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746B1 - 거푸집지지대 텐션고정구 - Google Patents

거푸집지지대 텐션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746B1
KR101636746B1 KR1020150104795A KR20150104795A KR101636746B1 KR 101636746 B1 KR101636746 B1 KR 101636746B1 KR 1020150104795 A KR1020150104795 A KR 1020150104795A KR 20150104795 A KR20150104795 A KR 20150104795A KR 101636746 B1 KR101636746 B1 KR 101636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tension adjusting
yoke
vertic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4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목
Original Assignee
신영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산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영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4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7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483Supporting 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지지대 텐션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서포트 상부에 마련된 받침대 내측으로 설치되는 멍에를 잡아주는 텐션고정구; 상기 텐션고정구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수직부 내면 중심부를 향해 굴곡지게 형성된 제1텐션조절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수직부 내면 중심부를 향해 굴곡지게 형성된 제2텐션조절부와, 상기 수직부 일측으로 연결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제1텐션조절부 단부로 연결형성되는 가압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텐션조절부 단부 외면은 제1텐션조절부 단부 안쪽으로 위치하여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텐션조절부 단부 내면과 제2텐션조절부 외면으로, 각각의 텐션조절부를 연결하기 위해 마련된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직부, 제1텐션조절부 및 제2텐션조절부 내면, 상기 수직부와 고정부 연결되는 부위, 제1텐션조절부와 가압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된 제1리브, 제2리브, 제3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포트 상부로 설치되는 받침대 양측으로 텐션고정구를 설치하고, 각각의 텐션고정구 사이에 멍에를 설치함으로써, 멍에를 수평 및 중심으로 유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보다 효과적으로 안정되게 거푸집을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텐션고정구의 연결부위 및 내면으로, 연결부와 각각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강한 탄성력으로 인한 텐션효과를 제공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멍에를 센터로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각각의 연결부위가 꺾여,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거푸집지지대 텐션고정구{Tension fixing tool for mold support}
본 발명은 거푸집지지대 텐션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건물을 구축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슬라브의 저면에 설치하는 시스템 동바리에 적용하여 지면과 수평을 유지하면서 멍에(각 파이프 등)를 수평 또는 정확한 센터에 유지시켜줌으로써, 시스템 동바리의 시공시에, 밸런스 유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안정되게 거푸집을 지지할 수 있는 거푸집지지대 텐션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슬라브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수의 서포트로 지지되는 거푸집을 설치하여 그 상부에 슬라브용 철근을 조립하고, 상기 거푸집의 상부에 콘트리트를 타설하여 슬라브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브의 형성을 위해서는 거푸집 및 그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견디도록 다수의 서포트가 설치되며, 상기 서포트는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되거나 양단이 지면 및 거푸집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확대되는 면적을 갖도록 되고, 서로 다른 서포트를 상호 연결하거나 서포트에 연결대를 연결하도록 할 때 별도의 소켓이 구비되고, 상기와 같은 서포트의 상측에는 거푸집의 연결을 위하여 상부에 작업자가 올라가서 작업할 수 있도록 멍에(각 파이프 등)가 지지되는 받침대가 구비되어, 콘크리트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받침대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상부 내측으로 수직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간격조절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간격조절부재 상부에는 지지브라켓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브라켓에 내측으로 멍에가 설치되어, 거푸집을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멍에를 지지브라켓 내측으로 고정설치하는데 있어서,
보통, 상기 멍에를 지지브라켓 내측으로 설치하게 되면, 멍에의 폭과 지지브라케의 내측 폭의 차이 때문에, 멍에가 폭방향으로 유동하여, 작업자가 거푸집 작업시, 안전사고 발생하는 문제점 및 거푸집에 편심하중이 발생하여 효과적으로 거푸집을 지지하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었다.
