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515Y1 - 배관용 압착 체결구 - Google Patents

배관용 압착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515Y1
KR200492515Y1 KR2020190003629U KR20190003629U KR200492515Y1 KR 200492515 Y1 KR200492515 Y1 KR 200492515Y1 KR 2020190003629 U KR2020190003629 U KR 2020190003629U KR 20190003629 U KR20190003629 U KR 20190003629U KR 200492515 Y1 KR200492515 Y1 KR 2004925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pressing
insertion hole
pressing member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6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학우
Original Assignee
남학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학우 filed Critical 남학우
Priority to KR20201900036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5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5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5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14Clamps for work of special profile
    • B25B5/147Clamps for work of special profile for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4Clamps with pivoted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16Details, e.g. jaws, jaw attachments
    • B25B5/163Jaws or jaw attach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압착 체결구는 바디부의 양단에 제 1 체결구 및 제 2 체결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연에는 배관 연결부의 라운드진 형상 일부에 대응하는 제1 가압부가 마련되는 제1 클램프 부재, 바디부의 일단에 상기 제 1 체결구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3 체결구가 구비되며, 내주연에는 상기 제1 가압부의 일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 가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제1 조임턱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클램프 부재, 그리고, 바디부의 일단에 상기 제 2 체결구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4 체결구가 구비되며, 내주연에는 상기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2 가압부의 각 일단에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링형상을 형성하는 제3 가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제2 조임턱이 형성되어 있는 제3 클램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압부 내지 상기 제3 가압부는 각각 내주연에 원형 압착홈 형성부 및 다각형 압착홈 형성부가 상호 대응되게 순차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배관용 압착 체결구{CONNECTING DEVICE FOR PIPING WORKS}
본 고안은 배관용 압착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접한 두 배관 일단을 압착에 의해 상호 연결하는 작업에 사용되는 배관용 압착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배관의 관체들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는 배관 작업 방법 중에는 압착 체결구를 이용하여 두 관체들의 내부에 이음관을 삽입 후 연결부인 이음 부위를 압착하여 간편하고 신속하게 연결 고정하는 압착 체결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압착 체결구는 대부분 관체와 이음관 사이에 누수 방지를 위해 마련된 고무링이 배치된 관체 이음 부위 둘레를 감싼 상태에서 오므리는 방향으로 압착 조임 동작이 가능하게 조작 및 작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관체들의 압착 체결 작업 시 체결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압착 체결 작업에 사용하는 압착 체결구로는, 후기된 선행기술문헌의특허문헌1인 "실용신안등록 제20-0486897호의 삼분할 구조를 갖는 파이프용 압착 체결구"가 있다.
상기 등록고안은 공구에 의해 직접 힘이 전달되는 양측과 중앙의 3단 클램프 구조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각각의 클램프 연결부위가 교호적으로 엇갈리게 돌출 형성되어 있어 공구에 의해 가해지는 힘이 균형 있게 분산되어 파이프 연결 부위에 균일한 힘이 가해져 파이프가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 클램프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고, 3단으로 제작됨으로 인해 비교적 제작이 용이하고 중량이 가볍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등록고안은 비록 3단 클램프 구조를 통해 힘의 균형 있는 분산이 가능하다고 하나 통상 주조 방식에 의해 제조되는 제1 내지 제3 클램프 부재의 금속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내부에 압착 작업 강도를 견딜 수 있는 강도가 있는 금속 소재의 가압 부재를 별도로 결합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에도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관에 가압을 통한 연결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배관 연결부에 수작업으로 제2 클램프 부재와 제3 클램프 부재를 상호 개방되게 벌린 상태에서 제2 클램프 부재와 제3 클램프 부재를 오므린 상태로 전환한 후 가압 공구에 의해 압착이 진행되는 동안 압착 체결구를 계속적으로 작업자가 잡고 있어야 하므로 체결 작업이 불편하고 복수개의 배관 연겨부의 압착을 통해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압착 작업 중 자칫 가압 공구에 의한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클램프 부재 폐쇄 및 개방 수작업 및 계속적 파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기 특허문헌2의 “특허등록 제10-1475375호의 파이프 압착 체결구”가 제안되었다.
