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798Y1 - 데크플레이트의 멍에 지지구 - Google Patents

데크플레이트의 멍에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798Y1
KR200491798Y1 KR2020180003746U KR20180003746U KR200491798Y1 KR 200491798 Y1 KR200491798 Y1 KR 200491798Y1 KR 2020180003746 U KR2020180003746 U KR 2020180003746U KR 20180003746 U KR20180003746 U KR 20180003746U KR 200491798 Y1 KR200491798 Y1 KR 2004917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formwork
deck plate
receiving groov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7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418U (ko
Inventor
박시환
Original Assignee
박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시환 filed Critical 박시환
Priority to KR20201800037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798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4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4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7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7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Abstract

본 고안은 데크 플레이트의 멍에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슬래브의 바닥에 설치되는 거푸집에 지지되어 멍에를 안정적으로 이격시켜 지지하기 위한 데크플레이트의 멍에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고안은 거푸집의 상부면에 세워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측에 형성되어 멍에를 수용하는 수용홈; 상기 수용홈의 상단에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수용홈에 삽입되는 멍에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멍에를 결속시키기 위한 결속구멍;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데크플레이트의 멍에 지지구{York supporter for deck plate}
본 고안은 데크 플레이트의 멍에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슬래브의 바닥에 설치되는 거푸집에 지지되어 멍에를 안정적으로 이격시켜 지지하기 위한 데크플레이트의 멍에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철골조의 건축물에서 사용하는 데크플레이트는 긴장재의 역할을 하여 철근과 콘크리트의 양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많이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데크플레이트에 의해 철근콘크리트 바닥판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도1에서와 같이 하부층 바닥면에 동바리(103)를 일정 간격으로 수직으로 설치하고 동바리(103)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멍에(104) 및 장선(105)을 수평 방향으로 설치하여 구성된 거푸집 지지대를 설치한 후 그 상부에 합판으로 된 보 밑판 거푸집(107)을 보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한다.
데크플레이트(101)에 바닥판(100)을 거치하면서 보 밑판 거푸집(107)의 상부에 거치되는 바닥판 거치용 각재와 판재로 구성되는 보 옆판 거푸집(108)을 설치하며, 상기 보 옆판 거푸집(108)은 바닥판 콘크리트가 타설, 경화되어 해체될 때까지 상기 바닥판(100)을 하부에서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철근콘크리트보의 측면에는 바닥판(100)이 매입되어 설치되는데 상기 바닥판(100)으로는 거푸집 공사를 생략하기 위하여 데크플레이트(101)가 사용되는데, 상기 데크플레이트(101)는 보 옆판 거푸집(108)의 상부에 거치되어 못으로 보 옆판 거푸집(108)과 데크플레이트(101)를 상호 고정하여 데크플레이트(101)가 보 옆판 거푸집(108)의 상부에 안치된다.
상기 데크플레이트(101)의 마구리측에는 바닥판 콘크리트의 타설시 데크플레이트(101)의 리브 사이에 생기는 하부플레이트와 바닥판 간의 틈을 막아 콘크리트가 아래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연도 강판으로 되는 엔드클로우져(102)가 설치된다.
상기 엔드클로우져(102)는 외측을 따라 상기 데크플레이트(101)의 마구리측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협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101)가 협지부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엔드클로우져(102)는 외측을 따라 상기 데크플레이트(101)의 마구리측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협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101)가 협지부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보 밑판 거푸집(107)의 상부에는 보철근(109)을 조립 설치하고, 일반적으로 적절한 피복 두께의 확보를 위하여 보철근(109)과 보 밑판 거푸집(107)의 사이에는 스페이서(106)를 설치한다.
상기 보 밑판 거푸집(107)의 상부에는 보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101) 상부에도 바닥판 콘크리트가 같은 시기에 일체로 타설된다.
최근에는 보 밑판 거푸집(107)을 제거하고, 장선(105)의 상부에 바로 데크플레이트(101)를 얹은 다음, 데크플레이트(101)에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철근을 배근하고, 또한, 멍에(104)의 하부에 거푸집을 설치하여 곧바로 콘크리트 타설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에 멍에(104)가 하측의 거푸집과 곧바로 맞닿게 되면, 그 맞닿은 부위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못하므로, 구조적 취약점이 뒤따르게 된다.
- 선행기술 문헌 : 등록특허 제10-1018411호 (골 데크플레이트용 보 옆판 거푸집 및 그를 사용한 춤이 깊은 공 데트플레이트 플로어 공법을 위한 철근콘크리트보와 바닥판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멍에를 거푸집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크플레이트의 멍에 지지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데크플레이트의 멍에 지지구는,
거푸집의 상부면에 세워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측에 형성되어 멍에를 수용하는 수용홈;
상기 수용홈의 상단에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수용홈에 삽입되는 멍에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멍에를 결속시키기 위한 결속구멍;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데크플레이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멍에를 지지하면서 거푸집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이격시킴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정된 콘크리트 슬래브가 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의 기술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고안의 구조를 보인 도면.
도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고, 도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몸체(200)에는 거푸집(600)의 상부면으로 자립하기 위하여 세워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바닥지지부(210)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바닥지지부(210)는 상기 몸체(200)의 하측부위에서 외측으로 더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그 바닥지지부(210)의 하단에는 복수의 돌기부(211)가 형성되어 그 돌기부(211)가 거푸집(600)의 상부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돌기부(211)는 콘크리트가 타설된 다음 거푸집(600)을 제거할 때 돌기부(211)의 하단면만 최소한으로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바닥지지부(210)의 하부면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몸체(200)의 상측으로는 단면이 사각으로 된 멍에(300)가 수용되어 고정되기 위한 수용홈(220)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수용홈(220)은 멍에(300)가 수용되어 흔들리지 않도록 꼭 맞는 크기를 가지며, 이러한 수용홈(220)의 상측에는 수용된 멍에(3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멍에(300)의 상단부위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이탈방지돌기(2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용된 멍에(3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몸체(200)에는 관통된 결속구멍(240)이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결속구멍(240)과 멍에(300)가 와이어로 연결되어 고정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도3에서와 같이 몸체(200)를 거푸집(600)의 상부면에 세워 놓은 상태에서, 그 수용홈(220)에 멍에(300)를 삽입시켜 수용하게 되면 이탈방지돌기(230)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멍에(300)와 상측의 장선(400)이 서로 교차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하게 되며, 장선(400)은 멍에(300)의 상측에서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장선(400)의 상측으로는 데크플레이트(400)가 설치된다.
이후, 콘크리드를 타설하게 되면, 그 콘크리트에 의해 데크플레이트(500), 장선(400), 멍에(300), 본 고안이 일체로 되어 콘크리트 슬래브가 형성되며, 거푸집(600)을 제거하게 되면 하부면으로 돌기부(211)의 하단면만 최소한으로 노출되어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멍에(300)와 장선(400)이 데크플레이트(400)와 함께 긴장재로 작용하며, 또한 멍에(300)는 본 고안에 의해 거푸집(60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됨으로써 견고한 콘크리트 슬래브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200 : 몸체 210 : 바닥지지부
211 : 돌기부 220 : 수용홈
230 : 이탈방지돌기 240 : 결속구멍
300 : 멍에 400 장선
500 : 데크플레이트 600 : 거푸집

