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5768A - 분리형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분리형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5768A
KR20170125768A KR1020170138115A KR20170138115A KR20170125768A KR 20170125768 A KR20170125768 A KR 20170125768A KR 1020170138115 A KR1020170138115 A KR 1020170138115A KR 20170138115 A KR20170138115 A KR 20170138115A KR 20170125768 A KR20170125768 A KR 20170125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upper flange
flange
detachabl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8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5385B1 (ko
Inventor
이성원
Original Assignee
이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원 filed Critical 이성원
Priority to KR1020170138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385B1/ko
Publication of KR20170125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5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01D21/10Cantilevered e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교량용데크를 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교량용거더 측방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되, 교량용거더로부터 간단하게 분리가 가능한 분리형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분리형 고정브라켓은 교량용거더의 상부플랜지 측방 저면에 전방부 상면이 접하며, 교량용거더의 상부플랜지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 종방향 플랜지연결판 저면에도 후방부 상면이 접하도록 형성된 횡방향 상부플랜지를 포함하는 빔부재로서, 상기 횡방향 상부플랜지의 전방부와 횡방향 상부플랜지의 후방부 및 종방향 플랜지연결판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볼트홀에 삽입되는 분리 가능한 고정구에 의하여 임시로 고정 설치된 이후에, 상기 분리 가능한 고정구를 풀어 교량용거더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 분리형 고정브라켓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분리형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시공방법{SEPARABLE FIXING SUPPORT BRACKET AND CANTILEVER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본 발명은 분리형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교량용데크를 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교량용거더 측방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되, 교량용거더로부터 간단하게 분리가 가능한 분리형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 강재 영구받침대(20)를 이용한 스틸박스 교량 슬래브의 캔틸레버부의 시공도이다.
즉, 스틸박스 거더(10) 상부에 형성되는 교량 슬래브의 양측 단부인 캔틸레버부에 있어서, 최외측에 설치되는 스틸박스 거더의 측면에 일측단이 결합되어 스틸박스 거더의 측면으로 돌출되고 스틸박스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강재 영구받침대(20); 상기 강재 영구받침대들의 타측단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다수의 강재 영구받침대들을 스틸박스 거더의 길이방향으로 연결해주는 장선재(30); 상기 강재 영구받침대의 타측 끝단에 결합되고 강재 영구받침대의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캔틸레버부 시공시 작업자가 이동하거나 피해있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작업통로(40); 상기 강재 영구받침대들 및 장선재 상에 놓여지도록 설치되어 캔틸레버부의 콘크리트의 타설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강재 영구받침대들 및 장선재 상에 놓여져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평바닥판과, 상기 수평바닥판의 일측단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슬래브 콘크리트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수직바닥판과, 상기 수평바닥판과 수직바닥판의 내부에 매립되어 그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직교하도록 배근되는 다수의 주근 및 배력철근과, 상기 주근의 사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된 채로 일부가 매립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수평바닥판의 상면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트러스 골조로 구성된 프리캐스트 바닥판(50);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강재 영구받침대(20)는 고정수단(26)에 의하여 스틸박스 거더(10) 측면 즉 상부플랜지(12) 일측단 저면에 영구 고정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도 1a에 의한 강재 영구받침대(20)는 그 명칭과 같이 영구적으로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강재 영구받침대(20)를 분리하지 않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도 1b는 종래 교량용 캔틸레버부의 교량용데크(62)의 시공예시도이다.
