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109Y1 - 배관용 압착 체결구 - Google Patents

배관용 압착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109Y1
KR200492109Y1 KR2020190001849U KR20190001849U KR200492109Y1 KR 200492109 Y1 KR200492109 Y1 KR 200492109Y1 KR 2020190001849 U KR2020190001849 U KR 2020190001849U KR 20190001849 U KR20190001849 U KR 20190001849U KR 200492109 Y1 KR200492109 Y1 KR 2004921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elastic
pressing member
elastic pressing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8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학우
Original Assignee
민우정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우정공(주) filed Critical 민우정공(주)
Priority to KR20201900018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109Y1/ko
Priority to PCT/KR2019/018706 priority patent/WO202022625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1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1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용 압착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압착 체결구는 바디부의 양단에 제 1 체결구 및 제 2 체결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연에는 배관 연결부의 라운드진 형상 일부에 대응하는 제1 가압부가 마련되어 있는 제1 클램프 부재, 바디부의 일단에 상기 제 1 체결구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3 체결구가 구비되며, 내주연에는 상기 제1 가압부의 일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 가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제1 조임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디부의 외측에서 상기 제1 체결구를 향해 관통된 제1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클램프 부재, 바디부의 일단에 상기 제 2 체결구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4 체결구가 구비되며, 내주연에는 상기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2 가압부의 각 일단에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링형상을 형성하는 제3 가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제2 조임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디부의 외측에서 상기 제2 체결구를 향해 관통된 제2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3 클램프 부재, 상기 제1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체결구에 소정 탄성 지지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 가압 부재, 그리고, 상기 제2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체결구에 소정 탄성 지지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 가압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용 압착 체결구{CONNECTING DEVICE FOR PIPING WORKS}
본 고안은 배관용 압착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접한 두 배관 일단을 압착에 의해 상호 연결하는 작업에 사용되는 배관용 압착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배관 관체들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는 배관 작업 방법 중에는 압착 체결구를 이용하여 관체들의 연결부인 이음부위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연결 고정하는 압착 체결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압착 체결구는 대부분 관체 이음부위 둘레를 감싼 상태에서 둘레를 오므리는 방향으로 압착 조임 동작이 가능하게 조작 및 작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관체들의 압착 체결 작업 시 체결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압착 체결 작업에 사용하는 압착 체결구로는, 후기된 선행기술문헌의특허문헌1인 "실용신안등록 제20-0486897호의 삼분할 구조를 갖는 파이프용 압착 체결구"가 있다.
상기 등록고안은 공구에 의해 직접 힘이 전달되는 양측과 중앙의 3단 클램프 구조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각각의 클램프 연결부위가 교호적으로 엇갈리게 돌출 형성되어 있어 공구에 의해 가해지는 힘이 균형 있게 분산되어 파이프 연결 부위에 균일한 힘이 가해져 파이프가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 클램프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고, 3단으로 제작됨으로 인해 비교적 제작이 용이하고 중량이 가볍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등록고안은 비록 3단 클램프 구조를 통해 힘의 균형 있는 분산이 가능하다고 하나 통상 주조 방식에 의해 제조되는 제1 내지 제3 클램프 부재의 금속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내부에 압착 작업 강도를 견딜 수 있는 강도가 있는 금속 소재의 가압 부재를 별도로 결합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에도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관에 가압을 통한 연결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배관 연결부에 수작업으로 제2 클램프 부재와 제3 클램프 부재를 상호 개방되게 벌린 상태에서 제2 클램프 부재와 제3 클램프 부재를 오므린 상태로 전환한 후 가압 공구에 의해 압착이 진행되는 동안 압착 체결구를 계속적으로 작업자가 잡고 있어야 하므로 체결 작업이 불편하고 복수개의 배관 연겨부의 압착을 통해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압착 작업 중 자칫 가압 공구에 의한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클램프 부재 폐쇄 및 개방 수작업 및 계속적 파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기 특허문헌2의 “특허등록 제10-1475375호의 파이프 압착 체결구”가 제안되었다.
