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884B1 - 글라스울을 이용하여 내화성능이 향상된 슬래브 구조체 - Google Patents

글라스울을 이용하여 내화성능이 향상된 슬래브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5884B1
KR102555884B1 KR1020220032107A KR20220032107A KR102555884B1 KR 102555884 B1 KR102555884 B1 KR 102555884B1 KR 1020220032107 A KR1020220032107 A KR 1020220032107A KR 20220032107 A KR20220032107 A KR 20220032107A KR 102555884 B1 KR102555884 B1 KR 102555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lab
glass wool
mold
insulation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민
Original Assignee
이종민
(주)이수이앤씨
(주)연우피씨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민, (주)이수이앤씨, (주)연우피씨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이종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3Floor structures of extraordinary design;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Floor structures specially designed for resting on columns only, e.g. mushroom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라스울을 이용하여 내화성능이 향상된 슬래브 구조체에 관련되며, 이는 슬래브가 글라스울을 포함하는 방염시트에 의해 보호되어 화재열 및 화염으로부터 단열스페이서를 보호하도록 구조 개선되어, 내화성능이 향상되고, 슬래브 성형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중에 외부 충격에 의한 단열스페이서의 손상이 방지되며, 특히, 단열스페이서가 형틀 내에서 견고하게 위치 고정되어 대량 생산에 따른 슬래브 성형 품질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베이스층(10), 사이드리브(20), 이너리브(30), 단열스페이서(40), 상부 방염시트(50), 하부 방염시트(6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글라스울을 이용하여 내화성능이 향상된 슬래브 구조체{SLAB STRUCTURE WITH IMPROVED FIRE RESISTANCE USING GLASS WOOL}
본 발명은 글라스울을 이용하여 내화성능이 향상된 슬래브 구조체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슬래브가 글라스울을 포함하는 방염시트에 의해 보호되어 화재열 및 화염으로부터 단열스페이서를 보호하도록 구조 개선되어, 내화성능이 향상되고, 슬래브 성형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중에 외부 충격에 의한 단열스페이서의 손상이 방지되며, 특히, 단열스페이서가 형틀 내에서 견고하게 위치 고정되어 대량 생산에 따른 슬래브 성형 품질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는 글라스울을 이용하여 내화성능이 향상된 슬래브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 슬래브(Slab)는 기둥들 사이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건축구조물로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나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라멘 구조에서는 슬래브에 가해지는 하중을 보(Beam)나 거더(Girder) 등의 지지부재에 전달한다.
즉, 단위 슬래브를 보에 의해 구획하고 슬래브의 두께를 얇게 하여 경량화를 시도하고 있으나, 슬래브에 가해지는 하중을 전달받기 위한 보나 거더 등의 지지부재를 반드시 필요로 하고 있기 때문에 보나 거더의 높이가 소요되므로 층고가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전체의 높이가 건축법상의 사선제한에 의해 제한되므로 깊은 굴토가 필요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시공비용이 상승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등록특허 10-1621188호에서, 판 형상으로 된 평판과, 평판의 상부면의 폭방향 양측단부에 상부로 돌출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측단부 리브와, 평판의 상부면의 폭방향 양측단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마다 상부로 돌출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중앙부 리브와, 평판의 길이방향 중앙부에서 측단부 리브 및 복수개의 중앙부 리브를 상호 횡방향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중앙부 횡리브와, 중앙부 횡리브에서 평판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측단부 리브 및 복수개의 중앙부 리브를 상호 횡방향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중앙부 횡리브와의 사이에 중공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측부 횡리브;를 포함하는 역 리브 하프 피씨 슬래브에 있어서, 측단부 리브의 외측 단부의 상부가 길이방향으로 절삭되어 결합홈이 형성되고, 측부 횡리브의 폭방향의 양단부에는 수직으로 형성되는 얇은 판 형상으로 일측면에 요입되는 요입홈이 형성되며, 요입홈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공 및 고정공이 통공되어 형성되는 연결철물이, 요입홈과 결합공이 돌출되도록 매입되며, 연결철물의 요입홈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편이 끼워지고 볼트와 너트로 결합편이 조여져 인접한 슬래브 간 단차가 줄여진 후, U형근이 결합공에 끼워져 인접한 슬래브 상호 간이 고정되는 기술이 선 제시된 바 있다.