즉, 교량용거더(61)는 강재박스 거더로서 외측가로보(67)에 의하여 교량용데크(62)가 얹어져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외측가로보(67)는 변단면 I형 강재빔을 이용하게 되며 강재박스 거더 측면에 미리 형성시킨 연결판에 덧댐판을 이용하여 연결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교량용데크(62)는 강재박스 거더 측면에 형성된 스터드볼트(61a), 외측가로보 볼트연결부(D)에서 교량용데크(62)의 접촉 때문에 모따기를 해야 하고, 강재박스 거더 상면의 두께는 교량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고, 교량용데크(62)의 모따기도 그에 맞게 크기를 달리해야 하기 때문에, 교량용데크 모따기 시공성 및 작업성이 매우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교량용데크(62)는 외측가로보(67)의 단부에 종방향으로 연장된 종방향빔(68)에 의하여 동바리에 지지된 단부거푸집(69)에 타설된 슬래브콘크리트(C)에 의하여 L형 단면 패널형태로 현장 시공되는데, 이런 경우 고공에서 동바리에 지지된 단부거푸집(69)을 설치해야 하므로 역시 시공성과 작업성이 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종방향빔(68)의 종방향 구배에 의하여 교량용데크(62)의 들뜸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슬래브콘크리트 누출 등을 방지하기 위한 막음조치가 필요 하는 등 작업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제 10-1699888호(발명의 명칭: 교량 캔틸레버부 및 그 시공방법, 공개일자: 2017년01월26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107308호(발명의 명칭: 강재 영구받침대를 이용한 스틸박스 교량 슬래브의 캔틸레버부 및 그 시공방법: 2017년09월25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107308호(발명의 명칭: 캔틸레버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시공방법, 공개일자: 2017년09월25일)
이에 본 발명은, 고정브라켓을 교량용거더와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분리형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교량용거더에 교량용데크를 고정 설치함에 있어서 교량용데크를 거더 상면에 걸쳐 설치되지 않도록 하여 교량용거더와 교량용데크의 모서리 간섭문제등을 해결할 수 있으며, 교량용데크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되, 교량슬래브 시공 이후에도 교량의 캔틸레버부 지지가 가능한 분리형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분리형 고정브라켓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량용거더의 상부플랜지 측방 저면에 전방부 상면이 접하며, 교량용거더의 상부플랜지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 종방향 플랜지연결판 저면에도 후방부 상면이 접하도록 형성된 횡방향 상부플랜지를 포함하는 빔부재로서, 상기 횡방향 상부플랜지의 전방부와 횡방향 상부플랜지의 후방부 및 종방향 플랜지연결판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볼트홀에 삽입되는 분리 가능한 고정구에 의하여 임시로 고정 설치된 이후에, 상기 분리 가능한 고정구를 풀어 교량용거더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 분리형 고정브라켓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분리형 고정브라켓을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횡방향 상부플랜지의 전방부와 교량용거더의 상부플랜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볼트홀에 분리 가능한 고정구를 이용하여 교량용거더에 상기 분리형 고정브라켓을 설치하는 단계; (b) 교량용거더의 상부플랜지에는 걸쳐지지 않고, 인접한 분리형 고정브라켓과 함께 종방향 플랜지연결판과 횡방향 상부플랜지의 후방부에만 얹어져 교량용데크가 3변 지지되도록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교량용데크의 상부에 슬래브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교량슬래브를 시공하는 단계; 및 (d) 상기 교량슬래브 시공 이후, 분리 가능한 고정구를 풀어 교량용거더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분리형 고정브라켓을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시공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고정브라켓을 교량용거더 상부플랜지 단부 저면에 분리 가능한 고정구로 고정 설치한 후, 교량 슬래브 시공이 완성되면 최종 분리형 고정브라켓을 제거한 후 재사용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분리형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시공방법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예컨대, L형 패널 형태로 교량용데크를 이용하여 고공작업이 필요한 동바리, 단부거푸집 설치가 필요 없으며 교량용거더에 영구 잔존하는 종방향 플랜지연결판에 의하여 보다 안정적인 교량 캔틸레버부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분리형 고정브라켓을 구비한 캔틸레버교량은 교량용데크를 거더 상면에 걸쳐지도록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분리형 고정브라켓 상면에 3변 지지되도록 설치하기 때문에 보아 안정적이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도 1a는 종래 강재 영구받침대를 이용한 스틸박스 교량 슬래브의 캔틸레버부의 시공도,
도 1b는 종래 교량용 캔틸레버부의 교량용데크 시공예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분리형 고정브라켓의 구성사시도 및 캔틸레버교량과의 시공도,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분리형 고정브라켓을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시공방법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 분리형 고정브라켓(100)]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분리형 고정브라켓(100)의 구성사시도 및 캔틸레버교량과의 시공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리형 고정브라켓(100)에서, 분리형의 의미는 교량슬래브 시공 이후에 고정브라켓이 교량용거더(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고정 설치된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분리형 고정브라켓(100)은 횡방향 상부플랜지(110), 브라켓복부(120), 브라켓하부플랜지(130), 단부마감판(140) 및 종방향 플랜지연결판(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횡방향 상부플랜지(110)는 도 2a와 같이,
교량용거더(200)의 상부플랜지(210) 저면과 교량용거더(200)의 상부플랜지 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일체로 연장된 수평판인 종방향 플랜지연결판(150) 저면에 각각 상면이 접하도록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편의를 위하여 상기 종방향 플랜지연결판(150)이 위치하는 부위를 기준으로 횡방향 상부플랜지(110)는 전방부 및 후방부로 구분하기로 한다.
