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601Y1 - 소변기 - Google Patents

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601Y1
KR200492601Y1 KR2020190004192U KR20190004192U KR200492601Y1 KR 200492601 Y1 KR200492601 Y1 KR 200492601Y1 KR 2020190004192 U KR2020190004192 U KR 2020190004192U KR 20190004192 U KR20190004192 U KR 20190004192U KR 200492601 Y1 KR200492601 Y1 KR 2004926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al
concave mirror
user
urine
conc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1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국
Original Assignee
정재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국 filed Critical 정재국
Priority to KR20201900041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6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6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6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5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ri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0Baths, closets, sinks, and spittoons
    • Y10S4/05Urine gua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소변기는 소변이 투입되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상하로 형성되는 내부벽면과, 상기 내부벽면의 하단으로부터 전후로 형성되는 하부면을 구비하는 소변기 본체, 및 상기 소변기 본체에서 상기 내부벽면과 상기 하부면 사이에 마련된 오목부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소변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해주는 오목거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소변기{URINAL}
본 고안은 소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변기의 하단부 오목한 부분에 오목거울을 설치하여 사용자의 육안으로 소변이 배출되는 것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소변기에 관한 것이다.
소변기는 사용자가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선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는 것임에 따라, 소변기 밖으로 소변이 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화장실 바닥 면에 튄 소변이 고이게 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악취와 오염을 유발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소변은 혈액과 함께 현재의 건강 상태를 알 수 있는 중요한 기준 중의 하나이다.
그리고 소변은 혈액과는 달리 자연스럽고 일상적인 과정을 통해 몸 밖으로 배출되므로, 사용자가 소변기에 소변을 누는 도중에 자신의 소변 색깔, 소변 배출 상태, 소변 유량, 잔뇨 등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면, 스스로의 건강을 체크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변기의 사용상 외부로 소변이 튀지 않도록 해주며, 소변을 누는 도중에 실시간으로 스스로의 소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소변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8815호(2017.11.24. 공개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소변기 사용자 근접위치 유도구가 개시되어 있다. 다만, 이에 개시된 선행문헌에 따른 소변기의 경우, 사용자가 소변을 누는 도중에 자신의 소변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구성요소에 관하여 전혀 제시하는 바가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8815호
본 고안의 목적은, 소변기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내측 벽면과 내측 하부면 사이의 오목한 부분에 오목거울을 설치하여 사용자의 육안으로 소변이 배출되는 것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소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소변기로부터 먼 거리에 서 있을 경우 소변기 외부로 소변이 튀는 현상을 방지하여 화장실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소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소변을 배출하는 도중에도 직접 육안으로 소변 색깔, 소변 유량, 잔뇨 현상을 확인할 수 있어 스스로의 건강체크가 가능한 소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소변기는 소변이 투입되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상하로 형성되는 내부벽면과, 상기 내부벽면의 하단으로부터 전후로 형성되는 하부면을 구비하는 소변기 본체; 및 상기 소변기 본체에서 상기 내부벽면과 상기 하부면 사이에 마련된 오목부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소변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해주는 오목거울;을 포함하고, 상기 오목거울의 전방과, 상기 오목거울과 상기 오목부 사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상에 상기 오목거울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변기 본체는,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를 덮어 형성되며, 급수라인이 연결되는 상부몸체; 상기 내부공간의 측면을 감싸며 상기 상부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벽면을 제공하는 측면몸체; 및 상기 하부면의 높이 보다 상향 돌출되어 상기 측면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전방돌출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오목부의 전방에는, 배수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거울은, 사용자가 상기 소변기 본체에 설정 거리 이내에 근접하여 위치할 경우에만, 상기 오목거울에 반사된 자신의 소변을 사용자의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 위치, 크기 및 오목한 곡률반경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오목거울과 상기 오목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오목거울을 후방에서 지지하며 상기 오목거울에 가해진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층; 및 상기 오목거울의 전방에 투명한 소재로 코팅되어 상기 오목거울의 노출 부위를 감싸 보호하는 강화코팅층;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강화코팅층은, 상기 오목거울의 전방을 덮어 보호하는 투명한 제1 강화코팅층; 및 상기 제1 강화코팅층의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오목부에 연결 고정되며, 상기 강화코팅층, 상기 오목거울, 및 상기 충격흡수층 각각의 사이에 형성된 계면을 밀봉하여 분리를 방지하고, 상기 오목거울의 측면을 덮어 보호하는 제2 강화코팅층;을 포함한다.
