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9804B1 - 화물 자동차용 화물결속장치 - Google Patents

화물 자동차용 화물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9804B1
KR100939804B1 KR1020090068523A KR20090068523A KR100939804B1 KR 100939804 B1 KR100939804 B1 KR 100939804B1 KR 1020090068523 A KR1020090068523 A KR 1020090068523A KR 20090068523 A KR20090068523 A KR 20090068523A KR 100939804 B1 KR100939804 B1 KR 100939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binding band
cargo
freight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8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곤
Original Assignee
김병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곤 filed Critical 김병곤
Priority to KR1020090068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98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 B62D33/037Latch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자동차에서 화물을 결속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밴드가 권취되는 권취부; 상기 권취부의 양단에 구비되어 권취부와 함께 회전하는 래칫휠; 상기 래칫휠의 역전을 방지하는 역전방지부; 및 상기 권취부의 외주면과 일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권취부의 폭 방향 연장되어 형성된 결속밴드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밴드 고정부재는 일단이 상기 권취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의 화물결속장치를 이용하면 화물결속용 결속밴드를 신속하게 결속할 수 있고 또한 하나의 결속밴드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화물을 결속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발휘된다.
화물결속장치, 결속밴드, 래칫휠, 역전방지부

Description

화물 자동차용 화물결속장치{FREIGHT FASTENING DEVICE FOR FREIGHT VEHICLE}
본 발명은 화물자동차용 화물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물결속용 밴드를 이용하여 화물을 신속하게 결속하며 동시에 하나의 화물결속용 밴드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화물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자동차가 화물을 묶는 방법으로는 일정한 폭을 가지는 밴드 타입의 결속끈(이하 '결속밴드'라고 함)과 이를 감아서 결속하는 결속장치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결속밴드를 하나씩 당겨서 상기 결속장치에 감아서 화물을 결속하였다.
도 1에서는 종래에 사용되는 화물결속장치를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도 1의 결속장치를 적용한 화물자동차의 개략적인 모습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1을 보면, 종래의 화물결속장치(1)는 상부유닛과 하부유닛으로 이루어진다. 하부유닛은 하부지지체(11)를 포함하며, 하부지지체(11)의 일단에는 결속밴드(17)가 고정되고 타단에는 축봉(33)이 삽입되는 하부유닛 삽입구(미도시)가 형성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체(11)에는 래칫휠(30)이 어느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고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전방지부(13)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의 그림에서 보아, 상기 역전방지부(13)의 좌우측에 형성된 래칫휠 물림부(13a)가 래칫휠(30)에 맞물려서 래칫휠의 역전을 방지하게 된다.
상부유닛은 상부지지체(21)를 포함하며, 상부지지체(21)의 일단에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위치인 손잡이(23)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축봉(33)이 삽입되는 상부유닛 삽입구(미도시)가 형성된다. 그리고, 래칫휠(30)을 회전시키는 래칫휠 회전부재(25)가 상기 상부지지체(21)에 구비되어 있다. 도 1에서 보아, 상기 래칫휠 회전부재(25)의 좌우 양측에는 래칫휠 구동부(25a)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래칫휠 구동부(25a)가 래칫휠(3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하부유닛 삽입구 및 상부유닛 삽입구에는 축봉(33)이 삽입되어 상기 상부유닛과 하부유닛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축봉(33)의 양측에는 래칫휠(30)이 형성되고, 상기 축봉과 래칫휠은 서로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축봉(33)의 가운데에는 화물결속용 결속밴드가 삽입되는 밴드삽입공(40)이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화물결속장치의 동작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화물결속을 위한 결속밴드의 일단을 먼저 상기 밴드삽입공(40)에 어느 정도 삽입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상부부재를 상기 축봉(33)을 기준으로 반복회동시키면 상기 래칫휠(30)이 회전하게 되며, 이때 상기 하부유닛의 역전방지부(13)에 의해서 상기 래칫휠(30)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래칫휠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 는 축봉(33) 역시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축봉의 밴드삽입공(40)에 삽입된 결속밴드는 축봉과 함께 겹친 상태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겹쳐서 말린 결속밴드끼리는 엄청난 마찰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 힘을 이용하여 화물자동차의 화물을 결속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화물결속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상기 결속밴드를 결속장치에 결속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결속밴드의 끝단부터 화물결속장치의 상기 밴드삽입공(40)에 삽입한 후 상기 상부유닛을 반복회동하여 결속밴드를 감아서 당겨야 한다. 