이에 횡방향 상부플랜지(110)는 전방부에 형성된 볼트홀(113a)과 종방향 플랜지연결판(150)의 저면과 횡방향 상부플랜지(110)의 후방부를 관통하는 볼트홀(113b)에 분리가능한 고정구(600)에 의하여 교량용 거더(200)로부터 분리형 고정브라켓(100)이 분리 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분리가능한 고정구(600)는 연결볼트 등을 사용하면 된다.
다음으로 상기 브라켓복부(120)는 도 2a와 같이, 횡방향 상부플랜지(110) 저면 중앙부에 교량용거더(200)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 수직판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브라켓복부(120)는 분리형 고정브라켓(100)에 발생하는 휨 모멘트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단면높이가 교량용거더(200)로부터 횡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작아지는 변단면(테이퍼링 형태)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자재 절감 등의 이유로 바람직하지만 동일한 단면높이로 형성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브라켓하부플랜지(130)는 도 2a와 같이, 브라켓복부(120) 저면을 따라 수평판 형태로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단부마감판(140)은 도 2a와 같이, 횡방향 상부플랜지(110), 브라켓복부(120)와 브라켓하부플랜지(130)의 타단(도 2a의 경우 오른쪽)에 일체로 형성된 단부마감경사판(14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우수 등이 분리형 고정브라켓(100)의 상면을 경유하여 교량용거더(210) 측방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횡방향 상부플랜지(110), 브라켓복부(120)와 브라켓하부플랜지(130)의 일단(도 2a의 경우 왼쪽)에 일체로 형성된 단부수직마감판(142)도 일체로 형성되어 교량용거더(200)의 복부(220) 측면에 합판등의 이격재에 의하여 접하도록 하여 분리형 고정브라켓(100)이 교량용거더(200) 측방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게 된다.
이로서 본 발명의 분리형 고정브라켓(100)은 횡방향 상부플랜지(110)가 브라켓하부플랜지(130)보다 더 확폭된 I형 단면의 빔부재로서 형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종방향 플랜지연결판(150)은 횡방향 상부플랜지(110), 브라켓복부(120), 브라켓하부플랜지(130), 단부마감판(140)에 의한 분리형 고정브라켓(100)을 교량용거더(200)에 고정 설치하기 위하여 형성된 수평판 형태로 형성된다.
즉, 교량용거더(200)의 상부플랜지(210)에 분리형 고정브라켓(100)이 설치되는 위치를 고려하여 미리 일체로 형성시킨 것이다.
이때 상기 종방향 플랜지연결판(150)의 일측면(도 2a의 경우 좌측면)은 교량용거더(200)의 상부플랜지 측면에 접하도록 세팅되는데 종방향 플랜지연결판(150)의 저면과 교량용거더(200)의 상부플랜지 저면은 서로 동일한 저면으로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즉, 상기 종방향 플랜지연결판(150)의 저면은 교량용거더의 상부플랜지 저면과 동일수평면으로 일치하도록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도 2a의 경우에는 교량용거더의 상부플랜지의 두께와 종방향 플랜지연결판(150)의 두께에 차이가 없지만 상기 상부플랜지의 두께가 더 두꺼워지는 경우등에 있어서도 동일한 종방향 플랜지연결판(150)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로서 교량용거더(200)의 상부플랜지(210) 저면에도 분리가능한 고정구(600)에 의하여 분리형 고정브라켓(100)이 고정 설치되지만,
나아가 교량용거더(200)의 상부플랜지(210)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돌출된 종방향 플랜지연결판(150) 저면에도 분리형 고정브라켓(100)이 분리가능한 고정구(600)에 의하여 고정 설치되도록 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분리가능한 고정구(600) 고정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종방향 플랜지연결판(150)은 교량용거더(200)에 미리 일체로 형성된 것이므로 횡방향 상부플랜지(110), 브라켓복부(120), 브라켓하부플랜지(130), 단부마감판(140)에 의한 분리형 고정브라켓(100)이 교량용거더(200)로부터 분리되어도 교량의 캔틸레버부를 지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이러한 종방향 플랜지연결판(150)은 교량용거더(200)의 상부플랜지에 종방향으로 다수를 서로 이격시켜 설치하되 이는 교량용데크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정하면 된다.
