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204B1 - 배관용 압착체결구 - Google Patents

배관용 압착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204B1
KR101598204B1 KR1020150162056A KR20150162056A KR101598204B1 KR 101598204 B1 KR101598204 B1 KR 101598204B1 KR 1020150162056 A KR1020150162056 A KR 1020150162056A KR 20150162056 A KR20150162056 A KR 20150162056A KR 101598204 B1 KR101598204 B1 KR 101598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ghtening
guide
fastening
compress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2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원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원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원기술
Priority to KR1020150162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2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4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tubes with tubes; of tubes with rods
    • B21D39/048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tubes with tubes; of tubes with rods using presses for radially crimping tubu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4Reducing; Clo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8/00Portable power-driven joining or separation to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4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 F16L13/141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by crimping or rolling from the out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배관용 압착체결구를 개시한다.
이러한 배관용 압착체결구는, 가압부를 각각 구비하고 일단이 연결핀으로 서로 연결되어 관체 이음부 둘레를 감싸는 상태로 압착 조임 동작이 가능하게 연결 형성된 두 개의 조임연결구 그리고, 유동가압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두 개의 조임연결구의 단부 측에 한 개씩 배치되어 이 조임연결구들의 압착 조임 동작을 가이드하는 상태로 압착 조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두 개의 압착가이드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용 압착체결구{CONNECTING DEVICE FOR PIPING WORKS}
본 발명은 배관용 압착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체들을 서로 연결하는 배관 작업 방법 중에는 압착체결구를 이용하여 관체들의 이음부위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연결 고정하는 압착 체결 방식이 있다.
압착체결구는 대부분 관체 이음부위 둘레를 감싼 상태에서 둘레를 오므리는 방향으로 압착 조임 동작이 가능하게 조작 및 작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관체들의 압착 체결 작업시 체결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압착 체결 작업에 사용하는 압착체결구로는, "특허등록 제10-0762293호의 파이프 압착 체결장치."가 있다.
하지만, 상기 특허등록 제10-0762293호의 파이프 압착 체결장치는, 파이프 이음부위 둘레를 압착 체결이 가능하게 감싸는 부분이 체인 타입(원호블록, 기준블록, 지지블록 및 체인링크)으로 연결 형성된 구조이므로, 전체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과다한 연결부위들(원호블록, 기준블록, 지지블록, 체인링크)에 의해 내구성이 조기에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파이프 이음부위를 압착하기 위하여, 여러 개(6개)의 원호블록들이 연결 배열된 구조는 특히 관 직경이 비교적 작은 소형 파이프(대략 직경 50밀리미터 미만)들의 압착 체결 작업시 만족할 만한 작업 효율성 및 체결 품질을 기대하기 어렵다.
즉, 관 직경이 작은 소형 파이프들은 압착 체결 조작시, 원호블록들이 유동하는 구간이 상대적으로 짧으므로 중형 이상의 관체들을 압착 체결할 때와 같은 블록 기능성을 기대하기 어렵고, 블록들이 많을수록 블록들 간의 틈새나 단차 등에 의해 씹힘이나 찍힘 현상 등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압착 체결 구조로 관체들의 배관을 위한 압착 체결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배관용 압착체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가압부를 각각 구비하고, 일단이 연결핀으로 서로 연결되어 관체 이음부 둘레를 감싸는 상태로 압착 조임 동작이 가능하게 연결 형성된 두 개의 조임연결구;
유동가압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두 개의 조임연결구의 단부 측에 한 개씩 배치되어 이 조임연결구들의 압착 조임 동작을 가이드하는 상태로 압착 조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두 개의 압착가이드구;
를 포함하는 배관용 압착체결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압착 조임 동작이 가능하게 서로 연결된 두 개의 조임연결구의 단부 측에 압착 조임 동작을 가이드하는 압착가이드구가 각각 한 개씩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일반적으로 네 개 이상의 압착블록(또는 "인써트"라고도 함.)들이 서로 연결 배열된 형태의 압착 구조를 갖는 다(多) 블록 타입의 압착체결구들과 비교할 때, 압착 체결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소형화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특히 직경이 작은 소형(小型) 관체들의 압착 체결 작업과 부합하는 압착 체결 구조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압착체결구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압착체결구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압착체결구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8은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일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압착체결구는, 두 개의 조임연결구(2, 4)와, 두 개의 압착가이드구(6, 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두 개의 조임연결구(2, 4)는 관체(T)의 이음부(T1) 둘레를 감싼 상태에서 둘레를 오므리는 방향으로 압착 조임 동작이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된 상태로 형성된다.