상기 소변기 본체로부터 설정 거리 이격하여 배치되며, 사용자가 서는 위치를 안내해주는 위치안내판; 상기 위치안내판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사용자의 위치 여부를 감지하고 사용자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서 사용자 감지 신호를 전달 받아 상기 오목거울을 향해 조명을 발광하는 광원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유닛은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인 소변기에 의하면 소변기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내측 벽면과 내측 하부면 사이의 오목한 부분에 오목거울을 설치하여 사용자의 육안으로 소변이 배출되는 것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인 소변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소변기로부터 먼 거리에 서 있을 경우 소변기 외부로 소변이 튀는 현상을 방지하여 화장실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인 소변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소변을 누는 도중에 손쉽게 육안으로 자신의 소변 색깔, 소변 배출 상태, 소변 유량, 잔뇨 현상 등을 확인할 수 있어 스스로의 건강체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고안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기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기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 및 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기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기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기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기(100)는 소변기 본체(110)와, 오목거울(150)을 포함한다.
소변기 본체(110)는 소변이 투입되는 내부공간(112)을 제공하며, 상하로 형성되는 내부벽면(111)과, 상기 내부벽면(111)의 하단으로부터 전후로 형성되는 하부면(113)을 구비한다.
오목거울(150)은 상기 소변기 본체(110)에서 상기 내부벽면(111)과 상기 하부면(113) 사이에 마련된 오목부(114)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소변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해준다.
특히,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기(100)는 오목거울(150)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오목거울(150)의 전방과, 상기 오목거울(150)과 상기 오목부(114) 사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상에 상기 오목거울(150)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층(160. 17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오목거울(150)의 구조를 설명할 때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소변기 본체(110)는 상부몸체(115), 측면몸체(117), 전방돌출몸체(119)를 포함한다.
상부몸체(115)는 상기 내부공간(112)의 상부를 덮어 형성되며, 급수라인(120)이 연결된다.
측면몸체(117)는 상기 내부공간(112)의 측면을 감싸며 상기 상부몸체(115)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벽면(111)을 제공한다.
전방돌출몸체(119)는 상기 하부면(113)의 높이 보다 상향 돌출되어 상기 측면몸체(117)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기(100)는 상기 오목부(114)의 전방에 배수구(130)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급수라인(120) 및 배수구(130)는 소변기(100)의 종류에 따라 필요한 경우 삭제가 가능하며, 반드시 도시된 형상에 따를 필요는 없다. 따라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오목거울(150)은, 사용자가 상기 소변기 본체(110)에 설정 거리 이내에 근접하여 위치할 경우에만, 오목거울(150)에 반사된 자신의 소변을 사용자의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 위치, 크기 및 오목한 정도(예를 들어, 곡률반경 등)가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기(100)는 충격흡수층(160)과 강화코팅층(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2 참조). 이들은 오목거울(150)의 구조 및 소재적인 특성에 따라 충격에 취약한 점을 보강해준다.
충격흡수층(160)은 오목거울(150)과 상기 오목부(114)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오목거울(150)을 후방에서 지지하며 상기 오목거울(150)에 가해진 외부 충격을 흡수한다.
예를 들어, 충격흡수층(160)은 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충격 흡수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강화코팅층(170)은 충격흡수층(160)과 달리 상기 오목거울(150)의 전방에 투명한 소재로 코팅된다.
강화코팅층(170)은 상기 오목거울(150)의 노출 부위를 감싸 보호하는데, 충격흡수층(160)과 달리 투명한 강화코팅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강화코팅층(170)은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오목거울(150)을 구조적으로 보강해주는 소재라면 제한 없이 이용 가능한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투명 강화 코팅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강화코팅층(170)은 오목거울(150)의 전방을 덮어 보호하는 투명한 제1 강화코팅층(171)과 오목거울(150)의 측면을 덮어 보호하는 제2 강화코팅층(17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강화코팅층(173)은 제1 강화코팅층(171)의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오목부(114)에 연결 고정될 수 있다.