상기 등록발명의 경우 클램프 부재에 해당하는 본체 어셈블리의 본체 부재의 외주면 요홈에 판 스프링을 삽입하여 본체 어셈블리 및 인서트 어셈블리가 탄성적으로 오므려지게 하여 배관 연결부에 체결을 통해 가압 작업 전 위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가압 체결 작업 시 작업자가 파이프 압착 체결구를 별도로 잡고 있지 않아도 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2의 등록발명의 경우 직경이 큰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 파이프 압착 체결구의 사이즈를 증대시키는 경우 본체 어셈블리의 배관 연결부 둘레에 위치 고정을 시키기 위해서는 판스프링의 크기 및 강도가 증대가 수반되어야 한다. 하지만 판스프링의 크기 및 강도 증대로 인한 탄성력이 증가하게 되면 작업자가 배관 연결부 둘레에 본체 어셈블리를 벌려서 고정시키는 작업이 원활하지 않거나 소정 탄성력 이상이 되면 수작업으로 본체 어셈블리를 벌리는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판스프링 채용에 따른 문제점은 상기 특허문헌3인 “특허등록 제10-1598204호의 배관용 압착체결구”에 따른 탄성 조임부(12) 채용 구조를 통해 해결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상기 특허문헌3의 등록발명은 해당 특허문헌의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조임부(12)는 탄성구(H)를 구비하고, 이 탄성구(H)는 두 개의 조임연결구(2, 4)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핀(B)과 인접한 지점에 내장(內藏) 타입으로 제공되어 두 개의 조임연결구(2, 4) 중에서 일측 조임연결구(4) 측에 형성된 삽입홈(H1) 측에 끼워진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두 개의 조임연결구(2,4)가 서로 펼쳐지는 방향으로 조작될 때 압축코일스프링 길이가 탄력적으로 오므라지면서 조임연결구(2, 4)들이 서로 접혀지는 방향으로 탄성 반발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셋팅될 수 있도록 하여 판스프링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3의 등록발명은 압축코일스프링이 직선 방향이 아닌 곡선 방향으로 휘어진 상태로 삽입홈에 삽입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균일한 탄성 반발력이 전달이 쉽지 않으며, 시간이 지나면 휨으로 인한 형상 변형이 발생하여 균일 탄성 반발력이 더욱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삽입홈에 압축코일스프링이 내장형으로 삽입이 된다는 설명만이 있을 뿐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구조를 통해 압축코일스프링이 삽입홈에 삽입되는 구조를 확인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도시 구조를 통해 확인되는 삽입 구조는 연결핀(B)의 연결 전 또는 제거 후 드러난 삽입홈을 통해 압축코일스프링을 삽입 후 다시 연결핀을 연결하여야 하는 것으로 파악되어 압축 코일 스프링의 초기 삽입 작업이나 교체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압축 코일 스프링이 측면이 연결핀과 마찰을 일으켜 탄성 반발력 저하나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하는 추가적 문제점이 발생한다.뿐만 아니라,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3은 모두 압착 체결구가 관체 이음 부위 둘레를 감싼 상태에서 오므리는 방향으로 압착 조임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가압부에 원형홈부 만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압 동작을 통해 고무링이 배치된 관체 이음 부위 둘레를 가압하게 되면 고무링, 배관 관체와 이음관 사이의 원형 압착 홈만의 형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압 과정에서 원형 형상인 압착홈 부분을 따라 배관 관체와 이음관이 상호 불필요한 회동이 가능하여 압착 조임 후 이음관에 의해 연결된 특히 구조가 복잡한 T형이나 십자형 등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배관 관체들이 서로 틀어질 수 있어 원하는 방향으로 관체를 상호 연결, 배치 또는 매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20-0486897 Y1 KR 10-1475375 B1 KR 10-1598204 B1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압착 체결구가 관체 이음 부위 둘레를 감싼 상태에서 오므리는 방향으로 압착 조임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가압 과정에서 배관 관체와 이음관 간의 상호 불필요한 회동을 방지할 수 배관용 압착 체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배관의 크기에 상관없이 가압 공구 사용 작업 전후 배관 연결부 둘레에 압착 체결구를 작업자가 적절한 힘으로 수작업으로 용이하게 벌려서 체결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압 공구 작업 중에도 작업자가 압착 체결구를 파지할 필요가 없어 안전하면서도 배관 연결부 압착 작업 효율이 우수한 배관용 압착 체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압착 체결구의 배관 연결부 둘레 체결 고정 및 고정 해제 동작을 용이하게 하도록 적정 지지력을 제공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의 탄성 반발력의 균일성을 담보하고 휨 변형등의 형상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축 코일 스프링의 삽입 및 교체가 용이한 배관용 압착 체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압착 체결구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압착 체결구는 바디부의 양단에 제 1 체결구 및 제 2 체결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연에는 배관 연결부의 라운드진 형상 일부에 대응하는 제1 가압부가 마련되는 제1 클램프 부재, 바디부의 일단에 상기 제 1 체결구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3 체결구가 구비되며, 내주연에는 상기 제1 가압부의 일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 