또한, 다른 종래기술인 등록특허 10-1963315호에서, 상호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보와, 양단이 상기 보에 올려지도록 설치되고 콘크리트 재질의 패널본체를 포함하는 슬래브패널, 및 상기 슬래브패널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성된 마감층을 포함하며; 상기 패널본체는, 상기 패널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하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된 직사각형의 패널부와; 상기 패널부의 상면에 상기 패널부의 전단부에서 후단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측으로 돌출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제 1 수직보강리브와; 상기 제1 수직보강리브의 사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제2 수직보강리브와; 상기 제1 수직보강리브와 제2 수직보강리브 사이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삽입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수직보강리브와 제2 수직보강리브의 상호 교차결합에 의해 형성된 사각형의 오목부이며; 상기 복수개의 제2 수직보강리브중에서 최외측에 구비된 제2 수직보강리브가 상기 제1 수직보강리브의 단부에서 내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최외측 제2 수직 보강리브의 외측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타설부가 형성되어, 상기 패널본체의 양단을 상기 보에 올려놓으면, 전 후방향에 위치된 패널본체의 타설부가 상호 연결되고, 상기 슬래브패널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가 상기 타설부의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스페이서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PVC재질의 사각형 관체이고, 상기 스페이서의 전후방향길이와 측방향 폭은 상기 결합부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상기 스페이서의 높이는 상기 제1 및 제2 수직보강리브의 높이에 비해 낮게 구성되며, 상기 스페이서의 둘레부가 상기 결합부의 내주면에 끼움결합됨으로써, 완성된 슬래브의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기술이 선 등록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경량 단열기능을 가진 블록을 이용하여 슬래브의 경량화와 더불어 내구성, 휨강성 및 전단 강성을 부가하려는 것으로, 근자에는 화재로 인해 대형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내화성능을 갖춘 슬래브를 요구하는 실정이다.
KR 10-1621188 B1 (2016.05.09.) KR 10-1963315 B1 (2019.03.22.)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래브가 글라스울을 포함하는 방염시트에 의해 보호되어 화재열 및 화염으로부터 단열스페이서를 보호하도록 구조 개선되어, 내화성능이 향상되고, 슬래브 성형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중에 외부 충격에 의한 단열스페이서의 손상이 방지되며, 특히, 단열스페이서가 형틀 내에서 견고하게 위치 고정되어 대량 생산에 따른 슬래브 성형 품질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는 글라스울을 이용하여 내화성능이 향상된 슬래브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슬래브(S)의 바닥면을 구성하고, 내부에 베이스골조(12)가 배근되는 콘크리트로 성형물로 형성되는 베이스층(10); 상기 베이스층(10) 상면 가장자리부에 일체로 타설되어 상부격실(21)을 형성하고, 내부에 사이드골조(22)가 배근되는 콘크리트 성형물로 형성되는 사이드리브(20); 상기 베이스층(10) 상면에 일체로 타설되어 상부격실(21)을 분할하고, 내부에 이너골조(32)가 배근되는 콘크리트 성형물로 형성되는 이너리브(30); 상기 상부격실(21)에 수용되어 사이드리브(20)와 이너리브(30)에 의해 구속되어 단열기능을 수행하도록 발포체로 형성되는 단열스페이서(40); 상기 단열스페이서(40) 상면에 설치되고, 글라스울을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상부 방염시트(50); 및 상기 베이스층(10) 저면에 설치되고, 글라스울을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하부 방염시트(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격실(21)은 탑층(70)에 의해 마감되고, 상기 탑층(70)은 베이스층(10), 사이드리브(20), 이너리브(30)와 일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열스페이서(40)는 골조조인트모듈(100)에 의해 구속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골조조인트모듈(100)은, 사이드골조(22)에 연결되어 한 쌍의 사이드경사골조(112)가 '^'형으로 돌출되어 단열스페이서(40) 대비 높게 배치되고, 어느 일측 사이드경사골조(112)에 사이드걸림홈(114)이 형성되는 사이드조인트(110)와, 이너골조(32)에 연결되어 한 쌍의 이너경사골조(122)가 '^'형으로 돌출되어 단열스페이서(40) 대비 높게 배치되고, 어느 일측 이너경사골조(122)에 이너걸림홈(124)이 형성되는 이너조인트(120)와, 단열스페이서(40)를 구속하도록 슬래브(S)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사이드걸림홈(114)과 이너걸림홈(124)에 맞물려 위치고정되는 가로 강성(130)과, 가로 강선(130)에 연결되고, 슬래브(S)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단열스페이서(40)를 구속하는 세로 강선(140)과, 가로 