상기 등록발명의 경우 클램프 부재에 해당하는 본체 어셈블리의 본체 부재의 외주면 요홈에 판 스프링을 삽입하여 본체 어셈블리 및 인서트 어셈블리가 탄성적으로 오므려지게 하여 배관 연결부에 체결을 통해 가압 작업 전 위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가압 체결 작업 시 작업자가 파이프 압착 체결구를 별도로 잡고 있지 않아도 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2의 등록발명의 경우 직경이 큰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 파이프 압착 체결구의 사이즈를 증대시키는 경우 본체 어셈블리의 배관 연결부 둘레에 위치 고정을 시키기 위해서는 판스프링의 크기 및 강도의 증대가 수반되어야 한다. 하지만 판스프링의 크기 및 강도 증대로 인한 탄성력이 증가하게 되면 작업자가 배관 연결부 둘레에 본체 어셈블리를 벌려서 고정시키는 작업이 원활하지 않거나 소정 탄성력 이상이 되면 수작업으로 본체 어셈블리를 벌리는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판스프링 채용에 따른 문제점은 상기 특허문헌3인 “특허등록 제10-1598204호의 배관용 압착체결구”에 따른 탄성 조임부(12) 채용 구조를 통해 해결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상기 특허문헌3의 등록발명은 해당 특허문헌의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조임부(12)는 탄성구(H)를 구비하고, 이 탄성구(H)는 두 개의 조임연결구(2, 4)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핀(B)과 인접한 지점에 내장(內藏) 타입으로 제공되어 두 개의 조임연결구(2, 4) 중에서 일측 조임연결구(4) 측에 형성된 삽입홈(H1) 측에 끼워진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두 개의 조임연결구(2,4)가 서로 펼쳐지는 방향으로 조작될 때 압축코일스프링 길이가 탄력적으로 오므라지면서 조임연결구(2, 4)들이 서로 접혀지는 방향으로 탄성 반발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셋팅될 수 있도록 하여 판스프링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3의 등록발명은 압축코일스프링이 직선 방향이 아닌 곡선 방향으로 휘어진 상태로 삽입홈에 삽입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균일한 탄성 반발력의 전달이 쉽지 않으며, 시간이 지나면 휨으로 인한 형상 변형이 발생하여 균일 탄성 반발력이 더욱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삽입홈에 압축코일스프링이 내장형으로 삽입이 된다는 설명만이 있을 뿐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구조를 통해 압축코일스프링이 삽입홈에 삽입되는 구조를 확인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도시 구조를 통해 확인되는 삽입 구조는 연결핀(B)의 연결 전 또는 제거 후 드러난 삽입홈을 통해 압축코일스프링을 삽입 후 다시 연결핀을 연결하여야 하는 것으로 파악되어 압축 코일 스프링의 초기 삽입 작업이나 교체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압축 코일 스프링의 측면이 연결핀과 마찰을 일으켜 탄성 반발력 저하나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하는 추가적 문제점이 발생한다.
KR 20-0486897 Y1 KR 10-1475375 B1 KR 10-1598204 B1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배관의 크기에 상관없이 가압 공구 사용 작업 전후 배관 연결부 둘레에 압착 체결구를 작업자가 적절한 힘으로 수작업으로 용이하게 벌려서 체결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압 공구 작업 중에도 작업자가 압착 체결구를 파지할 필요가 없어 안전하면서도 배관 연결부 압착 작업 효율이 우수한 배관용 압착 체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압착 체결구의 배관 연결부 둘레 체결 고정 및 고정 해제 동작을 용이하게 하도록 적정 지지력을 제공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의 탄성 반발력의 균일성을 담보하고 휨 변형 등의 형상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축 코일 스프링의 삽입 및 교체가 용이한 배관용 압착 체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압착 체결구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압착 체결구는
바디부의 양단에 제 1 체결구 및 제 2 체결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연에는 배관 연결부의 라운드진 형상 일부에 대응하는 제1 가압부가 마련되어 있는 제1 클램프 부재, 바디부의 일단에 상기 제 1 체결구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3 체결구가 구비되며, 내주연에는 상기 제1 가압부의 일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 가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제1 조임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디부의 외측에서 상기 제1 체결구를 향해 관통된 제1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클램프 부재, 바디부의 일단에 상기 제 2 체결구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4 체결구가 구비되며, 내주연에는 상기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2 가압부의 각 일단에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링형상을 형성하는 제3 