가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제1 조임턱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클램프 부재, 그리고, 바디부의 일단에 상기 제 2 체결구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4 체결구가 구비되며, 내주연에는 상기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2 가압부의 각 일단에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링형상을 형성하는 제3 가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제2 조임턱이 형성되어 있는 제3 클램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압부 내지 상기 제3 가압부는 각각 내주연에 원형 압착홈 형성부 및 다각형 압착홈 형성부가 상호 대응되게 순차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형 압착홈 형성부는 인근에 순차 형성된 금속링 압착홈 형성부 및 고무링 압착홈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클램프 부재는 바디부의 외측에서 상기 제1 체결구를 향해 제1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이 추가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클램프 부재는 바디부의 외측에서 상기 제2 체결구를 향해 제2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이 추가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 및 상기 제2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제1 체결구 및 상기 제2 체결구에 각각 소정 탄성 지지력을 제공하는 탄성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가압 부재는 상기 제1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 및 상기 제2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에 각각 순차 삽입되어 있는 볼 플랜지, 코일 스프링 및 무두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구 및 상기 제2 체결구는 각각 상기 제3 체결구 및 상기 제4 체결구에 교호적으로 삽입되어 상호 회동될 수 있도록 라운드져 있으며 내부에 힌지핀 수용홀이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돌기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 3 체결구 및 상기 제4 체결구는 내부에 각각 상기 제1 체결구 및 상기 제2 체결구를 삽입 수용할 수 있는 소정 공간을 두도록 상호 이격되어 대칭되게 마련된 좌우 동형 형태로 라운드져 있으며 내부에 힌지핀 수용홀이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돌기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압착 체결구에 의하면, 압착 체결구의 가압부에 원형 압착홈 형성부 뿐만 아니라 다각형 압착홈 형성부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압 동작을 통해 관체 이음 부위 둘레를 가압하게 되면 고무링, 배관 관체와 이음관 사이의 원형 압착홈만 아니라 배관 관체와 이음관에 단면이 다각형 형상의 압착홈이 형성되기 때문에 배관 관체와 이음관 사이의 상호 불필요한 회동이 방지되어 압착 조임 후 이음관에 의해 연결된 특히 구조가 복잡한 T형이나 십자형 등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배관 관체들이 서로 틀어지지 않고 원하는 방향으로 상호 연결, 배치 또는 매설이 가능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배관용 압착 체결구에 의하면, 배관의 크기에 상관없이 가압 공구 사용 작업 전후 배관 연결부 둘레에 배관용 압착 체결구를 작업자가 적절한 힘으로 수작업으로 용이하게 벌려서 체결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압 공구 작업 중에도 작업자가 압착 체결구를 파지할 필요가 없어 안전하면서도 배관 연결부 압착 작업 효율이 우수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압착 체결구에 의하면 압착 체결구의 배관 연결부 둘레 체결 고정 및 고정 해제 동작을 용이하게 하도록 적정 지지력을 제공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의 탄성 반발력의 균일성을 담보하고 휨 변형 등의 형상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축 코일 스프링의 삽입 및 교체가 용이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2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압착 체결구의 개방 상태 결합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압착 체결구의 개방 상태 정면 투시도 및 폐쇄 상태 정면 투시도,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압착 체결구의 폐쇄 상태 요부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압착 체결구에 의해 이음부가 압착되기 전 배관 관체와 이음관의 종단면도, 그리고,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압착 체결구에 의해 이음부가 압착된 후의 배관 관체와 이음관의 종단면도 및 실제 사진이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는 본 고안의 이상적인 사시도 및 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압착 체결구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2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압착 체결구의 개방 상태 결합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압착 체결구의 개방 상태 정면 투시도 및 폐쇄 상태 정면 투시도, 그리고,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압착 체결구의 폐쇄 상태 요부절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압착 체결구는 제1 클램프 부재(100), 제2 클램프 부재(200), 제3 클램프 부재(300), 탄성 가압 부재(400) 및 체결구 결합 부재(500)를 포함한다.