그러므로, 결속밴드가 길어서 여유가 많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상부유닛을 계속하여 반복하여 회동시켜야 하므로, 운전자가 화물을 고정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결속밴드의 일단은 많은 부분이 반복하여 겹친상태로 말려 있으므로 결속밴드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지도 못하여 결속밴드가 낭비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결속밴드는 생산공장에서 일정한 길이 예를 들면 10미터의 길이로 생산되어 공급된다. 그런데, 화물을 고정하기 위해서 소요되는 길이가 4미터라면 나머지 6미터를 결속장치에 감기 위해서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6미터 길이는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여 낭비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화물결속장치는 하나의 결속밴드를 고정하기 위해 하나의 결속장치가 필요하였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장치 각각에 하나의 결속밴드가 고정되는 형태이므로 결속밴드를 항상 복수 개 구비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물자동차에 화물을 결속하는 결속밴드를 신속하게 결속하는 수단을 제공하고, 또한 하나의 결속밴드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화물을 결속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화물을 결속하는 밴드가 권취되는 권취부; 상기 권취부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구비되고, 상기 권취부와 함께 회전하는 래칫휠; 상기 래칫휠의 역전을 방지하는 역전방지부; 및 상기 권취부의 외주면과 일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권취부의 폭 방향 연장되어 형성된 결속밴드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밴드 고정부재는 일단이 상기 권취부에 연결된 화물자동차용 화물결속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결속밴드 고정부재는 단면이 원형이거나 다각형일 수 있고, 밴드 결속을 위한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속밴드 고정부재는 상기 권취부의 둘레에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물을 결속하는 결속밴드가 권취되는 권취부; 상기 권취부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구비되고, 상기 권취부와 함께 회전하는 래칫휠; 및 상기 래칫휠의 역전을 방지하는 역전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부에는 상기 결속밴드가 측면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측면삽입홈이 형성되어 화물자동차용 화물결속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측면삽입홈은 상기 권취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본 발명은 화물을 결속하는 결속밴드 및 상기 화물결속장치를 이용하여 화물을 결속하되, 상기 결속밴드에는 복수 개의 결속홀이 형성되어 있고, 하나의 결속밴드를 상기 화물결속장치 복수 개에 동시에 연결하는 화물자동차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의 화물결속장치를 이용하면 화물결속용 결속밴드를 신속하게 결속할 수 있고 또한 하나의 결속밴드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화물을 결속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발휘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결속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화물결속장치에 결속밴드의 일단이 삽입되는 모습이며, 도 6는 도 5의 c부분의 상세도이며, 도 7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결속장치의 일부 구성이며,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결속장치가 적용된 적용예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결속장치(100)는 상부유닛과 하부유닛으로 이루어진다. 하부유닛은 하부지지체(111)를 포함하며, 하부지지체(111)의 일단에는 결속밴드(117)가 고정되고 타단에는 권취부(133)가 삽입되는 하부유닛 삽입구(미도시)가 형성된다. 권취부(133)는 화물 결속을 위한 결 속밴드가 권취되는 곳이며, 이것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체(111)에는 래칫휠(130)이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고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전방지부(113)가 구비되어 있다. 즉, 도 4의 그림에서 보아, 상기 역전방지부(113)의 좌우측에 형성된 래칫휠 물림부(113a)가 래칫휠(130)에 맞물려서 래칫휠의 역전을 방지하게 된다.