가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제2 조임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디부의 외측에서 상기 제2 체결구를 향해 관통된 제2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3 클램프 부재, 상기 제1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체결구에 소정 탄성 지지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 가압 부재, 그리고, 상기 제2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체결구에 소정 탄성 지지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 가압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체결구 및 상기 제2 체결구는 각각 상기 제3 체결구 및 제4 체결구에 교호적으로 삽입되어 상호 회동될 수 있도록 라운드져 있으며 내부에 힌지핀 수용홀이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돌기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 3 체결구 및 상기 제4 체결구는 내부에 각각 상기 제1 체결구 및 상기 제2 체결구를 삽입 수용할 수 있는 소정 공간을 두도록 상호 이격되어 대칭되게 마련된 좌우 동형 형태로 라운드져 있으며 내부에 힌지핀 수용홀이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돌기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부, 상기 제2 가압부 및 상기 제3 가압부는 각각 내주연에 가압 돌기나 가압 홈이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 가압 부재 및 상기 제2 탄성 가압 부재는 상기 제1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 및 상기 제2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에 순차 삽입되어 있는 볼 플랜지, 코일 스프링 및 무두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압착 체결구에 의하면, 배관의 크기에 상관없이 가압 공구 사용 작업 전후 배관 연결부 둘레에 배관용 압착 체결구를 작업자가 적절한 힘으로 수작업으로 용이하게 벌려서 체결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압 공구 작업 중에도 작업자가 압착 체결구를 파지할 필요가 없어 안전하면서도 배관 연결부 압착 작업 효율이 우수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이 따른 압착 체결구의 배관 연결부 둘레 체결 고정 및 고정 해제 동작을 용이하게 하도록 적정 지지력을 제공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의 탄성 반발력의 균일성을 담보하고 휨 변형 등의 형상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축 코일 스프링의 삽입 및 교체가 용이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2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압착 체결구의 폐쇄 상태투시도 및 부분 절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배관용 압착 체결구의 탄성 가압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압착 체결구의 개방 상태 투시도, 그리고,
도 6은 도 5의 B-B’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는 본 고안의 이상적인 투시도, 사시도 및 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압착 체결구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2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압착 체결구의 폐쇄 상태 투시도 및 부분 절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배관용 압착 체결구 탄성 지지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압착 체결구의 개방 상태 투시도, 그리고, 도 6은 도 5의 B-B’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압착 체결구는 제1 클램프 부재(10), 제2 클램프 부재(20), 제3 클램프 부재(30), 제1 탄성 가압 부재(40) 및 제2 탄성 가압 부재(45)를 포함한다.
제 1 클램프 부재(10)는 전체 삼분할 구조를 갖는 배관용 압착 체결구의 중앙에 위치되며 양단에 후술될 제 2 클램프 부재(20)와 제 3 클램프 부재(30)가 각각 상호 개폐 회동 여부에 따라 링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1 클랩프 부재(10)는 바디부(11)의 양단에 제 1 체결구(12)와 제 2 체결구(13)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주연에는 배관 연결부의 라운드진 형상에 대응하는 제1 가압부(14)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체결구(12)는 제 1 클램프 부재(10)의 일단부 일면 방향에 돌출 형성되고, 제 2 체결구(12)는 제 1 클램프부재(10) 타단부 타면 방향에 돌출 형성된다. 이때 제 1 체결구(12)는 후술할 제3 체결구(22)에 교호적으로 삽입되어 상호 회동될 수 있도록 라운드져 있으며 내부에 힌지핀 수용홀(h)이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돌기로 마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체결구(12)는 후술할 제4 체결구(31)에 교호적으로 삽입되어 상호 회동될 수 있도록 라운드져 있으며 내부에 힌지핀 수용홀(h)이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돌기로 마련되어 있다.
