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313U - 구이용 석쇠 - Google Patents

구이용 석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313U
KR20200002313U KR2020190001510U KR20190001510U KR20200002313U KR 20200002313 U KR20200002313 U KR 20200002313U KR 2020190001510 U KR2020190001510 U KR 2020190001510U KR 20190001510 U KR20190001510 U KR 20190001510U KR 20200002313 U KR20200002313 U KR 202000023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ing
frame
unit
roast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5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2970Y1 (ko
Inventor
마승환
Original Assignee
마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승환 filed Critical 마승환
Priority to KR20201900015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970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3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3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9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9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11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the food being cooked between two heating plates, e.g. waffle-ir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1Integrated lids
    • A47J37/103Broiling- or heating-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1구이부와 제2구이부로 이루어지고 서로에 대해 접어지고 펼쳐지는 석쇠의 제1구이부를 평판형으로 구비하고 제2구이부를 통형으로 구비하여 제2구이부에 구이공간부에 육류나 생선류를 넣어준 후 구워줌에 따라 육류나 생선류의 형상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육류나 생선류가 제2구이부의 구이공간부에 넣어짐에 따라 육류나 생선류를 구울 때 제1구이부의 제1프레임과 제2구이부의 제2프레임이 서로 닿게 되어 제1손잡이와 제2손잡이가 밀착될 수 있음에 따라 적은 완력으로도 견고하게 손잡이를 잡고 석쇠를 뒤집어줄 수 있어 사용성은 물론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워지는 육류나 생선류가 눌러지지 않게 되어 구워지는 육류나 생선류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구워진 육류 또는 생선류를 간접열로 데워주면서 먹을 수 있는 구이용 석쇠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구이용 석쇠{GRILL FOR ROAST}
본 고안은 구이용 석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가 각각 구비되고 서로에 대해 일측이 힌지연결되는 제1구이부 및 제2구이부를 갖는 석쇠의 제1구이부 또는 제2구이부 중 어느 하나는 공간부가 구비되어 육류나 생선류를 구울 때 육류나 생선류의 손상 없이 구워질 수 있도록 하고 공간부의 직화구이와 공간부 상부측에 위치되는 제1구이부 또는 제2구이부 중 어느 하나의 구이부의 간접열구이에 의해 육류를 타거나 식지 않도록 하여 먹을 수 있도록 한 구이용 석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쇠는, 사각형상 또는 원형상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테두리의 내측에 철사 형태의 받침와이어가 간격을 두고 수평 상태로 그물망 구조로 배열된 상태에서 각 받침와이어의 양단부는 테두리 프레임 양 내측면에 고정된 구조로 구이부를 이루고 있는 단일형 석쇠와, 받침와이어에 의해 이루어진 2개의 구이부가 서로 일측이 힌지연결되고 2개의 구이부 각각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2개의 구이부를 접어주거나 펼쳐주는 복수형 석쇠로 구분된다.
이 중, 2개의 구이부를 갖는 석쇠는, 2개의 구이부 사이에 굽고자 하는 육류나 생선류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2개의 석쇠부를 서로 접어 포갠 후 구이부 사이에 올려진 육류나 생선류를 구워 먹는 것으로, 이 때 손잡이를 이용하여 2개의 구이부를 반복적으로 바꿔줌에 따라 화력에 2개의 구이부가 반복적으로 직접 닿도록 하여 육류나 생선류를 뒤집지 않고도 육류나 생선류를 구워 먹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2개의 구이부를 갖는 석쇠의 경우에는 올려진 육류나 생선류를 직접 뒤집지 않고도 구워 먹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 반면에, 2개의 구이부 위치를 바꿔줄 때 육류나 생선류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손잡이를 잡는 과정에서 2개의 구이부 각각에 구비된 2개의 손잡이가 모아지도록 눌러주면서 잡아주어야 하는 바, 이 때 손잡이를 눌러주는 동작에 의해 2개의 구이부가 눌러지면서 2개의 구이부 사이에 위치된 육류나 생선류가 같이 눌러짐에 따라 육류나 