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102Y1 - 화물 고정용 로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화물 고정용 로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102Y1
KR200492102Y1 KR2020180005329U KR20180005329U KR200492102Y1 KR 200492102 Y1 KR200492102 Y1 KR 200492102Y1 KR 2020180005329 U KR2020180005329 U KR 2020180005329U KR 20180005329 U KR20180005329 U KR 20180005329U KR 200492102 Y1 KR200492102 Y1 KR 2004921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gear
fixing device
working body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3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098U (ko
Inventor
장영수
Original Assignee
(주)디에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에스아이 filed Critical (주)디에스아이
Priority to KR20201800053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102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0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0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1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1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4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량화물을 운송시 로프를 고정하기 위한 로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화물을 결박하기 위한 로프를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고정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로프 고정장치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고 일측에는 걸림구가 관통 형성되는 작동본체; 상기 작동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걸고리부; 상기 작동본체의 내부 일측에 축설되며, 로프가 권선되는 로프결박부; 상기 작동본체의 내부 일측에 탄성 축설되며, 일측 끝단은 상기 로프결박부의 측면과 접하도록 위치하고, 타측 끝단은 상기 작동본체의 걸림구에 걸리도록 위치하여 로프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로프스토퍼; 상기 로프결박부와 동일축상에 축설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의 일측과 치합되는 제2기어; 및 상기 작동본체의 내부 일측에 탄성 축설되며, 일측 끝단은 상기 제1기어의 측면과 접하도록 위치하고, 타측 끝단은 걸림구에 걸리도록 위치하여 제1기어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기어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선박 또는 화물차 등에 화물을 고정하기 위한 로프의 고정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고, 2중의 역회전방지 기능으로 진동이나 충격에도 쉽게 로프가 풀어질 염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화물 고정용 로프 고정장치{A Wire Rope Fixing Device}
본 고안은 중량화물을 운송시 로프를 고정하기 위한 로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을 결박하기 위한 로프를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고정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로프 고정장치에 관한 고안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이나 화물차량 등에 화물을 적재하고 이를 결박시키기 위해서 로프 등을 사용한다. 로프 등은 강한 힘으로 당겨져 인장력을 가진 상태로 화물을 결박하게 되며, 인장력이 해제되면 화물이 이탈 전복되어 파손될 염려가 있으므로, 로프 및 벨트의 견고히 고정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에는 별도의 기계식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로프를 일방향에서 연결시킨 후 이를 감아 당겨 고정시키기도 한다.
이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고정되는 몸체와; 이 몸체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롯이 외주면에 관통형성된 샤프트와; 이 샤프트의 일단에 고정되어 몸체의 외측에 배치되는 래칫휠; 및 몸체의 외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래칫휠에 맞물리면 샤프트가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샤프트의 회전 상태를 조절하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이 공개되어 있다.
이는 로프를 체결 작업이 더욱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로프 체결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현저히 감축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중대형 화물차량 또는 선박에 몸체 메인프레임(6)을 형성시키고, 메인프레임(6)‘ㄷ’자형 사이에는 벨트텐션바(2)를 구성시키고, 벨트를 결박시키기 위하여 벨트결박조임볼트(10), 결박기어(11)를 구비하고, 텐션바 로프고정삽입공(12), 로프고정브라켓(3), 결박용볼트(10)를 구비하여 결속장치 본체를 구성하는 것과, 고정로프는 텐션바 로프고정삽입공(12)으로 삽입되어져 로프고정브라켓(3)에 의해 고정되고, 결박기어(11)와 합체된 벨트결박조임볼트(10)에 벨트가 조여지고 해체되도록 형성하는 것과, 중대형 차량자체(차체)에 메인프레임(6)을 차량 본체 일측에 접합 고정하도록 형성시키고, 고정벨트텐션바(2)에 텐션바 로프고정삽입공(12)을 형성하고, 텐션바 로프고정삽입공(12)의 로프고정브라켓(3)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 공개되어 있다.
이는 차량 운행중 간헐적이고 지속적인 요동현상에 의하여 고정벨트가 이완 및 인장작용이 반복되더라도 결속물이 이탈되거나 벨트가 풀려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 운반 화물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상술한 종래의 공개된 기술들은 차체 또는 선체의 외부 여러 곳에 용접 또는 나사 체결을 하여 설치를 하게 됨에 따라 번거로운 것은 물론, 차후 차체에 국부적으로 변형을 초래하게 되고 차체와 고정장치의 부식과 변형의 염려가 있다.
