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1625A - 가축용 먹이공급기 - Google Patents

가축용 먹이공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1625A
KR20080011625A KR1020060081786A KR20060081786A KR20080011625A KR 20080011625 A KR20080011625 A KR 20080011625A KR 1020060081786 A KR1020060081786 A KR 1020060081786A KR 20060081786 A KR20060081786 A KR 20060081786A KR 20080011625 A KR20080011625 A KR 20080011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eed
water supply
feeder
livest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1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미 후지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이 쇼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이 쇼카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이 쇼카이
Publication of KR20080011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16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25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50Livestock or poultry manage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수기(給水器)에서 항상 안정적인 수압을 유지할 수 있어 돼지를 효율적으로 생육할 수 있는 가축용 먹이공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료호퍼(2)로부터 바닥접시(12) 내부로 사료(a)를 낙하시켜 공급하는 동시에, 급수파이프(11)를 통해 급수기(10)로부터 물을 유출시켜 공급하는 가축용 먹이공급기(1)로서, 축사 내에서 다수의 가축용 먹이공급기(1,1,…)로 물을 공급하는 배수(配水)파이프(47)와 급수파이프(11)의 사이에 수압제어장치(14)를 설치한다. 수압제어장치(14)는 하우징(37) 내부에 플로트(float ; 40)가 설치된 장치 본체(28)로 이루어지며, 하우징(37) 내에 저류된 물(w)의 수위에 따라 플로트(40)가 상하로 이동하여, 하우징(37) 내부로 물(w)이 유입되는 것을 제어한다. 더욱이, 수압제어장치(14)는 장치 본체(28)의 상방부 또는 하방부에 유량조정밸브(29,30)가 부설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가축용 먹이공급기{FEEDER FOR DOMESTIC ANIMAL}
도 1은 본 발명의 가축용 먹이공급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가축용 먹이공급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행잉(hanging)부재 및 먹이량 조정기구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먹이량 조정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안내 실린더(筒體)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급수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7은 수압제어장치 및 그 지지판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8은 수압제어장치의 장치부 근방에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9는 수압제어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가축용 먹이공급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가축용 먹이공급기 2 : 사료호퍼
10 : 급수기 11 : 급수파이프
12 : 바닥접시 14 : 수압제어장치
28 : 장치 본체 29 : 상측 유량조정밸브
30 : 하측 유량조정밸브 37 : 하우징
40 : 플로트(float) 47 : 배수(配水)파이프
a : 사료 w : 물
본 발명은 돼지(仔豚) 등의 가축에게 먹이를 주기 위한 가축용 먹이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가축용 먹이공급기로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료호퍼(102), 행잉부재(103), 작동부재(104), 교반(攪拌)부재(105), 바닥접시(106) 등으로 구성된 가축용 먹이공급기(101)가 알려져 있다(가령, 특허문헌 1 참조).
상기 가축용 먹이공급기(101)는 돼지가 코나 입으로 작동부재(104)를 눌러 교반부재(105)를 흔듦(搖動)에 따라 사료호퍼(102) 내의 사료(a)가 교반되어, 하단의 배출구를 통해 바닥접시(106)로 사료(a)가 원활히 낙하하여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축용 먹이공급기(101)에는 사료호퍼(102)의 상단부에 지지부재(107)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재(107)의 중앙부에 행잉부재(103)의 상단부가 연결되는 동시에, 일단부에 먹이량 조정기구(10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먹이량 조정기구(108)에 의해 지지부재(107)를 회동시켜 행잉부재(103)를 적절히 상하이동시킴으로써 사료호퍼(102) 하단의 배출구의 개구면적을 조정하여, 바닥접시(106)로 낙하하여 공급되는 사료(a)의 양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 어 있다.
