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103Y1 - 센서데이터 및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기상정보 표출 장치 - Google Patents

센서데이터 및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기상정보 표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103Y1
KR200492103Y1 KR2020200001440U KR20200001440U KR200492103Y1 KR 200492103 Y1 KR200492103 Y1 KR 200492103Y1 KR 2020200001440 U KR2020200001440 U KR 2020200001440U KR 20200001440 U KR20200001440 U KR 20200001440U KR 200492103 Y1 KR200492103 Y1 KR 2004921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riority
observation sensors
public
sensors insta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4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철
정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아엘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아엘이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아엘이디
Priority to KR20202000014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1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1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1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15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involving a public display, viewable by several users in a public space outside their home, e.g. movie theatre, information kios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2001/006Main server receiving weather information from several sub-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센서데이터 및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기상정보 표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트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다수의 LED로 구성되어 문자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표출하되, 표출되는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파랑, 녹색, 노랑, 적색 중 어느 하나의 색으로 표시하는 LED 표시부, 로컬에 설치된 다수의 관측센서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를 시리얼통신을 통해 수신하고, 환경부 대기정보 데이터, 기상청 기상정보 데이터, 공익목적으로 대중에게 공개하는 공공데이터, 지자체 수집데이터 및 민간 수집 데이터를 TCP/IP 통신을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부, 상기 데이터수신부로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LED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우선순위에 따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우선순위는, 로컬에 설치된 다수의 관측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최우선 순위를 가지며, 상기 환경부 대기정보 데이터, 기상청 기상정보 데이터, 공익목적으로 대중에게 공개하는 공공데이터, 지자체 수집데이터 및 민간 수집 데이터 상호간은 현재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지역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상위의 우선순위로 설정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제어부 및 상기 표시제어부에 전달하는 제어명령을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관측센서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외부 서버에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센서데이터 및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기상정보 표출 장치{DISPLAY DEVICE FOR WEATHER INFORMATION USING SENSOR DATA AND PUBLIC DATA}
본 고안은 센서데이터 및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기상정보 표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로컬 데이터와 외부데이터를 모두 수신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기상정보를 전광판에 표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상정보 표출 장치는 외부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상 상태를 전광판 등의 표시부를 통해 표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기상정보 표출 장치는 기상청, 환경부 등의 외부데이터를 입력받고 이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되는데, 외부데이터의 오류가 발생하거나 정확도가 떨어지는 경우 표시되는 정보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밖에 없는 구조적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에도, 한국공개특허(제10-2015-0059023호) 이동형 도로 기상정보 수집 및 전송 시스템 등과 같이 다양한 기상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표출하는 구성이 공개되어 있으나, 표시되는 정보의 신뢰성을 담보하기 위한 구성이 포함되지 않아 표출 정보의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표출되는 기상정보의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는 기상정보 표출 장치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로컬에 설치된 다수의 관측센서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와 외부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를 모두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데이터들의 우선순위를 연산한 뒤 우선순위에 따라 기상정보를 표시함으로써, 보다 신뢰성 있는 기상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기상정보 표출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다수의 외부데이터 상호간에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누적된 외부데이터와 현재의 외부데이터를 동일 조건에서 비교하여 그 차이값이 작을수록 신뢰도를 높게 평가하고, 그 차이값과 신뢰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함으로써, 외부데이터의 신뢰도에 따른 정확한 기상정보 표출이 가능한 표출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기상정보 표출 장치는 도트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다수의 LED로 구성되어 문자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표출하되, 표출되는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파랑, 녹색, 노랑, 적색 중 어느 하나의 색으로 표시하는 LED 표시부, 로컬에 설치된 다수의 관측센서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를 시리얼통신을 통해 수신하고, 환경부 대기정보 데이터, 기상청 기상정보 데이터, 공익목적으로 대중에게 공개하는 공공데이터, 지자체 수집데이터 및 민간 수집 데이터를 TCP/IP 통신을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부, 상기 데이터수신부로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LED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우선순위에 따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우선순위는, 로컬에 설치된 다수의 관측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평균값인 로컬데이터값이 최우선 순위를 가지며, 상기 환경부 대기정보 데이터, 기상청 기상정보 데이터, 공익목적으로 대중에게 공개하는 공공데이터, 지자체 수집데이터 및 민간 수집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외부데이터 상호간은 