또한, 화물의 이동과정에서 로프에 전달되어 오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로프가 조금씩 인출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고정장치의 스토퍼가 풀리게 되어 로프의 장력이 약해지게 되고 고정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132901호 문헌 2 :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1-0005447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고안으로서, 로프의 고정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고, 진동이나 충격에도 쉽게 로프가 풀어질 염려가 없도록 하는데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고 일측에는 걸림구가 관통 형성되는 작동본체; 상기 작동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걸고리부; 상기 작동본체의 내부 일측에 축설되며, 로프가 권선되는 로프결박부; 상기 작동본체의 내부 일측에 탄성 축설되며, 일측 끝단은 상기 로프결박부의 측면과 접하도록 위치하고, 타측 끝단은 상기 작동본체의 걸림구에 걸리도록 위치하여 로프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로프스토퍼; 상기 로프결박부와 동일축상에 축설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의 일측과 치합되는 제2기어; 및 상기 작동본체의 내부 일측에 탄성 축설되며, 일측 끝단은 상기 제1기어의 측면과 접하도록 위치하고, 타측 끝단은 걸림구에 걸리도록 위치하여 제1기어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기어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로프결박부는, 권선되는 로프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제1,2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제1,2지지대의 내측부에는 로프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압지하는 압지돌기부와 압지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지돌기부와 압지홈은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로프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지지대의 압지돌기부와 압지홈은, 제2지지대의 압지돌기부와 압지홈과 서로 어긋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지돌기부는 제1,2지지대의 중심에서 외측방향으로 연결되는 선을 기준으로 10 ~ 15°의 각도(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로프스토퍼는 로프결박부의 측면과 접하는 부분의 하단에는 돌기부와 홈이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기어의 축은 별도의 공구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다각형 형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선박 또는 화물차 등에 화물을 고정하기 위한 로프의 고정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고, 2중의 역회전방지 기능으로 진동이나 충격에도 쉽게 로프가 풀어질 염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 고정장치의 입체 예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 고정장치의 분리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 고정장치의 측면 예시도
도 5는 도 4의 A-A' 선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 고정장치의 평면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 고정장치의 제1,2지지대를 분리하여 도시한 예시도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및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7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화물 고정용 로프 고정장치는 작동본체(100)와 걸고리부(200), 그리고 로프가 권선되는 로프결박부(300) 및 로프스토퍼(400), 제1기어(500)와 제2기어(600) 및 제1기어스토퍼(70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작동본체(100)는 제1,2 본체커버(110)(120)로 분리되어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작동본체(100)의 일측에는 소정 크기의 걸림구(130)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걸고리부(200)는 작동본체(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화물차 또는 선박에 간편하게 걸어 결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로프결박부(300)는 화물을 결박하는 로프(10)를 결박하기 위한 것으로서, 로프(10)가 권선된 후 외측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제1,2지지대(310)(320)가 구비되어 중심축이 서로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제1,2지지대(310)(320)의 내측부, 즉 로프(10)가 접하는 측면에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외측방향으로 압지돌기부(330a)(330b)와 압지홈(340a)(340b)이 번갈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지지대(310)에 형성되는 압지돌기부(330a)와 압지홈(340a)은, 제2지지대(320)에 형성되는 압지돌기부(330b)와 압지홈(340b)과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압지돌기부(330a)(330b)와 압지홈(340a)(340b)은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로프(10)의 권선시에는 적은 힘으로도 권선이 가능하고, 의도치 않게 로프(10)가 풀리는 경우에는 이를 방지하여 줄 수 있게 된다. 이때, 압지돌기부(330a)(330b)는 제1,2지지대(310)(320)의 중심에서 외측방향으로 연결되는 선을 기준으로 약 10 ~ 15°의 각도(Ø)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여기서 로프스토퍼(400)는 작동본체(100)의 내부 일측에 탄성체(410)에 의해 탄성 축설된다. 일측 끝단은 로프결박부(300)의 일측면과 접하도록 위치하고, 타측 끝단은 작동본체(100)에 형성된 걸림구(130)에 걸리는 형태로 위치한다. 로프결박부(300)의 측면과 접하는 하단부에는 로프(10)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수열의 돌기부와 홈이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기어(500)는 로프결박부(300)와 동일 축상에 축설되어 로프결박부(300)와 일체로 회전된다. 그리고 제2기어(600)는 제1기어(500)와 치합되도록 축설된다. 이때, 제1기어(500)와 제2기어(600)는 기어비를 동일하게 할 수도 있으나, 기어비를 달리하여 적은힘으로도 쉽게 제1기어(500)가 쉽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기어(600)의 축(610)은 4각형 이상의 다각형, 바람직하게는 6각형으로 되어 소정의 길이로 인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제1기어스토퍼(700)는 일측 끝단이 제1기어(500)의 일측과 접하도록 하여, 작동본체(100)의 내부 일측에 탄성체(710)에 의해 탄성 결합된다. 타측 끝단은 작동본체(100)에 형성된 걸림구(130)에 걸리는 형태로 위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로프 고정장치는 걸고리부(200)를 이용하여 선박 또는 화물차의 일측에 걸어 사용한다.