또, 상기 가축용 먹이공급기(101)에는 사료호퍼(102)의 하단부 외주에 둥근 링형상의 급수탱크(109)가 설치되고, 상기 급수탱크(109)의 둘레면에 적절한 간격으로 급수기(110)가 배치되는 동시에, 상면에 급수파이프(111)의 하단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돼지가 급수기(110)를 입에 물고 그 작용막대(110a)를 흔듦으로써 급수탱크(109) 내에 저류된 물을 마실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가축용 먹이공급기(101)에는 그 상단을 상기 급수탱크(109)의 둘레면에 고정부착시키고, 그 하단을 상기 바닥접시(106)의 둘레면에 고정부착시킨 만곡된 형상의 구획봉(112)이 적절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돼지는 상기 구획봉(112)으로 구획된 공간 내에 머리를 들이밀어 서로 싸우지 않고 사료 또는 식수를 먹거나 마실 수 있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019037호
상기 종래의 가축용 먹이공급기(101)에서 사료호퍼(102) 내의 사료(a)는, 하단의 배출구로부터 바닥접시(106)로 낙하시켜 먹도록 되어 있는데 반하여, 급수탱크(109) 내의 물은 급수기(110)로부터 유출시켜 직접 마시도록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사료(a)와 물은 별개로 섭취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돼지가 머리를 상하좌우로 흔듦에 따라 바닥접시(106) 내에 퇴적된 사료(a)가 분립(粉粒)상태가 되어 흩날려, 이것을 들이마시는 돼지에게 호흡기계 질환이 많이 발생하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종래의 가축용 먹이공급기(101)에서는 급수파이프(111)의 상단부에 파이프 지름이 큰 배수(配水)파이프(도시생략)의 분기부를 직접 연결하여, 상기 배수파이프의 기단부를 축사 전체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전(도시생략)에 접속하였다.
그리고, 축사 내에 설치된 다수의 가축용 먹이공급기(101,101,…)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배수파이프 내에는 높은 수압이 부여되었으며, 이에 따라 급수기(110)에서도 높은 수압이 부여되게 되었다.
이와 같이, 급수기(110)에서 높은 수압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돼지가 급수기(110)를 입에 물고 작용막대(110a)를 흔들면, 급수기(110)의 배출구로부터 세차게 물이 유출되어 바닥접시(106)의 외부로 물이 튀어 주위가 비위생적이었다.
또, 바닥접시(106) 내에 퇴적된 사료(a)는 대부분은 건조상태인 한편, 일부는 습윤상태로 돼지의 기호에는 맞지 않는 상태였기 때문에, 바닥접시(106) 내에 그대로 잔존하여 부패되는 등 쓸데없이 낭비되는 경우도 많았다.
또한, 급수기(110)에서 높은 수압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급수기(110)의 배출구로부터 다량의 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급수기(110) 내부를 관통하는 물 유통구멍의 구멍지름을 1.2mm 정도로 작게 해야만 하였다.
이 때문에, 구멍지름이 작은 물 유통구멍에 모래, 먼지 등이 부착되어 막힘에 따라 급수기(110)의 배출구로부터 물이 유출되지 않게 되는 문제도 빈발하였다.
더욱이, 급수파이프(111)의 상단부에 배수파이프의 분기부가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각 가축용 먹이공급기(101,101…)의 설치위치에 따라 개별적으로, 축사 전체의 사용 수량(水量)이 변동됨으로써 경시적으로 각 급수파이프(111) 내의 수압이 변동되어, 각 급수기(110)에서 항상 안정적인 수압을 유지할 수는 없었다.
이 때문에, 급수기(101)로부터 유출되는 물, 그리고 바닥접시(106) 내에 공급되는 사료(a)도 항상 동일한 상태로 유지될 수 없어, 돼지를 효율적으로 생육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돼지가 호흡기계 질환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면서, 바닥접시의 외부로 물이 튀어 주위를 비위생적으로 만들지 않고, 사료를 쓸데없이 낭비하지도 않으며, 급수기로부터 물이 유출되지 않게 되는 문제도 발생하지 않고, 급수기에서 항상 안정적인 수압을 유지할 수 있어, 돼지를 효율적으로 생육할 수 있는 가축용 먹이공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료호퍼로부터 바닥접시 내에 사료를 낙하시켜 공급하는 동시에, 급수파이프를 통해 급수기로부터 물을 유출시켜 공급하는 가축용 먹이공급기로서, 축사 내에서 다수의 가축용 먹이공급기로 물을 배급하는 배수(配水)파이프와 상기 급수파이프의 사이에 수압제어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압제어장치는 하우징 내에 플로트(float)를 설치한 장치 본체로 이루어지며, 하우징 내에 저류(貯留)된 물의 수위에 따라 플로트가 상하이동하여, 하우징 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제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배수파이프 내의 높은 수압은 급수기에서 저감되며, 급수기에서의 수압은 수압제어장치로부터 급수기까지의 높낮이 차에 따라 결정되어 항상 안정적인 수압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돼지가 물을 마실 때 바닥접시의 외부로 물이 튀어 주위가 비위생적이 되거나, 돼지의 기호(嗜好)에 맞지 않는 상태로 사료가 바닥접시 내에 잔존하여 부패(腐敗)하는 등 쓸데없이 낭비되는 일도 없다.