상부유닛은 상부지지체(121)를 포함하며, 상부지지체(121)의 일단에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위치인 손잡이(123)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권취부(133)가 삽입되는 상부유닛 삽입구(미도시)가 형성된다. 그리고, 래칫휠(130)을 회전시키는 래칫휠 회전부재(125)가 상기 상부지지체(121)에 구비되어 있다. 도 4에서 보아, 상기 래칫휠 회전부재(125)의 좌우 양측에는 래칫휠 구동부(125a)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래칫휠 구동부(125a)가 래칫휠(13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하부유닛 삽입구 및 상부유닛 삽입구에는 권취부(133)가 삽입되어 상기 상부유닛과 하부유닛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권취부(133)의 양측에는 래칫휠(130)이 형성되고, 상기 권취부와 래칫휠은 서로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권취부와 상기 래칫휠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형성된 후 동시에 회전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권취부(133)는, 권취부의 외주면과 일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권취부의 폭 방향으로 구비된 결속밴드 고정부재(18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권취부의 폭 방향이란, 도 4에서 도시된 권취부의 좌우방향 즉, 권취부에 권취되는 결속밴드의 폭 방향이다. 상기 결속밴드 고정부재(180)는 양단 중 어느 한쪽만이 권취부에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자유단(180a) 상태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취부(133)에 권취되는 결속밴드(B)는 상기 결속밴드 고정부재(180)의 자유단(180a)을 통해서 상기 결속밴드 고정부재(180)와 상기 권취부(133) 사이로 삽입된다. 즉, 상기 자유단(180a)과 권취부(133) 사이의 공간으로 결속밴드가 삽입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결속밴드(B)는 끝단이 아니라 중간 부분이 바로 권취부에 삽입되어 권취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속밴드 고정부재는 단면이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가지 형상의 다각형일 수도 있다. 그리고,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결속밴드 고정부재의 외주면에는 결속밴드를 확실하게 결속하기 위해서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밴드 고정부재는 상기 권취부의 둘레에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결속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를 보면, 상기 권취부(133)에는 상기 결속밴드(B)가 삽입될 수 있도록 측면삽입홈(19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삽입홈(190)은 상기 권취부(133)의 내부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어느 한쪽은 외부와 연통하도록 개방되어 있다. 상기 개방된 곳으로 결속밴드(B)의 측면이 삽입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의하더라도, 결속밴드(B)는 끝단이 아니라 중간 부분부터 권취부에 삽입되어 권취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결속장치의 동작과정을 살펴본다.
화물결속을 위한 결속밴드(B)의 측면을 상기 권취부와 결속밴드 고정수단 사 이에 삽입한다(도 4). 또는 결속밴드(B)의 측면을 상기 권취부에 형성된 측면삽입홈(190)에 삽입한다(도 7). 이 상태에서 상기 상부부재를 상기 권취부(133)을 기준으로 반복회동시키면 상기 래칫휠(130)이 회전하게 되며, 이때 상기 하부유닛의 역전방지부(113)에 의해서 상기 래칫휠(130)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래칫휠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권취부(133) 역시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귄취부에 삽입된 결속밴드는 권취부와 결속밴드 고정수단(180) 사이에서 겹친 상태로 회전하거나(도 4) 또는 권취부의 측면삽입홈(190)에서 겹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도 7). 이렇게 겹쳐져서 말린 결속밴드 사이에는 강한 마찰력이 작용하고, 이러한 마찰력으로 화물을 결속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결속밴드를 결속하기 위해서 결속밴드의 끝단부터 화물결속장치에 삽입할 필요가 없고, 결속밴드의 측면을 바로 삽입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결속밴드가 길어서 여유가 많이 남아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결속밴드 측면을 화물결속장치에 삽입하여 상부유닛을 일정정도만 회동시키면 바로 결속밴드를 고정할 수 있게 되므로 운전자가 화물을 고정하는 시간이 상당히 절약된다.
또한, 결속밴드의 측면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결속밴드가 충분히 길다면 하나의 결속밴드를 사용하여 여러 개의 화물결속장치에 동시에 결속할 수도 있다. 도 8에서는, 여러 개의 화물결속장치(100)에 하나의 결속밴드를 고정한 적용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결속밴드(B)에는 결속홀(B1)이 구비되어 있어서 이 결속홀에 고리(B2)를 걸어서 고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고리 는 통상적으로 화물자동차의 양측 아래쪽에 다수개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므로, 충분히 길이가 긴 하나의 결속밴드(B)를 화물결속장치(100)에 결속하고,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화물자동차의 고리(B2)에 상기 결속밴드의 결속홀(B1)을 걸어서 고정한 후 결속밴드를 화물자동차의 반대쪽으로 넘겨서 반대편에 위치하는 화물결속장치를 이용하여 결속하는 방법으로 계속하여 화물을 결속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사용되는 화물결속장치의 개략도이며,
도 2는 도 1의 결속장치를 적용한 화물자동차의 모습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상세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결속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화물결속장치에 결속밴드의 일단이 삽입되는 모습이며,
도 6는 도 5의 c부분의 상세도이며,
도 7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결속장치의 일부 구성이며,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결속장치가 적용된 적용예이다.

