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2080A - 관 이음쇠 압착공구 - Google Patents
관 이음쇠 압착공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22080A KR20170122080A KR1020160094797A KR20160094797A KR20170122080A KR 20170122080 A KR20170122080 A KR 20170122080A KR 1020160094797 A KR1020160094797 A KR 1020160094797A KR 20160094797 A KR20160094797 A KR 20160094797A KR 20170122080 A KR20170122080 A KR 201701220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ssing
- portions
- pair
- compression
- tight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4—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tubes with tubes; of tubes with rods
- B21D39/048—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tubes with tubes; of tubes with rods using presses for radially crimping tubular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4—Reducing; Clos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4—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 F16L13/141—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by crimping or rolling from the out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관 이음쇠 압착공구는, 일단이 축핀으로 서로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서 조임 동작할 수 있게 형성된 한 쌍의 조임부로 이루어지는 몸체와 상기 한 쌍의 조임부 단부 측에 한 개씩 결합되어 있는 압착구를 구비하며, 상기 압착구와 몸체는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측면이 탄성구에 의해 탄력 지지가 되고, 상기 압착구의 압착구 배면과 상기 압착구 배면과 마주 접하는 조임부의 가이드면은 각각 원호상의 밋밋한 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마주 접하는 압착구 배면과 가이드면에 압착 과정에서 선접촉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마주 접하는 압착구 배면과 가이드면의 사이에는 압착 과정 중에 상기 선접촉부의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이격 거리가 늘어나는 쐐기형 공간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가동조와 소켓부 사이의 슬립마찰 발생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압착 시 소켓부가 돌출되어 혹을 형성하는 현상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가동조와 소켓부 사이의 슬립마찰 발생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압착 시 소켓부가 돌출되어 혹을 형성하는 현상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한 쌍의 금속 파이프를 관 이음쇠를 사용하여 압착식으로 연결하는 관 이음쇠 압착공구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관 이음쇠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고무링과 금속링이 장착된 원형의 소켓부에 파이프를 각각 삽입한 후 전방위에서 균일하게 가압하여 연결함으로써, 파이프의 연결 이음부에 기밀성을 부여할 수 있는 관 이음쇠 압착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켓부를 구비한 관 이음쇠로 금속제 파이프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할 때, 파이프의 단부가 삽입되는 관 이음쇠의 소켓부에 마련된 요홈에 고무링과 금속링이 삽입되고, 소켓부의 외면을 감싼 형태로 장착되는 압착공구로 파이프의 중심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소켓부를 압착함으로써 파이프 연결부위의 기밀성과 강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압착공구는 다양한 형식이 존재하나, 본 발명에서 다루는 기술은 가동조(可動 jaw)와 고정조(固定 jaw)를 구비하여, 대략 지름 50mm 이내의 소구경 파이프용 관 이음쇠를 압착하기가 용이한 압착공구에 대한 것이다.
가동조와 고정조를 구비하는 관 이음쇠 압착공구에 대한 종래기술로는 국내공개특허 제10-2012-0053691호와 본 출원인이 출원한 국내등록특허 제10-1598204호 등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들은 가동조와 고정조가 형성하는 내측 공간부에 관 이음쇠의 소켓부를 위치시킨 후, 가동조를 슬라이딩시켜 상기 내측 공간부를 조임으로써 소켓부의 외면을 가압하게 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도 1과 도 2에는 상기 국내등록특허 제10-1598204호의 기술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국내등록특허 제10-1598204호는 한 쌍의 조임부(1, 4)와 두 개의 압착가이드구(2, 5)를 구비한다. 한 쌍의 조임부(1, 4)는 내측 둘레부를 형성하는 상태로 고정조(7, 8)를 각각 구비하고, 일단이 연결핀(9)으로 서로 연결되어 이 연결핀(9)을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조작시키면 관 이음쇠의 소켓부(s) 둘레를 감싸는 상태로 접히거나 펼쳐지게 된다.