또, 급수기에서 수압이 저감되므로, 급수기 내부를 관통하는 물 유통구멍의 구멍지름을 크게 할 수 있어, 물 유통구멍에 모래, 먼지 등이 부착되어 막힘에 따라 급수기의 배출구로부터 물이 유출되지 않게 되는 문제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각 가축용 먹이공급기의 설치위치에 따라 개별적으로, 축사전체의 사용 수량(水量)을 변동시킴으로써 경시적으로 각 급수파이프 내의 수압이 변동되는 일이 없어 각 급수기에서 항상 안정적인 수압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닥접시 내에서 사료를 물과 적절히 혼합시킨 죽(粥) 형태의 액체혼합사료로 할 수 있어, 돼지의 기호에 맞는 상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돼지를 효율적으로 생육할 수가 있다.
더욱이, 바닥접시 내에서 사료를 물과 적절히 혼합시킨 액체혼합사료로 할 수 있어 사료와 물을 동시에 섭취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닥접시 내에 퇴적된 사료가 분립상태가 되어 흩날리는 일이 없어 돼지가 호흡기계 질환을 일으키는 일도 없다.
또, 상기 수압제어장치는 상기 장치 본체의 상방부 또는 하방부에 유량조정밸브가 부설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유량조정밸브를 조작함으로써 급수기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으므로, 축사 전체의 사용 수량(水量)과 돼지의 생육상황에 대응시켜 물의 공급량을 적절히 변경시킬 수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축용 먹이공급기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가축용 먹이공급기(1)는,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료호퍼(2), 안내 실린더(3), 행잉(hanging)부재(4,5), 작동부재(6), 브릿지 방지부재(7), 지지부재(8), 먹이량 조정기구(9), 급수기(10), 급수파이프(11), 바닥접시(12), 구획판(13), 수압제어장치(14), 지지판(15) 등으로 구성된다.
사료호퍼(2)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반부가 원통형상, 하반부가 역(逆) 원뿔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으며, 상면에 사료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단이 사료배출구인 본체(2A)와, 상기 본체(2A)의 상면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된 덮개(2B)로 구성되어 있다.
안내 실린더(3)는, 도 1,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료호퍼(2)의 하단부에 그 상단부가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되어 사료호퍼(2)의 하방에 연결되어 있다.
안내 실린더(3)는,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부가 역 원뿔형상이고, 그보다 하방은 원통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으며, 상기 원통형상부의 내벽면에 대하여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둥근 링형상의 내측벽부가 형성되고, 원통형상부와 내측벽부와 상하 구획벽부에 의해 구획된 공간부가 급수탱크(16)로 되어 있다.
급수탱크(16)의 외벽면에는, 둘레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급수기 장착부 (17,17,…)가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급수기 장착부(17)에는 나사구멍(17a)이 형성되어 있다. 또, 급수탱크(16)의 외벽면의 적당한 위치에 급수파이프(11)의 하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급수기(1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이 자유로운 작용막대(10a)를 가지는 동시에, 기단(基端)부에 나사부(10b)가 형성되어 있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급수기 장착부(17)의 나사구멍(17a)에 급수기(10)의 나사부(10b)를 나사결합하면, 급수기(10)를 안내 실린더(3)에 장착할 수가 있다.
따라서, 돼지가 급수기(10)의 작용막대(10a)를 입에 물고 흔들면, 급수탱크(16)에 저류된 물은 급수기(10)의 배출구로부터 유출되도록 되어 있다.