이로서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고정브라켓(100)은 도 2b와 같이,
횡방향 상부플랜지(110)의 전방부는 교량용거더(200)의 상부플랜지(210) 저면에 상면이 접하여 분리형 고정브라켓(100)이 교량용거더(200) 측방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종방향 플랜지연결판(150)과 횡방향 상부플랜지(110)의 후방부는 교량용데크(300)를 3변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로서 상기 교량용데크(300)는 교량용거더(300)의 상부플랜지 상면에 걸쳐지지 않게 되며 분리형 고정브라켓(100)에만 걸쳐지도록 설치됨을 알 수 있다.
즉, 교량용데크(300)는 서로 인접한 분리형 고정브라켓(100)의 종방향 플랜지연결판(150)과 횡방향 상부플랜지(110)의 일부에만 3변지지 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인 교량용데크(300)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교량용데크(300)는 교량용거더(200) 상부플랜지(210) 상면에는 얹어지지 않고, 종방향 플랜지연결판(150) 상면에 저면이 접하고, 횡방향 상부플랜지(110)의 후방부 상면과는 합판등과 같은 이격재로 틈새공간을 메워 결국 3변지지 되도록 하고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분리형 고정브라켓(100)은 추후 분리되어야 하기 때문에 지지가 가능하면서도 실제 접하는 면적을 최소화한 것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종방향 플랜지연결판이 횡방향 상부플랜지 상면에 위치되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때 교량용데크(300) 종방향 연결은 서로 단차져 연결되도록 하거나, 종방향 측면에 블럭아웃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종방향으로 서로 연결구를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종방향 플랜지연결판(150)의 상면에는 고리연결부(111c)가 수직판 형태로 형성되어 갈고리등이 걸려져 교량용거더의 상면에서 갈고리가 지지되어 분리형 고정브라켓(100)의 초기 세팅 시 구속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고리연결부(111c)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교량용데크(300)가 설치되는 위치를 교량용데크의 양 측방에서 접하면서 구속하는 역할도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a 및 도 2b와 같이 교량용거더(200)는 상부플랜지(210), 복부(220) 및 하부플랜지(230)를 포함하는 강박스거더로 도시되어 있지만 달리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2a 및 도 2b와 같이 교량용데크(300)는 교량용으로 캔틸레버부에 사용되는 L형 데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철근등이 일체로 또는 별도로 배근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2a 및 도 2b와 같이 분리가능한 고정구(600)는 교량용거더의 상부플랜지(210)에 형성된 볼트홀(113a)과 종방향 플랜지연결판(150)에 형성된 볼트홀(113b)은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연결볼트로서 분리하여 고정브라켓(100)을 교량용거더(100)에 고정 설치 후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 분리형 고정브라켓(100)을 이용한 캔틸레버교량 시공방법]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분리형 고정브라켓(100)을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시공방법 순서도이다.
이러한 캔틸레버교량 시공방법은 교량용거더(200)가 시공되면 본 발명의 분리형 고정브라켓(100)을 교량용거더(200) 측방에 고정 설치하고, 분리형 고정브라켓(100) 상면에 설치된 교량용데크(300) 상부에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교량용데크(300)와 슬래브콘크리트가 서로 합성되어 교량슬래브가 시공될 수 있도록 한 이후에, 교량슬래브를 시공한 후에 종방향 플랜지연결판(150)을 남겨둔 채로 분리형 고정브라켓(100)을 분리하는 시공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도 3a와 같이, 먼저 교대, 교각과 같은 교량하부구조(400)를 시공하고, 상기 교량하부구조(400)에는 강박스거더와 같은 교량용거더(200)가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거치되고 있으며 횡방향으로도 1개 이상이 설치된다.