두 개의 압착가이드구(2, 5)는 하부에 가동조(3, 6)를 각각 구비하고, 두 개의 조임부(1, 4)의 단부(자유단) 측에 각각 한 개씩 배치된다. 압착가이드구(2, 5)는 조임부(1, 4)의 가이드면(1a)에서 좌우로 각각 슬라이딩 될 수 있는 끼움 결합 상태를 갖도록 세팅된다. 즉, 도 1의 A-A'선 단면 확대도에 도시된 것처럼, 압착가이드구 배면(2a)은 돌출된 레일 형상으로 형성되고 조임부의 가이드면(1a)은 레일 홈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압착가이드구 배면(2a)은 가이드면(1a)에 끼움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조임부(1, 4)들을 서로 접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이와 연계하여 압착가이드구(2, 5)는 조임부(1, 4)의 단부 측에서 슬라이딩 동작되면서 가동조(3, 6)들이 소켓부(s)의 외부 둘레를 중심을 향하여 누르는 압착 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압착가이드구(2, 5)의 작용에 의하면, 압착 조임 시 소켓부(s)의 외부 둘레에 가동조(3, 6)가 접촉된 상태에서 슬립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마찰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소켓부(s)의 긁힘이나 찍힘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동조가 형성된 압착가이드구 배면(2a)이 가이드면(1a)에 끼움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가동조(3, 6)가 접촉된 소켓부(s)의 외부 둘레에서 슬립마찰의 발생을 억제하는 구성은 상기 국내공개특허 제10-2012-0053691호에서도 동일하게 찾아 볼 수 있다.
상기 본 출원인이 출원한 국내등록특허 제10-1598204호의 종래 기술을 보면, 가동조(3, 6)에 의한 소켓부(s) 압착이 진행될 때, 가동조가 형성되어 있는 압착가이드구 배면(2a)은 조임부(1, 4) 단부의 가이드면에 끼움 결합된 상태로 면접촉하며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러한 구성은 압착 진행 중인 가동조(3, 6)와 소켓부(s)의 외부 둘레의 상호 접촉면에서 슬립마찰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발생시키나, 반면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즉,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조임부(1, 4)가 조여져서 압착가이드구(2, 5)들이 서로 접하게 되면, 소켓부(s)의 외부면에 접한 상태로 가압 중인 가동조(3, 6)는 검은 화살표 방향으로 밀려간다. 이에 따라 가동조(3, 6)와 고정조(7, 8) 사이의 틈새(g)는 점차 좁혀진다.
그런데 이때 가동조(3, 6)와 소켓부(s)의 외부 둘레가 서로 접촉하는 면에서는 슬립마찰이 거의 일어나지 못하므로, 가동조(3, 6)와 소켓부(s)의 접촉 길이(e)에서는 원둘레 방향으로의 변형이 최대한 억제된다.
이렇게 억제된 변형에너지는 압착이 진행됨에 따라 가동조(3, 6)와 고정조(7, 8) 사이의 틈새(g)로 소켓부가 돌출되어 혹(p)을 형성하는 에너지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 같이 압착가이드구 배면(2a)이 조임부(1, 4)의 가이드면에 끼움 결합된 구성은 틈새(g)에서의 혹(p) 발생이 심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 상태로 최종 압착이 완료되면 상기 혹(p)은 소켓부 외부 표면에 핀(fin)의 형태로 남게 되며, 이 부위의 압착 후 잔류응력이 불균형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본 출원인이 출원한 국내등록특허 제10-1598204호 등의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압착 진행 중인 가동조(3, 6)와 소켓부(s)의 외부 둘레의 상호 접촉면에서 마찰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발생시키면서, 틈새(g)에서 발생하는 혹(p)도 최소화할 수 있는 관 이음쇠 압착공구의 구성을 안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관 이음쇠 압착공구는,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서 조임 동작할 수 있게 형성된 한 쌍의 조임부와 상기 한 쌍의 조임부 단부 측에 한 개씩 결합되어 있는 압착구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와 압착구는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측면이 탄성구에 의해 탄력 지지가 되고, 상기 압착구의 압착구 배면과 상기 압착구 배면과 마주 접하는 조임부의 가이드면은 각각 원호상의 밋밋한 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마주 접하는 압착구 배면과 가이드면에 압착 과정에서 선접촉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마주 접하는 압착구 배면과 가이드면의 사이에는 압착 과정 중에 상기 선접촉부의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이격 거리가 늘어나는 쐐기형 공간이 형성된다.
