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857Y1 -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 - Google Patents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857Y1
KR200492857Y1 KR2020190001676U KR20190001676U KR200492857Y1 KR 200492857 Y1 KR200492857 Y1 KR 200492857Y1 KR 2020190001676 U KR2020190001676 U KR 2020190001676U KR 20190001676 U KR20190001676 U KR 20190001676U KR 200492857 Y1 KR200492857 Y1 KR 2004928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grill portion
grilling plate
fixing member
gr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6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402U (ko
Inventor
추교완
Original Assignee
나승하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승하이텍(주) filed Critical 나승하이텍(주)
Priority to KR20201900016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857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4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4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8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8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가 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는, 구이 대상물은 내부에 안착시키는 제1 구이판과 상기 제1 구이판과 연결되는 제1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제1 석쇠부; 상기 구이 대상물은 내부에 안착시키는 제2 구이판과 상기 제2 구이판과 연결되는 제2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제2 석쇠부; 상기 제1 석쇠부의 상기 제1 구이판의 상단부 및 상기 제2 석쇠부의 상기 제2 구이판의 상단부를 힌지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제1 석쇠부의 상기 제1 구이판의 상단부 및 상기 제2 석쇠부의 상기 제2 구이판의 상단부의 외측에 소정 각도로 굴절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석쇠부 및 상기 제2 석쇠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석쇠부로부터 상기 제2 석쇠부를 들어올려 내부면을 개방시킬 때, 상기 제2 석쇠부가 상기 제1 석쇠부로부터 소정 각도 이상 펼쳐지지 않도록 제한하여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DOUBLE SIDED GRILL FOR ROASTING INCLUDING A FIXING MEMBER}
아래의 실시예들은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면 석쇠를 특정 각도로 고정 가능한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에 관한 것이다.
석쇠는 고기, 생선, 떡 등 구이 조리가 가능한 음식을 연탄불, 숯불이나 가스불 등의 화기를 이용하여 굽기 위한 기구이다. 석쇠는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나 황동 등의 금속재 테두리에 상기 테두리와 동일한 재질의 금속재 철사로 그물 뜨듯이 철망을 형성하여 만든 사각 또는 원형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테두리 등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석쇠는 그 석쇠를 연탄불, 숯불 또는 가스불 등의 화기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석쇠의 석쇠살 상부에 고기, 생선, 떡 등의 구이 대상물을 올려놓으며, 숯불이나 가스불의 열기에 의해 구이 대상물이 구워지거나 뜨겁게 가열된 석쇠살에 의해 구워져 구이 대상물을 먹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석쇠를 이용하여 구이 대상물을 완전히 익히기 위해서 한쪽이 익은 후 뒤집어 반대쪽을 익혀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수 차례 구이 대상물을 뒤집어야 한다.
특히, 겹으로 이루어진 양면 석쇠의 경우 양면 석쇠 내부에 고기, 생선, 떡 등의 구이 대상물을 올려놓고 석쇠를 뒤집어 가며 안팎을 굽게 되어 있어 편리하다. 그러나 사용자가 상부 석쇠 부분을 열어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구이 대상물을 하부 석쇠에 올리거나 하부 석쇠로부터 제거하고, 필요에 따라 구이 대상물을 직접 뒤집어야 하므로 사용자의 손이 자유롭지 못하다.