생선류의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특히, 생선류의 경우에는 껍질이 온전한 상태로 구워 먹기를 원하고 있으나, 2개의 구이부가 눌러지면서 생선류가 같이 눌러질 때 생선류의 껍질이 2개의 구이부에 달라붙게 되는 문제점은 물론, 껍질과 같이 생선류의 살점이 떨어져 나가 구이부에 붙게 되어 생선류가 온전하게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 2개의 구이부를 갖는 석쇠의 경우 2개의 구이부가 서로 밀착되도록 접어져 포개지기 때문에 육류나 생선류의 두께에 의해 2개의 구이부가 제대로 포개어지지 않음에 따라 손잡이를 파지하는 손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게 되어 통증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버섯과 같은 두께를 갖는 채소류의 경우에는 구워먹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실용 20-0468281호인 양면 구이기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상판과 하판이 겹쳐지도록 접히거나 펼쳐지며 상판과 하판의 일측에 각각 손잡이가 형성된 양면 구이기로서, 상판과 하판이 마주하는 면에는 원뿔 형태이며 길이가 4mm 내지 6mm인 돌기들이 형성되되, 상판과 하판에서 연장된 돌기들의 고정단부 단면적이 자유단부의 단면적보다 크며, 상판과 하판은 강선으로 구성된 사각 틀과, 사각 틀의 안쪽을 강선으로 교차하게 엮어 형성한 망을 포함하며, 상판과 하판의 타측이 상호 강선으로 묶여 접히거나 펼쳐지며, 돌기는 망을 형성하는 강선들이 교차하는 지점에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 고기를 놓고 가압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뒤집으면서 고기의 양면을 익히도록 하되 돌기들이 고기에 꽂혀 양면구이기를 뒤집거나 움직이더라도 고기가 이탈되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 역시 손잡이를 잡고 눌러주면서 잡아줄 때 상판과 하판이 고기에 밀착되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생선류나 육류의 손상을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돌기들에 의해 생선류를 올려놓고 구울 경우에는 돌기들이 생선에 박힘에 따라 생선의 껍질 분리가 더욱 잘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선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구울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판과 하판이 마주하는 면에 구비된 돌기들이 원뿔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고기를 구울 때 돌기에 손이나 손에 낀 장갑이 걸리거나 스크래치가 발생되어 상해사고를 입거나 고기를 구울 때 간섭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 20-0468281호(2013.07.29. 등록)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6-0136691호(2016.11.30. 공개)
본 고안은 제1구이부와 제2구이부를 갖는 석쇠의 제1구이부 또는 제2구이부 중 어느 하나의 구이부는 평판형으로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통형으로 구비하여 손잡이를 파지하여 잡을 때 제1구이부와 제2구이부가 밀착되어 적은 완력으로도 견고하게 손잡이를 잡고 석쇠를 뒤집어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통형의 구이부에 형성된 공간부에 의해 육류나 생선류가 눌러지지 않게 되어 구워지는 육류나 생선류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다 구워진 육류 또는 생선류를 간접열로 데워주면서 먹을 수 있도록 한 구이용 석쇠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구이용 석쇠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는 망형의 제1구이판과 상기 제1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손잡이를 갖는 제1구이부와, 상기 제1구이부의 제1프레임과 힌지연결부에 의해 힌지연결되고 상기 제1손잡이와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2손잡이를 갖는 제2구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석쇠에 있어서, 상기 제2구이부는, 상기 제1구이부가 상기 힌지연결부에 의해 제2구이부측으로 접어졌을 때 상기 제1프레임과 밀착되고 상기 제1손잡이와 밀착되는 제2손잡이를 갖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 수직연장되는 수직연장부와; 상기 수직연장부로부터 각각 수평연장되어 상기 복수개 수직연장부를 각각 연결하되 서로 교차되도록 수평연장되는 수평연장부와; 상기 수직연장부에 의해 상기 제2프레임과 상기 수평연장부 사이에 형성되는 구이공간부로 구비되어, 상기 구이공간부에 구이대상물을 넣어 준 후 상기 힌지연결부에 의해 제1손잡이를 갖는 제1구이부를 제2손잡이를 갖는 제2구이부측으로 힌지회전시켜 접어 포갠 다음, 상기 제1구이부 또는 제2구이부 중 어느 하나를 화염에 위치하여 구이대상물을 구워주고 다 구워진 구이대상물을 제1구이부의 제1구이판 위에 올려놓고 제2구이부를 통과하여 제1구이부에 전달되는 화염의 간접열에 의해 데워먹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구이부의 제1구이판 및 상기 제2구이부의 수평연장부는, 구이대상물의 접촉이 선접촉에 의해 접촉되도록 파형의 굴곡면이 