또, 상기 지지부와 압착구 사이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구는 탄성구 반발력의 방향이 상기 선접촉부의 하부를 지나도록 설치되어, 상기 탄성구 반발력이 상기 선접촉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압착구 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쐐기형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압착구가 소켓부를 압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압착구의 가동조와 상기 소켓부의 외부 둘레의 상호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초과 변형력은, 압착구 몸체를 상기 쐐기형 공간으로 순간적으로 들어 올리는 소켓부 반발력에 의해 해소된다.
본 발명은 압착과정에서 가동조와 소켓부 사이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초과 변형력이 압착구 몸체를 쐐기형 공간으로 순간적으로 들어올리는 소켓부 반발력에 의해 해소되므로, 가동조과 고정조 사이의 틈새(g)에서 발생하는 혹(p)도 최소화하여 압착된 소켓부 외부 표면에 핀(fin)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켓부 외부 표면에 압착가공에 의한 잔류 응력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착과정에서 가동조와 소켓부 사이의 슬립마찰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압착된 소켓부 표면에 발생하는 긁힘이나 찍힘 현상을 최대한 억제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 기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례의 압착 작용 시작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 제1실시례의 압착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제1실시례의 압착 작용 초기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 제1실시례의 압착 작용 완료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례의 압착 작용 완료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례의 압착 작용 시작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 제1실시례의 압착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제1실시례의 압착 작용 초기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 제1실시례의 압착 작용 완료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례의 압착 작용 완료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례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편의상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이다. 그런데 이러한 용어들은 설계자나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기재된 내용을 참작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부', '하부', '앞', '뒤', '좌, '우', '선단', '전방', '후단', '후방'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들이 서로 '연결', '결합' 또는 '체결' 등이 되었다고 기재한 경우는, 중간 매개 구성요소를 통한 간접적 방법으로 이루어진 '연결', '결합' 또는 '체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례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따른 관 이음쇠 압착공구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압착 작용을 시작하기 전의 상태를 보여준다.
본 실시례에 따른 관 이음쇠 압착공구는, 크게 압착구(10)와 몸체(20)로 구성을 구분해 볼 수 있다.
여기서 다시, 몸체(20)는 고정조(17, 18)와 한 쌍의 지지부(31, 32) 및 한 쌍의 조임부(11, 14)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고정조(17, 18)는 관 이음쇠의 소켓부(s)가 삽입되는 내부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지지부(31, 32)는 일단이 축핀(19)으로 서로 연결된다.
상기 한 쌍의 조임부(11, 14)는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내부공간을 조여 압착 작업을 수행한다.
즉, 상기 한 쌍의 조임부(11, 14)는 관 이음쇠의 소켓부(s) 둘레를 감싸는 상태로 배치되며, 지지부(31, 32)의 고정조(17, 18)들과 압착구(10)의 가동조(13, 16)들이 서로 원형 모양의 연결 상태를 이루면서 소켓부(s) 둘레를 오므리는 방향으로 압착할 수 있도록 조임 작용을 하게 된다.
조임부(11, 14)의 하면은 가이드면(11a, 14a)으로 형성되는데, 원호상의 밋밋한 면으로 형성되며, 후술하는 압착구 배면(12a, 15a)과 마주접한다.
압착구(10)는 관 이음쇠 소켓부(s)가 삽입되는 내부공간 쪽으로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조임부(11, 14) 단부 하부 측에 한 개씩 결합된다.
압착구(10)은 조임부(11, 14)들의 조임 작용과 연계하여 압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B-B'선 확대단면도를 포함한 도 3 및 도 4의 도시된 것과 같이, 압착구(10)는 압착구 몸체(12, 15)의 하부에 관 이음쇠 소켓부(s)가 삽입되는 내부공간을 향하도록 가동조(13, 16)를 구비한다.
압착구 배면(12a, 15a)은 원호상의 밋밋한 면으로 형성되어, 조임부(11, 14)의 가이드면(11a, 14a)과 마주 접하게 된다.
압착구 몸체(12, 15) 양 측면에는 상부로 돌출된 판형상의 결합편(25)이 형성된다.