두 개의 조임연결구(2, 4)는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내측 둘레부를 형성하는 상태로 가압부(A)를 각각 구비하고, 일단이 연결핀(B)으로 서로 연결되어 이 연결핀(B)의 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조작되면서 관체(T)의 이음부(T1) 둘레를 감싸는 상태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는 연결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두 개의 조임연결구(2, 4)는 관체(T)의 이음부(T1) 둘레를 감싸는 상태로 배치될 때 가압부(A)들이 서로 원형 모양의 연결 상태를 이루면서 이음부(T1) 둘레를 오므리는 방향으로 압착 조임 작용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조임연결구(2, 4)들의 단부 측에는 별도의 압착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접촉 상태로 눌려지면서 조임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걸림홈부(C)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두 개의 압착가이드구(6, 8)는 조임연결구(2, 4)들의 압착 조임 조작과 연계하여 조임 동작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두 개의 압착가이드구(6, 8)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유동가압부(D)를 구비하고, 두 개의 조임연결구(2, 4)의 단부(자유단) 측에 각각 한 개씩 배치된다.
압착가이드구(6, 8)는 조임연결구(2, 4)들의 단부 측에서 이 조임연결구(2, 4)의 압착 조임 동작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유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압착가이드구(6, 8)는 조임연결구(2, 4)의 단부 측에 형성된 가이드면(E) 측에 각각 배치된 상태로 가이드 동작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핀(E1)과 가이드홀(E2)의 끼움 결합으로 연결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핀(E1)과 가이드홀(E2)은 도 2를 기준으로 할 때, 압착가이드구(6, 8)가 조임연결구(2, 4)의 가이드면(E) 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 될 수 있는 끼움 결합 상태를 갖도록 셋팅된다.
압착가이드구(6, 8)들은 탄성부재(E3, 예: 압축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조임연결구(2, 4)의 단부 외측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이동된 상태를 이루도록 셋팅된다.
그리고, 압착가이드구(6, 8)는 두 개의 조임연결구(2, 4)의 압착 조작에 의한 가이드 동작과 연계하여 유동가압부(D)가 가압부(A)들과 서로 원형을 이룰 수 있는 상태로 유동이 가능하도록 조임연결구(2, 4)의 단부 측에 셋팅된다.
이러한 압착가이드구(6, 8)는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조임연결구(2, 4)들이 서로 압착 조작될 때, 이와 연계하여 조임연결구(2, 4)들의 단부 측에서 슬라이딩 동작되면서 압착 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함과 아울러 유동가압부(D)들이 관체(T)의 이음부(T1) 둘레 중심을 향하여 누르는 상태로 압착 동작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압착가이드구(6, 8)의 작용에 의하면, 압착 조임 조작시 관체(T)의 이음부(T1) 측과 조임연결구(2, 4)의 단부가 서로 접촉된 상태로 슬립(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마찰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이음부(T1)의 긁힘이나 찍힘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압착가이드구(6, 8)와 조임연결구(2, 4)의 접촉 틈새에는 가이드 지지구(F)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지지구(F)는 압착가이드구(6, 8)의 슬라이딩 동작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접촉 지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가이드 지지구(F)는 예를 들어, 도 5에서와 같이 레이디얼 타입의 베어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조임연결구(2, 4)들의 가이드면(E) 내측에 각각 회전 가능한 상태로 끼워져서 외륜으로 압착가이드구(6, 8)들의 안쪽면을 이동 가능하게 받쳐주는 상태로 셋팅될 수 있다.