강선(130)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탑층(70) 내에 배근되고, 세로 강선(140)에 의해 단열스페이서(40)와 이격되어 탑층(70)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공간부(152)를 형성하는 탑골조(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골조(12), 사이드골조(22), 이너골조(32), 단열스페이서(40), 상부 방염시트(50)를 형틀(200)에 수용하고, 가로 강선(130)을 이용하여 상부 방염시트(50)를 압축한 상태로 사이드걸림홈(114)과 이너걸림홈(124)에 체결하여 위치고정하며, 이후 형틀(20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베이스층(10), 사이드리브(20), 이너리브(30), 탑층(70)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이드걸림홈(114)과 이너걸림홈(124)은, 사이드경사골조(112)와 이너경사골조(122)를 절곡하여 걸림홈 구조로 형성되거나, 사이드경사골조(112)와 이너경사골조(122) 외주면에 걸림돌기를 부착하여 걸림홈 구조를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형틀(200)에 양단이 결속된 상태로 단열스페이서(40)를 상부에서 구속하는 형틀조인트부(210)가 구비되고, 상기 형틀조인트부(210)는, 형틀(200) 폭방향 양측 상면에 형성되는 클램프(211)와, 형틀(200)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양단이 클램프(211)에 결속되는 가로바(212)와, 가로바(212)에 연결되어 하방향으로 돌출되고, 형틀(200) 내부로 수용된 상태로 단열스페이서(40)를 상부에서 가압하는 인서트바(2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서트바(213)는 가로바(212)에 의해 형틀(210) 내부로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어, 형틀(210) 내부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동안 단열스페이서(40)를 구속하고, 콘크리트 주입이 완료된 후, 가로바(212)와 함께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슬래브가 글라스울을 포함하는 방염시트에 의해 보호되어 화재열 및 화염으로부터 단열스페이서를 보호하도록 구조 개선되어, 내화성능이 향상되고, 슬래브 성형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중에 외부 충격에 의한 단열스페이서의 손상이 방지되며, 특히, 단열스페이서가 형틀 내에서 견고하게 위치 고정되어 대량 생산에 따른 슬래브 성형 품질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울을 이용하여 내화성능이 향상된 슬래브 구조체를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울을 이용하여 내화성능이 향상된 슬래브 구조체를 성형하는 골조조인트모듈 및 형틀을 평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울을 이용하여 내화성능이 향상된 슬래브 구조체를 성형하는 골조조인트모듈 및 형틀을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울을 이용하여 내화성능이 향상된 슬래브 구조체의 사이드걸림홈과 이너걸림홈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울을 이용하여 내화성능이 향상된 슬래브 구조체의 단열스페이서 가압 고정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선호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울을 이용하여 내화성능이 향상된 슬래브 구조체를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울을 이용하여 내화성능이 향상된 슬래브 구조체를 성형하는 골조조인트모듈 및 형틀을 평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울을 이용하여 내화성능이 향상된 슬래브 구조체를 성형하는 골조조인트모듈 및 형틀을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울을 이용하여 내화성능이 향상된 슬래브 구조체의 사이드걸림홈과 이너걸림홈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울을 이용하여 내화성능이 향상된 슬래브 구조체의 단열스페이서 가압 고정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글라스울을 이용하여 내화성능이 향상된 슬래브 구조체에 관련되며, 이는 슬래브가 글라스울을 포함하는 방염시트에 의해 보호되어 화재열 및 화염으로부터 단열스페이서를 보호하도록 구조 개선되어, 내화성능이 향상되고, 슬래브 성형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중에 외부 충격에 의한 단열스페이서의 손상이 방지되며, 특히, 단열스페이서가 형틀 내에서 견고하게 위치 고정되어 대량 생산에 따른 슬래브 성형 품질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베이스층(10), 사이드리브(20), 이너리브(30), 단열스페이서(40), 상부 방염시트(50), 하부 방염시트(6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층(10)은 슬래브(S)의 바닥면을 구성하고, 내부에 베이스골조(12)가 배근되는 콘크리트로 성형물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층(10)은 후술하는 사이드리브(20), 이너리브(30)와 일체로 콘크리트 타설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층(10), 사이드리브(20), 이너리브(30)는 형틀(200) 내에 배근되는 베이스골조(12), 사이드골조(22), 이너골조(32)에 의해 구조적으로 보강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리브(20)는 상기 베이스층(10) 상면 가장자리부에 일체로 타설되어 상부격실(21)을 형성하고, 내부에 사이드골조(22)가 배근되는 콘크리트 성형물로 형성된다.