로프(10)의 일측을 로프결박부(300)에 권선시켜 당기게 되면, 로프결박부(300)가 회전을 하면서 로프(10)의 당김이 수월해지게 되며, 당겨진 로프(10)는 제1,2지지대(310)(320)에 형성된 압지돌기부(330a)(330b)와 압지홈(340a)(340b)에 의해 씹히는 형태가 되며 끼이게 된다. 그리고 당겨진 로프(10)를 놓게 되는 경우에는 로프스토퍼(400)의 일측 끝단이 작동본체(100)의 걸림구(130)에 걸리면서 더 이상 회전을 못하게 되고, 타측 끝단은 하부에 형성된 돌기부와 홈이 로프(10)에 밀착 접하면서 로프(1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로프(10)의 당김에 의해 로프결박부(300)가 회전하면서 동시에 제1기어(500)도 동일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당겨진 로프(10)를 놓게 되는 경우 제1기어스토퍼(700)의 일측 끝단이 작동본체(100)의 걸림구(130)에 걸리면서 더 이상 회전을 못하게 되고, 타측 끝단은 제1기어(500)의 기어 사이에 끼워져 제1기어(500)가 역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로프(10)의 당김을 중지하는 경우 로프스토퍼(400)와 제1기어스토퍼(700)에 의해 2중으로 로프(10)의 역회전을 방지함에 따라 로프(10)의 풀림 염려가 전혀 없게 된다.
그리고, 수동으로 로프(10)의 당기는 것에 한계가 있는 만큼, 로프(10)의 당김을 더욱 강하게 하고자 하는 경우 제2기어(600)의 축(610)에 별도의 공구를 연결하여 회전을 시킨다. 따라서, 제2기어(600)가 회전하면서 치합되어 있는 제1기어(500)를 회전시키게 되고, 제1기어(500)의 회전에 의해 로프결박부(300)도 회전을 하면서 압지돌기부(330a)(330b)와 압지홈(340a)(340b)에 의해 로프(10)가 끼인채로 공구의 구동힘에 의해 당겨지게 된다.
물론, 로프(10)를 본 발명의 로프 고정장치로부터 풀고자 하는 경우에는 작동본체(100)의 걸림구(130)에 걸려 있는 로프스토퍼(400)와 제1기어스토퍼(700)의 끝단을 들어 올리면 로프(10)와 제1기어(500)에 걸려 있던 힘이 해제되게 된다. 따라서, 제1기어(500)의 회전이 자유롭게 되고, 로프(10)도 로프스토퍼(400)로부터 자유롭게 되어 로프결박부(300)가 역회전되면서 로프(10)가 풀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로프 고정장치는 로프(10)가 로프결박부(300)에 의해 견고하게 결박이 되는 것은 물론,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져도 쉽게 풀어지지 않도록 2중의 스토퍼가 구비되어 안정성이 향상된 로프 고정장치이다.