그러면, 압착가이드구(6, 8)와, 조임연결구(2, 4) 간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압착가이드구(6, 8)를 지지하는 상태로 회전되면서 슬라이딩 동작과 부합하는 안정적인 접촉 지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가이드 지지구(F)는 조임연결구(2, 4) 이외에도 예를 들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와 같은 작용이 가능한 상태로 압착가이드구(6, 8) 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압착체결구는, 도 6에서와 같이 윤활부(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윤활부(10)는 압착가이드구(6, 8)의 작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윤활(潤滑) 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윤활부(10)는 도 6에서와 같이 압착가이드구(6, 8) 측에 형성되는 윤활홈(G1)과, 이 윤활홈(G1) 측에 충진되는 윤활제(G2)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윤활홈(G1)은 압착가이드구(6, 8)의 안쪽면 즉, 조임연결구(2, 4)의 가이드면(E)과 접촉되는 부분에 한 개 이상이 간격을 띄우고 파여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윤활제(G2)는 그리스(grease) 또는 이와 유사한 윤활제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윤활홈(G1) 내측에 각각 충진된 상태로 제공된다.
압착가이드구(6, 8) 측에는 윤활홈(G1)과 대응하는 주입구(G3)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주입구(G3)는 압착가이드구(6, 8)의 외부면 측에서 윤활홈(G1)과 서로 연통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윤활제(G2)의 충진시 압착가이드구(6, 8)를 조임연결구(2, 4) 측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주입구(G3)를 통해서 윤활제(G2)를 용이하게 충진 공급할 수 있다.
윤활부(10)는 압착가이드구(6, 8) 측에 형성되는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예를 들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조임연결구(2, 4)의 가이드면(E) 측에 윤활홈(G1)이 형성되고, 이 윤활홈(G1) 측에 윤활제(G2)가 충진된 상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윤활부(10)는 윤활홈(G1) 측에 충진된 윤활제(G2)가 압착가이드구(6, 8)와, 조임연결구(2, 4)들 간의 접촉 틈새 측에 공급되면서 마찰이나 마모가 최대한 억제될 수 있는 상태로 슬라이딩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압착을 위한 조작 구동력(압착구동장치)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윤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압착체결구는, 도 7에서와 같이 두 개의 조임연결구(2, 4)와 대응하는 탄성조임부(1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조임부(12)는 두 개의 조임연결구(2, 4)가 관체(T)의 이음부(T1) 둘레와 대응하는 탄력적인 접힘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탄성조임부(12)는 도 7에서와 같이 탄성구(H)를 구비하고, 이 탄성구(H)는 두 개의 조임연결구(2, 4)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핀(B)과 인접한 지점에 내장(內藏)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
탄성구((H)는 예를 들어, 두 개의 조임연결구(2, 4) 중에서 일측 조임연결구(4) 측에 형성된 삽입홈(H1) 측에 끼워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탄성구(H)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삽입홈(H1)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두 개의 조임연결구(2, 4)가 서로 펼쳐지는 방향으로 조작될 때 스프링 길이가 탄력적으로 오므라지면서 조임연결구(2, 4)들이 서로 접혀지는 방향으로 탄성 반발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셋팅될 수 있다.
그러면, 도 8에서와 같이 관체(T) 이음부(T1)를 감싸는 상태로 두 개의 조임연결구(2, 4)를 셋팅할 때, 이 조임연결구(2, 4)들이 탄성구(H)의 탄성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접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탄성조임부(12)는 외부로 노출되거나 돌출되지 않는 내장 타입으로 설치되므로, 예를 들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외부로 노출 또는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구조들과 비교할 때, 압착체결구의 소형화와 부합하는 구조를 이룰 수 있고, 외부 충격이나 접촉 등에 의해 쉽게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가압부(A)가 일체로 형성된 두 개의 조임연결구(2, 4)들이 관체(T) 이음부(T1) 둘레를 감싸는 상태로 압착 조작될 때, 특히 조임연결구(2, 4)들의 