형성되도록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힌지연결부는, 상기 제1구이부와 제2구이부가 서로에 대해 밀착됨이 용이하고 펼쳐짐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1구이부의 제1프레임과 상기 제2구이부의 제2프레임을 연결하는 링형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제1구이부와 제2구이부로 이루어지고 서로에 대해 접어지고 펼쳐지는 석쇠의 제1구이부를 평판형으로 구비하고 제2구이부를 통형으로 구비하여 제2구이부에 구이공간부에 육류나 생선류 등 구이대상물을 넣어준 후 구워줌에 따라 육류나 생선류의 형상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육류나 생선류가 제2구이부의 구이공간부에 넣어짐에 따라 육류나 생선류를 구울 때 제1구이부의 제1프레임과 제2구이부의 제2프레임이 서로 닿게 되어 제1손잡이와 제2손잡이가 밀착될 수 있음에 따라 적은 완력으로도 견고하게 손잡이를 잡고 석쇠를 뒤집어줄 수 있어 사용성은 물론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워지는 육류나 생선류가 눌러지지 않게 되어 구워지는 육류나 생선류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구워진 육류 또는 생선류를 간접열로 데워주면서 먹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구이용 석쇠가 접어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구이용 석쇠가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구이용 석쇠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구이용 석쇠의 제2구이부에 구비된 구이공간부에 구이대상물이 넣어진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구이용 석쇠의 제1구이부에 구이대상물이 올려진 상태의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석쇠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제1프레임(11)과 상기 제1프레임(11)의 내측에 구비되는 망형의 제1구이판(12)과 상기 제1프레임(11)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손잡이(13)를 갖는 제1구이부(10)와, 상기 제1구이부(10)의 제1프레임(11)과 힌지연결부(30)에 의해 힌지연결되고 상기 제1손잡이(13)와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2손잡이(21)를 갖는 제2구이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석쇠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힌지연결부(30)에 의해 상기 제1구이부(10)와 제2구이부(2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접어지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연결부(30)에 의해 상기 제1구이부(10)와 제2구이부(20)가 서로에 대해 펼쳐진다.
또한, 본 고안의 제1구이부(10)는 평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구이부(20)는 통형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통형으로 이루어진 제2구이부(20) 내측에 구이대상물(101)을 넣어 수용한 후 상기 제1구이부(10)를 제2구이부(20)측으로 접어줄 때 제1손잡이(13)와 제2손잡이(21)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될 수 있어 제1손잡이(13)와 제2손잡이(21)를 잡고 뒤집을 때 제1손잡이(13)와 제2손잡이(21)를 적은 힘으로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성과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고안의 제2구이부(20)는, 상기 제1구이부(10)가 상기 힌지연결부(30)에 의해 제2구이부(20)측으로 접어졌을 때 상기 제1프레임(11)과 밀착되고 상기 제1손잡이(13)와 밀착되는 제2손잡이(21)를 갖는 제2프레임(22)을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22)의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수직연장되는 복수개 수직연장부(23)와, 상기 수직연장부(23)로부터 각각 수평연장되어 상기 복수개 수직연장부(23)를 각각 연결하되 서로 교차되도록 수평연장되는 수평연장부(24)와, 상기 수직연장부(23)에 의해 상기 제2프레임(22)과 상기 수평연장부(24) 사이에 형성되는 구이공간부(25)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제2구이부(20)의 제2프레임(22)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복수개 수직연장부(23)와 수평연장부(24)에 의해 구이공간부(25)가 제2프레임(22)과 수평연장부(24) 사이에 구비될 수 있어 구이공간부(25)에 구이대상물(101)을 넣어 구워주면 된다.
이에 따라, 구이공간부(25)에 구이대상물(101)이 넣어진 상태로 구워지기 때문에 제1구이부(10)를 제2구이부(20)측으로 접어주더라도 제1구이부(10)와 제2구이부(20)에 의해 구이대상물(101)이 눌러지지 않기 때문에 육류나 생선류 등 구이대상물(101)의 형상이 훼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구이대상물(101)이 눌러지지 않음에 따라 구이대상물(101)이 제1구이부(10)의 제1구이판(12) 또는 제2구이부(20)의 수평연장부(24)에 달라붙지 않게 되어 구워진 구이대상물(101)을 분리할 때 구이대상물(101)의 껍질이 벗겨지는 것이 방지된다.
