 작동간이 과도하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위한 스토퍼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자동공급장치는 두개의 우리 중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급식통(13)의 양측에서 각각 급식하도록 하는 것을 일반적이며, 급식통(13)의 하단부로 배출된 사료를 먹기 위하여 돼지가 머리를 들이밀면, 돼지의 코끝부분이 보조배출통(16)의 하단부로 연장된 작동간(21)을 밀게된다.
상기 작동간(21)이 밀리면, 고정축봉(2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작동간(21)이 고정축봉(20)을 중심으로 좌우로 흔들리게 되고, 상측에 고정된 보조차단판(19)(19')도 좌우로 요동하게 된다. 또한, 작동간(21)은 스토퍼(25)에 의해 과도하게 흔들리는 것이 제한된다.
이때, 보조차단판(19)(19')위에 쌓여진 사료가 좌우측으로 밀리면서 확장통로(15)(15')로 사료를 밀어서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돼지가 사료를 먹으면서 약간만 작동간(21)을 건드려도 사료가 공급되므로 작동간(21)의 작동충격이 돼지에게 극히 미세하게 전달되므로 충격에 의한 스트레스가 발생치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배출통(16)의 내측에 확장통로(15)(15')를 차단할 수 있는 조절판(22)이 장착되어 있어, 통체(10)의 외측에 장착된 조절손잡이(24)를 이용하여 상기 조절판(22)을 승강시켜 통로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간단하게 사료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고안의 사료 자동공급장치는 가축에게 자동으로 사료를 공급하되, 사료배출작용시 가축에게 충격에 따른 스트레스를 극소화하고, 급식통(13)에서 상승하는 수분에 의하여 보조차단판(19)위에 쌓인 사료가 경화되어도 상기 보조차단판(19)이 좌우로 흔들리면서 사료를 강제로 밀어서 배출하게 되므로 배출통로가 막힐 염려가 전혀없게 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하단부가 상광하협의 역삼각형으로 형성된 통체(10)의 좌우 양측에서 지지대(11)로서 지지하며, 상기 지지대(11)에 양측으로 급수관(12)을 장착하며, 하단부에 급식통(13)이 형성된 가축 사료 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체(10)의 하단부를 길게 연장하여 협소통로(14)를 형성하고, 그 말단부에 좌,우양측으로 확장된 확장통로(15)(15')를 각각 형성한 보조배출통(16)을 장착하며, 상기 보조배출통(16)의 내측 중앙 상부에 협소통로(14)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차단판(18)을 고정설치하며, 이 차단판(18)의 상측에 한쌍의 보조차단판(19)(19')을 중첩하되 보조배출통(16)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고정된 고정축봉(20)에 회동가능토록 삽착된 한쌍의 작동간(21)(21')을 상기 보조차단판(18)(18')에 각각 유착하였으며, 상기 보조배출통(16)의 내측에 확장통로(15)(15')를 차단하는 ㄷ 자형의 조절판(22)을 삽입하여 보조배출통(16)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하며, 상기 조절판(22)의 승강에 의하여 사료의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료 자동공급장치.
KR2019970004664U 1997-03-13 1997-03-13 가축사료 자동공급장치 KR2001526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664U KR200152678Y1 (ko) 1997-03-13 1997-03-13 가축사료 자동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664U KR200152678Y1 (ko) 1997-03-13 1997-03-13 가축사료 자동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578U KR19980060578U (ko) 1998-11-05
KR200152678Y1 true KR200152678Y1 (ko) 1999-07-15

Family

ID=19497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4664U KR200152678Y1 (ko) 1997-03-13 1997-03-13 가축사료 자동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26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642B1 (ko) * 2007-07-03 2009-07-2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무균돼지 이동용 통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891Y1 (ko) * 2019-03-18 2020-12-29 주식회사 연합축산 가축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 유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642B1 (ko) * 2007-07-03 2009-07-2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무균돼지 이동용 통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578U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9326Y1 (ko) 양돈용 급이기의 급수장치
US7779787B2 (en) Valve system with float control of liquid dispensing
EP1284599B1 (en) Automatic feeding device
ES2167266A1 (es) Conjunto para la alimentacion de animales.
US5447119A (en) Feeding device
KR20150062306A (ko)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
US4333189A (en) Automatic bee feeder
RU2145162C1 (ru) Кормораздатчик,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свиней
KR200152678Y1 (ko) 가축사료 자동공급장치
KR20080011625A (ko) 가축용 먹이공급기
KR101968659B1 (ko) 축산용 식수 공급장치
GB2276303A (en) Animal feeding apparatus
US5603286A (en) Animal alignment guide for a nipple valve waterer
US5865139A (en) Feeding device
EP0742685B1 (en) A feeding device
CN208783485U (zh) 湿拌料饲喂器
RU227777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рмления свиней
CA2208491C (en) Animal alignment guide for a nipple valve waterer
KR970001147Y1 (ko) 가축사료 자동급이장치
KR970014555A (ko) 사료 공급기
JPH0543656Y2 (ko)
KR200145844Y1 (ko) 가축사료 자동 급이기
MXPA97003892A (en) Food device, particularly for cer
CA2390577A1 (en) Bowl for livestock liquid supplement system
TH17551EX (th) เครื่องให้อาหารสัต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