한국공개특허 10-2012-0039580호는 이러한 석쇠에 관한 것으로, 석쇠에 고착된 이물질 제거가 쉽고 사용 수명이 길며 취급이 용이하도록 개량된 석쇠에 관한 기술을 기재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2-0039580호
실시예들은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에 관하여 기술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양면 석쇠를 특정 각도로 고정 가능한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에 관한 기술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은 제1 석쇠부 및 제2 석쇠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제1 석쇠부로부터 제2 석쇠부를 들어올려 내부면을 개방시킬 때, 제2 석쇠부가 고정 부재에 의해 제한되어 제1 석쇠부로부터 소정 각도 이상 펼쳐지지 않도록 고정됨으로써, 사용자가 제2 석쇠부를 열어 손으로 파지하지 않고도 고정되어 용이하게 구이 대상물을 석쇠에 올리고 제거하거나 구이 대상물을 뒤집을 수 있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는, 구이 대상물은 내부에 안착시키는 제1 구이판과 상기 제1 구이판과 연결되는 제1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제1 석쇠부; 상기 구이 대상물은 내부에 안착시키는 제2 구이판과 상기 제2 구이판과 연결되는 제2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제2 석쇠부; 상기 제1 석쇠부의 상기 제1 구이판의 상단부 및 상기 제2 석쇠부의 상기 제2 구이판의 상단부를 힌지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제1 석쇠부의 상기 제1 구이판의 상단부 및 상기 제2 석쇠부의 상기 제2 구이판의 상단부의 외측에 소정 각도로 굴절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석쇠부 및 상기 제2 석쇠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석쇠부로부터 상기 제2 석쇠부를 들어올려 내부면을 개방시킬 때, 상기 제2 석쇠부가 상기 제1 석쇠부로부터 소정 각도 이상 펼쳐지지 않도록 제한하여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석쇠부의 제1 구이판은, 프레임 내에 가로 방향으로 나열된 다수의 석쇠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석쇠부의 제2 구이판은, 프레임 내에 세로 방향으로 나열된 다수의 석쇠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석쇠부의 제1 구이판 및 상기 제2 석쇠부의 제2 구이판은, 프레임 내에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나열된 삼각 기둥 형상의 다수의 석쇠살로 이루어지며, 삼각 기둥 형상의 뾰족한 뿔이 상기 제1 구이판 및 상기 제2 구이판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어 상기 구이 대상물을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석쇠부의 제1 손잡이부는, 상기 제1 구이판의 중심부에 세로 방향으로 부착되며, 길게 연장되어 파지 가능한 손잡이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석쇠부의 제2 손잡이부는, 상기 제2 구이판의 중심부에 세로 방향으로 부착되며, 길게 연장되어 파지 가능한 손잡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석쇠부의 상기 제1 구이판의 하부에 구성된 제1 손잡이부의 상측과 연결 또는 결합되며, 'ㄴ'자 형태로 굴절되어 상기 제2 석쇠부의 상기 제2 구이판이 들어올려져 개방될 때 굴절부에 의해 더 이상 펼쳐지지 않고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석쇠부 및 제2 석쇠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제1 석쇠부로부터 제2 석쇠부를 들어올려 내부면을 개방시킬 때, 제2 석쇠부가 고정 부재에 의해 제한되어 제1 석쇠부로부터 소정 각도 이상 펼쳐지지 않도록 고정됨으로써, 사용자가 제2 석쇠부를 열어 손으로 파지하지 않고도 고정되어 용이하게 구이 대상물을 석쇠에 올리고 제거하거나 구이 대상물을 뒤집을 수 있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확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의 고정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의 고정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A 확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1)는 구이 대상물은 내부에 안착시키는 제1 구이판(110)과 제1 구이판(110)과 연결되는 제1 손잡이부(120)를 포함하는 제1 석쇠부(100)와, 구이 대상물은 내부에 안착시키는 제2 구이판(210)과 제2 구이판(210)과 연결되는 제2 손잡이부(220)를 포함하는 제2 석쇠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석쇠부(100)의 