제1 클램프 부재(100)는 전체 삼분할 구조를 갖는 배관용 압착 체결구의 중앙에 위치되며 양단에 후술될 제 2 클램프 부재(200)와 제 3 클램프 부재(300)가 각각 상호 개폐 회동 여부에 따라 링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 클랩프 부재(100)는 바디부(110)의 양단에 제 1 체결구(120)와 제 2 체결구(130)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주연에는 배관 연결부의 라운드진 형상에 대응하는 제1 가압부(140)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체결구(120)는 제1 클램프 부재(100)의 일단부 일면 방향에 돌출 형성되고, 제2 체결구(130)는 제 1 클램프 부재(10) 타단부 타면 방향에 돌출 형성된다. 이때 제1 체결구(120)는 내부에 후술할 제3 체결구(220)에 교호적으로 삽입되어 상호 회동될 수 있도록 라운드져 있으며 내부에 체결구 결합 부재(500)의 힌지핀(510) 수용홀(h)이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돌기로 마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체결구(130)는 내부에 후술할 제4 체결구(320)에 교호적으로 삽입되어 상호 회동될 수 있도록 라운드져 있으며 내부에 힌지핀(510) 수용홀(h)이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돌기로 마련되어 있다.
제2 클램프 부재(200)는 전체가 호 형상을 가지며, 바디부(210)의 일단에 제1 체결구(120)와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3 체결구(220)가 구비되며, 내주연에는 압착을 위한 회동에 의한 폐쇄 작업시 제1 가압부(140)의 일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 가압부(240)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제1 조임턱(230)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바디부(210)의 외측에서 제1 체결구(120)를 향해 관통된 제1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212)이 형성되어 있다.
제3 체결구(220)는 상기 제1 체결구(120)를 내부로 교호적으로 삽입 수용할 수 있는 소정 공간을 두도록 상호 이격되어 대칭되게 마련된 좌우 동형 형태로, 라운드져 있으며 내부에 힌지핀(510) 수용홀(h)이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돌기로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체결구 결합 부재(500)의 힌지핀(510)을 수용 후 힌지핀 수용홀(h)의 양단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스냅링 결합홈(512)에 스냅링(520)이 결합되어 제1 체결구(120)를 교호적으로 삽입한 상태로 제1 체결구(120)에 대해 상대 회동 가능하다.
제3 클램프 부재(300)도 전체가 호 형상을 가지며, 바디부(310)의 일단에 제2 체결구(130)와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4 체결구(320)가 구비되며, 내주연에는 압착을 위한 폐쇄 작업시 회동에 의해 제1 가압부(140) 및 제2 가압부(240)의 각 일단에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링형상을 형성하는 제3 가압부(340)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제2 조임턱(330)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바디부(310)의 외측에서 제2 체결구(130)를 향해 관통된 제2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312)이 형성되어 있다.
제4 체결구(320)는 상기 제2 체결구(130)를 내부로 교호적으로 삽입 수용할 수 있는 소정 공간을 두도록 상호 이격되어 대칭되게 마련된 좌우 동형 형태로, 라운드져 있으며 내부에 힌지핀(510) 수용홀(h)이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돌기로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체결구 결합 부재(500)의 힌지핀(510)을 수용 후 힌지핀 수용홀(h)의 양단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스냅링 결합홈(512)에 스냅링(520)이 결합되어 제2 체결구(130)를 교호적으로 삽입한 상태로 제2 체결구(130)에 대해 상대 회동 가능하다.
이러한 제3 클램프 부재(300)는 본 고안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전술한 제1 클램프 부재(100)의 우측에 위치되는데, 전술된 제2 클램프 부재(200)와 동일하게 형성되는바, 제2 클램프 부재(200)와 위치를 상호 변경하여 제3 클램프 부재(300)를 뒤집어 제1 클램프 부재(100)의 좌측, 즉 제1 체결구(120) 측에 힌지 결합 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제2 조임턱(330)은 제 1 조임턱(230)과 함께 가압 공구에 의해 가압되는 역할을 한다.