현재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지역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상위의 우선순위로 설정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제어부 및 상기 표시제어부에 전달하는 제어명령을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로컬데이터를 상기 외부 서버에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제어부는, 상기 로컬에 설치된 다수의 관측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평균값과 외부데이터의 평균값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오차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로컬에 설치된 다수의 관측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고, 상기 로컬에 설치된 다수의 관측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 상기 우선순위는, 로컬에 설치된 다수의 관측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최하위의 우선순위를 갖도록 조정하며, 상기 로컬에 설치된 다수의 관측센서 모두가 정상 복구되는 경우에, 상기 로컬에 설치된 다수의 관측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우선순위를 최우선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제어부는, 상기 로컬에 설치된 다수의 관측센서 중 일부가 정상 복구되는 경우에, 상기 다수의 관측센서들로부터 각각 수신한 데이터 중 정상 복구되지 않은 관측센서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는 제거하고, 상기 제거된 데이터에 대한 우선순위를 최우선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제어부는, 상기 외부데이터(상기 환경부 대기정보 데이터, 기상청 기상정보 데이터, 공익목적으로 대중에게 공개하는 공공데이터, 지자체 수집데이터 및 민간 수집 데이터) 각각에 대한 신뢰오차값을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연산하여, 연산된 신뢰오차값이 작을수록 우선순위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20043161685-utm00001
(V : 신뢰오차값, A : 로컬에 설치된 다수의 관측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평균값, B : 외부데이터값, R : 각 외부데이터의 신뢰도)
또한, 상기 외부데이터의 신뢰도는, 상기 외부데이터의 저장된 누적데이터와 현재 외부데이터를 비교하되, 상기 현재 외부데이터의 주변 조건과 가장 가까운 조건을 갖는 상기 누적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현재 외부데이터와 상기 누적데이터의 차이값이 작을수록 신뢰도가 높게 연산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로컬에 설치된 다수의 관측센서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와 외부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를 모두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데이터들의 우선순위를 연산한 뒤 우선순위에 따라 기상정보를 표시함으로써, 보다 신뢰성 있는 기상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기상정보 표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외부데이터 상호간에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누적된 외부데이터와 현재의 외부데이터를 동일 조건에서 비교하여 그 차이값이 작을수록 신뢰도를 높게 평가하고, 그 차이값과 신뢰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함으로써, 외부데이터의 신뢰도에 따른 정확한 기상정보 표출이 가능한 표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따른 기상정보 표출 장치의 하드웨어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따라 로컬 및 외부로부터 기상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따른 기상정보 표출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고안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례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례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인 기상정보 표출 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따른 기상정보 표출 장치(100)의 하드웨어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따라 로컬 및 외부로부터 기상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따른 기상정보 표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기상정보 표출 장치(100)의 일면에는 수신한 기상정보 데이터를 표시하는 LED 표시부가 마련되고, 상기 LED 표시부에는 온도, 습도, 미세먼지 정보 등 다양한 기상정보가 표출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상정보에 대한 외부데이터(310, 320)는 외부 서버(200)에 수집되고, 상기 수집된 외부데이터(310, 320)는 기상정보 표출 장치(100)에 전송된 후 표출됨으로써, 다양한 기상정보 데이터가 수집되고 이를 외면에 마련된 LED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기상정보 표출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세부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LED 표시부(110), 데이터 수신부(120), 표시 제어부(130) 및 통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LED 표시부(110)는 도트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다수의 LED로 구성되어 문자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표출하되, 표출되는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파랑, 녹색, 노랑, 적색 중 어느 하나의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LED 표시부(110)는 문자, 이미지 등을 표출할 수 있으며, 도트 매트릭스 구조를 통해 문자, 이미지 등을 세부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때 현재 표출할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다수의 색상으로 구분하여 표출할 수 있으며, 일례로 파랑, 녹색, 노랑, 적색 순서로 위급 정도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LED 표시부(110)를 관찰하는 소비자는 색상을 통해 중요도나 위급정도를 직관적으로 인식하고 그 내용을 이어서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소비자는 개인 단말기를 통해 LED 표시부(110)와 연동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등록할 수 있으며, 중요도 및 색상에 따라 팝업 정보를 받도록 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 수신부(120)는 로컬에 설치된 다수의 관측센서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를 시리얼통신을 통해 수신하고, 환경부 대기정보 데이터, 기상청 기상정보 데이터, 공익목적으로 대중에게 공개하는 공공데이터, 지자체 수집데이터 및 민간 수집 데이터를 TCP/IP 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수신부(120)는 기설정된 거리 내(로컬)에 설치된 다수의 관측센서로부터 기상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되, 일례로 시리얼 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환경부 대기정보 데이터, 기상청 기상정보 데이터, 공익목적으로 대중에게 공개하는 공공데이터, 지자체 수집데이터 및 민간 수집 데이터 등의 외부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일례로 TCP/IP 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크게는 2개의 채널인 로컬 데이터와 외부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다양한 기상정보의 수집은 물론 어느 하나의 채널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나머지 채널을 통해 신뢰도 있는 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
표시 제어부(130)는 상기 데이터수신부로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LED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우선순위에 따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우선순위는, 로컬에 설치된 다수의 관측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최우선 순위를 가진다.
