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813Y1 - 롤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롤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813Y1
KR200492813Y1 KR2020200002669U KR20200002669U KR200492813Y1 KR 200492813 Y1 KR200492813 Y1 KR 200492813Y1 KR 2020200002669 U KR2020200002669 U KR 2020200002669U KR 20200002669 U KR20200002669 U KR 20200002669U KR 200492813 Y1 KR200492813 Y1 KR 2004928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und
port
opening
coupled
elas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6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룡
Original Assignee
(주)아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텍스 filed Critical (주)아텍스
Priority to KR20202000026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8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8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8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05Dispensers, i.e. machines for unwinding only parts of web ro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5/00Auxiliary appliances for wound dressings; Dispensing containers for dressings or bandages
    • A61F15/001Packages or dispensers for bandages, cotton balls, drapes, dressings, gauze, gowns, sheets, sponges, swabsticks or towels
    • A61F15/002Packages or dispensers for bandages, cotton balls, drapes, dressings, gauze, gowns, sheets, sponges, swabsticks or towels dispensers for web or tape like band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52Devices for discharging successive articles or portions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2Supporting web roll
    • B65H16/04Supporting web roll cantileve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18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web-advancing mechanism, e.g. mechanism acting on the running web
    • B65H23/182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web-advancing mechanism, e.g. mechanism acting on the running web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23/1825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web-advancing mechanism, e.g. mechanism acting on the running web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and controlling web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4Article strippers, e.g. for stripping from advanc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B65H37/005Hand-held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2Composite material
    • B65H2701/1726Composite material including detachable components
    • B65H2701/17262Composite material including detachable components distributed only on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롤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권취대상물이 수용되고, 일측으로 상기 권취대상물의 일단부가 인출되도록 가이드를 포함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상기 권취대상물을 상측 내벽에 밀착시키는 밀착부재가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개구부로 인출된 권취대상물이 밴딩되어 상기 몸체의 상측 외벽에 밀착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편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대상물은 상기 몸체의 상면에 밴딩됨에 따라 일측면에 부착된 부착대상물이 상기 가이드를 따라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몸체 내부에 권취대상물이 감기는 포트가 형성되고, 권취대상물의 인출되는 부분을 밴딩되도록 함으로써, 권취대상물에 부착된 부착대상물이 이격되면서 분리되도록 하여 사용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롤 디스펜서{ROLL DISPENSER}
본 고안은 롤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롤 형태의 밴드, 패치 및 테이프 등을 보관하고, 사용 시 일부만 인출되도록 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롤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및 병원에서 사용되고 있는 반창고나 의료용 접착테이프는 별도의 케이스 없이 원형심에 감겨진 롤 상태에서 사용할 길이만큼 손으로 잡아당겨 인출한 후 별도의 가위 또는 칼을 이용하여 절단해서 사용하고 있고, 사용시마다 절단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을 덜기 위해 통상 사용하기 전에 미리 적당한 길이로 절단한 여러 장의 테이프를 손이 닿기 쉬운 곳에 일부만 붙여 미리 준비해 놓고 필요할 때마다 하나씩 떼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테이프의 용도가 의료용인 점을 감안할 때 테이프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약액이 묻어 있는 부분을 사용자가 손을 대어 만지거나 주변 물체에 접착되면서 세균감염 등의 위생 및 청결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39101호 '압박테이프 수납케이스'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에 압박테이프롤이 수납되는 공간부를 가지며 모서리 부위에 고정요홈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 모서리부위에는 압박테이프가 인출되는 개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개방공의 일단면에서 외측으로 일정한 경사를 갖게 연장 형성된 연장편이 형성된 몸체와, 각 고정요홈에 삽입되어 몸체의 상면을 밀폐하는 고정돌기가 모서리부위에 형성되어 있고 개방공 전면에 몸체의 측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가이드편이 형성된 덮개로 이루어져 있는 구조이다.