제2 강화코팅층(173)은 강화코팅층(171), 오목거울(150), 및 충격흡수층(160) 각각의 사이에 형성된 계면(즉, 경계 면)을 밀봉하여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고 서로 간의 분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오목거울(150)의 측면을 덮어 구조적으로 보호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기(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안내판(200), 센서(210), 광원유닛(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안내판(200)은 상기 소변기 본체(110)로부터 설정 거리 이격하여 배치되며, 사용자가 서는 위치를 안내해준다. 플레이트 형상으로 소변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발 위치를 안내한다.
센서(210)는 상기 위치안내판(200)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사용자의 위치 여부를 감지하고 사용자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210)는 로드 셀 등의 관용의 무게감지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포토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이 위치안내판(200)에 안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광원유닛(300)은 상기 센서(210)에서 사용자 감지 신호를 전달 받아 상기 오목거울(150)을 향해 조명을 발광한다.
광원유닛(3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등이 이용될 수 있는데, 오목거울(150)을 향해 은은한 광원을 조사하여 사용자가 소변 상태를 확인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광원유닛(300)은 상부몸체(115)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기(100)의 작동 상태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H)가 소변기 본체(110)에 접근하여 소변(P)을 누는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소변(P)을 누는 도중에 사용자(H)의 시선 방향(S)은 오목거울(150)을 향하게 되고, 자신의 소변 색깔, 소변 배출 상태, 소변 유량, 잔뇨 등을 직접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소변기(100)는 사용자(H)가 서 있는 위치를 위치안내판(200)에 안내해주는데, 이때, 위치안내판(200)에는 센서(210)가 설치되어 사용자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광원유닛(300)은 오목거울(150)을 향해 은은한 광을 조사하게 되고, 사용자(H)가 자신의 소변 상태를 확인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소변기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내측 벽면과 내측 하부면 사이의 오목한 부분에 오목거울을 설치하여 사용자의 육안으로 소변이 배출되는 것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소변기로부터 먼 거리에 서 있을 경우 소변기 외부로 소변이 튀는 현상을 방지하여 화장실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가 소변을 누는 도중에 손쉽게 육안으로 자신의 소변 색깔, 소변 배출 상태, 소변 유량, 잔뇨 현상 등을 확인할 수 있어 스스로의 건강체크가 가능한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소변기 110: 소변기 본체
111: 내부벽면 112: 내부공간
113: 하부면 114: 오목부
115: 상부몸체 117: 측면몸체
119: 전방돌출몸체 120: 급수라인
130: 배수구 150: 오목거울
160: 충격흡수층 170: 강화코팅층
171: 제1 강화코팅층 173: 제2 강화코팅층
200: 위치안내판 210: 센서
300: 광원유닛

Claims (6)

  1. 소변이 투입되는 내부공간(112)을 제공하며, 상하로 형성되는 내부벽면(111)과, 상기 내부벽면(111)의 하단으로부터 전후로 형성되는 하부면(113)을 구비하는 소변기 본체(110); 및
    상기 소변기 본체(110)에서 상기 내부벽면(111)과 상기 하부면(113) 사이에 마련된 오목부(114)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소변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해주는 오목거울(150);을 포함하고,
    상기 오목거울(150)의 전방과, 상기 오목거울(150)과 상기 오목부(114) 사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상에 상기 오목거울(150)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기 본체(110)는,
    상기 내부공간(112)의 상부를 덮어 형성되며, 급수라인(120)이 연결되는 상부몸체(115);
    상기 내부공간(112)의 측면을 감싸며 상기 상부몸체(115)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벽면(111)을 제공하는 측면몸체(117); 및
    상기 하부면(113)의 높이 보다 상향 돌출되어 상기 측면몸체(117)와 일체로 형성되는 전방돌출몸체(119);를 포함하며,
    상기 오목부(114)의 전방에는, 배수구(1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거울(150)은,