즉, 상기 구이공간부(25)에 구이대상물(101)을 넣어 준 후 상기 힌지연결부(30)에 의해 제1손잡이(13)를 갖는 제1구이부(10)를 제2손잡이(21)를 갖는 제2구이부측(20)으로 힌지회전시켜 접어 포갠 다음, 상기 제1구이부(10) 또는 제2구이부(20) 중 어느 하나를 화염에 위치하여 구이대상물이 구워짐에 따라 구이대상물(101)이 눌러지지 않음에 따라 구이대상물(101)이 제1구이부(10)의 제1구이판(12) 또는 제2구이부(20)의 수평연장부(24)에 달라붙지 않게 되어 구워진 구이대상물(101)을 분리할 때 구이대상물(101)의 껍질이 벗겨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고안은, 다 구워진 구이대상물(101)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이부(10)의 제1구이판(12) 위에 올려놓고 먹을 수 있기 때문에, 화염 전달이 상기 제2구이부(20)를 통과하여 제1구이부(10)측에 간접적으로 전달됨에 따라 구이대상물(101)을 태우지 않고 식지 않은 상태로 먹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제1구이부(10)의 제1구이판(12) 및 상기 제2구이부(20)의 수평연장부(24)는, 구이대상물(101)과의 접촉이 선접촉에 의해 접촉되도록 파형의 굴곡면(24a)이 형성되도록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구이부(10)의 제1구이판(12) 및 상기 제2구이부(20)의 수평연장부(24)가 파형의 굴곡면(24a)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구이공간부(25)에 넣어진 구이대상물(101)이 구워지는 과정에서 구이대상물(101)과 제1구이판(12) 또는 수평연장부(24)와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어 구이대상물(101)이 달라붙게 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1구이부(10)와 제2구이부(20)를 힌지 연결하는 상기 힌지연결부(30)는, 상기 제1구이부(10)와 제2구이부(20)가 서로에 대해 밀착됨이 용이하고 펼쳐짐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1구이부(10)의 제1프레임(11)과 상기 제2구이부(20)의 제2프레임(22)을 연결하는 링형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링형으로 힌지연결부(30)가 구비됨에 따라 제1구이부(10)를 제2구이부(20)에 대해 펼쳐주거나 접어주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성은 물론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구이대상물(101)의 두께가 구이공간부(25)를 벗어나더라도 상기 제1구이부(10)를 제2구이부(20)측으로 접은 후 제1손잡이(13)와 제2손잡이(21)를 잡고 뒤집어 구이대상물(101)을 용이하게 구울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제1구이부 11 : 제1프레임
12 : 제1구이판 13 : 제1손잡이
20 : 제2구이부 21 : 제1손잡이
22 : 제2프레임 23 : 수직연장부
24 : 수평연장부 24a : 파형 굴곡면
25 : 구이공간부 30 : 힌지연결부

Claims (2)

  1. 제1프레임(11)과 상기 제1프레임(11)의 내측에 구비되는 망형의 제1구이판(12)과 상기 제1프레임(11)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손잡이(13)를 갖는 제1구이부(10)와, 상기 제1구이부(10)의 제1프레임(11)과 힌지연결부(30)에 의해 힌지연결되고 상기 제1손잡이(13)와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2손잡이(21)를 갖는 제2구이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석쇠에 있어서,
    상기 제1구이부(10)는 평판형으로 구비하고 상기 제2구이부(20)는 통형으로 구비하되,
    상기 제2구이부(20)는,
    상기 제1구이부(10)가 상기 힌지연결부(30)에 의해 제2구이부(20)측으로 접어졌을 때 상기 제1프레임(11)과 밀착되고 상기 제1손잡이(13)와 밀착되는 제2손잡이(21)를 갖는 제2프레임(22)을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22)의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수직연장되는 복수개 수직연장부(23)와;
    상기 수직연장부(23)로부터 각각 수평연장되어 상기 복수개 수직연장부(23)를 각각 연결하되 서로 교차되도록 수평연장되는 수평연장부(24)와;
    상기 수직연장부(23)에 의해 상기 제2프레임(22)과 상기 수평연장부(24) 사이에 형성되는 구이공간부(25)로 구비되어,
    상기 구이공간부(25)에 구이대상물(101)을 넣어 준 후 상기 힌지연결부(30)에 의해 제1손잡이(13)를 갖는 제1구이부(10)를 제2손잡이(21)를 갖는 제2구이부측(20)으로 힌지회전시켜 접어 포갠 다음, 상기 제1구이부(10) 또는 제2구이부(20) 중 어느 하나를 화염에 위치하여 구이대상물을 구워주고 다 구워진 구이대상물을 제1구이부(10)의 제1구이판(12) 위에 올려놓고 제2구이부(20)를 통과하여 제1구이부(10)에 전달되는 화염의 간접열에 의해 데워먹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구이부(10)의 제1구이판(12) 및 상기 제2구이부(20)의 수평연장부(24)는,
    구이대상물(101)과의 접촉이 선접촉에 의해 접촉되어 구워지는 구이대상물이 상기 제1구이판(12) 또는 제2구이부(20)의 수평연장부(24)에 달라붙어 형상이 변형됨을 방지하도록 파형의 굴곡면(24a)이 형성되도록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석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연결부(30)는,
    상기 제1구이부(10)와 제2구이부(20)가 서로에 대해 밀착됨이 용이하고 펼쳐짐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1구이부(10)의 제1프레임(11)과 상기 제2구이부(20)의 제2프레임(22)을 연결하는 링형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석쇠.