제2 클램프 부재(20)는 전체가 호 형상을 가지며, 바디부(21)의 일단에 제 1 체결구(12)와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 3 체결구(22)가 구비되며, 내주연에는 압착을 위한 회동에 의한 폐쇄 작업 시 제1 가압부(14)의 일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 가압부(24)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제1 조임턱(23)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바디부(21)의 외측에서 제1 체결구(12)를 향해 관통된 제1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25)이 형성되어 있다.
제 3 체결구(22)는 내부에 제1 체결구(12)를 삽입 수용할 수 있는 소정 공간을 두도록 상호 이격되어 대칭되게 마련된 좌우 동형 형태로, 라운드져 있으며 내부에 힌지핀 수용홀(h)이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돌기로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제3 체결구는 힌지핀 수용홀(h)에 삽입되는 힌지핀(미도시)의 결합에 의해 제1 체결구(12)를 교호적으로 삽입한 상태로 제1 체결구(12)에 대해 상대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3 클램프 부재(30)도 전체가 호 형상을 가지며, 바디부(31)의 일단에 제 2 체결구(13)와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 4 체결구(32)가 구비되며, 내주연에는 압착을 위한 폐쇄 작업시 회동에 의해 제1 가압부(14) 및 제2 가압부(24)의 각 일단에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링형상을 형성하는 제3 가압부(34)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제2 조임턱(33)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바디부(31)의 외측에서 제2 체결구(13)를 향해 관통된 제2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35)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가압부(14), 제2 가압부(24) 및 제3 가압부(34)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내주연에 배관 연결부의 가압 작업의 편의성 및 수밀성 확보를 위해 별도의 가압 돌기나 가압 홈이 상호 대응되게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 4 체결구(32)는 내부에 제2 체결구(22)를 삽입 수용할 수 있는 소정 공간을 두도록 상호 이격되어 대칭되게 마련된 좌우 동형 형태로, 라운드져 있으며 내부에 힌지핀 수용홀(h)이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돌기로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제4 체결구(32)는 힌지핀 수용홀(h)에 삽입되는 힌지핀(미도시)의 결합에 의해 제2 체결구(13)를 교호적으로 삽입한 상태로 제2 체결구(13)에 대해 상대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제 3 클램프 부재(30)는 본 고안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전술한 제 1 클램프 부재(10)의 우측에 위치되는데, 전술된 제 2 클램프 부재(20)와 동일하게 형성되는바, 제2 클램프 부재(20)와 위치를 상호 변경하여 제 3 클램프 부재(30)를 뒤집어 제 1 클램프 부재(10)의 좌측, 즉 제 1 체결구(12) 측에 힌지 결합 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제2 조임턱(33)은 제 1 조임턱(23)과 함께 가압 공구에 의해 가압되는 역할을 한다.
제1 탄성 가압 부재(40)는 제1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25)에 순차 삽입되어 있는 제1 볼 플랜지(41), 제1 코일 스프링(42) 및 제1 무두(無頭) 볼트(43)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2 탄성 가압 부재(45)는 제2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35)에 순차 삽입되어 있는 제2 볼 플랜지(46), 제2 코일 스프링(47) 및 제2 무두 볼트(48)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무두 볼트(43) 및 제2 무두 볼트(44)는 각각 나사산 회동 결합 방식으로 제1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25) 및 제2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35) 내의 내부 소정 위치까지 삽입이 된다. 이를 위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삽입공(16) 및 제2 삽입공(17)의 적어도 상부 일부에는 나사산이 마련되어 있다.
제1 볼 플랜지(41) 및 제2 볼 플랜지(46)는 첨예부가 뭉퉁하도록 라운드진 총알 모양으로 각각 일단이 제1 무두 볼트(43) 및 제2 무두 볼트(48)에 의해 지지되는 제1 코일 스프링(42) 및 제2 코일 스프링(47)의 압축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체결구(12) 및 제2 체결구(13)의 라운드진 돌기 부분을 적절한 힘으로 가압을 하게 된다.