    사용자가 상기 소변기 본체(110)에 설정 거리 이내에 근접하여 위치할 경우에만, 상기 오목거울(150)에 반사된 자신의 소변을 사용자의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 위치, 크기 및 오목한 정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거울(150)과 상기 오목부(114)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오목거울(150)을 후방에서 지지하며 상기 오목거울(150)에 가해진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층(160); 및
    상기 오목거울(150)의 전방에 투명한 소재로 코팅되어 상기 오목거울(150)의 노출 부위를 감싸 보호하는 강화코팅층(170);을 더 포함하는 소변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코팅층(170)은,
    상기 오목거울(150)의 전방을 덮어 보호하는 투명한 제1 강화코팅층(171); 및
    상기 제1 강화코팅층(171)의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오목부(114)에 연결 고정되며, 상기 강화코팅층(171), 상기 오목거울(150), 및 상기 충격흡수층(160) 각각의 사이에 형성된 계면을 밀봉하여 분리를 방지하고, 상기 오목거울(150)의 측면을 덮어 보호하는 제2 강화코팅층(173);을 포함하는 소변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기 본체(110)로부터 설정 거리 이격하여 배치되며, 사용자가 서는 위치를 안내해주는 위치안내판(200);
    상기 위치안내판(200)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사용자의 위치 여부를 감지하고 사용자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210); 및
    상기 센서(210)에서 사용자 감지 신호를 전달 받아 상기 오목거울(150)을 향해 조명을 발광하는 광원유닛(300);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유닛(300)은 상기 상부몸체(115)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KR2020190004192U 2019-10-17 2019-10-17 소변기 KR2004926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192U KR200492601Y1 (ko) 2019-10-17 2019-10-17 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192U KR200492601Y1 (ko) 2019-10-17 2019-10-17 소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601Y1 true KR200492601Y1 (ko) 2020-11-10

Family

ID=73197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192U KR200492601Y1 (ko) 2019-10-17 2019-10-17 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601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542B1 (ko) * 2007-08-16 2009-04-03 대방포스텍(주) 조명 발광 남성용 소변기
KR20100003881U (ko) * 2008-10-02 2010-04-12 최윤환 소변 튀김방지용 소변기
JP3170426U (ja) * 2011-07-05 2011-09-15 ヤマノ商事株式会社 尿跳ね防止器
KR20170043898A (ko) * 2015-10-14 2017-04-24 최원석 소변 튐 방지 장치
KR20170128815A (ko) 2016-05-16 2017-11-24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소변기 사용자 근접위치 유도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542B1 (ko) * 2007-08-16 2009-04-03 대방포스텍(주) 조명 발광 남성용 소변기
KR20100003881U (ko) * 2008-10-02 2010-04-12 최윤환 소변 튀김방지용 소변기
JP3170426U (ja) * 2011-07-05 2011-09-15 ヤマノ商事株式会社 尿跳ね防止器
KR20170043898A (ko) * 2015-10-14 2017-04-24 최원석 소변 튐 방지 장치
KR20170128815A (ko) 2016-05-16 2017-11-24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소변기 사용자 근접위치 유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9055B2 (ja) 便器本体及びこれを備えたサイホン式水洗便器
JP6428991B2 (ja) 小便器
JP2020082922A (ja) 車両用センサ搭載構造
KR200492601Y1 (ko) 소변기
JP2014070376A (ja) 男性用水洗トイレ
JP5912029B2 (ja) 吐水装置
KR101321510B1 (ko) 살균기능을 갖춘 양변기커버
JP6300141B2 (ja) トイレ用設備
JP2018036242A (ja) 採尿容器
JP4744412B2 (ja) 作業車両の開閉蓋の防水構造
JP5492102B2 (ja) 便器装置
JP2005273284A (ja) 衛生洗浄装置
KR200460622Y1 (ko) 좌변기용 소변오염 방지구
JPH0285430A (ja) 自動水栓装置
JP6347402B2 (ja) 浴室
JP4915596B2 (ja) 便器用表示機器
WO2023124036A1 (en) Handheld skin cleansing device
JP7255714B2 (ja) 洗面カウンタ
KR20190013010A (ko) 좌변기의 소변용 기구
JP7450418B2 (ja) 便座装置及び便器装置
JP3240390U (ja) 便器装置
JP7102213B2 (ja) フラッシュバルブ装置
JP7408497B2 (ja) 水栓装置
JP7406987B2 (ja) 便器装置
JP2011140833A (ja) 水洗便器及び水洗便器におけるオーバーフロー防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