등록실용 20-0345059 "슬래브 거푸집용 멍에 지지구"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종래의 멍에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 양측으로 텐션고정구를 각각 설치하여, 멍에를 수평 및 중심으로 유지함으로써, 작업자가 보다 안전하게 밟고 작업할 수 있음은 물론, 거푸집을 보다 효과적으로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거푸집지지대 텐션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포트 상부에 마련된 받침대 내측으로 설치되는 멍에를 잡아주는 텐션고정구; 상기 텐션고정구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수직부 내면 중심부를 향해 굴곡지게 형성된 제1텐션조절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수직부 내면 중심부를 향해 굴곡지게 형성된 제2텐션조절부와, 상기 수직부 일측으로 연결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제1텐션조절부 단부로 연결형성되는 가압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텐션조절부 단부 외면은 제1텐션조절부 단부 안쪽으로 위치하여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텐션조절부 단부 내면과 제2텐션조절부 외면으로, 각각의 텐션조절부를 연결하기 위해 마련된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직부, 제1텐션조절부 및 제2텐션조절부 내면, 상기 수직부와 고정부 연결되는 부위, 제1텐션조절부와 가압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된 제1리브, 제2리브, 제3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포트 상부로 설치되는 받침대 양측으로 텐션고정구를 설치하고, 각각의 텐션고정구 사이에 멍에를 설치함으로써, 멍에를 수평 및 중심으로 유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보다 효과적으로 안정되게 거푸집을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텐션고정구의 연결부위 및 내면으로, 연결부와 각각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강한 탄성력으로 인한 텐션효과를 제공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멍에를 센터로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각각의 연결부위가 꺾여,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고정구 1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고정구가 받침대 양측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고정구 1이 받침대 양측에 설치되는 과정 1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고정구 1이 받침대 양측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고정구 1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작용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고정구 2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고정구 2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고정구 2를 받침대 양측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서포트(1) 상부에 마련된 받침대(2) 내측으로 설치되는 멍에(3)를 잡아주는 텐션고정구(10); 상기 텐션고정구(10)는 수직부(11)와, 상기 수직부(11)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수직부 내면 중심부를 향해 굴곡지게 형성된 제1텐션조절부(12)와, 상기 수직부(11)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수직부 내면 중심부를 향해 굴곡지게 형성된 제2텐션조절부(13)와, 상기 수직부(11) 일측으로 연결형성되는 고정부(14)와, 상기 제1텐션조절부(12) 단부로 연결형성되는 가압부(15)로 구성되고, 상기 제2텐션조절부(13) 단부 외면은 제1텐션조절부(12) 단부 안쪽으로 위치하여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텐션조절부(12) 단부 내면과 제2텐션조절부(13) 외면으로, 각각의 텐션조절부(12)(13)를 연결하기 위해 마련된 연결부(17)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직부(11), 제1텐션조절부(12) 및 제2텐션조절부(13) 내면, 상기 수직부(11)와 고정부(14) 연결되는 부위, 제1텐션조절부(12)와 가압부(15)가 연결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된 제1리브(21), 제2리브(22), 제3리브(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그럼,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텐션고정구(10)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 또는 도 5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텐션고정구(10)는 재질은 플라스틱이며, 받침대(2) 내면에 밀착되는 수직부(11)와, 상기 수직부(11)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수직부 내면 중심부를 향해 굴곡지게 형성되는 제1텐션조절부(12)와, 상기 수직부(11) 상단에서 연장되어, 수직부 내면 중심부를 향해 굴곡지게 형성된 제2텐션조절부(13); 상기 제2텐션조절부(13) 단부는 제1텐션조절부(12) 단부 안쪽으로 위치하되,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텐션조절부(12)를 제2텐션조절부(13) 자체가 지닌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수직부(11) 일측으로 고정부(14)가 형성되되, 받침대(2)의 양측이 삽입될 수 있게 삽입공간부가 형성되게 "ㄱ" 형태로 연결형성되며, 상기 제1텐션조절부(12) 단부를 기준으로 상하부로 직교되는 형태로 연결형성되는 가압부(15)를 더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15)는 멍에(3)에 양측면에 밀착하는 밀착부와, 상부로 멍에(3)가 보다 용이하게 각각의 텐션고정구(10) 사이에 안내되어 고정되기 위해 바깥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밀착부에는, 외력에 의한 멍에(3)의 움직임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다수개의 가압돌기(15-1)가 수직으로 배열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텐션조절부(12)와 제2텐션조절부(13)를 굴곡지게 형성함으로 텐션공간부(16)가 마련되는데,