KR2020190001510U 2019-04-12 2019-04-12 구이용 석쇠 KR2004929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510U KR200492970Y1 (ko) 2019-04-12 2019-04-12 구이용 석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510U KR200492970Y1 (ko) 2019-04-12 2019-04-12 구이용 석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313U true KR20200002313U (ko) 2020-10-21
KR200492970Y1 KR200492970Y1 (ko) 2021-01-11

Family

ID=73005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510U KR200492970Y1 (ko) 2019-04-12 2019-04-12 구이용 석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9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854B1 (ko) * 2021-05-07 2022-09-01 양준호 접이식 손잡이를 갖는 양면 석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295B1 (ko) * 2021-06-08 2022-10-27 김기복 접이식 손잡이 구조를 갖는 석쇠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293Y1 (ko) * 2002-05-14 2002-08-13 이승준 석쇠
WO2008022397A1 (en) * 2006-08-25 2008-02-28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Pty Ltd Embossed metal foil
JP2012055456A (ja) * 2010-09-08 2012-03-22 Sugiyama Kinzoku Kk 調理用網板
US20120222665A1 (en) * 2011-03-03 2012-09-06 Mallik Ahmed Cooking grate assembly and cooking apparatus
KR200468281Y1 (ko) 2011-09-01 2013-08-02 권용철 양면 구이기
KR101614091B1 (ko) * 2014-12-12 2016-04-25 김성은 음식물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접이식 석쇠
KR20160136691A (ko) 2015-05-20 2016-11-30 오정수 와이어 길이조절 및 접이구조를 통해 크기 조절이 가능한 구이용 석쇠
JP2017104198A (ja) * 2015-12-08 2017-06-15 東英商事株式会社 串焼き用器具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293Y1 (ko) * 2002-05-14 2002-08-13 이승준 석쇠
WO2008022397A1 (en) * 2006-08-25 2008-02-28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Pty Ltd Embossed metal foil
JP2012055456A (ja) * 2010-09-08 2012-03-22 Sugiyama Kinzoku Kk 調理用網板
US20120222665A1 (en) * 2011-03-03 2012-09-06 Mallik Ahmed Cooking grate assembly and cooking apparatus
KR200468281Y1 (ko) 2011-09-01 2013-08-02 권용철 양면 구이기
KR101614091B1 (ko) * 2014-12-12 2016-04-25 김성은 음식물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접이식 석쇠
KR20160136691A (ko) 2015-05-20 2016-11-30 오정수 와이어 길이조절 및 접이구조를 통해 크기 조절이 가능한 구이용 석쇠
JP2017104198A (ja) * 2015-12-08 2017-06-15 東英商事株式会社 串焼き用器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854B1 (ko) * 2021-05-07 2022-09-01 양준호 접이식 손잡이를 갖는 양면 석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970Y1 (ko) 202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04037T3 (es) Prensa de alimentos de peso ajustable para cocinar
US5887513A (en) Multiple kabob holder
US9155422B1 (en) Turkey flipper and method for making and using
KR200492970Y1 (ko) 구이용 석쇠
JP6638136B2 (ja) 折り畳み可能な発熱器と焼き板が備えられる焼き装置
US20140339840A1 (en) Kebob tongs
KR101614091B1 (ko) 음식물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접이식 석쇠
US5560286A (en) Device for cooking or grilling small pieces of food
US5740724A (en) Device for cooking or grilling small pieces of food and method of use
KR101511644B1 (ko) 양면 숯불구이용 석쇠
JP2014516555A (ja) 懸吊具及び調味料
KR200473289Y1 (ko) 석쇠
US7118146B2 (en) Skewer
KR102203805B1 (ko) 조립식 석쇠
KR101719455B1 (ko) 옹기를 이용한 구이장치
KR200468281Y1 (ko) 양면 구이기
KR102250910B1 (ko) 조립식 석쇠
KR102446457B1 (ko) 다용도 조립식 석쇠
KR200491314Y1 (ko) 바베큐 구이 장치
US20090293738A1 (en) Food Elevator for a Toaster or Grill
US20120064211A1 (en) Multipurpose chef basket
KR200439130Y1 (ko) 바베큐 구이기용 석쇠
EP1469764B1 (en) Cooking control aid
JP2019013712A (ja) 蒸し鰻用焼き網
US20050230987A1 (en) Roast lif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