행잉부재(4)는, 도 2 및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부가 L형으로 절곡되어 있고, 너트(18)가 고정부착된 봉(棒) 형상의 상측부재(4A)와, 하단부가 갈고리(鉤)형상으로 형성된 봉 형상의 하측부재(4B)와, 삽입통과구멍이 형성된 연결부재(4C)로 구성된다.
그리고, 연결부재(4C)의 삽입통과구멍에 상측부재(4A)의 하단부와 하측부재(4B)의 상단부를 삽입통과시키고, 볼트(19)에 의해 상측부재(4A) 및 하측부재(4B)를 가압하면, 상측부재(4A)와 하측부재(4B)를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행잉부재(5)는, 도 2 및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부가 갈고리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하단부에는 나사부(5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행잉부재(4)의 하측부재(4B)의 갈고리형상부에 행잉부재(5)의 갈고리형상부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행잉부재(4)와 행잉부재(5)를 연결하도록 되어 있 다.
작동부재(6)는, 도 2 및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이 개구로 되어 있고, 하방으로 확장 개방된 원뿔대 형상이며, 하단부 내측에 가설(架設)부재(20)가 걸쳐지고, 상기 가설부재(20)의 중앙부에 나사구멍(20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행잉부재(5)의 나사부(5a)를 가설부재(20)의 나사구멍(20a)에 나사결합시키고, 더욱이 나사부(5a)에 너트를 나사결합시켜 체결함으로써, 행잉부재(5)의 하단부에 작동부재(6)가 고정되어 있다.
브릿지 방지부재(7)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역 원뿔대 형상이며, 상면부 및 하면부에 삽입통과구멍(7a,7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행잉부재(5)의 중간부를 브릿지 방지부재(7)의 삽입통과구멍(7a,7b)에 삽입시키고, 삽입통과구멍(7a,7b)의 주위에 용접 등을 실시함으로써, 행잉부재(5)의 중간부에 브릿지 방지부재(7)가 고정되어 있다.
지지부재(8)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재(板材)를 절곡하여 단면을 コ형으로 성형한 것으로서, 그 양단부가 사료호퍼(2)의 본체(2A)의 상단부 내면에 볼트 등에 의해 체결되어 가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행잉부재(4,5)는, 후술하는 먹이량 조정기구(9)를 통해 지지부재(8)에 연결되어 사료호퍼(2) 내의 중앙부에 매달려 있다.
먹이량 조정기구(9)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8)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통과구멍(8a), 회전방지용 긴 구멍(8b,8b)과, 행잉부재(4)의 상단부에 고정부착된 너트(18)와, 헤드부에 원형 파이프부재(21)가 고정부착 된 볼트(22)와, 기단부가 L형으로 절곡되고 선단부가 적당한 각도로 절곡된 핸들(23)로 구성된다.
그리고, 볼트(22)를 삽입통과구멍(8a)에 삽입통과시키고, 너트(18)에 볼트(22)의 나사부(22a)를 나사결합시켜, 원형 파이프부재(21)의 관통구멍(21a)에 핸들(23)의 기단부가 회동이 가능하게 끼워져 삽입되어 있다.
바닥접시(12)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가 원뿔대형상으로 융기되어 있어, 사료(a)가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로 유동하도록 되어 있다.
구획판(13)은 사료호퍼(2)의 본체(2A)의 외벽면, 안내 실린더(3)의 외벽면, 바닥접시(12)의 내주면에 볼트 등에 의해 체결, 고정되며, 바닥접시(12)의 둘레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가축용 먹이공급기(1)에서는 돼지가 코나 입으로 작동부재(6)를 눌러 행잉부재(4,5) 및 브릿지 방지부재(7)를 흔듦에 따라, 사료호퍼(2) 내의 사료(a)가 교반되어 사료호퍼(2) 내에 브릿지(정체 현상)가 발생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하단의 배출구로부터 바닥접시(12) 내부로 사료(a)를 원활히 낙하시켜 공급할 수가 있다.
또, 행잉부재(4)의 상측부재(4A), 하측부재(4B)를 상하방향으로 적절히 이동시키는 동시에 먹이량 조정기구(9)에 의해 행잉부재(4,5)를 적절히 상하이동시킴으로써, 사료호퍼(2) 하단의 배출구의 개구면적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바닥접시(12) 내부로 낙하하여 공급되는 사료(a)의 양을 적절히 조정할 수가 있다.