Claims (1)

  1. 거푸집의 상부면에 자립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측부위 양측에서 외측으로 더 연장되도록 형성된 바닥지지부;
    상기 바닥지지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거푸집의 상부면에 접촉하는 복수의 돌기부;
    상기 몸체의 상측에 형성되어 멍에를 꼭 맞게 수용하도록 사각의 단면을 갖는 수용홈;
    상기 수용홈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멍에의 상단에 걸리게 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멍에를 와이어에 의해 결속시키기 위한 결속구멍;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의 멍에 지지구.
KR2020180003746U 2018-08-13 2018-08-13 데크플레이트의 멍에 지지구 KR2004917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746U KR200491798Y1 (ko) 2018-08-13 2018-08-13 데크플레이트의 멍에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746U KR200491798Y1 (ko) 2018-08-13 2018-08-13 데크플레이트의 멍에 지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418U KR20200000418U (ko) 2020-02-21
KR200491798Y1 true KR200491798Y1 (ko) 2020-06-05

Family

ID=69638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746U KR200491798Y1 (ko) 2018-08-13 2018-08-13 데크플레이트의 멍에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798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411B1 (ko) 2010-09-07 2011-03-02 (주)지원이엔지 골 데크플레이트용 보 옆판 거푸집 및 그를 사용한 춤이 깊은 골 데크플레이트 플로어 공법을 위한 철근콘크리트보와 바닥판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200478953Y1 (ko) * 2014-10-27 2015-12-04 박시환 데크플레이트용 철근 스페이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133B1 (ko) * 2006-06-22 2008-10-24 양지수 결속구, 선조립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이용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411B1 (ko) 2010-09-07 2011-03-02 (주)지원이엔지 골 데크플레이트용 보 옆판 거푸집 및 그를 사용한 춤이 깊은 골 데크플레이트 플로어 공법을 위한 철근콘크리트보와 바닥판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200478953Y1 (ko) * 2014-10-27 2015-12-04 박시환 데크플레이트용 철근 스페이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418U (ko) 2020-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84266C2 (ru) Адаптер для опор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опалубки
KR101029102B1 (ko) 데크플레이트 연결구조
KR20120028763A (ko) ㄷ자형 부재로 구성된 조립형 강재 보를 이용한 합성보
KR20170125768A (ko) 분리형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시공방법
US20090277123A1 (en) Connector for the connection between a metal element and an element made of concrete
KR200491798Y1 (ko) 데크플레이트의 멍에 지지구
KR101682211B1 (ko) 거푸집패널 조기 회수형 바닥 거푸집패널 지지장치
KR101552226B1 (ko) T형 데크플레이트의 중공폼 설치구조
KR101636746B1 (ko) 거푸집지지대 텐션고정구
KR20120028762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와 데크플레이트의 합성보
KR101414801B1 (ko) 합성거더
KR200472026Y1 (ko) 철근 스페이서
KR101244906B1 (ko) 개선된 구조의 신축이음장치용 앵커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10008084U (ko) 방수턱 거푸집
KR200431375Y1 (ko) 철근 받침대용 설치대
KR101163135B1 (ko) 일부가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내측 거푸집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JP6209306B2 (ja) 鉄筋配設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
KR102257613B1 (ko) 건축용 단열재 고정 장치
KR102471704B1 (ko) 보 거푸집용 측판 받침장치
KR102395444B1 (ko) 스페이서가 선택적으로 결합된 보강바 스트럭쳐 시스템
JP5749624B2 (ja) アンカーの施工方法
KR200306755Y1 (ko) 유로폼 패널 받침대
KR101825489B1 (ko) 철근 고정장치
JPS5830893Y2 (ja) 鉄筋スペ−サ−
JP2008095385A (ja) 溝蓋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