이 때 가해지는 가압력은 제1 코일 스프링(42) 및 제2 코일 스프링(47)의 강도와 제1 무두 볼트(43) 및 제2 무두 볼트(48)의 제1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25) 및 제2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35) 내의 내부 각각 소정 위치까지의 삽입 깊이에 의해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이 따른 배관용 압착 체결구에 의하면 제1 탄성 가압 부재(40) 및 제2 탄성 가압 부재(45)를 이용한 가압력의 자유로운 조절을 통해 배관 연결부의 압착 작업을 위한 가압 공구의 사용을 위해 배관의 크기에 상관없이 배관 연결부 둘레에 압착 체결구의 제2 클램프 부재(20)와 제3 클램프 부재(30)를 작업자가 적절한 힘으로 수작업으로 용이하게 벌려서 배관 연결부에 위치시킨 후 다시 오므리면 배관 연결부 둘레에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관용 압착 체결구의 체결 고정 및 고정 해제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가압 공구를 이용한 압착 작업 중에도 작업자가 압착 체결구를 파지할 필요가 없어 안전하면서도 압착 작업 효율이 우수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이 따른 배관용 압착 체결구에 의하면 배관 연결부 둘레 고정 및 고정 해제 동작을 용이하게 하도록 적정 지지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42, 47)이 휨 없이 일직선 길이 방향으로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25, 35) 내에 용이하게 삽입 고정 되므로 탄성 반발력의 균일성을 담보하고 휨 변형 등의 형상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일 스프링의 삽입 및 교체가 매우 용이한 유리한 효과가 있다.
10 : 제1 클램프 부재 11, 21, 31 : 바디부
12 : 제1 체결구 13 : 제2 체결구
14 : 제1 가압부
20 : 제2 클램프 부재 22 : 제 3 체결구
23 : 제1 조임턱 24 : 제2 가압부
25 : 제1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
30 : 제 3 클램프부재 32 : 제4 체결구
33 : 제 2 조임턱 34 : 제3 가압부
35 : 제2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
40 : 제1 탄성 가압 부재 41 : 제1 볼 플랜지
42 : 제1 코일 스프링 43 : 제1 무두 볼트
45 : 제2 탄성 가압 부재 46 : 제2 볼 플랜지
47 : 제2 코일 스프링 48 : 제2 무두 볼트

Claims (5)

  1. 바디부의 양단에 제 1 체결구 및 제 2 체결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연에는 배관 연결부의 라운드진 형상 일부에 대응하는 제1 가압부가 마련되어 있는 제1 클램프 부재,
    바디부의 일단에 상기 제 1 체결구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3 체결구가 구비되며, 내주연에는 상기 제1 가압부의 일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 가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제1 조임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디부의 외측에서 상기 제1 체결구를 향해 관통된 제1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클램프 부재,
    바디부의 일단에 상기 제 2 체결구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4 체결구가 구비되며, 내주연에는 상기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2 가압부의 각 일단에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링형상을 형성하는 제3 가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제2 조임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디부의 외측에서 상기 제2 체결구를 향해 관통된 제2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3 클램프 부재,
    상기 제1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체결구에 소정 탄성 지지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 가압 부재, 그리고,
    상기 제2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체결구에 소정 탄성 지지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 가압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탄성 가압 부재 및 상기 제2 탄성 가압 부재는
    상기 제1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 및 상기 제2 탄성 가압 부재 삽입공에 순차 삽입되어 있는 볼 플랜지, 코일 스프링 및 무두 볼트
    를 포함하는
    배관용 압착 체결구.
  2. 제1항에서,
    상기 제 1 체결구 및 상기 제2 체결구는
    각각 상기 제3 체결구 및 제4 체결구에 교호적으로 삽입되어 상호 회동될 수 있도록 라운드져 있으며 내부에 힌지핀 수용홀이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돌기로 마련되어 있는
    배관용 압착 체결구.
  3. 제2항에서,
    상기 제 3 체결구 및 상기 제4 체결구는
    내부에 각각 상기 제1 체결구 및 상기 제2 체결구를 삽입 수용할 수 있는 소정 공간을 두도록 상호 이격되어 대칭되게 마련된 좌우 동형 형태로 라운드져 있으며 내부에 힌지핀 수용홀이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돌기로 마련되어 있는
    배관용 압착 체결구.