이 결합편(25)에는 장공형태의 가이드홀(21, 22)이 형성되므로, 압착구(10)는 가이드홀(21, 22)과 조임부(11, 14)를 동시에 관통하는 가이드핀(23, 24)에 의하여 조임부(11, 14)에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 방식은 압착구(10)가 조임부(11, 14)들의 단부 하부에서 조임부(11, 14)의 가이드면(11a, 14a)과 약간의 유격을 가지고 상하로 까딱거릴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 준다.
또한 가이드핀(23, 24)과 가이드홀(21, 22)을 이용한 결합은, 도 5를 기준으로 볼 때, 압착구(10)가 조임부(11, 14)의 가이드면(11a, 14a)에서 각각 가이드홀(21, 22)을 이루는 장공의 길이만큼 좌, 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 준다.
도 4의 미설명부호 33은 작업 중 틈새(g)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한 보호편이다.
도 3을 참조해 보면, 몸체(20)의 지지부(31, 32)와 압착구(10)는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측면, 다시 말해 압착구 몸체(12, 15)의 아래쪽 측면과 이에 마주하는 지지부(31, 32)의 내부 공간 쪽 측면에는 서로 연통 가능하도록 삽입홀(26, 27)이 각각 형성된다.
이 삽입홀(26, 27)에 압축코일스프링 같은 탄성구(28)가 삽입되면, 탄성구 반발력(a)이 발생한다. 이 힘을 받는 압착구(10)는 지지부(31, 32)의 반대쪽으로 밀려 오르다가, 압착구(10)에 형성된 가이드홀(21, 22)의 하단이 가이드핀(23, 24)에 걸리면서 정지하게 된다. 이 상태의 압착구(10)는 마주보는 몸체(20), 즉 지지부(31, 32)의 측면과 서로 탄력 지지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압착구(10)에 형성된 삽입홀(26)의 중심축 길이방향은 탄성구 반발력(a)의 방향이 된다.
따라서 도 3의 도시와 같이 삽입홀(26)의 중심축 길이방향(탄성구 반발력(a)의 방향)을 조임부(11, 14)의 자유단부 하단 아래로 향하도록 형성하면, 탄성구 반발력(a)에 의해 압착구 배면(12a, 15a)이 가이드면(11a, 14a)으로부터 떨어져나오고 압착구(10)는 전체적으로 밀려올라가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그런데 압착구(10)의 움직임은 가이드홀(21, 22)이 가이드핀(23, 24)에 의해 제한되어 있으므로, 결국 압착구(10)는 압착구 배면(12a, 15a)이 선접촉부(c)에서 가이드면(11a, 14a)과 선접촉을 이루면서 선접촉부(c)를 중심축으로 하여 압착구 몸체(12, 15)를 회전시키려 하는 압착구 회전력(b)을 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구 반발력(a)이 상기 선접촉부(c)를 중심축으로 하여 압착구 몸체(12, 15)를 회전시킴으로써, 도 3에서 빗금부로 표시된 것처럼 압착구 배면(12a, 15a)과 가이드면(11a, 14a)사이의 이격 거리가 선접촉부(c)의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늘어나는 쐐기형 공간(w)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은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 제1실시례의 작용을 설명한다.
압착공구의 가동 조(13, 16)와 고정조(17, 18)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에 관 이음쇠의 소켓부(s)를 위치시키고, 한 쌍의 조임부(11, 14)를 오므리기 시작하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가동 조(13, 16)와 고정조(17, 18) 사이의 틈새(g)가 유지된 상태에서 한 쌍의 압착구 몸체(12, 15)가 서로 맞닿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때 탄성구 반발력(a)이 상기 선접촉부(c)를 중심축으로 하여 압착구 몸체(12, 15)를 회전시키므로, 선접촉부(c)의 후방 쪽 압착구 몸체(12, 15)가 가이드면(11a, 14a)으로부터 떨어지면서 쐐기형 공간(w)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가동조(13, 16)가 내부공간 쪽으로 밀려나와 소켓부(s) 외부 둘레에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조임부(11, 14)의 조임력을 강화하면, 상기 조임력은 선접촉부(c)를 통해 압착구(10)로 전달되므로, 결국 가동조(13, 16)에 의해 소켓부(s)의 압착이 시작되고, 지지부(31, 32)에 형성된 고정조(17, 18)도 내부공간 쪽으로 오므라들어 소켓부(s)와 접촉하기 시작한다.