제1 구이판(110)은 프레임 내에 가로 방향으로 나열된 다수의 석쇠살(111)으로 이루어지고, 제2 석쇠부(200)의 제2 구이판(210)은 프레임 내에 세로 방향으로 나열된 다수의 석쇠살(21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석쇠부(100)의 제1 손잡이부(120)는 제1 구이판(110)의 중심부에 세로 방향으로 부착되며 길게 연장되어 파지 가능한 손잡이를 형성하고, 제2 석쇠부(200)의 제2 손잡이부(220)는 제2 구이판(210)의 중심부에 세로 방향으로 부착되며 길게 연장되어 파지 가능한 손잡이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1)는 제1 석쇠부(100)의 제1 구이판(110)의 상단부 및 제2 석쇠부(200)의 제2 구이판(210)의 상단부를 힌지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300, 3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1)는 제1 석쇠부(100)의 제1 구이판(110)의 상단부 및 제2 석쇠부(200)의 제2 구이판(210)의 상단부의 외측에 소정 각도로 굴절된 형태로 구성되어, 제1 석쇠부(100) 및 제2 석쇠부(200)가 겹쳐진 상태에서 제1 석쇠부(100)로부터 제2 석쇠부(200)를 들어올려 내부면을 개방시킬 때, 제2 석쇠부(200)가 제1 석쇠부(100)로부터 소정 각도 이상 펼쳐지지 않도록 제한하여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석쇠부(100) 및 제2 석쇠부(200)가 겹쳐진 상태에서 제1 석쇠부(100)로부터 제2 석쇠부(200)를 들어올려 내부면을 개방시킬 때, 제2 석쇠부(200)가 고정 부재(400)에 의해 제한되어 제1 석쇠부(100)로부터 소정 각도 이상 펼쳐지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2 석쇠부(200)를 열어 한 손으로 파지하지 않고도 제2 석쇠부(200)가 소정 각도로 고정됨으로써 용이하게 구이 대상물을 제1 석쇠부(100)에 올리고 제거하거나 구이 대상물을 뒤집을 수 있다.
아래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1)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앞에서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1)의 열린 상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1)의 닫힌 상태의 도면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의 고정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1)는 제1 석쇠부(100), 제2 석쇠부(200), 연결 부재(300, 310) 및 고정 부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석쇠부(100)는 구이 대상물은 내부에 안착시키는 제1 구이판(110)과 제1 구이판(110)과 연결되는 제1 손잡이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구이판(110)은 구이 대상물은 내부에 안착시키도록 사각 형상 또는 원 형상 등의 프레임 내에 다수의 석쇠살(111)이 소정 간격을 두고 나열된 형태 또는 그물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구이판(110)은 사각 형상의 프레임 내에 가로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나열된 다수의 석쇠살(11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구이판(110)은 사각 형상의 프레임 내에 세로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나열된 다수의 석쇠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구이판(110)은 사각 형상의 프레임 내에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각각 소정 간격을 두고 나열된 다수의 석쇠살로 이루어져 그물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구이판(110)은 사각 형상의 프레임뿐만 아니라 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나열되는 다수의 석쇠살은 대각선 등 다양한 방식으로 나열될 수 있다.
제1 손잡이부(120)는 제1 구이판(110)과 연결되어 파지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손잡이부(120)는 제1 구이판(110)의 중심부에 세로 방향으로 부착되며, 길게 연장되어 파지 가능한 손잡이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손잡이부(120)는 하나의 직선의 석쇠살을 구부려 반으로 접힌 상태로 제공하되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부려 제공될 수 있으며, 양단부는 제1 구이판(110)의 중심부에 세로 방향으로 부착되고, 구부린 부분은 제1 구이판(110)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길게 연장되어 손잡이로써 파지될 수 있다. 