지지판(15)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판부(24), 수평판부(25) 및 경 사판부(26)로 이루어지며, 수직판부(24)에는 삽입통과구멍(24a,24a,…)이, 수평판부(25)에는 삽입통과구멍(25a)이, 경사판부(26)에 접속되는 부착편부(27)에는 삽입통과구멍(27a,27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판부(24)를 사료호퍼(2)의 본체(2A)의 상반부에 볼트로 체결하여 고정하고, 부착편부(27,27)를 인접하는 구획판(13,13)의 측면부에 볼트로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지지판(15)이 설정되어 있다.
수압제어장치(14)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판(15)의 수평판부(25)에 놓이며, 수직판부(24)에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되어 지지판(15)에 설치되어 있다.
수압제어장치(14)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28)와, 상측 유량조정밸브(29)와, 하측 유량조정밸브(30)로 구성되어 있다.
상측 유량조정밸브(29)는, 하우징(31) 내에 밸브체(32)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밸브체(32)를 작용막대(33)에 의해 회동조작시켜 밸브의 개방도를 조절함으로써, 물의 유량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측 유량조정밸브(30)도, 하우징(34) 내에 밸브체(35)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체(35)를 작용막대(36)에 의해 회동작동시켜 밸브의 개방도를 조절함으로써, 물의 유량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측 유량조정밸브(29), 하측 유량조정밸브(30) 모두 볼 밸브를 채택하고 있지만, 글로브 밸브(구형 밸브, spherical valve) 등 적절한 유량조정밸브를 채택하여도 무방하다.
장치 본체(28)는, 용기(38)와 덮개(39)로 이루어지는 하우징(37)과, 용기(38) 내에 배치되는 플로트(40)로 구성되어 있다.
용기(38)는, 바닥면부의 중앙부에 돌출부(41)가 형성되어 있고, 그 돌출부(41)에는 유출구멍(42)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41)는, 상기 지지판(15)의 수평판부(25)에 형성된 삽입통과구멍(25a)에 삽입통과되어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그 하단부에 연결부재(43)를 통해 하측 유량조정밸브(30)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하측 유량조정밸브(30)의 하단부에는 접속부재(44)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접속부재(44)에 상기 급수파이프(11)의 상단부를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덮개(39)는 일단부에 돌출부(45)가 형성되어 있고, 그 돌출부(45)에는 유입구멍(46)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45)의 상단부에는 상측 유량조정밸브(29)의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측 유량조정밸브(29)의 상단부에는, 축사 내에 설치된 다수의 가축용 먹이공급기(1,1,…)로 물을 공급하는 배수(配水)파이프(47)의 분기부를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덮개(39)는 일단부의 내벽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플로트 지지부(48)가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플로트 지지부(48)에 지지핀(49)이 배치되어 있다.
더욱이, 덮개(39)의 중앙부에는 투명한 플라스틱판을 끼워넣은 감시창(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감시창(50)을 통해 용기(38) 내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플로트(40)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가벼운 중공성형체로서, 본체부(51)와 지지부(52)로 구성되어 있고, 지지부(52)의 일단부에는 핀 끼움구멍(5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 끼움구멍(52a)에 상기 플로트 지지부(48)에 배치된 지지핀(49)을 삽입통과시킴으로써, 플로트(40)는 지지핀(49)을 중심으로 요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플로트(40)의 지지부(52)의 상면에는 내수성이 높은 고무재료로 이루어진 패킹(53)이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돌출부(45)의 유입구멍(46) 내에는 관통구멍(54a)이 형성된 걸림고정부재(54)의 상반부가 끼워져 있으며, 그 하반부는 유입구멍(46)보다 하방에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38) 내의 물(w)이 소정 수위에 도달하면, 플로트(40)의 지지부(52)에 고정된 패킹(53)이 걸림고정부재(54)의 관통구멍(54a)을 폐쇄하여, 유입구멍(46)으로부터 용기(38)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수압제어장치(14)는 상기와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배수파이프(47)의 분기부로부터 상측 유량조정밸브(29), 덮개(39)의 유입구멍(46)을 흘러 온 물은 걸림고정부재(54)의 관통구멍(54a)으로부터 용기(38) 내부로 유입된다.