이때 가동조(13, 16)와 소켓부(s)는 접촉길이(e) 부분에서 면접촉이 이루어지며 소켓부(s)의 압착이 시작된다. 그런데 상기 면접촉 부분은 면과 면 사이의 마찰저항력에 의해 슬립마찰이 일어나지 못하게 억제된다. 즉 압착 초기에는 접촉 길이(e) 부분의 소켓부(s)는 원둘레 방향으로의 변형이 최대한 억제된다.
따라서 만일 이러한 상태로 소켓부(s)의 압착이 계속된다면, 소켓부에 발생하는 변형에너지는 가동조(13, 16)와 소켓부(s)의 접촉 길이(e) 부분 대신 다른 부분으로 분출될 것이며, 그 결과는 종래기술과 동일하게 가동조(13, 16)와 고정조(17, 18) 사이의 틈새(g)가 소켓부가 돌출되어 혹(p)을 형성하는 문제로 나타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접촉 길이(e) 부분에 발생하는 소켓부 변형에너지가 접촉길이(e) 부분에서 가동조(13, 16)와 소켓부(s) 사이의 면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저항력보다 커지면, 그 초과 변형력은 가동조(13, 16) 쪽으로 분출되어, 결국 선접촉부(c)를 중심축으로 하여 압착구 몸체(12, 15)를 쐐기형 공간(w)으로 순간적으로 들어올리는 소켓부 반발력(d)으로 작용한 뒤 해소된다. 따라서 가동 조(13, 16)와 고정조(17, 18) 사이의 틈새(g)가 소켓부가 돌출되어 혹(p)을 형성하는 현상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동조(13, 16)와 고정조(17, 18)가 완전히 오므라들어 소켓부의 압착 과정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초과 변형력은 주기적으로 생성 및 해소를 반복하게 되므로, 압착구 몸체(12, 15)가 쐐기형 공간(w)으로 순간적으로 들어 올려졌다 복귀하는 작용도 반복해서 발생하게 된다. 이 작용은 압착작업 중에 마치 압착구 몸체(12, 15)가 반복적으로 까딱거리는 것처럼 작업자에게 느껴지게 한다.
이러한 과정의 진행과 동시에, 압착구(10)는 탄성구(28)를 점점 압축하면서 지지부(31, 32)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선접촉부(c)도 지지부(31, 32) 쪽으로 이동하면서 쐐기형 공간(w)의 크기가 점점 줄어들고, 결국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압착구 배면(12a, 15a)이 가이드면(11a, 14a)과 밀착되어 쐐기형 공간(w)이 소멸하고 소켓부의 압착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본 발명은 가동조(13, 16)와 소켓부(s) 사이의 슬립마찰 발생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압착 시 소켓부가 돌출되어 혹(p)을 형성하는 현상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례를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제2실시례의 압착공구는 집게타입으로 형성된 것으로써, 몸체(200)의 형상이 상기 제1실시례와 상이하나, 본 발명의 핵심 요부인 압착구(10)의 구성, 압착구(10)와 조임부(11, 14) 사이의 결합구성 및 작용효과는 제1실시례와 동일하다.
도 7을 참조하여 제2실시례의 구성을 살펴본다.
제2실시례의 압착공구는 한 쌍의 축핀(190, 191)을 중심으로 한 쌍의 몸체(200)가 대칭을 이루며 설치된다. 몸체(200)는 축핀(190, 19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관이음쇠의 압착이 가능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한 쌍의 몸체(200)는 축핀(190, 191)을 기준으로 상부에 조임부(11, 14)와 지지부(31, 32), 그리고 하부에 작동 레버 (310, 320)가 각각 배치되는 구성되며, 이 몸체(200)들은 서로 마주보며 대칭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몸체(200)는 결합구(400)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이 결합구는 축핀(190, 191)로 상기 몸체(200)와 결합된다.