탄성 가압 부재(400)는 제1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212) 및 제2 삽입공(312)에 각각 순차 삽입되어 있는 볼 플랜지(410), 코일 스프링(420) 및 무두(無頭) 볼트(430)로 구성되어 있다.
무두 볼트(430)는 나사산 회동 결합 방식으로 제1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212) 및 제2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312) 내의 내부 소정 위치까지 삽입이 된다. 이를 위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212) 및 제2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312)의 적어도 상부 일부에는 나사산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볼 플랜지(410)는 첨예부가 뭉퉁하도록 라운드진 총알 모양으로 일단이 무두 볼트(430)에 의해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420)의 압축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체결구(120) 및 제2 체결구(130)의 라운드진 돌기 부분을 적절한 힘으로 각각 가압을 하게 된다.
이 때 가해지는 가압력은 코일 스프링(420)의 강도와 무두 볼트(430)의 제1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212) 및 제2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312) 내의 내부 각각 소정 위치까지의 삽입 깊이에 의해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제1 가압부(140), 제2 가압부(240) 및 제3 가압부(340)는 각각 내주연에 배관 연결부의 가압 작업의 편의성 및 수밀성 확보를 위해 원형 압착홈 형성부(145, 245, 345) 및 다각형 압착홈 형성부(148, 248, 348)가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순차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원형 압착홈 형성부(145)는 금속링 압착홈 형성부(146, 246, 346) 및 고무링 압착홈 형성부(147, 247, 347)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다각형 압착홈 형성부(148, 248, 348)는 금속링 압착홈 형성부(146, 246, 346)의 인근에 마련되어 있다.
금속링 압착홈 형성부(146, 246, 346) 및 고무링 압착홈 형성부(147, 247, 347)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호 연결이 요구되는 배관(10)의 관체 끝단과 이음관(20)의 끝단에 각각 마련된 금속링 압착홈부(14)와 고무링(30)이 개재된 고무링 압착홈부(16)를 가압 공구(미도시)를 통해 조임턱(230, 330)을 조이면 도 7 및 도 8과 같이 배관(11)에 원형의 금속링 압착홈(15)과 고무링(21)이 압착된 고무링 압착홈(17, 27)이 각각 형성되어 수밀성을 확보하게 된다.
한편, 금속링 압착홈 형성부(146, 246, 346)의 인근에 각각 형성된 다각형 압착홈 형성부(148, 248, 348)는 가압 공구(미도시)를 통해 조임턱(230, 330)을 조이면 도 7 및 도 8과 같이 배관(11) 및 이음관(210)이 서로 접합된 다각형 압착홈(13, 23)를 형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각형 압착홈 형성부(148, 248, 348)는 전체가 6각형 형상 돌기로 마련되어 다각형 압착홈(13, 23)이 육각형 형상의 압착홈이 생겨 가압 작업시 배관(11)과 이음관(21) 사이에 불필요한 회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이 따른 배관용 압착 체결구에 의하면 가압부(140, 240, 340)에 원형 압착홈 형성부(145, 245, 245) 뿐만 아니라 다각형 압착홈 형성부(148, 248, 248)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압 동작을 통해 배관(10)의 관체 이음 부위 둘레를 가압하게 되면 고무링(31), 배관(11) 관체와 이음관(21) 사이의 원형 압착홈(15, 17, 27) 뿐만 아니라 배관(11) 관체와 이음관(21)에 단면이 다각형 형상의 압착홈(13)이 형성되기 때문에 배관(11) 관체와 이음관(21) 사이의 상호 불필요한 회동이 방지되어 압착 조임 후 이음관(21)에 의해 연결된 특히 구조가 복잡한 T형이나 십자형 등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배관(11) 관체들이 서로 틀어지지 않고 원하는 방향으로 상호 연결, 배치 또는 매설이 가능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이 따른 배관용 압착 체결구에 의하면 탄성 가압 부재(400)를 이용한 가압력의 자유로운 조절을 통해 배관 연결부의 압착 작업을 위한 가압 공구의 사용을 위해 배관의 크기에 상관없이 배관 연결부 둘레에 압착 체결구의 제2 클램프 부재(200)와 제3 클램프 부재(300)를 작업자가 적절한 힘으로 수작업으로 용이하게 벌려서 배관 연결부에 위치시킨 후 다시 오므리면 배관 연결부 둘레에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관용 압착 체결구의 체결 고정 및 고정 해제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가압 공구를 이용한 압착 작업 중에도 작업자가 압착 체결구를 파지할 필요가 없어 안전하면서도 압착 작업 효율이 우수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이 따른 배관용 압착 체결구에 의하면 배관 연결부 둘레 고정 및 고정 해제 동작을 용이하게 하도록 적정 지지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420)이 휨 없이 일직선 길이 방향으로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212, 312) 내에 용이하게 삽입 고정 되므로 탄성 반발력의 균일성을 담보하고 휨 변형 등의 형상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일 스프링의 삽입 및 교체가 매우 용이한 유리한 효과가 있다.