단부 측에서 압착가이드구(6, 8)들이 가이드(슬라이딩) 동작되는 상태로 압착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압착가이드구(6, 8)들의 가이드 작용에 의해 조임연결구(2, 4)들의 압착 동작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이드 동작과 연계하여 압착가이드구(6, 8)들이 관체(T) 이음부(T1)의 중심을 향하여 누르는 방향으로 압착 동작되면서 이음부(T1) 측에 슬립(마찰)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상태로 압착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조임연결구(2, 4)의 내부 둘레를 이루는 상태로 가압부(A)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고, 단부 측에는 압착가이드구(6, 8)가 한 개씩 설치된 간단한 압착 체결 구조에 의하면, 특히 관 직경이 작은 소형 관체들의 압착 체결 작업과 부합하도록 압착체결구의 소형화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2, 4: 조임연결구 6, 8: 압착가이드구 10: 윤활부
12: 탄성조임부 T: 관체 T1: 이음부

Claims (8)

  1. 가압부를 각각 구비하고, 일단이 연결핀으로 서로 연결되어 관체 이음부 둘레를 감싸는 상태로 압착 조임 동작이 가능하게 연결 형성된 두 개의 조임연결구;
    유동가압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두 개의 조임연결구의 단부 측에 한 개씩 배치되어 이 조임연결구들의 압착 조임 동작을 가이드하는 상태로 압착 조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두 개의 압착가이드구;
    상기 압착가이드구와 상기 조임연결구의 접촉 틈새 측에 윤활제가 공급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압착가이드구 측에 형성되는 윤활홈과, 이 윤활홈 측에 윤활제의 주입 충진이 가능하도록 상기 윤활홈과 서로 연통된 상태로 상기 압착가이드구의 외부면 상에 형성되는 주입구를 구비한 윤활부;
    를 포함하는 배관용 압착체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조임연결구는,
    상기 연결핀을 사이에 두고 양측 단부 측에 가이드면이 각각 형성되고, 이 가이드면 측에 상기 압착가이드구가 가이드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배관용 압착체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압착가이드구는,
    상기 두 개의 조임연결구의 압착 조임 조작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유동가압부가 상기 가압부들과 서로 원형을 이루는 상태로 가이드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조임연결구의 단부 측에 배치되는 배관용 압착체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압착가이드구는,
    상기 두 개의 조임연결구의 압착 조임 조작시 관체 이음부 중심을 향하여 누르는 상태로 가이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셋팅되는 배관용 압착체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관용 압착체결구는,
    상기 압착가이드구와 대응하는 가이드 지지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지지구는,
    레이디얼 베어링을 사용하고, 상기 조임연결구와 상기 압착가이드구 간의 접촉 틈새 사이에서 상기 압착가이드구의 슬라이딩 동작과 부합하는 회전 접촉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는 상태로 셋팅되는 배관용 압착체결구.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관용 압착체결구는,
    상기 두 개의 조임연결구와 대응하는 탄성조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조임부는,
    탄성구를 구비하고, 이 탄성구는 상기 두 개의 조임연결구의 회전 동작과 연계하여 탄성 반발력을 발생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조임연결구 측에 내장(內藏) 타입으로 셋팅되는 배관용 압착체결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탄성구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사용하고, 상기 두 개의 조임연결구들이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조작될 때 탄성 반발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셋팅되는 배관용 압착체결구.
KR1020150162056A 2015-11-18 2015-11-18 배관용 압착체결구 KR101598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056A KR101598204B1 (ko) 2015-11-18 2015-11-18 배관용 압착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056A KR101598204B1 (ko) 2015-11-18 2015-11-18 배관용 압착체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8204B1 true KR101598204B1 (ko) 2016-02-26

Family