기존의 압박테이프 수납케이스는 케이스 내에 롤 형태로 감긴 상태로 구비되므로, 사용 시 당겨짐에 따라 일부가 인출되는 구조이나, 세게 당겨질 경우 필요 이상으로 인출되는 것은 물론, 내부에서 풀린 상태로 구비되어 엉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20-0439101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512450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제20-2019-0000002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제10-2016-0051306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롤 형태로 감긴 밴드, 패치 및 테이프의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일부만 인출되도록 하여 사용이 간편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롤 형태로 감긴 밴드, 패치 및 테이프의 장력을 조절하여 밴드, 패치 및 테이프가 풀려 엉키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 디스펜서는, 내부에 권취대상물이 수용되고, 일측으로 상기 권취대상물의 일단부가 인출되도록 가이드를 포함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상기 권취대상물을 상측 내벽에 밀착시키는 밀착부재가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개구부로 인출된 권취대상물이 밴딩되어 상기 몸체의 상측 외벽에 밀착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편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대상물은 상기 몸체의 상면에 밴딩됨에 따라 일측면에 부착된 부착대상물이 상기 가이드를 따라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권취대상물이 감기는 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포트의 일측에는 상기 권취대상물의 타단부가 연결되고 탄성에 의해 상기 권취대상물을 당기는 탄성체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트의 중앙에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의 일측에는 상기 탄성체가 결합 및 유동 가능하도록 개구편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체의 단부에는 상기 포트에 걸려 고정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상기 포트의 삽입공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력조절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장력조절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장력조절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탄성체가 외주면에 감기며 장력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력조절부재의 타단부는 외부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에 상기 관통공의 내경보다 큰 걸림판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판을 통해 상기 커버를 상기 몸체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롤 디스펜서에 따르면, 몸체 내부에 권취대상물이 감기는 포트가 형성되고, 권취대상물의 인출되는 부분을 밴딩되도록 함으로써, 권취대상물에 부착된 부착대상물이 이격되면서 분리되도록 하여 사용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포트에 탄성체가 구비됨으로써, 권취대상물의 장력을 조절하여 원활한 인출은 물론, 몸체 내부에서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권취대상물이 필요 이상으로 인출 시 이를 다시 감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롤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롤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의 확대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부재의 동작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확대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롤 디스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롤 디스펜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분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롤 디스펜서는 귄취대상물에 부착된 부착대상물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롤 디스펜서(100)는 몸체(110) 및 커버(120) 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10)는 내부에는 권취대상물(10)이 권취된 상태로 구비되고, 일측에는 상기 권취대상물(10)의 일단부가 인출 가능하도록 개구부(1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권취대상물(10)은 롤 형태로 감긴 이형지(11) 및 상기 이형지(11)에 등간격으로 부착된 부착대상물(12)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대상물(12)은 밴드, 패치 및 테이프 등과 같이 신체에 부착될 수 있는 모든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구부(112)의 일측에는 상기 개구부(112)로 인출되는 권취대상물(10)을 안내하는 가이드(113)가 형성되고, 상기 권취대상물(10)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110)의 상측 외벽에 밀착되도록 밴딩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112)로 인출된 권취대상물(10)은 상기 몸체(110)의 상측 외벽으로 밴딩됨에 따라 상기 부착대상물(12)이 이격되어 분리되고, 분리된 부착대상물(12)이 상기 가이드(113)로 안내된다.
상기 커버(120)는 상기 몸체(110)의 개방된 일측면이 밀폐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110)의 일측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커버(120)의 상단에는 상기 몸체(110)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편(121)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편(121)은 상기 몸체(11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연장되고, 상기 부착대상물(12)이 분리된 이형지(11)를 상기 몸체(110)의 상면에 밀착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권취대상물(10)은 상기 이형지(11)가 상기 고정편(121)에 의해 밀착 고정되고, 상기 탄성체(115)에 의해 감겨지는 탄성에 의해 팽팽하게 구비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롤 디스펜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분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의 확대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부재의 동작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롤 디스펜서(200)는 몸체(210), 커버(220) 및 장력조절부재(23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210)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부분을 통해 내부로 권취대상물(10)이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권취대상물(10)이 감길 수 있도록 형성된 포트(211)가 형성되며, 상기 권취대상물(10)의 일단부가 인출 가능하도록 개구부(2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권취대상물(10)은 롤 형태로 감긴 이형지(11) 및 상기 이형지(11)에 등간격으로 부착된 부착대상물(12)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대상물(12)은 밴드, 패치 및 테이프 등과 같이 신체에 부착될 수 있는 모든 것을 포함한다.