이러한 교량용거더(200)의 상면에는 일정한 두께를 가진 교량슬래브(500)가 콘크리트 타설에 의하여 시공되도록 하게 되는데 교량용데크(300)를 먼저 교량용거더(200) 상면에 설치하되, 교량용거더(200)의 양 측방으로는 교량용데크(300)가 분리형 고정브라켓(100) 상면에 얹어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분리형 고정브라켓(100)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횡방향 상부플랜지(110), 브라켓복부(120), 브라켓하부플랜지(130), 단부마감판(140)을 포함하는 빔부재로서, 교량용거더의 상부플랜지(210)와 종방향 플랜지연결판(150)에 각각 임시로 고정 설치되도록 제작된 것으로서 단부마감판(140)의 단부수직마감판(142)이 이격재에 의하여 교량용거더의 복부 측면에 고정 또는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하고,
횡방향 상부플랜지의 전방부는 교량용거더의 상부플랜지 저면에 접하도록 하고,
종방향 플랜지연결판(150)은 교량용거더의 상부플랜지 측면에 저면이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분리가능한 고정구(600)에 의하여 교량용데크(300)가 종방향 플랜지연결판(150)에 임시로 고정 설치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교량용거더(200)의 상부플랜지 측방 상면에는 스터드가 형성되어 있으며, 분리형 고정브라켓(100)용 연결철근(도 2a 참조)이 형성될 수 있고, 교량용거더(200) 거치 이전에 분리형 고정브라켓(100)을 고정 설치한 후, 교량용거더(200)와 함께 분리형 고정브라켓(100)을 설치하여도 상관은 없다.
다음으로는 도 3b와 같이, 교량용데크(300)를 분리형 고정브라켓(100) 상면에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교량용데크(300)는 콘크리트 데크를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교량용거더(200)의 측방으로 분리형 고정브라켓(100) 상면에 얹어지도록 설치하여 캔틸레버 형태로 도 2b와 같이, 3변 지지되도록 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교량용데크(300)는 종방향으로도 서로 연결되도록 하고, 교량용거더의 상부에서도 역시 교량용데크(300)가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 설치될 것이다.
이때, 교량용거더(200)의 상면에 형성된 스터드등에 일단이 묶어지고, 타단의 고리가 분리형 고정브라켓(100)은 종방향 플랜지연결판(150) 상면에 형성된 고리연결부(111c)에 걸려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시공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교량용데크(300) 상부에는 슬래브콘크리트(C)가 일정한 두께로 타설되어 양생되면 교량슬래브(500)가 시공 완성된다.
다음으로는 도 3c와 같이, 교량슬래브(500)가 완성되면 분리형 고정브라켓(100)을 교량용거더(200)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이러한 분리는 횡방향 상부플랜지(110)는 전방부에 형성된 볼트홀(113a)과 종방향 플랜지연결판(150)의 저면과 횡방향 상부플랜지(110)를 관통하는 볼트홀(113b)에 체결된 분리가능한 고정구(600)를 풀어 간단하게 교량용 거더(200)로부터 분리형 고정브라켓(100)이 분리되도록 하면 된다.
이에 교량슬래브(500) 시공 이후에도 종방향 플랜지연결판(150)은 잔존하게 되므로 교량용거더에 형성되어 있어 교량용데크를 영구지지하게 되어 보다 안정적인 시공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분리형 고정브라켓 110: 횡방향 상부플랜지
111c: 고리연결부 113a,113b: 볼트홀
120: 브라켓복부 130: 브라켓하부플랜지
140: 단부마감판 141: 단부마감경사판
142: 단부마감판 150: 종방향 플랜지연결판
200: 교량용거더
210: 상부플랜지 220: 복부
300: 콘크리트 데크 400: 교량하부구조
500: 교량슬래브 600: 분리가능한 고정구

Claims (10)

  1. 교량용거더(200)의 상부플랜지(210) 측방 저면에 전방부 상면이 접하며, 교량용거더(200)의 상부플랜지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 종방향 플랜지연결판(150) 저면에도 후방부 상면이 접하도록 형성된 횡방향 상부플랜지(110)를 포함하는 빔부재로서,
    상기 횡방향 상부플랜지(110)의 전방부와 횡방향 상부플랜지(110)의 후방부 및 종방향 플랜지연결판(15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볼트홀(113a,113b)에 삽입되는 분리 가능한 고정구(600)에 의하여 임시로 고정 설치된 이후에, 상기 분리 가능한 고정구(600)를 풀어 교량용거더(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 분리형 고정브라켓.