이때, 외부데이터(상기 환경부 대기정보 데이터, 기상청 기상정보 데이터, 공익목적으로 대중에게 공개하는 공공데이터, 지자체 수집데이터 및 민간 수집 데이터) 상호간은 일례로 현재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지역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상위의 우선순위로 설정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로컬 데이터와 외부데이터를 모두 수신하여 LED 표시부(110)에 표시하기 위해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로컬에서 측정된 데이터가 표출 장치 주변의 기상정보를 가장 정확도 있게 표현하는 데이터인 것으로 판단하여 최우선 순위를 할당할 수 있다.
그러나, 로컬에 설치된 다수의 관측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 상기 우선순위는, 로컬에 설치된 다수의 관측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최하위의 우선순위를 갖도록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컬에 설치된 다수의 관측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일실시례는, 로컬데이터의 평균값인 로컬데이터값과 외부데이터의 평균값 간의 차이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차이값이 기설정된 오차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로컬에 설치된 다수의 관측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한편, 로컬에 설치된 다수의 관측센서 중 특정 센서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특정 센서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노이즈 처리한 후, 나머지 로컬데이터를 최우선 순위로 두어 정보를 표출할 수 있으나, 로컬에 설치된 다수의 관측센서 중 어느 센서에 고장이 발생하였는지 즉시 확인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로컬 데이터 전체를 신뢰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로컬데이터 전체를 최하위의 우선순위로 할당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경우는 로컬에 설치된 다수의 관측센서 모두가 정상 복구되는 경우에, 상기 로컬에 설치된 다수의 관측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우선순위를 최우선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
이때, 로컬에 설치된 다수의 관측센서 중 어느 센서들에 고장이 발생하였는지 확인이 가능한 경우에는, 고장이 발생한 관측센서에 대해서는 수리를 진행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관측센서들로부터 각각 수신한 데이터 중 아직 정상 복구되지 않은 관측센서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는 제거하고, 상기 제거된 데이터에 대한 우선순위를 최하위로 재설정할 수 있다.
한편, 외부데이터는 다양한 데이터들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일례로, 환경부 대기정보 데이터, 기상청 기상정보 데이터, 공익목적으로 대중에게 공개하는 공공데이터, 지자체 수집데이터, 민간 수집 데이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데이터 상호간의 우선순위는 다른 일례로 아래와 같이 신뢰오차값을 통해 부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 외부데이터에 대한 신뢰오차값을 계산하고, 상기 신뢰오차값이 작을수록 우선순위가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뢰오차값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연산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20043161685-utm00002
여기서, V는 신뢰오차값, A는 로컬에 설치된 다수의 관측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평균값, B는 외부데이터값, R은 각 외부데이터의 신뢰도이다.
일례로, 기상청 기상정보 데이터와 민간 수집 데이터 간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수학식 1]에 따른 신뢰오차값을 계산하면 아래와 같다.
기상청 기상정보 데이터로부터 확인한 온도값이 섭씨 22도이고, 로컬에 설치된 온도 관측센서들로부터 수집된 온도값의 평균이 섭씨 20도이며, 기상청 기상정보 데이터의 신뢰도가 95%라면, 신뢰오차값 V는 2*0.05=0.1이 된다.
한편, 민간 수집 데이터로부터 확인한 온도값이 섭씨 23도이고, 로컬에 설치된 온도 관측센서들로부터 수집된 온도값의 평균이 섭씨 20도이며, 민간 수집 데이터의 신뢰도가 90%라면, 신뢰오차값 V는 3*0.1=0.3이 된다.
따라서, 상기 신뢰오차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은 기상청 기상정보 데이터이므로, 민간 수집 데이터보다 우선순위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언급한 외부데이터의 신뢰도 R은 외부데이터를 송신하는 측에서 신뢰도 값을 함께 송신해 주거나, 자체 연산을 통해 도출할 수 있다.