상기 포트(211)는 상기 몸체(210)의 내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210)의 일측 내벽 중 상기 개구부(212)와 인접하는 부분에는 상기 권취대상물(10)을 상기 몸체(210)의 상측 내벽으로 밀착시키는 밀착부재(21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구부(212)의 일측에는 상기 개구부(212)로 인출되는 권취대상물(10)을 안내하는 가이드(213)가 형성되고, 상기 권취대상물(10)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210)의 상측 외벽에 밀착되도록 밴딩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212)로 인출된 권취대상물(10)은 상기 몸체(210)의 상측 외벽으로 밴딩됨에 따라 상기 부착대상물(12)이 이격되어 분리되고, 분리된 부착대상물(12)이 상기 가이드(213)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포트(211)에는 상기 권취대상물(10)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탄성체(215)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트(211)의 중앙에는 삽입공(211a)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211a)의 일측에는 상기 탄성체(215)가 결합되는 개구편(211b)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체(215)의 일단부는 상기 개구편(211b)을 통해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에 상기 권취대상물(10)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215)의 타단부는 상기 삽입공(211a)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편(211b)에 걸려 상기 탄성체(215)를 고정시키는 결합돌기(215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체(215)는 상기 개구편(211b)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커버(220)는 상기 몸체(210)의 개방된 일측면이 밀폐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210)의 일측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포트(211)와 마주보는 위치에 관통공(2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220)의 상단에는 상기 몸체(210)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편(221)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편(221)은 상기 몸체(21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연장되고, 상기 부착대상물(12)이 분리된 이형지(11)를 상기 몸체(210)의 상면에 밀착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권취대상물(10)은 상기 이형지(11)가 상기 고정편(221)에 의해 밀착 고정되고, 상기 탄성체(215)에 의해 감겨지는 탄성에 의해 팽팽하게 구비된다.
상기 장력조절부재(230)는 상기 포트(211)에 결합되어 상기 권취대상물(10)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일측에는 상기 삽입공(211a)에 삽입되는 돌출편(23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외부로 돌출된 손잡이(232)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력조절부재(230)의 돌출편(231)에는 상기 탄성체(215)의 결합돌기(215a)와 결합 가능하도록 결합홈(231a)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232)에는 상기 커버(220)와 밀착되는 부분에 상기 관통공(222)의 내경보다 큰 직경의 걸림판(23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220)는 상기 걸림판(233)에 의해 밀착되어 상기 몸체(21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215)는 상기 장력조절부재(2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돌출편(231)의 외주면에 감기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체(215)는 상기 장력조절부재(230)에 감김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면서 상기 권취대상물(10)의 장력을 조절한다.
나아가, 상기 커버(220)의 측면에는 상기 삽입공(211a)과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관통공(222)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제1 고정홈(223)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판(233)의 둘레에는 상기 제1 고정홈(223)과 마주보는 위치에 제2 고정홈(233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고정홈(223) 및 제2 고정홈(233a)에 결합되어 상기 장력조절부재(230)의 회전를 단속하는 고정핀(P)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장력조절부재(230)를 통해 상기 권취대상물(10)의 장력을 조절 및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롤 디스펜서에 따르면, 몸체 내부에 권취대상물이 감기는 포트가 형성되고, 권취대상물의 인출되는 부분을 밴딩되도록 함으로써, 권취대상물에 부착된 부착대상물이 이격되면서 분리되도록 하여 사용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포트에 탄성체가 구비됨으로써, 권취대상물의 장력을 조절하여 원활한 인출은 물론, 몸체 내부에서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권취대상물이 필요 이상으로 인출 시 이를 다시 감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권취대상물 11: 이형지
12: 부착대상물 100: 롤 디스펜서
110: 몸체 111: 포트
111a: 삽입공 111b: 개구편
112: 개구부 113: 가이드
114: 밀착부재 115: 탄성체
115a: 결합돌기 120: 커버
121: 고정편 122: 관통공
123: 제1 고정홈 130: 장력조절부재
131: 돌출편 131a: 결합홈
132: 손잡이 133: 걸림판
133a: 제2 고정홈 P: 고정핀

Claims (5)

  1. 내부에 권취대상물이 수용되고, 일측으로 상기 권취대상물의 일단부가 인출되도록 가이드를 포함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상기 권취대상물을 상측 내벽에 밀착시키는 밀착부재가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개구부로 인출된 권취대상물이 밴딩되어 상기 몸체의 상측 외벽에 밀착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편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대상물은 상기 몸체의 상면에 밴딩됨에 따라 일측면에 부착된 부착대상물이 상기 가이드를 따라 분리되며,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권취대상물이 감기는 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포트의 일측에는 상기 권취대상물의 타단부가 연결되고 탄성에 의해 상기 권취대상물을 당기는 탄성체가 결합되며,
    상기 포트의 중앙에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의 일측에는 상기 탄성체가 결합 및 유동 가능하도록 개구편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체의 단부에는 상기 포트에 걸려 고정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디스펜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상기 포트의 삽입공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력조절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장력조절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장력조절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탄성체가 외주면에 감기며 장력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디스펜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재의 타단부는 외부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에 상기 관통공의 내경보다 큰 걸림판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판을 통해 상기 커버를 상기 몸체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디스펜서.