이 때, 제1 손잡이부(120)의 양단부는 제1 구이판(110)의 하부의 중심부에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한편, 제1 손잡이부(120)는 하나의 직선의 석쇠살을 구부려 반으로 접힌 상태로 제공하되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부려 제공될 수 있으며, 구부린 부분은 제1 구이판(110)의 중심부에 세로 방향으로 부착되고, 양단부는 제1 구이판(110)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길게 연장되어 손잡이로써 파지될 수 있으며, 이 때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별도의 부재로 양단부를 감싸는 손잡이를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제1 석쇠부(100)의 제1 구이판(110)이 사각 형상의 프레임 내에 가로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나열된 다수의 석쇠살(111)으로 이루어질 경우, 석쇠살(111)이 가늘어 중심 부분이 아래로 늘어지거나 가열에 의해 늘어질 수 있으므로, 이를 고정하기 위해 제1 손잡이부(120)를 제1 구이판(110)의 중심부에 세로 방향으로 부착함으로써, 손잡이를 형성하는 동시에 제1 구이판(11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석쇠부(200)는 구이 대상물은 내부에 안착시키는 제2 구이판(210)과 제2 구이판(210)과 연결되는 제2 손잡이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석쇠부(200) 또는 제1 석쇠부(100)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거나 구이판 내의 석쇠살의 배열을 달리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구이판(210)은 구이 대상물은 내부에 안착시키도록 사각 형상 또는 원 형상 등의 프레임 내에 다수의 석쇠살(211)이 소정 간격을 두고 나열된 형태 또는 그물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구이판(210)은 사각 형상의 프레임 내에 세로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나열된 다수의 석쇠살(21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구이판(210)은 사각 형상의 프레임 내에 가로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나열된 다수의 석쇠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2 구이판(210)은 사각 형상의 프레임 내에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각각 소정 간격을 두고 나열된 다수의 석쇠살로 이루어져 그물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구이판(210)은 사각 형상의 프레임뿐만 아니라 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나열되는 다수의 석쇠살은 대각선 등 다양한 방식으로 나열될 수 있다.
제2 손잡이부(220)는 제2 구이판(210)과 연결되어 파지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손잡이부(220)는 제2 구이판(210)의 중심부에 세로 방향으로 부착되며, 길게 연장되어 파지 가능한 손잡이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손잡이부(220)는 하나의 직선의 석쇠살을 구부려 반으로 접힌 상태로 제공하되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부려 제공될 수 있으며, 양단부는 제2 구이판(210)의 중심부에 세로 방향으로 부착되고, 구부린 부분은 제2 구이판(210)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길게 연장되어 손잡이로써 파지될 수 있다. 이 때, 제2 손잡이부(220)의 양단부는 제2 구이판(210)의 하부 또는 상부의 중심부에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특히, 제2 석쇠부(200)의 제2 구이판(210)이 사각 형상의 프레임 내에 세로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나열된 다수의 석쇠살(211)으로 이루어질 경우, 석쇠살이 가늘어 중심 부분이 아래로 늘어지거나 가열에 의해 늘어질 수 있으므로, 이를 고정하기 위해 프레임 내에 가로 방향으로 별도의 보조 석쇠살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함으로써, 제2 구이판(21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석쇠부(100)의 제1 구이판(110)이 사각 형상의 프레임 내에 가로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나열된 다수의 석쇠살(111)으로 형성하고, 제2 석쇠부(200)의 제2 구이판(210)이 사각 형상의 프레임 내에 세로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나열된 다수의 석쇠살(211)으로 형성함으로써, 구이 대상물에 상하부의 다른 부분을 가열하여 고르게 익힐 수 있으며, 구이 대상물에 한 방향으로의 그릴 자국을 만들 수 있다. 또한, 필요 시 사용자가 구이 대상물을 뒤집을 경우 한 면에 가로 및 세로의 그물 형태의 그릴 자국을 만들 수 있다.