상기 사이드리브(20)는 베이스층(10) 가장자리부 사면에 형성되고, 내부 상부격실(21)에 후술하는 이너리브(30), 단열스페이서(40)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사이드골조(22)는 베이스골조(12)와 일체로 절곡 성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너리브(30)는 상기 베이스층(10) 상면에 일체로 타설되어 상부격실(21)을 분할하고, 내부에 이너골조(32)가 배근되는 콘크리트 성형물로 형성된다.
상기 이너리브(30)는 사이드리브(2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바, 일예로서, 도 1은 상부격실(21) 내에 3개의 이너리브(30)가 이격 배치되어 상부격실(21)이 4개의 공간으로 분할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처럼, 상기 베이스층(10) 상면에 사이드리브(20)는 이너리브(30)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역리브 힘살구조에 의해 충분한 층고 확보할 수 있고, 슬래브(S) 경량화에 따른 내구성 저하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리브(30)에 의해 분할된 각각의 상부격실(21) 내부에 후술하는 단열스페이서(40)가 배치됨에 따라 슬래브(A)의 경량화와 더불어 단열성이 고도로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열스페이서(40)는 상기 상부격실(21)에 수용되어 사이드리브(20)와 이너리브(30)에 의해 구속되어 단열기능을 수행하도록 발포체로 형성된다.
상기 단열스페이서(40)는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고, 단열성이 우수하면서 경량인 발포체로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상부격실(21)에 단열스페이서(40)가 수용되어, 단열스페이서(40) 부피만큼 콘크리트 사용량이 감소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슬래브(S) 중량이 크게 감소됨과 더불어 슬래브(S) 자체에 단열기능이 부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방염시트(50)는 상기 단열스페이서(40) 상면에 설치되고, 글라스울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상부 방염시트(50)는 글라스울을 시트형태로 가공하여 배치하고, 단열스페이서(40) 상면을 마감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화재발생시, 화재열 및 화염으로부터 단열스페이서(40)를 보호하여 화재 확산이 방지됨과 더불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중 외부 충격에 의한 단열스페이서(40)의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방염시트(60)는 상기 베이스층(10) 저면에 설치되고, 글라스울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하부 방염시트(60)는 글라스울을 시트형태로 가공하여 형성되고, 베이스층(10) 저면을 화재열 및 화염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 방염시트(60)는 후술하는 형틀(200) 내부 바닥에 깔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베이스층(10)과 일체로 제작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부격실(21)은 탑층(70)에 의해 마감되고, 상기 탑층(70)은 베이스층(10), 사이드리브(20), 이너리브(30)와 일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된다.
상기 탑층(70)에 의해 상부격실(21)이 마감되면서 단열스페이서(40)가 슬래브(S) 내부에 인서트몰딩됨에 따라 현장에서 슬래브(S)를 시공하는 중에 단열스페이서(40)의 손상이 방지됨과 더불어 화재열로부터 단열스페이서(40)가 안전하게 보호된다.
또한, 상기 단열스페이서(40)는 골조조인트모듈(100)에 의해 구속되도록 구비된다.