신뢰도 값의 자체 연산을 위한 일실시례는 종래에 수신된 외부데이터를 누적하여 빅데이터로 구성하고, 현재 수신된 외부데이터와 빅데이터의 누적 데이터를 비교하여 아래 [수학식 2]와 같이 그 차이값이 적을수록 신뢰도가 높도록 연산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20043161685-utm00003
(여기서, CD는 현재 수신된 데이터, AV는 빅데이터 내의 해당 조건에 대응하는 평균값)
보다 상세하게는 기상청 기상정보 데이터의 지난 2년간의 데이터가 누적되어 빅데이터로 마련되어 있고, 현재 수신된 기상청 기상정보 데이터의 온도값이 섭씨 22도 이며, 시기(계절, 월, 시간대 등)조건, 습도조건, 풍속조건 등 기타 조건이 일치하는 빅데이터 내의 온도값을 추출한 결과 해당 조건에서는 섭씨 21.5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면, 신뢰도 R은 (21.5/22)*100 = 97.2 인 것으로 도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신뢰도 및 이를 활용한 신뢰오차값을 통해 외부데이터 상호간의 우선순위를 결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표출 장치에 표출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상기 표시제어부에 전달하는 제어명령을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관측센서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외부 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서버가 표출 장치에 표시할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고, 로컬의 관측센서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도 외부 서버로 송신되어 관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따르면, 로컬에 설치된 다수의 관측센서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와 외부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를 모두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데이터들의 우선순위를 연산한 뒤 우선순위에 따라 기상정보를 표시함으로써, 보다 신뢰성 있는 기상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기상정보 표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외부데이터 상호간에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누적된 외부데이터와 현재의 외부데이터를 동일 조건에서 비교하여 그 차이값이 작을수록 신뢰도를 높게 평가하고, 그 차이값과 신뢰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함으로써, 외부데이터의 신뢰도에 따른 정확한 기상정보 표출이 가능한 표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례는 비록 한정된 실시례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의 일실시례는 상기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례는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 LED 표시부
120 : 데이터 수신부
130 : 표시 제어부
140 :통신부
200 : 외부 서버
310, 320 : 외부데이터

Claims (1)

  1. 도트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다수의 LED로 구성되어 문자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표출하되, 표출되는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파랑, 녹색, 노랑, 적색 중 어느 하나의 색으로 표시하는 LED 표시부;
    로컬에 설치된 다수의 관측센서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를 시리얼통신을 통해 수신하고, 환경부 대기정보 데이터, 기상청 기상정보 데이터, 공익목적으로 대중에게 공개하는 공공데이터, 지자체 수집데이터 및 민간 수집 데이터를 TCP/IP 통신을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부;
    상기 데이터수신부로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LED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우선순위에 따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우선순위는, 로컬에 설치된 다수의 관측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평균값인 로컬데이터값이 최우선 순위를 가지도록 제어하는 표시제어부; 및
    상기 표시제어부에 전달하는 제어명령을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로컬데이터를 상기 외부 서버에 송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제어부는,
    상기 로컬에 설치된 다수의 관측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평균값과 외부데이터의 평균값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오차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로컬에 설치된 다수의 관측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고,
    상기 로컬에 설치된 다수의 관측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 상기 우선순위는, 로컬에 설치된 다수의 관측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최하위의 우선순위를 갖도록 조정하며,
    상기 로컬에 설치된 다수의 관측센서 모두가 정상 복구되는 경우에, 상기 로컬에 설치된 다수의 관측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우선순위를 최우선으로 재설정하며,
    상기 표시제어부는,
    상기 로컬에 설치된 다수의 관측센서 중 일부가 정상 복구되는 경우에, 상기 다수의 관측센서들로부터 각각 수신한 데이터 중 정상 복구되지 않은 관측센서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는 제거하고, 상기 제거된 데이터에 대한 우선순위를 최하위로 재설정하고,
    상기 표시제어부는,
    상기 외부데이터 각각에 대한 신뢰오차값을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연산하여,
    [수학식 1]
    Figure 112020060414786-utm00004

    (V : 신뢰오차값, A : 로컬데이터, B : 외부데이터값, R : 각 외부데이터의 신뢰도)
    상기 연산된 신뢰오차값이 작을수록 우선순위를 높게 설정하며,
    상기 외부데이터의 신뢰도는,
    상기 외부데이터의 저장된 누적데이터와 현재 외부데이터를 비교하되, 상기 현재 외부데이터의 주변 조건과 가장 가까운 조건을 갖는 상기 누적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현재 외부데이터와 상기 누적데이터의 차이값이 작을수록 신뢰도가 높게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정보 표출 장치.