상기 텐션공간부(16)는 멍에(3)의 움직임에 대해, 상호 대응하게 각각의 텐션조절부(12)(13)가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호 대응작용함으로써, 멍에(3)의 움직임, 즉, 양측으로 이동을 방지하여, 수평 및 중심으로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제1텐션조절부(12) 단부 내면과 제2텐션조절부(13) 외면을 연결하는 형태로 연결부(17)가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부(17)는 가압부(15)로부터 가압받는 힘에 대해, 제1텐션조절부(12)와 제2텐션조절부(13)의 각각 지니고 있는 탄성력을 동시에 발생시켜 상호 작용함으로, 가압부(15)를 지지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멍에(3)를 고정지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한편, 수직부(11), 제1텐션조절부(12) 및 제2텐션조절부(13) 내면 중앙으로 제1리브(21)를 형성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멍에(3)가 양측으로 이동할 경우에, 각각의 텐션조절부(12)(13)에 강한 탄성력을 제공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센터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한편, 수직부(11)와 고정부(14)가 연결되는 상부 부분에 제2리브(22)를 형성하고, 제1텐션조절부(12)와 가압부(15)가 연결되는 상하 부분에 제3리브(23)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멍에(3)의 지속적인 가압으로 인해, 각각의 연결부위가 꺾여, 부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럼,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거푸집지지대 텐션고정구의 설치과정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 예로,
서포트(1) 상부에 설치된 받침대(2) 양측 상부로 각각의 텐션고정구(10)를 위치한 다음, 각각의 텐션고정구(10)를 상호 대칭하게 끼워 설치한 상태에서, 멍에(3)를 상부에서 가압하게 되면,
상기 멍에(3)가 각각의 가압부(15) 상부에 형성된 안내부에 안내된 다음, 상기 가압부(15) 일측면에 형성된 가압돌기(15-1)와 상호 밀착작용하여 받침부 중앙에 위치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과 동시에,
각각의 가압부(15)가 텐션공간부(16) 방향으로 밀리는 작용과 함께, 제1텐션조절부(12)가 밀린 다음 복원작용되는 동시에, 상기 제2텐션조절부(13)의 단부가 텐션공간부(16)로 밀린 다음 복원되며, 이때에, 1차적으로 제1텐션조절부(12)의 탄성력과 멍에(3)의 양측면에 상호 작용하여 텐션을 부여하며, 2차적으로 제1텐션조절부(12)의 탄성력 및 상기 제1텐션조절부(12)와 상호 작용하는 제2텐션조절부(13) 탄성력이 멍에(3)의 양측면에 상호 작용하여 텐션을 부여함으로써, 2중으로 멍에(3)를 수평 및 중심을 잡아줄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멍에(3)를 지지함으로,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한, 거푸집이 편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 2 실시 예로,
수직부(11), 제1텐션조절부(12) 및 제2텐션조절부(13) 내면 중앙으로 제1리브(21)를 형성하고, 수직부(11)와 고정부(14)가 연결되는 상부 부분에 제2리브(22)를 형성하고, 제1텐션조절부(12)와 가압부(15)가 연결되는 상하 부분에 제3리브(23)가 각각 형성된 텐션고정구(10)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트(1) 상부에 설치된 받침대(2) 양측 상부로 각각의 텐션고정구(10)를 위치한 다음, 각각의 텐션고정구(10)를 상호 대칭하게 끼워 설치한 상태에서, 멍에(3)를 상부에서 가압하게 되면,
상기 멍에(3)가 각각의 가압부(15) 상부에 형성된 안내부에 안내된 다음, 상기 가압부(15) 일측면에 형성된 가압돌기(15-1)와 상호 밀착작용하여 받침부 중앙에 위치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과 동시에,
각각의 가압부(15)가 텐션공간부(16)로 밀리는 작용과 함께, 연결부(17)에 의해 연결된 각각의 텐션조절부(12)(13)가 받침부 양측방향으로 밀린 다음, 복원되되, 제1리브(21)가 작용하여 보다 강한 힘으로 멍에(3) 양측을 지지하게 되는 동시에, 제3리브(23)에 의해, 가압부(15)가 꺾임 없이 멍에(3) 양측으로 밀착하여 텐션을 제공함은 물론, 제2리브(22)에 의해, 제2텐션조절부(13)가 꺾이지 않게 지지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멍에(3)를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서포트
2: 받침대
3: 멍에
10: 텐션고정구
11: 수직부
12: 제1텐션조절부
13: 제2텐션조절부
14: 고정부
15: 가압부
15-1: 가압돌기
16: 텐션공간부
17: 연결부

Claims (7)

  1. 서포트(1) 상부에 마련된 받침대(2) 내측으로 설치되는 멍에(3)를 잡아주는 텐션고정구(10);
    상기 텐션고정구(10)는 수직부(11)와, 상기 수직부(11)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수직부 내면 중심부를 향해 굴곡지게 형성된 제1텐션조절부(12)와, 상기 수직부(11)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수직부 내면 중심부를 향해 굴곡지게 형성된 제2텐션조절부(13)와, 상기 수직부(11) 일측으로 연결형성되는 고정부(14)와, 상기 제1텐션조절부(12) 단부로 연결형성되는 가압부(15)로 구성되고,