도 2 내지 도 3에서, 상기 골조조인트모듈(100)은, 사이드골조(22)에 연결되어 한 쌍의 사이드경사골조(112)가 '^'형으로 돌출되어 단열스페이서(40) 대비 높게 배치되고, 어느 일측 사이드경사골조(112)에 사이드걸림홈(114)이 형성되는 사이드조인트(110)와, 이너골조(32)에 연결되어 한 쌍의 이너경사골조(122)가 '^'형으로 돌출되어 단열스페이서(40) 대비 높게 배치되고, 어느 일측 이너경사골조(122)에 이너걸림홈(124)이 형성되는 이너조인트(120)와, 단열스페이서(40)를 구속하도록 슬래브(S)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사이드걸림홈(114)과 이너걸림홈(124)에 맞물려 위치고정되는 가로 강성(130)과, 가로 강선(130)에 연결되고, 슬래브(S)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단열스페이서(40)를 구속하는 세로 강선(140)과, 가로 강선(130)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탑층(70) 내에 배근되고, 세로 강선(140)에 의해 단열스페이서(40)와 이격되어 탑층(70)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공간부(152)를 형성하는 탑골조(15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로 강성(130)과 세로 강선(140)은 그물구조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단열스페이서(40) 상면을 구속함에 따라 형틀(200)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중에 단열스페이서(40)의 유동이 방지됨과 더불어 초기 배치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 슬래브(S)의 성형품질이 향상된다.
즉, 상기 베이스골조(12), 사이드골조(22), 이너골조(32), 단열스페이서(40), 상부 방염시트(50)를 형틀(200)에 수용하고, 가로 강선(130)을 이용하여 상부 방염시트(50)를 압축한 상태로 사이드걸림홈(114)과 이너걸림홈(124)에 체결하여 위치고정하며, 이후 형틀(20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베이스층(10), 사이드리브(20), 이너리브(30), 탑층(70)이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상부 방염시트(50) 조직의 공극이 최소화되어 슬래브(S) 강도가 향상된다.
상기 베이스골조(12), 사이드골조(22), 이너골조(32), 단열스페이서(40), 가로 강선(130), 세로 강선(140), 탑골조(150)는 형틀(200)에 수용된 상태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베이스층(10), 사이드리브(20), 이너리브(30), 탑층(70)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사이드걸림홈(114)과 이너걸림홈(124)은, 사이드경사골조(112)와 이너경사골조(122)를 절곡하여 걸림홈 구조로 형성되거나, 사이드경사골조(112)와 이너경사골조(122) 외주면에 걸림돌기를 부착하여 걸림홈 구조를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도 4 (a)는 상기 사이드경사골조(112)와 이너경사골조(122)를 절곡하여 사이드걸림홈(114)과 이너걸림홈(124)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4 (b)는 사이드경사골조(112)와 이너경사골조(122)에 수평방향으로 강선을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에 상기 가로 강성(130)과 세로 강선(140)을 단열스페이서(40) 상면에 안착시키면, 가로 강성(130) 양단부가 사이드경사골조(112)와 이너경사골조(122)를 타고 경사운동되어 하향 이동하고, 이후 가로 강성(130)을 세로 강선(140)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가로 강성(130) 양단부가 사이드걸림홈(114)과 이너걸림홈(124)에 결속된 상태로 단열스페이서(40) 전체 영역을 간단하고 견고하게 구속할 수 있다.
도 5에서, 상기 형틀(200)에 양단이 결속된 상태로 단열스페이서(40)를 상부에서 구속하는 형틀조인트부(210)가 구비된다.
상기 형틀조인트부(210)는, 형틀(200) 폭방향 양측 상면에 형성되는 클램프(211)와, 형틀(200)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양단이 클램프(211)에 결속되는 가로바(212)와, 가로바(212)에 연결되어 하방향으로 돌출되고, 형틀(200) 내부로 수용된 상태로 단열스페이서(40)를 상부에서 가압하는 인서트바(21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클램프(211)는 측방향으로 걸림홈이 개방되는 고리형태로 형성되고, 가로바(212) 양단부가 클램프(211) 삽입된 상태로 구속된다.
상기 인서트바(213)는 가로바(212)에 의해 형틀(210) 내부로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어, 형틀(210) 내부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동안 단열스페이서(40)를 구속하고, 콘크리트 주입이 완료된 후, 가로바(212)와 함께 분리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인서트바(213)에 의해 단열스페이서(40)가 소정의 간격에서 가압 지지됨에 따라 형틀(200)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중에 단열스페이서(40)의 위치이동이 방지되는바, 즉, 단열스페이서(40)가 부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행할 수 있을 것이다.