100 : 작동본체 110,120 : 제1,2 본체커버
130 : 걸림구 200 : 걸고리부
300 : 로프결박부 310,320 : 제1,2지지대
330a,330b : 압지돌기부 340a,340b : 압지홈
400 : 로프스토퍼 500 : 제1기어
600 : 제2기어 700 : 제1기어스토퍼

Claims (7)

  1.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고 일측에는 걸림구가 관통 형성되는 작동본체;
    상기 작동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걸고리부;
    상기 작동본체의 내부 일측에 축설되며, 로프가 권선되는 로프결박부;
    상기 작동본체의 내부 일측에 탄성 축설되며, 일측 끝단은 상기 로프결박부의 측면과 접하도록 위치하고, 타측 끝단은 상기 작동본체의 걸림구에 걸리도록 위치하여 로프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로프스토퍼;
    상기 로프결박부와 동일축상에 축설되어 상기 로프결박부에 결박된 로프의 당김에 의해 일체로 회전하는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의 일측과 치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제2기어; 및
    상기 작동본체의 내부 일측에 탄성 축설되며, 일측 끝단은 상기 제1기어의 측면과 접하도록 위치하고, 타측 끝단은 걸림구에 걸리도록 위치하여 제1기어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기어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고정용 로프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결박부는,
    권선되는 로프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제1,2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제1,2지지대의 내측부에는 로프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압지하는 압지돌기부와 압지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고정용 로프 고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지돌기부와 압지홈은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로프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고정용 로프 고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의 압지돌기부와 압지홈은, 제2지지대의 압지돌기부와 압지홈과 서로 어긋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고정용 로프 고정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압지돌기부는 제1,2지지대의 중심에서 외측방향으로 연결되는 선을 기준으로 10 ~ 15°의 각도(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고정용 로프 고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스토퍼는 로프결박부의 측면과 접하는 부분의 하단에는 돌기부와 홈이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고정용 로프 고정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어는 축이 다각형 형태로 되어, 별도의 공구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고정용 로프 고정장치.
KR2020180005329U 2018-11-20 2018-11-20 화물 고정용 로프 고정장치 KR2004921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329U KR200492102Y1 (ko) 2018-11-20 2018-11-20 화물 고정용 로프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329U KR200492102Y1 (ko) 2018-11-20 2018-11-20 화물 고정용 로프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098U KR20200001098U (ko) 2020-05-28
KR200492102Y1 true KR200492102Y1 (ko) 2020-08-06

Family

ID=70861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329U KR200492102Y1 (ko) 2018-11-20 2018-11-20 화물 고정용 로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102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0513A (ja) 2009-10-06 2011-04-21 Ingu:Kk ワイヤロープ緊張装置
KR101097023B1 (ko) 2009-01-29 2011-12-20 김정명 원줄 분리기
KR101837986B1 (ko) 2016-11-03 2018-03-13 (주)대성아이엔디 선박용 차량 고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4498A (ko) * 2007-11-27 2009-06-01 이은주 화물차량용 로프 고정구
KR20110005447U (ko) 2009-11-25 2011-06-01 정석주 화물차량 화물 고정용 벨트 결박(結縛)장치
KR101511367B1 (ko) 2013-05-09 2015-04-10 이영숙 중대형 화물 결박(結縛)용 이동식 일방향 벨트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023B1 (ko) 2009-01-29 2011-12-20 김정명 원줄 분리기
JP2011080513A (ja) 2009-10-06 2011-04-21 Ingu:Kk ワイヤロープ緊張装置
KR101837986B1 (ko) 2016-11-03 2018-03-13 (주)대성아이엔디 선박용 차량 고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098U (ko)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0116B2 (en) Loop rope assembly
US4823443A (en) Strap tie down device and method for its use
US7739775B2 (en) Restraint apparatus and methods
US3240473A (en) Load binding device comprising winch means and equalizer means
US9162604B2 (en) Cargo strap fastener
US3910558A (en) Heavy duty winch for cargo tie-down
US20090241307A1 (en) Tie-down strap system
US6981827B2 (en) Cargo restraint torque apparatus
KR200492102Y1 (ko) 화물 고정용 로프 고정장치
CN201109575Y (zh) 棘轮式紧固装置
US5887840A (en) Pick-up truck tie down anchor
US6092437A (en) Winch bar
US6719507B2 (en) Tie-down strap winch bar
KR100777781B1 (ko) 적재물 고정 장치
US6341742B1 (en) Line tightener
EP3152459B1 (en) Line tensioner
KR200326995Y1 (ko) 화물 고정용 벨트 텐셔너
KR100939804B1 (ko) 화물 자동차용 화물결속장치
KR102454211B1 (ko) 화물 결속용 벨트의 텐션 지지구
KR200385917Y1 (ko) 화물차용 바의 자동 복귀장치
KR102205198B1 (ko) 화물차용 자동바
KR101984382B1 (ko) 벨트조임장치
CN218661564U (zh) 一种货物运输用拉紧器
KR900009335Y1 (ko) 화물자동차용 화물 결박장치
KR20140030720A (ko) 래싱 브리지의 방진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