KR2020200002669U 2020-07-22 2020-07-22 롤 디스펜서 KR2004928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669U KR200492813Y1 (ko) 2020-07-22 2020-07-22 롤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669U KR200492813Y1 (ko) 2020-07-22 2020-07-22 롤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813Y1 true KR200492813Y1 (ko) 2020-12-15

Family

ID=73787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669U KR200492813Y1 (ko) 2020-07-22 2020-07-22 롤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8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277B1 (ko) * 2021-07-05 2021-12-09 박기항 스트랩 디스펜서 및 그에 사용되는 메인 프레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7130A (ja) * 1994-12-08 1996-06-18 Shinwa Package Kk テープロール支持装置と該装置を有する鋼板コイル梱包ライン用テープディスペンサ
KR200439101Y1 (ko) 2006-11-29 2008-04-02 전두한 압박테이프 수납케이스
KR200453023Y1 (ko) * 2008-05-02 2011-03-31 전두한 압박테이프의 수납케이스
KR101512450B1 (ko) 2013-05-24 2015-04-17 주식회사 대일제약 의료용 밴드 디스펜서
KR20160051306A (ko) 2014-11-03 2016-05-11 주식회사 제이와이팜 의료용 접착밴드 디스펜서
KR20190000002U (ko) 2017-06-22 2019-01-02 이규원 의료용 밴드 디스펜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7130A (ja) * 1994-12-08 1996-06-18 Shinwa Package Kk テープロール支持装置と該装置を有する鋼板コイル梱包ライン用テープディスペンサ
KR200439101Y1 (ko) 2006-11-29 2008-04-02 전두한 압박테이프 수납케이스
KR200453023Y1 (ko) * 2008-05-02 2011-03-31 전두한 압박테이프의 수납케이스
KR101512450B1 (ko) 2013-05-24 2015-04-17 주식회사 대일제약 의료용 밴드 디스펜서
KR20160051306A (ko) 2014-11-03 2016-05-11 주식회사 제이와이팜 의료용 접착밴드 디스펜서
KR20190000002U (ko) 2017-06-22 2019-01-02 이규원 의료용 밴드 디스펜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277B1 (ko) * 2021-07-05 2021-12-09 박기항 스트랩 디스펜서 및 그에 사용되는 메인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49947A (en) Paper dispensing device
US7850115B2 (en) Fishing line dispensing arrangement and method
KR200492813Y1 (ko) 롤 디스펜서
MX2012004376A (es) Caja de tiza.
US7387275B1 (en) Fishing leader dispenser
JP5651435B2 (ja) 収納容器
US7600286B2 (en) Lint roller assembly
EP0724133B1 (en) Tape measure
US20050167542A1 (en) Dispenser for rolled strip material
KR101498488B1 (ko) 롤 타입 일회용 밴드 케이스
TWI515153B (zh) 捲繞體收納盒及裝有捲繞體之收納盒
US20110114689A1 (en) Parallelepiped tape cutter
US2532394A (en) Line holder
JP3837326B2 (ja) スプール収納ケース及びケース入りのスプール
JP2009201508A (ja) 糸巻
KR101512450B1 (ko) 의료용 밴드 디스펜서
KR101832099B1 (ko) 헤어 컬링용 롤
JP3989012B2 (ja) フィルムロール用容器
JP3209922U (ja) 草刈りコード包装ケース及び草刈りコード包装体
JP2018083656A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収納容器
JPS6238542Y2 (ko)
JP2847471B2 (ja) 糸巻きケ−ス
JP2019048656A (ja) 紐ガイド
EP3766374B1 (en) Portable compact umbrella
US1023236A (en) Adhesive-plaster sp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