10, 11 : 배관 12 : 다각형 압착홈부
13 : 다각형 압착홈 14 : 금속링 압착홈부
15 : 금속링 압착홈 16 : 고무링 압착홈부
17, 27 : 고무링 압착홈
20, 21 : 이음관 30, 31 : 고무링
100 : 제1 클램프 부재 110, 210. 310 : 바디부
120 : 제1 체결구
130 : 제2 체결구 140, 240, 340 : 가압부
145, 245, 345 : 원형 압착홈 형성부
146, 246, 346 : 금속링 압착홈 형성부
147, 247, 347 : 고무링 압착홈 형성부
148, 248, 348 : 다각형 압착홈 형성부
200 : 제2 클램프 부재 212 : 제1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
220 : 제 3 체결구 230, 330 : 조임턱
300 : 제 3 클램프부재 312 : 제2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
320 : 제4 체결구
400 : 탄성 가압 부재 410 : 볼 플랜지
420 : 코일 스프링 430 : 무두 볼트
500 : 체결구 결합 부재 510 : 힌지핀
512 : 스냅링 결합홈 520 : 스냅링

Claims (5)

  1. 바디부의 양단에 제 1 체결구 및 제 2 체결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연에는 배관 연결부의 라운드진 형상 일부에 대응하는 제1 가압부가 마련되는 제1 클램프 부재,
    바디부의 일단에 상기 제 1 체결구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3 체결구가 구비되며, 내주연에는 상기 제1 가압부의 일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 가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제1 조임턱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클램프 부재, 그리고,
    바디부의 일단에 상기 제 2 체결구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4 체결구가 구비되며, 내주연에는 상기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2 가압부의 각 일단에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링형상을 형성하는 제3 가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제2 조임턱이 형성되어 있는 제3 클램프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압부 내지 상기 제3 가압부는
    각각 내주연에 원형 압착홈 형성부 및 다각형 압착홈 형성부가 상호 대응되게 순차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체결구 및 상기 제2 체결구는
    각각 상기 제3 체결구 및 상기 제4 체결구에 교호적으로 삽입되어 상호 회동될 수 있도록 라운드져 있으며 내부에 힌지핀 수용홀이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돌기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 3 체결구 및 상기 제4 체결구는
    내부에 각각 상기 제1 체결구 및 상기 제2 체결구를 삽입 수용할 수 있는 소정 공간을 두도록 상호 이격되어 대칭되게 마련된 좌우 동형 형태로 라운드져 있으며 내부에 힌지핀 수용홀이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돌기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2클램프 부재는
    바디부의 외측에서 상기 제1 체결구를 향해 제1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이 추가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클램프 부재는
    바디부의 외측에서 상기 제2 체결구를 향해 제2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이 추가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 및 상기 제2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제1 체결구 및 상기 제2 체결구에 각각 소정 탄성 지지력을 제공하는 탄성 가압 부재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 가압 부재는
    상기 제1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 및 상기 제2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에 각각 순차 삽입되어 있는 볼 플랜지, 코일 스프링 및 무두 볼트
    를 포함하며,
    상기 무두 볼트는 나사산 회동 결합 방식으로 상기 제1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 및 상기 제2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 내의 내부 소정 위치까지 삽입이 되며, 상기 볼 플랜지는 첨예부가 라운드진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무두 볼트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압축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체결구 및 상기 제2 체결구의 라운드진 돌기 부분을 각각 적절한 힘으로 가압을 하게 되며, 이 때 가해지는 가압력은 상기 코일 스프링의 강도와 상기 무두 볼트의 상기 제1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 및 상기 제2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 내의 내부 각각 소정 위치까지의 삽입 깊이에 의해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한
    배관용 압착 체결구.