    상기 제2텐션조절부(13) 단부 외면은 제1텐션조절부(12) 단부 안쪽으로 위치하여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텐션조절부(12) 단부 내면과 제2텐션조절부(13) 외면으로, 각각의 텐션조절부(12)(13)를 연결하기 위해 마련된 연결부(17)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직부(11), 제1텐션조절부(12) 및 제2텐션조절부(13) 내면, 상기 수직부(11)와 고정부(14) 연결되는 부위, 제1텐션조절부(12)와 가압부(15)가 연결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된 제1리브(21), 제2리브(22), 제3리브(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지지대 텐션고정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50104795A 2015-07-24 2015-07-24 거푸집지지대 텐션고정구 KR101636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795A KR101636746B1 (ko) 2015-07-24 2015-07-24 거푸집지지대 텐션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795A KR101636746B1 (ko) 2015-07-24 2015-07-24 거푸집지지대 텐션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6746B1 true KR101636746B1 (ko) 2016-07-07

Family

ID=56500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4795A KR101636746B1 (ko) 2015-07-24 2015-07-24 거푸집지지대 텐션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7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0906A (ko) * 2017-03-30 2018-10-11 노용규 멍에 고정용 탄성 클립
KR20230108945A (ko) * 2022-01-12 2023-07-19 김명수 동바리용 엔형유격제
KR20240022135A (ko) 2022-08-11 2024-02-20 (주)팔미스메탈 비계 겸용 건축용 서포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059Y1 (ko) 2003-12-22 2004-03-18 김상영 슬래브 거푸집용 멍에 지지구
KR101172650B1 (ko) * 2012-02-20 2012-08-08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편심하중 방지용 유해드잭
KR20140057034A (ko) * 2012-11-02 2014-05-12 도원태 시스템동바리용 밸런스유지장치
KR20140141194A (ko) * 2013-05-31 2014-12-10 노용규 시스템 동바리용 멍에 지지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059Y1 (ko) 2003-12-22 2004-03-18 김상영 슬래브 거푸집용 멍에 지지구
KR101172650B1 (ko) * 2012-02-20 2012-08-08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편심하중 방지용 유해드잭
KR20140057034A (ko) * 2012-11-02 2014-05-12 도원태 시스템동바리용 밸런스유지장치
KR20140141194A (ko) * 2013-05-31 2014-12-10 노용규 시스템 동바리용 멍에 지지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0906A (ko) * 2017-03-30 2018-10-11 노용규 멍에 고정용 탄성 클립
KR101976352B1 (ko) * 2017-03-30 2019-05-08 노용규 멍에 고정용 탄성 클립
KR20230108945A (ko) * 2022-01-12 2023-07-19 김명수 동바리용 엔형유격제
KR102618685B1 (ko) * 2022-01-12 2023-12-27 김명수 동바리용 엔형유격제
KR20240022135A (ko) 2022-08-11 2024-02-20 (주)팔미스메탈 비계 겸용 건축용 서포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6746B1 (ko) 거푸집지지대 텐션고정구
KR101572826B1 (ko) 장선 유격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 보드 조립체
WO2009035226A2 (en) Method and system for holding yoke on support
KR101618703B1 (ko) 건축용 바닥슬래브 거푸집패널
JP3215818U (ja) 改良幅木
KR20210100062A (ko) 시스템 서포트용 유 헤드 잭
KR101093573B1 (ko) 유지 보수형 스페리컬 교좌장치
KR102083191B1 (ko)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2039439B1 (ko) 잭베이스 서포터
JP5663072B1 (ja) パイプサポートスタンド
JP2007009579A (ja) スペーサ
KR101717737B1 (ko) 갱폼용 줄눈틀
KR20090028398A (ko) 서포트의 멍에 지지방법 및 지지시스템
KR200216939Y1 (ko) 콘크리트의 높이 확인용 레벨캡과 이를 구비한 철근 받침대
KR101568411B1 (ko) 거푸집 고정장치
KR20110008084U (ko) 방수턱 거푸집
KR101484083B1 (ko) 착탈형 와이어 패널을 구비한 앵글 선반
KR102137171B1 (ko) 보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사이드타이
CN106013597A (zh) 钢结构支撑梁
KR101863307B1 (ko) 우드데크로드
JP6156192B2 (ja) キャップセット及び柵設備
KR101788650B1 (ko) 이중 안전 고정 서포트
KR101825489B1 (ko) 철근 고정장치
KR101212907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딥데크용 전기 배선 박스
KR10248292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