KR2020200001440U 2020-04-27 2020-04-27 센서데이터 및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기상정보 표출 장치 KR2004921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440U KR200492103Y1 (ko) 2020-04-27 2020-04-27 센서데이터 및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기상정보 표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440U KR200492103Y1 (ko) 2020-04-27 2020-04-27 센서데이터 및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기상정보 표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103Y1 true KR200492103Y1 (ko) 2020-08-07

Family

ID=72038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440U KR200492103Y1 (ko) 2020-04-27 2020-04-27 센서데이터 및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기상정보 표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10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793B1 (ko) * 2020-11-26 2021-04-09 주식회사 노아엘이디 센서데이터 및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바이러스 지수 산출방법 및 바이러스 지수를 포함한 기상정보 표출 장치
KR102257328B1 (ko) * 2021-03-30 2021-05-28 주식회사 노아엘이디 주변시설 빅데이터를 활용한 기상정보 표출 장치
KR102257337B1 (ko) * 2021-03-30 2021-05-28 주식회사 노아엘이디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밝기 자동조절이 가능한 기상정보 표출 장치
KR20230061175A (ko) * 2021-10-28 2023-05-08 주식회사 환경과안전 사물인터넷 센서 데이터 신뢰성 평가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630B1 (ko) * 2016-02-12 2017-05-3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 유효성 판단 장치 및 방법
KR20180041828A (ko) * 2016-10-17 2018-04-25 주식회사에스에이티 미세먼지농도 측정, 보정 및 예측을 통한 미세먼지정보 구축장치 및 그 방법
KR101948236B1 (ko) * 2018-05-18 2019-02-14 케이웨더(주) 동네별 미세먼지 현황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630B1 (ko) * 2016-02-12 2017-05-3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 유효성 판단 장치 및 방법
KR20180041828A (ko) * 2016-10-17 2018-04-25 주식회사에스에이티 미세먼지농도 측정, 보정 및 예측을 통한 미세먼지정보 구축장치 및 그 방법
KR101948236B1 (ko) * 2018-05-18 2019-02-14 케이웨더(주) 동네별 미세먼지 현황 제공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카달로그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793B1 (ko) * 2020-11-26 2021-04-09 주식회사 노아엘이디 센서데이터 및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바이러스 지수 산출방법 및 바이러스 지수를 포함한 기상정보 표출 장치
KR102257328B1 (ko) * 2021-03-30 2021-05-28 주식회사 노아엘이디 주변시설 빅데이터를 활용한 기상정보 표출 장치
KR102257337B1 (ko) * 2021-03-30 2021-05-28 주식회사 노아엘이디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밝기 자동조절이 가능한 기상정보 표출 장치
KR20230061175A (ko) * 2021-10-28 2023-05-08 주식회사 환경과안전 사물인터넷 센서 데이터 신뢰성 평가 시스템
KR102642256B1 (ko) * 2021-10-28 2024-02-29 주식회사 환경과안전 사물인터넷 센서 데이터 신뢰성 평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2103Y1 (ko) 센서데이터 및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기상정보 표출 장치
KR101534716B1 (ko) 기상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2184694B (zh) 采用视频图像和/或数码照片监测室外显示屏的系统和方法
US83013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on of average speed of vehicles for traffic control
CN1882078B (zh) 监视摄像机的图像异常检测装置
CN101198997A (zh) 辅助驾驶在低高度飞行的飞行器的方法和系统
KR102005713B1 (ko) 지능형 터널 관리 시스템
EP3070644A1 (en) Method for generating a digital record aqnd roadside unit of a road toll system implementing the method
CN113393486B (zh) 一种异常事件监测方法、智能监测终端及系统
KR102237793B1 (ko) 센서데이터 및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바이러스 지수 산출방법 및 바이러스 지수를 포함한 기상정보 표출 장치
US11580659B2 (en) Method for size estimation by image recognition of specific target using given scale
CN115929404A (zh) 煤矿巷道的监测方法、装置和煤矿巷道的检测系统
JP5780979B2 (ja) 車両状態検出装置、車両挙動検出装置及び車両状態検出方法
JP5871780B2 (ja) 防災情報伝達システム
CN105684062A (zh) 用于提供关于临近车辆的事件的事件消息的方法和装置
CN110362059B (zh) 诊断装置和诊断方法
KR20200075692A (ko) 좌표계를 이용한 안개 탐지 장치 및 그 방법
JP2008082941A (ja) 積雪測定システム
CN114745014A (zh) 一种融合天通、宽窄带自组网的卫星便携系统及方法
JPH05282595A (ja) 道路情報表示装置
JP6629023B2 (ja) 河川情報システム及び検知方法
KR101446545B1 (ko) 위치기반 교차로 차량정보 표시시스템
US9374723B2 (en)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and communication management method
CN114170498A (zh) 遗洒物检测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3778121B (zh) 一种无人机多余度传感器管理方法、系统及无人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