Claims (7)

  1. 화물을 결속하는 결속밴드가 권취되는 권취부;
    상기 권취부의 양단 중 어느 한단 또는 양단에 구비되고, 상기 권취부와 함께 회전하는 래칫휠;
    상기 래칫휠의 역전을 방지하는 역전방지부; 및
    상기 권취부의 외주면과 일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권취부의 폭 방향 연장되어 형성된 결속밴드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밴드 고정부재는 일단이 상기 권취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자동차용 화물결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밴드 고정부재는 단면이 원형이거나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자동차용 화물결속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밴드 고정부재에는 결속밴드 결속을 위한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자동차용 화물결속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밴드 고정부재는 상기 권취부의 둘레에 복수 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자동차용 화물결속장치.
  5. 화물을 결속하는 결속밴드가 권취되는 권취부;
    상기 권취부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구비되고, 상기 권취부와 함께 회전하는 래칫휠; 및
    상기 래칫휠의 역전을 방지하는 역전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부에는 상기 결속밴드가 측면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측면삽입홈이 형성되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자동차용 화물결속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삽입홈은 상기 권취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자동차용 화물결속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밴드에는 복수 개의 결속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자동차용 화물결속장치.
KR1020090068523A 2009-07-27 2009-07-27 화물 자동차용 화물결속장치 KR100939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523A KR100939804B1 (ko) 2009-07-27 2009-07-27 화물 자동차용 화물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523A KR100939804B1 (ko) 2009-07-27 2009-07-27 화물 자동차용 화물결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9804B1 true KR100939804B1 (ko) 2010-02-02

Family

ID=42082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8523A KR100939804B1 (ko) 2009-07-27 2009-07-27 화물 자동차용 화물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98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3352A (ko) * 2013-11-08 2015-05-18 박근식 로프 고정용 래칫
WO2016186223A1 (ko) * 2015-05-17 2016-11-24 박근식 로프 고정용 래칫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5002A (en) 1975-04-14 1977-08-30 Miller Errol S Multi-purpose load winch
KR900009393Y1 (ko) * 1987-09-16 1990-10-10 송진환 화물 자동차용 화물 결박장치
US6247208B1 (en) 1999-07-12 2001-06-19 Cecil Creech Method and apparatus for tightening a belt, strap, or the like
KR200419201Y1 (ko) 2006-03-27 2006-06-19 신윤동 자동차용 화물결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5002A (en) 1975-04-14 1977-08-30 Miller Errol S Multi-purpose load winch
KR900009393Y1 (ko) * 1987-09-16 1990-10-10 송진환 화물 자동차용 화물 결박장치
US6247208B1 (en) 1999-07-12 2001-06-19 Cecil Creech Method and apparatus for tightening a belt, strap, or the like
KR200419201Y1 (ko) 2006-03-27 2006-06-19 신윤동 자동차용 화물결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3352A (ko) * 2013-11-08 2015-05-18 박근식 로프 고정용 래칫
KR101578714B1 (ko) * 2013-11-08 2015-12-21 박근식 로프 고정용 래칫
WO2016186223A1 (ko) * 2015-05-17 2016-11-24 박근식 로프 고정용 래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2218B2 (en) Loop rope assembly
US3848889A (en) Load fasteners
US7766271B1 (en) Strap collection device for tensioning a ratchet
US4913608A (en) Strap tightening device
US7464916B1 (en) Cargo strap winch rewinding tool
CN101896374B (zh) 绳紧固装置
US20120241545A1 (en) Tiedown strap ratchet with take-up reel
KR100939804B1 (ko) 화물 자동차용 화물결속장치
US8316511B2 (en) Apparatus for tightening two belts
US8967595B2 (en) Ratchet adapter for strap tensioner
US568056A (en) Wire-tightener
AU709308B3 (en) Rope hitch
US6719507B2 (en) Tie-down strap winch bar
US20150151664A1 (en) Hand Puller with Rope Reel
US2519921A (en) Clothesline tightener
KR20150112909A (ko) 화물차용 로프 고정구
US559133A (en) Wire-stretcher
US3029869A (en) Apparatus for installing temporary closures in transport vehicles
US2838281A (en) Automobile carrier winch
KR200492102Y1 (ko) 화물 고정용 로프 고정장치
US528194A (en) Charles h
KR101632501B1 (ko) 화물 고정용 로프 결착구 및 이를 이용한 로프 결착방법
KR200166926Y1 (ko) 휴대용 화물 묶음용 끈 조임장치
KR900009393Y1 (ko) 화물 자동차용 화물 결박장치
US8870502B2 (en) Multi-function winch system for securing cargo to a transport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