  2. 제 1항에 있어서,
    교량용데크(300)가 상기 교량용거더(200)의 상부플랜지에는 걸쳐지지 않고, 인접한 분리형 고정브라켓과 함께 종방향 플랜지연결판(150)과 횡방향 상부플랜지(110)에만 얹어지도록 설치되어 3변 지지되도록 하는 분리형 고정브라켓.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빔부재는 횡방향 상부플랜지(110) 저면 중앙부에 수직판 형태로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라켓복부(120); 상기 브라켓복부 저면에 수평판 형태로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라켓하부플랜지(130); 및 상기 횡방향 상부플랜지(110), 브라켓복부(120)와 브라켓하부플랜지(130)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교량용거더(200)의 복부(220)에 이격재에 의하여 접하도록 하여 분리형 고정브라켓(100)이 교량용거더(200) 측방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설치된 단부수직마감판(142)을 포함하는 단부마감판(140);을 더 포함하는 분리형 고정브라켓.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플랜지연결판(150)의 상면에는 고리연결부(111c)가 수직판 형태로 더 형성되어 교량용데크(300)가 설치되는 위치를 교량용데크의 양 측방에서 접하면서 구속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며, 상기 종방향 플랜지연결판(150)의 저면은 교량용거더의 상부플랜지 저면과 동일수평면으로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분리형 고정브라켓.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홀에 삽입되는 분리 가능한 고정구(600)는
    횡방향 상부플랜지(110)의 전방부에 형성된 볼트홀(113a)과 종방향 플랜지연결판(150)의 저면과 횡방향 상부플랜지(110)를 관통하는 볼트홀(113b)에 체결되는 연결볼트를 포함하여, 상기 분리가능한 고정구(600)에 의하여 교량용 거더(200)로부터 분리형 고정브라켓(100)이 분리 될 수 있도록 하는 분리형 고정브라켓.
  6. (a) 횡방향 상부플랜지(110)의 전방부와 교량용거더의 상부플랜지(2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볼트홀(113a,113b)에 분리 가능한 고정구(600)를 이용하여 교량용거더(200)에 제 1항의 분리형 고정브라켓(100)을 설치하는 단계;
    (b) 교량용거더(200)의 상부플랜지(210)에는 걸쳐지지 않고, 인접한 분리형 고정브라켓과 함께 종방향 플랜지연결판(150)과 횡방향 상부플랜지(110)의 후방부에만 얹어져 교량용데크(300)가 3변 지지되도록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교량용데크(300)의 상부에 슬래브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교량슬래브(500)를 시공하는 단계; 및
    (d) 상기 교량슬래브(500) 시공 이후, 분리 가능한 고정구(600)를 풀어 교량용거더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분리형 고정브라켓을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시공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볼트홀에 삽입되는 분리 가능한 고정구(600)는 횡방향 상부플랜지(110)의 전방부에 형성된 볼트홀(113a)과 종방향 플랜지연결판(150)의 저면과 횡방향 상부플랜지(110)의 후방부를 관통하는 볼트홀(113b)에 체결되는 연결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가능한 고정구(600)에 의하여 교량용 거더(200)로부터 분리형 고정브라켓(100)이 분리 될 수 있도록 하는 분리형 고정브라켓을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시공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분리 가능한 고정구(600)는 횡방향 상부플랜지(110) 전방부에 형성된 볼트홀(113a)과 종방향 플랜지연결판(150)의 저면과 횡방향 상부플랜지(110)를 관통하는 볼트홀(113b)로부터 풀어져 교량용 거더(200)로부터 분리형 고정브라켓(100)이 분리되도록 하는 분리형 고정브라켓을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시공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횡방향 상부플랜지(110), 브라켓복부(120)와 브라켓하부플랜지(130)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된 단부수직마감판(142)은 교량용거더(200)의 복부(220) 측면에 이격재에 의하여 접하도록 하여 분리형 고정브라켓(100)이 교량용거더(200) 측방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며,
    상기 (b) 단계에서, 교량용데크(300)는 횡방향 상부플랜지(110)의 후방부에만 얹어지도록 하되 상기 후방부에도 이격재에 의하여 교량용데크(300)가 3변 지지되도록 설치하는 분리형 고정브라켓을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시공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이후, 종방향 플랜지연결판(150)은 교량슬래브(500) 시공 이후에도 교량용거더에 형성되어 있어 교량용데크를 영구지지하도록 남겨지는 분리형 고정브라켓을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시공방법.