10: 베이스층 20: 사이드리브
30: 이너리브 40: 단열스페이서
50: 상부 방염시트 60: 하부 방염시트
70: 탑층
100: 골조조인트모듈 200: 형틀

Claims (5)

  1. 슬래브(S)의 바닥면을 구성하고, 내부에 베이스골조(12)가 배근되는 콘크리트로 성형물로 형성되는 베이스층(10);
    상기 베이스층(10) 상면 가장자리부에 일체로 타설되어 상부격실(21)을 형성하고, 내부에 사이드골조(22)가 배근되는 콘크리트 성형물로 형성되는 사이드리브(20);
    상기 베이스층(10) 상면에 일체로 타설되어 상부격실(21)을 분할하고, 내부에 이너골조(32)가 배근되는 콘크리트 성형물로 형성되는 이너리브(30);
    상기 상부격실(21)에 수용되어 사이드리브(20)와 이너리브(30)에 의해 구속되어 단열기능을 수행하도록 발포체로 형성되는 단열스페이서(40);
    상기 단열스페이서(40) 상면에 설치되고, 글라스울을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상부 방염시트(50); 및
    상기 베이스층(10) 저면에 설치되고, 글라스울을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하부 방염시트(60);를 포함하되,
    상기 단열스페이서(40)는 골조조인트모듈(100)에 의해 구속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골조조인트모듈(100)은,
    상기 사이드골조(22)에 연결되어 한 쌍의 사이드경사골조(112)가 '^'형으로 돌출되어 상기 단열스페이서(40) 대비 높게 배치되고, 어느 일측 사이드경사골조(112)에 사이드걸림홈(114)이 형성되는 사이드조인트(110)와,
    이너골조(32)에 연결되어 한 쌍의 이너경사골조(122)가 '^'형으로 돌출되어 단열스페이서(40) 대비 높게 배치되고, 어느 일측 이너경사골조(122)에 이너걸림홈(124)이 형성되는 이너조인트(120)와,
    상기 단열스페이서(40)를 구속하도록 슬래브(S)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사이드걸림홈(114)과 이너걸림홈(124)에 맞물려 위치고정되는 가로 강성(130)과,
    상기 가로 강선(130)에 연결되고, 슬래브(S)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단열스페이서(40)를 구속하는 세로 강선(140)과,
    상기 가로 강선(130)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탑층(70) 내에 배근되고, 세로 강선(140)에 의해 상기 단열스페이서(40)와 이격되어 상기 탑층(70)에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공간부(152)를 형성하는 탑골조(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울을 이용하여 내화성능이 향상된 슬래브 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격실(21)은 상기 탑층(70)에 의해 마감되고, 상기 탑층(70)은 베이스층(10), 사이드리브(20), 이너리브(30)와 일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울을 이용하여 내화성능이 향상된 슬래브 구조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골조(12), 사이드골조(22), 이너골조(32), 단열스페이서(40), 상부 방염시트(50)를 형틀(200)에 수용하고, 상기 가로 강선(130)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방염시트(50)를 압축한 상태로 사이드걸림홈(114)과 이너걸림홈(124)에 체결하여 위치고정하며, 이후 상기 형틀(20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베이스층(10), 사이드리브(20), 이너리브(30), 탑층(70)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울을 이용하여 내화성능이 향상된 슬래브 구조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걸림홈(114)과 이너걸림홈(124)은, 사이드경사골조(112)와 이너경사골조(122)를 절곡하여 걸림홈 구조로 형성되거나, 사이드경사골조(112)와 이너경사골조(122) 외주면에 걸림돌기를 부착하여 걸림홈 구조를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울을 이용하여 내화성능이 향상된 슬래브 구조체.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형틀(200)에 양단이 결속된 상태로 단열스페이서(40)를 상부에서 구속하는 형틀조인트부(210)가 구비되되,
    상기 형틀조인트부(210)는, 상기 형틀(200) 폭방향 양측 상면에 형성되는 클램프(211)와, 상기 형틀(200)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양단이 상기 클램프(211)에 결속되는 가로바(212)와, 상기 가로바(212)에 연결되어 하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형틀(200) 내부로 수용된 상태로 상기 단열스페이서(40)를 상부에서 가압하는 인서트바(2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울을 이용하여 내화성능이 향상된 슬래브 구조체.