ID=55447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056A KR101598204B1 (ko) 2015-11-18 2015-11-18 배관용 압착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204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8717A1 (ko) * 2016-04-26 2017-11-02 주식회사 서원기술 관 이음쇠 압착공구
KR101793985B1 (ko) * 2016-04-26 2017-11-06 주식회사 서원기술 관 이음쇠 압착공구
CN108326551A (zh) * 2017-12-29 2018-07-27 江苏集萃智能制造技术研究所有限公司 一种上螺母及扩口机构
CN110293509A (zh) * 2018-03-23 2019-10-01 株式会社瑞原技术 管压接紧固工具
KR20190135211A (ko) * 2018-05-28 2019-12-06 주식회사화신 암부시 규제장치
KR200491617Y1 (ko) 2019-01-21 2020-05-11 민우정공(주) 배관용 압착 체결구
KR200492109Y1 (ko) 2019-05-07 2020-08-07 민우정공(주) 배관용 압착 체결구
KR200492516Y1 (ko) 2019-09-02 2020-10-29 남학우 배관용 압착 체결구
KR200492515Y1 (ko) 2019-09-02 2020-10-29 남학우 배관용 압착 체결구
KR102226047B1 (ko) 2019-09-10 2021-03-10 주식회사 서원기술 배관용 관체 압착체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821B1 (ko) * 1998-10-02 2006-08-25 한스 외티커 아게 마쉬넨-운트 아파라테파브리크 링형 고정 기구를 수축시키기 위한 장치
KR20120053691A (ko) * 2010-11-18 2012-05-29 박병옥 파이프 압착 체결기
KR101455639B1 (ko) * 2013-04-16 2014-10-28 황정인 압착기
KR101468150B1 (ko) * 2014-07-07 2014-12-05 (주) 신한메탈 압착식 파이프 연결구 압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821B1 (ko) * 1998-10-02 2006-08-25 한스 외티커 아게 마쉬넨-운트 아파라테파브리크 링형 고정 기구를 수축시키기 위한 장치
KR20120053691A (ko) * 2010-11-18 2012-05-29 박병옥 파이프 압착 체결기
KR101455639B1 (ko) * 2013-04-16 2014-10-28 황정인 압착기
KR101468150B1 (ko) * 2014-07-07 2014-12-05 (주) 신한메탈 압착식 파이프 연결구 압착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8717A1 (ko) * 2016-04-26 2017-11-02 주식회사 서원기술 관 이음쇠 압착공구
KR101793985B1 (ko) * 2016-04-26 2017-11-06 주식회사 서원기술 관 이음쇠 압착공구
CN108326551A (zh) * 2017-12-29 2018-07-27 江苏集萃智能制造技术研究所有限公司 一种上螺母及扩口机构
CN110293509A (zh) * 2018-03-23 2019-10-01 株式会社瑞原技术 管压接紧固工具
KR20190135211A (ko) * 2018-05-28 2019-12-06 주식회사화신 암부시 규제장치
KR102083808B1 (ko) 2018-05-28 2020-03-03 주식회사화신 암부시 규제장치
KR200491617Y1 (ko) 2019-01-21 2020-05-11 민우정공(주) 배관용 압착 체결구
KR200492109Y1 (ko) 2019-05-07 2020-08-07 민우정공(주) 배관용 압착 체결구
KR200492516Y1 (ko) 2019-09-02 2020-10-29 남학우 배관용 압착 체결구
KR200492515Y1 (ko) 2019-09-02 2020-10-29 남학우 배관용 압착 체결구
KR102226047B1 (ko) 2019-09-10 2021-03-10 주식회사 서원기술 배관용 관체 압착체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8204B1 (ko) 배관용 압착체결구
KR101575896B1 (ko) 배관용 압착체결구
TWM545862U (zh) 黃油槍的接嘴結構
JP5965811B2 (ja) コネクタ
US6832791B2 (en) Connection means for interconnecting two duct elements
KR20070110798A (ko) 동축 연결구
JP2013534993A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
EA033651B1 (ru) Фитинг быстрого соединения с приспособлением против развинчивания
AU2015288886B2 (en) Sealing Member Having Projection Part for Pipe Connection
US20090322037A1 (en) Seal Ring
CN101027496A (zh) 具有密封环的接头密封波纹管及其装配/安装方法
KR101144547B1 (ko) 시일 체인
JP6707614B2 (ja) シールリングおよびシールリングの製造方法
CN109891135B (zh) 剖分式密封圈压入用工具
CN108356498A (zh) 压接工具
KR101793985B1 (ko) 관 이음쇠 압착공구
GB24609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piston-actuated elastomer probe seal in a hydraulic coupling member
KR101413399B1 (ko) 체인 텐셔너
KR101843005B1 (ko) 퀵 커플러
KR101038481B1 (ko) 호스 꼬임 방지 에어커플러
JP3988181B2 (ja) チューブ継手
CN109238570B (zh) 一种相对封堵机构
CN208262231U (zh) 压接工具
JP2004183695A (ja) チェーン用のシールリングと、それを使用するローラチェーン
US10480629B2 (en) Ball screw with a dustproof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