제1 석쇠부(100)와 제2 석쇠부(200)는 연결 부재(300, 31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부재(300, 310)는 제1 석쇠부(100)의 제1 구이판(110)의 상단부 및 제2 석쇠부(200)의 제2 구이판(210)의 상단부를 힌지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 부재(300, 310)는 제1 석쇠부(100)의 제1 구이판(110)의 프레임 상단부와 제2 석쇠부(200)의 제2 구이판(210)의 프레임 상단부를 하나의 고리 또는 부재에 의해 연결시켜, 서로 힌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부재(400)는 제1 석쇠부(100) 및 제2 석쇠부(200)가 겹쳐진 상태에서 제1 석쇠부(100)로부터 제2 석쇠부(200)를 들어올려 내부면을 개방시킬 때, 제2 석쇠부(200)가 제1 석쇠부(100)로부터 소정 각도 이상 펼쳐지지 않도록 제한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부재(400)는 제1 석쇠부(100)의 제1 구이판(110)의 상단부 및 제2 석쇠부(200)의 제2 구이판(210)의 상단부의 외측에 소정 각도로 굴절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 부재(400)는 제1 석쇠부(100)의 제1 구이판(110)의 하부에 구성된 제1 손잡이부(120)의 상측과 연결 또는 결합되며, 'ㄴ'자 형태로 굴절되어 제2 석쇠부(200)의 제2 구이판(210)이 들어올려져 개방될 때 굴절부(420)에 의해 더 이상 펼쳐지지 않고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손잡이부(120)는 하나의 직선의 석쇠살을 구부려 반으로 접힌 상태로 제공하되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부려 제공될 수 있으며, 양단부는 제1 구이판(110)의 중심부에 세로 방향으로 부착되고, 구부린 부분은 제1 구이판(110)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길게 연장되어 손잡이로써 파지될 수 있다. 이 때, 고정 부재(400)는 제1 석쇠부(100)의 제1 구이판(110)의 하부에 구성된 제1 손잡이부(120)의 상측의 양단부의 외측에 'ㄷ'자 형태로 접합되되, 'ㄷ'자 형태의 양단부(410)가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부재(400)는 'ㄴ'자 형태로 굴절된 굴절부(420)가 상측으로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됨으로써, 제2 석쇠부(200)의 제2 구이판(210)이 들어올려져 개방될 때 굴절부(420)에 의해 더 이상 펼쳐지지 않고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ㄴ'자 형태로 굴절된 고정 부재(400)의 굴절 각도에 따라 제2 석쇠부(200)의 이동 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400)의 굴절 각도는 90도 정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석쇠부(200)는 제1 석쇠부(100)로부터 90도 열린 후 고정 부재(4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400)의 굴절 각도는 90-120도 정도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의 고정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손잡이부(120)는 하나의 직선의 석쇠살을 구부려 반으로 접힌 상태로 제공하되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부려 제공될 수 있으며, 구부린 부분은 제1 구이판(110)의 중심부에 세로 방향으로 부착되고, 양단부는 제1 구이판(110)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길게 연장되어 손잡이로써 파지될 수 있다. 이 때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별도의 부재로 양단부를 감싸는 손잡이를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손잡이부(120)의 구부린 부분을 다시 상측으로 'ㄴ'자 형태로 굴절시킴으로써 제2 석쇠부(200)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 부재(4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부재(400)는 별도의 부재의 사용 없이 제1 손잡이부(120)를 굴절시킴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석쇠부(100)로부터 제2 석쇠부(200)는 들어올려져 제1 손잡이부(120)의 상단, 즉 고정 부재(40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석쇠부(100)의 제1 구이판(110) 및 제2 석쇠부(200)의 제2 구이판(210)은 프레임 내에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각각 나열된 삼각 기둥 형상의 다수의 석쇠살(111, 211)으로 이루어지며, 삼각 기둥 형상의 뾰족한 뿔이 제1 구이판(110) 및 제2 구이판(210)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어 고기, 생선, 떡 등의 구이 대상물을 안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삼각 기둥 형상의 석쇠살(111, 211)의 삼각 기둥의 뾰족한 뿔에 열원으로부터 전해지는 열을 집중시킬 수 있어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삼각 