용기(38) 내에 저류되어 있는 물은, 용기(38)의 유출구멍(42), 하측 유량조정밸브(30), 급수파이프(11)를 흘러 급수탱크(16) 내에 유입되며, 각 급수기(10,10,…)에까지 도달한다.
돼지가 물을 마시지 않을 때에는 급수기(10,10,…)로부터 물이 유출되지 않기 때문에, 용기(38) 내에 물이 서서히 저류되어 가며, 저류된 물의 부압(浮壓)에 의해 플로트(40)의 본체부(51)가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플로트(40)의 지지부(52)에 고정된 패킹(53)이 걸림고정부재(54)의 하단에 맞닿아 관통구멍(54a)을 폐색하면, 용기(38) 내에는 물이 유입되지 않게 된다.
돼지가 급수기(10)를 입으로 물어 작용막대(10a)가 요동하면, 급수기(10)의 배출구로부터 물이 유출되는데, 급수기(10)에서의 수압은 수압제어장치(14)의 용기(38)로부터 급수기(10)까지의 높낮이 차가 되어, 배수파이프(47) 내의 수압보다 상당한 정도로 저감되기 때문에, 급수기(10)의 배출구로부터 세차게 물이 유출되어 바닥접시(12)의 외부로 물이 튀어 주위를 비위생적으로 만드는 일은 없다.
또, 급수기(10)에서의 수압은 수압제어장치(14)의 용기(38)로부터 급수기(10)까지의 높낮이 차가 되어, 항상 안정적인 수압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쓸데없이 물을 유출시키는 일도 없게 되며, 돼지의 기호에 맞지 않는 상태로 사료(a
)가 바닥접시(12) 내에 잔존하여 부패하는 등 쓸데없이 소비되는 경우도 없다.
또한, 각 가축용 먹이공급기(1)의 설치위치에 따라 개별적으로, 축사 전체의 사용 수량(水量)이 변동됨으로써 경시적으로 각 급수파이프(11) 내의 수압이 변동되는 일도 없어, 각 급수기(10)에서 항상 안정적인 수압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닥접시(12) 내에서 사료(a)를 물(w)과 적절히 혼합시킨 액체혼합사료로 만들 수가 있어, 돼지의 기호에 맞는 상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돼지를 효율적으로 생육할 수가 있다.
그리고, 바닥접시(12) 내에서 사료(a)를 물(w)과 적절히 혼합시킨 액체혼합사료로 하여 사료(a)와 물(w)을 동시에 섭취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바닥접시(1 2) 내에 퇴적된 사료(a)가 분립상태가 되어 흩날리는 일도 없어 돼지가 호흡기계 질환을 일으키는 일도 없다.
또, 급수기(10)에서 수압이 저감되기 때문에, 급수기(10) 내를 관통하는 물 유통구멍의 구멍지름을 크게 할 수 있어, 물 유통구멍에 모래, 먼지 등이 부착되어 막혀 급수기(10)의 배출구로부터 물이 유출되지 않게 되는 문제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수압제어장치(14)는 또한 장치 본체(28)의 상방부 또는 하방부에 유량조정밸브(29,30)가 부설되었기 때문에, 유량조정밸브(29,30)의 작용막대(33,36)를 회동조작시킴으로써 밸브의 개방도를 조절하여, 급수기(10)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어, 축사 전체의 사용 수량과 돼지의 생육상황에 대응시켜 물의 공급량을 적절히 변경할 수가 있다.
또한, 플로트(40)를 사용한 상기 수압제어장치(14) 대신에 다이어프램, 스프링 등을 사용한 기계적인 감압밸브를 수압제어장치로서 채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계적인 감압밸브는 축사 내부라는 열악한 환경 하에서는 고장이 일어나기 쉽고, 녹(rust) 등도 발생하여 내구성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보수, 관리가 어려우며 구성부품이 비교적 고가이고 부품 수도 많아서 장치 자체도 고가가 된다.