  2. 제1항에서,
    상기 원형 압착홈 형성부는
    인근에 순차 형성된 금속링 압착홈 형성부 및 고무링 압착홈 형성부
    를 포함하는
    배관용 압착 체결구.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90003629U 2019-09-02 2019-09-02 배관용 압착 체결구 KR2004925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629U KR200492515Y1 (ko) 2019-09-02 2019-09-02 배관용 압착 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629U KR200492515Y1 (ko) 2019-09-02 2019-09-02 배관용 압착 체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515Y1 true KR200492515Y1 (ko) 2020-10-29

Family

ID=73006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629U KR200492515Y1 (ko) 2019-09-02 2019-09-02 배관용 압착 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51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7864A (ko) * 2021-06-15 2022-12-22 민우정공(주) 배관용 압착 체결구
IT202100021377A1 (it) * 2021-08-06 2023-02-06 Stucchi Spa Assemblato di innesto rapido con anello elastico anti-sganci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951Y1 (ko) * 2006-06-14 2006-09-11 삼영금속주식회사 관 이음용 압착공구
KR20120005930U (ko) * 2011-02-15 2012-08-23 박병옥 파이프 압착 체결기
KR101475375B1 (ko) 2014-06-13 2014-12-22 (주) 신한메탈 파이프 압착 체결구
KR101598204B1 (ko) 2015-11-18 2016-02-26 주식회사 서원기술 배관용 압착체결구
KR200486897Y1 (ko) 2016-12-13 2018-07-12 권성애 삼분할 구조를 갖는 파이프용 압착 체결구
KR101904186B1 (ko) * 2017-06-26 2018-10-05 주식회사 서원기술 수밀성 및 내진성이 향상된 배관용 압착 체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951Y1 (ko) * 2006-06-14 2006-09-11 삼영금속주식회사 관 이음용 압착공구
KR20120005930U (ko) * 2011-02-15 2012-08-23 박병옥 파이프 압착 체결기
KR101475375B1 (ko) 2014-06-13 2014-12-22 (주) 신한메탈 파이프 압착 체결구
KR101598204B1 (ko) 2015-11-18 2016-02-26 주식회사 서원기술 배관용 압착체결구
KR200486897Y1 (ko) 2016-12-13 2018-07-12 권성애 삼분할 구조를 갖는 파이프용 압착 체결구
KR101904186B1 (ko) * 2017-06-26 2018-10-05 주식회사 서원기술 수밀성 및 내진성이 향상된 배관용 압착 체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7864A (ko) * 2021-06-15 2022-12-22 민우정공(주) 배관용 압착 체결구
KR102551448B1 (ko) * 2021-06-15 2023-07-05 민우정공(주) 배관용 압착 체결구
IT202100021377A1 (it) * 2021-08-06 2023-02-06 Stucchi Spa Assemblato di innesto rapido con anello elastico anti-sganci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1584B2 (en) Tool for coupling fluid lines
KR200492515Y1 (ko) 배관용 압착 체결구
JP2609442B2 (ja) 連結器
TWI590800B (zh) 連接器及用於一骨骼固定框架中之裝置
US6434998B2 (en) Pressing pincer
CN1006244B (zh) 波纹导管连接器
US20110154958A1 (en) Dual-purpose pliers adapted to chain link
US7954356B1 (en) PEX crimping tool
KR200492516Y1 (ko) 배관용 압착 체결구
US9303947B2 (en) Multi-purpose archery tool
US5121624A (en) Pipe ring crimping tool
JPS63110512A (ja) 歪解放ブツシング
US2739373A (en) Pipe coupling tool
US20240100668A1 (en) Press tool assembly
KR200492109Y1 (ko) 배관용 압착 체결구
KR200491617Y1 (ko) 배관용 압착 체결구
JPH084947A (ja) クランプ装置
KR102551448B1 (ko) 배관용 압착 체결구
US2939732A (en) Cable fitting
US6367357B1 (en) Positive engagement spanner wrench
US20080022748A1 (en) Crimping tool for pipe fittings
CN210566666U (zh) 一种管螺纹紧固辅助工具
CN218747159U (zh) 卡簧钳
KR102551451B1 (ko) 파이프 이음용 압착기
US20230381936A1 (en) Hose handling devic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