기둥 형상의 석쇠살(111, 211)의 하단은 중심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어 프레임과의 용접 등에 의한 접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제1 손잡이부(120) 및 제2 손잡이부(220) 또는 별도의 보조 석쇠살과의 용접 등에 의한 접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용접에 의해 결합 시 평평한 평면보다 돌출부가 형성되는 경우 용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보다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구이판(110) 및 제2 구이판(210)을 삼각 기둥 형상의 다수의 석쇠살(111, 211)을 소정 간격으로 나열하여 배치하고 삼각 기둥 형상의 뾰족한 뿔이 구이 대상물을 안착시킴으로써, 구이 대상물에 접촉되는 면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삼각 기둥 형상의 뾰족한 뿔이 구이 대상물을 안착시키고 구이 대상물에서 배출되는 기름, 수분(물) 등을 삼각 기둥을 따라 아래로 흘러내리게 함으로써 잘 배출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1)를 이용하여 고기를 굽는 경우 구이판의 삼각 기둥 형상의 다수의 석쇠살(111, 211)에 고기가 살짝 얹어져 고기 내에 육즙을 가득 품고 있어 맛이 좋을 뿐만 아니라, 고기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삼각 기둥을 따라 아래로 흘러내려 밑에서 기름이 걸러지고 고기의 맛을 보다 좋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제1 석쇠부(100)로부터 제2 석쇠부(200)는 들어올려 열게 되면 고정 부재(400)에 의해 제2 석쇠부(200)의 이동이 제한되어 고정되고, 제1 석쇠부(100)의 제1 구이판(110)의 내부면이 개방되어 사용자는 집게 등을 이용하여 고기, 생선, 떡 등의 구이 대상물을 안착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제2 석쇠부(200)를 아래로 내려 제1 석쇠부(100)와 겹친 상태에서 구이 대상물을 연탄불, 숯불, 가스불 등에 가열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자는 제1 손잡이부(120) 및 제2 손잡이부(220)를 동시에 파지한 상태에서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1)를 뒤집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다시 제1 석쇠부(100)로부터 제2 석쇠부(200)는 들어올려 고정 부재(400)에 제2 석쇠부(200)를 거치시킨 후, 구이 대상물을 뒤집거나 제1 구이판(110)으로부터 구이 대상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1 석쇠부(100) 또는 제2 석쇠부(200)를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1)를 소정 각도로 펼쳐 고정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손을 자유롭게 하여 용이하게 구이 대상물을 석쇠판에 올려놓거나 제거할 수 있으며, 필요 시 용이하게 구이 대상물을 직접 뒤집을 수 있다.
이상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
100: 제1 석쇠부
110: 제1 구이판
120: 제1 손잡이부
200: 제2 석쇠부
210: 제2 구이판
220: 제2 손잡이부
111, 211: 석쇠살
300, 310: 연결 부재
400: 고정부재

Claims (5)

  1. 구이 대상물은 내부에 안착시키는 제1 구이판과 상기 제1 구이판과 연결되는 제1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제1 석쇠부;
    상기 구이 대상물은 내부에 안착시키는 제2 구이판과 상기 제2 구이판과 연결되는 제2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제2 석쇠부;
    상기 제1 석쇠부의 상기 제1 구이판의 상단부 및 상기 제2 석쇠부의 상기 제2 구이판의 상단부를 힌지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제1 석쇠부의 상기 제1 구이판의 상단부 및 상기 제2 석쇠부의 상기 제2 구이판의 상단부의 외측에 소정 각도로 굴절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석쇠부 및 상기 제2 석쇠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석쇠부로부터 상기 제2 석쇠부를 들어올려 내부면을 개방시킬 때, 상기 제2 석쇠부가 상기 제1 석쇠부로부터 소정 각도 이상 펼쳐지지 않도록 제한하여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석쇠부의 제1 손잡이부는,
    상기 제1 구이판의 중심부에 세로 방향으로 부착되며, 길게 연장되어 파지 가능한 손잡이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석쇠부의 제2 손잡이부는,
    상기 제2 구이판의 중심부에 세로 방향으로 부착되며, 길게 연장되어 파지 가능한 손잡이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석쇠부의 상기 제1 구이판의 하부에 구성된 제1 손잡이부의 상측의 양단부의 외측에 'ㄷ'자 형태로 접합되되 'ㄷ'자 형태의 양단부가 접합되고, 'ㄷ'자 형태의 상기 고정 부재는 'ㄴ'자 형태로 굴절되되 굴절부가 상측으로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2 석쇠부의 상기 제2 구이판이 들어올려져 개방될 때 상기 굴절부에 의해 더 이상 펼쳐지지 않고 고정되며, 상기 굴절부의 굴절 각도에 따라 상기 제2 석쇠부의 이동 및 제한 각도가 달라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석쇠부의 제1 구이판은,