상기 하부의 작동레버(310, 320)는 구동장치 연결공(410)에 연결되는 별도의 구동장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축핀(190, 191) 상부 쪽은 제1실시례와 형태상의 차이만 있을 뿐이고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제2실시례는 축핀(190, 191) 상부 쪽은 고정조(17, 18)가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부(31, 32) 및 하부 측에 압착구(10)가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조임부(11, 14)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1실시례에서 한 쌍의 지지부(31, 32)가 하나의 축핀(19)에 함께 연결된다는 차이 외에는, 전체적으로 그 구성이 완전히 동일하다. 그러고 이러한 구성의 동일성 때문에 양 실시례에서는 압착구(10)와 조임부(11, 14) 및 지지부 사이에 발생하는 작용효과가 역시 동일하게 발현된다.
이와 같이 제2실시례의 축핀(190, 191) 상부 쪽 구성과 작용은 제1실시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미설명부호의 구성은 제1실시례의 동일한 부호를 갖는 구성과 동일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280은 스프링이다.
제2 실시례의 작동레버(310, 320)의 작용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우선 한 쌍의 작동레버(310, 320)를 오므리면 축핀(190, 191)을 중심으로 몸체의 상부, 즉 조임부(11, 14)가 벌어진다.
이에 따라 가동조(13, 16)와 고정조(17, 18)들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내부공간도 벌어지므로, 관이음쇠의 소켓부(s)를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소켓부(s)가 삽입되면, 한 쌍의 작동레버(310, 320)의 내면(311)과 내면(321) 사이의 공간으로 구동장치(예: 유압 실린더)의 구동헤드(미도시)를 밀어 넣어 작동레버(310, 320)를 좌우로 점차 벌려준다. 이때 구동장치는 구동장치 연결공(410)과 결합시켜서, 구동헤드를 밀어 넣는 힘이 압착공구로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작동레버(310, 320)가 벌어짐에 따라, 한 쌍의 조임부(11, 14)는 서로 오므라들고, 결국 가동조(13, 16)와 고정조(17, 18)가 관이음쇠의 소켓부(s)를 압착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례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파악되어야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면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 압착구
11, 14 : 조임부
11a, 14a : 가이드면 12, 15 : 압착구 몸체
12a, 15a : 압착구 배면 13, 16 : 가동조
17, 18 : 고정조 19, 190, 191 : 축핀
20, 200 : 몸체 21, 22 : 가이드홀
23, 24 : 가이드핀 25 : 결합편
26, 27 : 삽입홈 28 : 탄성구
29 : 조절핀 고정구멍 31, 32 : 지지부
33 : 보호편 310, 320 :작동레버
a : 탄성구 반발력 b : 압착구 회전력
c : 선접촉부 d : 소켓부 반발력
e : 접촉 길이 g : 틈새
p : 혹 s : 소켓부
w : 쐐기형 공간
11a, 14a : 가이드면 12, 15 : 압착구 몸체
12a, 15a : 압착구 배면 13, 16 : 가동조
17, 18 : 고정조 19, 190, 191 : 축핀
20, 200 : 몸체 21, 22 : 가이드홀
23, 24 : 가이드핀 25 : 결합편
26, 27 : 삽입홈 28 : 탄성구
29 : 조절핀 고정구멍 31, 32 : 지지부
33 : 보호편 310, 320 :작동레버
a : 탄성구 반발력 b : 압착구 회전력
c : 선접촉부 d : 소켓부 반발력
e : 접촉 길이 g : 틈새
p : 혹 s : 소켓부
w : 쐐기형 공간
Claims (4)
- 한 쌍의 지지부(31, 32)와 상기 지지부(31, 32)의 상부에서 조임 동작할 수 있게 형성된 한 쌍의 조임부(11, 14)와 상기 한 쌍의 조임부(11, 14)에 설치되어 있는 압착구(10)를 포함하는 관 이음쇠 압착공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1, 32)와 압착구(10)는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측면이 탄성구(28)에 의해 탄력 지지되고,
상기 압착구(10)의 압착구 배면(12a, 15a)과 상기 압착구 배면(12a, 15a)과 마주 접하는 조임부(11, 14)의 가이드면(11a, 14a)은 각각 원호상의 밋밋한 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마주 접하는 압착구 배면(12a, 15a)과 가이드면(11a, 14a)에 압착 과정에서 선접촉부(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쇠 압착공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주 접하는 압착구 배면(12a, 15a)과 가이드면(11a, 14a)의 사이에는 압착 과정 중에 상기 선접촉부(c)의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이격 거리가 늘어나는 쐐기형 공간(w)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쇠 압착공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구(10)와 지지부(31, 32) 사이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구(28)는 