KR1020170138115A 2017-10-24 2017-10-24 분리형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시공방법 KR101875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115A KR101875385B1 (ko) 2017-10-24 2017-10-24 분리형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115A KR101875385B1 (ko) 2017-10-24 2017-10-24 분리형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768A true KR20170125768A (ko) 2017-11-15
KR101875385B1 KR101875385B1 (ko) 2018-07-09

Family

ID=60387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8115A KR101875385B1 (ko) 2017-10-24 2017-10-24 분리형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38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31073A (zh) * 2021-11-02 2022-01-14 安徽省公路桥梁工程有限公司 一种非对称超宽斜拉桥钢箱梁大悬臂翼缘施工方法
CN114855643A (zh) * 2022-06-10 2022-08-05 河南中桥重工科技有限公司 一种波纹钢腹板组合箱梁预制悬臂拼装方法
KR20230034002A (ko) 2021-09-02 2023-03-09 (주)이알코리아 교량용 지지대 일체형 캔틸레버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658930B1 (ko) * 2024-01-03 2024-04-18 (주)효명피씨 캔틸레버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gfrp데크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882B1 (ko) * 2007-11-13 2010-08-31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캔틸레버부 합성슬래브용 프리캐스트 데크플레이트 및 이를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0958410B1 (ko) * 2009-12-14 2010-05-18 테라이엔씨(주) 하천 옹벽 및 교량 상판의 통행 도로
KR101119488B1 (ko) * 2011-03-08 2012-03-09 알루텍 (주) 조립식 지지구조물
KR101176060B1 (ko) * 2012-05-31 2012-08-24 (주)에스엔비 무동력으로 자동 가동되는 침수방지용 차수판
KR20160051374A (ko) * 2014-11-03 2016-05-11 경동산업 주식회사 멀티 지지 확장형 통행로
KR101765762B1 (ko) * 2015-12-16 2017-08-07 주식회사 신원알피씨 교량 캔틸레버부 및 그 시공방법
KR101699464B1 (ko) * 2016-11-14 2017-02-13 (주)셈텍 방진완충기능을 구비한 캔틸레버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4002A (ko) 2021-09-02 2023-03-09 (주)이알코리아 교량용 지지대 일체형 캔틸레버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13931073A (zh) * 2021-11-02 2022-01-14 安徽省公路桥梁工程有限公司 一种非对称超宽斜拉桥钢箱梁大悬臂翼缘施工方法
CN114855643A (zh) * 2022-06-10 2022-08-05 河南中桥重工科技有限公司 一种波纹钢腹板组合箱梁预制悬臂拼装方法
KR102658930B1 (ko) * 2024-01-03 2024-04-18 (주)효명피씨 캔틸레버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gfrp데크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5385B1 (ko) 201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5385B1 (ko) 분리형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시공방법
KR101883413B1 (ko) 지지용 브라켓 설치구조
KR101840763B1 (ko) T형 고정브라켓을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시공방법
JP2015151768A (ja) 高架道路用コンクリート床版の架け替え方法及び同方法による架け替えpc床版
KR20200104108A (ko) 자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합벽 순타 시공용 무지주 거푸집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JP2016061045A (ja) 拡幅pc床版構造及び、既設pc床版の拡幅工法
KR101820871B1 (ko) 영구 지지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1013778B1 (ko) 파일에 지지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KR101429137B1 (ko) 공간확장을 위한 pc보유닛 연결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JP2014190116A (ja) コンクリートスラブの構築方法
KR101562603B1 (ko) Pc보도육교 및 그 시공방법
KR102026976B1 (ko) T형 고정브라켓을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KR101954387B1 (ko) 격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KR101803177B1 (ko)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
KR101664668B1 (ko)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
JP3862707B2 (ja) 高架橋の張出スラブの構築方法および張出スラブ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
KR102137171B1 (ko) 보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사이드타이
KR20180052268A (ko)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형성 방법
KR101717624B1 (ko) 하부플랜지가 배제된 강합성빔과 그 시공방법
KR102330324B1 (ko) 에이피씨 거더
KR100715695B1 (ko) 피씨빔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장치
JP4135918B2 (ja) 床下連絡用基礎梁欠損部の補強方法
KR20200011658A (ko) 교량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582871B1 (ko) 프리캐스트 가로보 시공방법
KR102555884B1 (ko) 글라스울을 이용하여 내화성능이 향상된 슬래브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