KR1020220032107A 2022-01-17 2022-03-15 글라스울을 이용하여 내화성능이 향상된 슬래브 구조체 KR1025558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865 2022-01-17
KR20220006865 2022-01-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5884B1 true KR102555884B1 (ko) 2023-07-14

Family

ID=87155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107A KR102555884B1 (ko) 2022-01-17 2022-03-15 글라스울을 이용하여 내화성능이 향상된 슬래브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8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2404A (ko) * 2008-07-28 2010-02-08 (주)콘솔베르 리브드 하프피씨 바닥판
KR101621188B1 (ko) 2015-01-21 2016-05-13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횡방향 리브 및 중공부가 형성된 역 리브 하프 피씨 슬래브 및 역 리브 하프 피씨 슬래브의 폭방향 연결방법
KR101963315B1 (ko) 2016-04-06 2019-07-31 (주)연우피씨엔지니어링 하이브리드 인버티드 리브 슬래브 구조물
JP2020084409A (ja) * 2018-11-15 2020-06-04 鹿島建設株式会社 床スラブ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2404A (ko) * 2008-07-28 2010-02-08 (주)콘솔베르 리브드 하프피씨 바닥판
KR101621188B1 (ko) 2015-01-21 2016-05-13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횡방향 리브 및 중공부가 형성된 역 리브 하프 피씨 슬래브 및 역 리브 하프 피씨 슬래브의 폭방향 연결방법
KR101963315B1 (ko) 2016-04-06 2019-07-31 (주)연우피씨엔지니어링 하이브리드 인버티드 리브 슬래브 구조물
JP2020084409A (ja) * 2018-11-15 2020-06-04 鹿島建設株式会社 床スラ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4586B1 (ko) 장스팬 적용 및 층고 절감을 위한 폐단면 강재 보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합성보 시스템
KR101107300B1 (ko) 강판전단벽
KR102179516B1 (ko) 조립식 영구 거푸집 및 그 시공 방법
KR101255464B1 (ko)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KR100761786B1 (ko)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JP6108595B2 (ja) リブ付き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と、それを用いた合成床スラブと梁のコンクリート打ち分け方法
JP5184836B2 (ja) 合成鋼床版桁橋の施工方法
KR200383490Y1 (ko) 영구 구조체로 이용되는 frp 구조체를 사용한 복합 철근콘크리트 보 구축 시스템
KR101165207B1 (ko) 폐쇄형 철골 합성보 및 이 폐쇄형 철골 합성보 간 연결방법
KR200455723Y1 (ko) 하이브리드 철골보
US10202765B2 (en) Deck panel for construction
KR100923564B1 (ko) 스틸 플레이트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과 그 시공방법 및 구조
KR102104382B1 (ko) 철골 보, 합성 기둥, 및 이들의 접합 구조
KR102555884B1 (ko) 글라스울을 이용하여 내화성능이 향상된 슬래브 구조체
KR101050746B1 (ko) Pc 보 연결 부재, 상기 pc 보 연결 부재를 구비한 콘크리트 구조, 상기 콘크리트 구조 형성에 사용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콘크리트 구조의 형성 방법
KR102314546B1 (ko) 기둥부재와 보의 보강구조물
JP5869717B1 (ja) 既存コンクリート構造物補強構造
KR101216632B1 (ko) 벽면 타설용 폼 블록 구조물을 이용한 벽면 시공방법
KR200383489Y1 (ko) 영구 구조체로 이용되는 frp 구조체를 사용한 복합 철근콘크리트 보 구축 시스템
JP2014109152A (ja) 梁部材および床構造
CN107859403B (zh) 一种装配式建筑结构
KR20170050532A (ko) 합성보용 거푸집
CN115324341A (zh) 钢混组合梁的施工方法
KR101773509B1 (ko) 각형강관을 이용한 장스팬 층고절감형 합성보 및 그 시공방법
KR102006981B1 (ko) 파형강판 합성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