    프레임 내에 가로 방향으로 나열된 다수의 석쇠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석쇠부의 제2 구이판은,
    프레임 내에 세로 방향으로 나열된 다수의 석쇠살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석쇠부의 제1 구이판 및 상기 제2 석쇠부의 제2 구이판은,
    프레임 내에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나열된 삼각 기둥 형상의 다수의 석쇠살로 이루어지며, 삼각 기둥 형상의 뾰족한 뿔이 상기 제1 구이판 및 상기 제2 구이판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어 상기 구이 대상물을 안착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
  4. 삭제
  5. 삭제
KR2020190001676U 2019-04-23 2019-04-23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 KR2004928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676U KR200492857Y1 (ko) 2019-04-23 2019-04-23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676U KR200492857Y1 (ko) 2019-04-23 2019-04-23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402U KR20200002402U (ko) 2020-11-02
KR200492857Y1 true KR200492857Y1 (ko) 2020-12-22

Family

ID=73197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676U KR200492857Y1 (ko) 2019-04-23 2019-04-23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8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295B1 (ko) * 2021-06-08 2022-10-27 김기복 접이식 손잡이 구조를 갖는 석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854B1 (ko) * 2021-05-07 2022-09-01 양준호 접이식 손잡이를 갖는 양면 석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091Y1 (ko) * 2006-01-24 2006-04-05 양성원 석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1808U (ja) * 1984-05-31 1985-12-19 堀本 昌義 焜炉用五徳
KR20120039580A (ko) 2012-02-29 2012-04-25 박영식 석쇠
KR200473289Y1 (ko) * 2012-05-07 2014-06-23 김옥화 석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091Y1 (ko) * 2006-01-24 2006-04-05 양성원 석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295B1 (ko) * 2021-06-08 2022-10-27 김기복 접이식 손잡이 구조를 갖는 석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402U (ko) 202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2857Y1 (ko)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이용 양면 석쇠
US5826494A (en) Cooking device
ES2404037T3 (es) Prensa de alimentos de peso ajustable para cocinar
US8365717B1 (en) Barbecue accessory and method of use
KR101614091B1 (ko) 음식물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접이식 석쇠
CA2654996C (en) Grill liner
KR101511644B1 (ko) 양면 숯불구이용 석쇠
US20120216686A1 (en) Side flame stove top grill
US3220335A (en) Device for cooking meat and the like
US20170007073A1 (en) Bbq grill insert and bbq grill assembly using the same
KR20200002313U (ko) 구이용 석쇠
KR200473289Y1 (ko) 석쇠
KR20200002403U (ko) 구이용 삼각 석쇠
US20110223296A1 (en) Sandwich cooking accessory
CN209090933U (zh) 笼式组合烧烤架
KR20090006647A (ko) 구이용 석쇠 및 석쇠 조립체
CN213664898U (zh) 一种快速翻面烧烤装置
FR2559030A1 (fr) Support de cuisson pour four de boulangerie a soles fixes
KR101179967B1 (ko) 생선구이기
KR20130106244A (ko) 로스타용 기울기 불판
KR200491314Y1 (ko) 바베큐 구이 장치
KR102202087B1 (ko) 구이용 석쇠
CN211533957U (zh) 压力烹饪器具
KR102585935B1 (ko) 기름 배출과 열전달이 용이한 직화구이용 원형구이판
CN212996081U (zh) 一种烤网以及烧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