  4. 제1항에서,
    상기 제1 가압부, 상기 제2 가압부 및 상기 제3 가압부는
    각각 내주연에 가압 돌기나 가압 홈이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는
    배관용 압착 체결구.
  5. 삭제
KR2020190001849U 2019-05-07 2019-05-07 배관용 압착 체결구 KR2004921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849U KR200492109Y1 (ko) 2019-05-07 2019-05-07 배관용 압착 체결구
PCT/KR2019/018706 WO2020226256A1 (ko) 2019-05-07 2019-12-30 배관용 압착 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849U KR200492109Y1 (ko) 2019-05-07 2019-05-07 배관용 압착 체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109Y1 true KR200492109Y1 (ko) 2020-08-07

Family

ID=72038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849U KR200492109Y1 (ko) 2019-05-07 2019-05-07 배관용 압착 체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92109Y1 (ko)
WO (1) WO2020226256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375B1 (ko) 2014-06-13 2014-12-22 (주) 신한메탈 파이프 압착 체결구
KR101598204B1 (ko) 2015-11-18 2016-02-26 주식회사 서원기술 배관용 압착체결구
KR20170122080A (ko) * 2016-04-26 2017-11-03 주식회사 서원기술 관 이음쇠 압착공구
KR20180001855U (ko) * 2016-12-13 2018-06-21 김용운 삼분할 구조를 갖는 파이프용 압착 체결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07579B4 (de) * 2000-10-19 2012-04-26 Gustav Klauke Gmbh Presswerkzeug zum Verpressen von Rohrenden sowie Presseinsatz für eine Pressbacke eines Presswerkzeuges
KR200480711Y1 (ko) * 2015-09-14 2016-07-08 (주) 신한메탈 압착식 파이프 연결부 압착장치
KR101808791B1 (ko) * 2016-10-11 2017-12-13 (주)신한메탈 압착식 금속관 연결부 압착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375B1 (ko) 2014-06-13 2014-12-22 (주) 신한메탈 파이프 압착 체결구
KR101598204B1 (ko) 2015-11-18 2016-02-26 주식회사 서원기술 배관용 압착체결구
KR20170122080A (ko) * 2016-04-26 2017-11-03 주식회사 서원기술 관 이음쇠 압착공구
KR20180001855U (ko) * 2016-12-13 2018-06-21 김용운 삼분할 구조를 갖는 파이프용 압착 체결구
KR200486897Y1 (ko) 2016-12-13 2018-07-12 권성애 삼분할 구조를 갖는 파이프용 압착 체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26256A1 (ko) 202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326295B2 (en) Tool for coupling fluid lines
RU255608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делки и удерживания кабеля
RU255601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делки кабеля,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концовки и присоединения кабеля
CN103270359B (zh) 具有可移动的抓握本体的枢转式管道连接器
DK2304303T3 (en) The press fitting FOR A PIPE, IN PARTICULAR PLASTIC PIPES, OR PLASTMETALKOMPOSITRØR
MX2009007716A (es) Espiga de fijacion.
US7764150B2 (en) Waveguide quick disconnect clamp
US5025546A (en) Method of joining pipes
CN104470683A (zh) 压管钳,不可拆卸管接形成法,接头和压管钳与接头系统
KR200492515Y1 (ko) 배관용 압착 체결구
IL209936A (en) Assembled handle with handle
AU2013205312B2 (en) Swinging head swage tool
US10119646B1 (en) Hydraulic chain clamp apparatus for pipe repair sleeves
KR200492109Y1 (ko) 배관용 압착 체결구
KR200492516Y1 (ko) 배관용 압착 체결구
KR200491617Y1 (ko) 배관용 압착 체결구
TWI231347B (en) Hydraulic hose fitting and method
KR20100003809A (ko) 파이프소켓용 그랩링
CA2430945A1 (en) Hinged die cage assembly
GB2431174A (en) A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AU2007216639A1 (en) Universal end fitting and fastener assembly comprising such an end fitting
KR102551448B1 (ko) 배관용 압착 체결구
US11137240B1 (en) Pipe alignment tool
CN210531751U (zh) 一种管接头
KR20130004728A (ko) 파이프연결용 원터치 피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