탄성구 반발력(a)의 방향이 상기 선접촉부(c)의 하부를 지나도록 설치되어, 상기 탄성구 반발력(a)이 상기 선접촉부(c)를 중심축으로 하여 압착구 몸체(12, 15)를 회전시킴으로써 쐐기형 공간(w)을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쇠 압착공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구(10)가 소켓부(s)를 압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압착구의 가동조(13, 16)와 상기 소켓부(s)의 외부 둘레의 상호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초과 변형력은, 압착구 몸체(12, 15)를 상기 쐐기형 공간(w)으로 순간적으로 들어올리는 소켓부 반발력(d)에 의해 해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쇠 압착공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7/004414 WO2017188717A1 (ko) | 2016-04-26 | 2017-04-26 | 관 이음쇠 압착공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0956 | 2016-04-26 | ||
KR20160050956 | 2016-04-2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22080A true KR20170122080A (ko) | 2017-11-03 |
KR101793985B1 KR101793985B1 (ko) | 2017-11-06 |
Family
ID=60383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94797A KR101793985B1 (ko) | 2016-04-26 | 2016-07-26 | 관 이음쇠 압착공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9398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2109Y1 (ko) * | 2019-05-07 | 2020-08-07 | 민우정공(주) | 배관용 압착 체결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97626B1 (ko) | 2017-12-07 | 2018-09-12 | 주식회사 툴켓 | 안전잠금장치가 구비된 배관 연결용 압착헤드 |
KR102083808B1 (ko) * | 2018-05-28 | 2020-03-03 | 주식회사화신 | 암부시 규제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4454B1 (ko) * | 2010-07-29 | 2011-05-17 | 김광찬 | 파이프 압착 체결장치 |
KR101598204B1 (ko) * | 2015-11-18 | 2016-02-26 | 주식회사 서원기술 | 배관용 압착체결구 |
-
2016
- 2016-07-26 KR KR1020160094797A patent/KR101793985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2109Y1 (ko) * | 2019-05-07 | 2020-08-07 | 민우정공(주) | 배관용 압착 체결구 |
WO2020226256A1 (ko) * | 2019-05-07 | 2020-11-12 | 민우정공 주식회사 | 배관용 압착 체결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93985B1 (ko) | 2017-1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7188717A1 (ko) | 관 이음쇠 압착공구 | |
US8464422B2 (en) | Universal coaxial cable compression tool | |
KR101793985B1 (ko) | 관 이음쇠 압착공구 | |
US7237427B2 (en) | Pressing tool for the pressing-together of workpieces | |
US20130174395A1 (en) | Pipe press-connecting apparatus | |
US6293004B1 (en) | Lengthwise compliant crimping tool | |
EP2792923B1 (en) | Pipe-connecting clamp | |
US5335530A (en) | Pressing tool for pressing a cylindrical pressing member or a pressing member comprising a cylindrical portion onto a round profile, particularly a pipe conduit | |
US20060042346A1 (en) | Coaxial cable fitting and crimping tool | |
KR101598204B1 (ko) | 배관용 압착체결구 | |
US20080276683A1 (en) | Pressing device | |
KR20140054289A (ko) | 가압 장치 | |
US5025546A (en) | Method of joining pipes | |
US20190120413A1 (en) | A coupling device | |
US10543584B2 (en) | Clamp apparatus | |
KR101641369B1 (ko) | 조임가압구 | |
KR101176001B1 (ko) | 파이프 압착 체결 장치 | |
KR101460332B1 (ko) | 배관용 압착체결구 | |
US6082231A (en) | Pliers | |
JP6990487B2 (ja) | パイプ端部加工装置 | |
KR200436811Y1 (ko) | 관 연결용 압착공구 | |
EP2300683B1 (en) | Gripping jaw device | |
JP6057970B2 (ja) | 管継手の連結装置 | |
KR20120103087A (ko) | 호스 커플링 | |
CN216692618U (zh) | 一种快速接头锁紧机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