한편, 플로트(40)를 사용한 수압제어장치(14)는 고장이 잘 일어나지 않으며 녹 등도 발생하기도 어렵고 보수, 관리도 용이하며 구성부품이 저렴하고 부품 수도 적어 장치 자체도 저렴해지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에 따르면, 돼지가 호흡기계 질환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면서, 바닥접시의 외부로 물이 튀어 주위를 비위생적으로 만들지 않고, 사료를 쓸데없이 낭비하지도 않으며, 급수기로부터 물이 유출되지 않게 되는 문제도 발생하지 않고, 급수기에서 항상 안정적인 수압을 유지할 수 있어, 돼지를 효율적으로 생육할 수 있는 가축용 먹이공급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사료호퍼로부터 바닥접시 내부로 사료를 낙하시켜 공급하는 동시에, 급수파이프를 통해 급수기로부터 물을 유출시켜 공급하는 가축용 먹이공급기로서, 축사 내에서 다수의 가축용 먹이공급기로 물을 공급하는 배수(配水)파이프와 상기 급수파이프의 사이에 수압제어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먹이공급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제어장치는 하우징 내에 플로트를 설치한 장치 본체로 이루어지며, 하우징 내에 저류된 물의 수위에 따라 플로트가 상하로 이동하여 하우징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제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먹이공급기.
  3. 제 2항에 있어서,
    더욱이 상기 수압제어장치는, 상기 장치 본체의 상방부 또는 하방부에 유량조정밸브를 부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먹이공급기.
KR1020060081786A 2006-07-31 2006-08-28 가축용 먹이공급기 KR200800116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09262 2006-07-31
JP2006209262A JP2008029306A (ja) 2006-07-31 2006-07-31 家畜用給餌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625A true KR20080011625A (ko) 2008-02-05

Family

ID=39119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1786A KR20080011625A (ko) 2006-07-31 2006-08-28 가축용 먹이공급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8029306A (ko)
KR (1) KR2008001162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797B1 (ko) 2009-09-04 2012-04-05 이창현 축산용 급수조절장치
NZ603101A (en) * 2010-05-26 2014-10-31 Michelle Patricia Connor An animal feeder
CN104351074A (zh) * 2014-10-27 2015-02-18 陕西溯源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动物智能液态饲料的饲喂设备
CN105830942B (zh) * 2015-03-10 2018-08-14 义乌市禾安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喂料器的控制方法
CN206808420U (zh) * 2017-06-23 2017-12-29 李金权 一种智能化家禽喂养装置
CN108834930A (zh) * 2018-07-17 2018-11-20 程娜 一种基于选择性隔离技术的家猪畜牧养殖喂料设备
CN114258867B (zh) * 2021-05-22 2023-06-02 吉林省德信生物工程有限公司 适应性广的农业用辅助养殖装置
CN113892436B (zh) * 2021-09-30 2023-04-21 巴雅尔图 一种自动化投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029306A (ja) 200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11625A (ko) 가축용 먹이공급기
US6279508B1 (en) Pet watering fountain
KR950014562B1 (ko) 가축용 구유
US20230189756A1 (en) Water Bowl Connectable to Drip Irrigation System and Emitter Therefor
KR20070042683A (ko) 양돈용 습식 급이기
US5099798A (en) Water-supply system for poultry
KR20060084427A (ko) 양돈용 습식 급이기
US2933064A (en) Livestock feeder and waterer
KR100375197B1 (ko) 돼지등을위한사료공급장치
KR200484080Y1 (ko) 양돈용 습식 급이기
KR101280103B1 (ko) 축산용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
JP2008092805A (ja) 家畜用給水装置
KR20050046972A (ko) 양식어류의 자동사료투척기
US7077075B2 (en) Activated feed through, feeding systems incorporating same, and methods of use of same
KR200169257Y1 (ko) 축사용 사료 급이통
KR20070072436A (ko) 양돈용 액상 급이기
WO2008123653A1 (en) Extracting part of humid-typed feeder for rearing pigs
KR100761221B1 (ko) 축산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량 조절장치
US3157160A (en) Automatic chick waterer
CN217308730U (zh) 一种规模化养猪用自动饮水装置
KR950000725Y1 (ko) 돼지사료 자동 급여기
CN218072940U (zh) 一种宠物食粮器具
CN215819623U (zh) 一种生猪养殖料槽
CN219205543U (zh) 一种供水系统及具有该供水系统的猪舍
CN212184651U (zh) 一种猪舍饲料及饮水自动供应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