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663Y1 - 미세먼지 차단용 방충망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차단용 방충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663Y1
KR200491663Y1 KR2020180006117U KR20180006117U KR200491663Y1 KR 200491663 Y1 KR200491663 Y1 KR 200491663Y1 KR 2020180006117 U KR2020180006117 U KR 2020180006117U KR 20180006117 U KR20180006117 U KR 20180006117U KR 200491663 Y1 KR200491663 Y1 KR 2004916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icro
fine
weft
wef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61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3075U (ko
Inventor
박성환
Original Assignee
박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환 filed Critical 박성환
Priority to KR20201800061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663Y1/ko
Publication of KR201900030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0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6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6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9/00Open-work fabric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4Mesh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충망의 면상 형태를 유지하는 지지경사와 지지위사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망목의 내부에 안정된 형태의 다수의 미세망목을 일체로 형성하여 미세한 먼지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 지지경사와 지지위사로 형성된 지지망목 내에 상기 지지경사 및 지지위사 보다 직경이 작은 다수의 미세경사와 미세위사로 제직된 다수의 미세망목이 형성되며, 상기 미세망목 내에서 미세경사와 제직되는 미세위사는 지지경사의 상부에 배열되고, 상기 미세망목 내에서 미세위사와 제직되는 미세경사는 지지위사의 하부에 배열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차단용 방충망{Insect screen for fine dust off}
본 고안은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충망의 면상 형태를 유지하는 지지경사와 지지위사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망목의 내부에 안정된 형태의 다수의 미세망목을 일체로 형성하여 미세한 먼지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방충망은 출입구나 창문 등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실내로 곤충이나 벌레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데, 최근 황사와 같은 미세먼지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미세먼지의 유입도 차단하도록 요구되고 있다.
방충망은 금속이나 수지재질의 실을 교차하여 형성된 다수의 망목(網目)에 의해 외부 공기는 유입되고 이물질은 차단되는데, 곤충이나 벌레와 같이 비교적 크기가 큰 이물질과 달리, 크기가 작은 미세먼지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망목 크기를 작게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충망이 제안되었는데, 공개특허공보 제2017-0058139호에는 복수 개의 망체로 이루어져 망체를 수평으로 이동하여 망목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방충망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방충망은 망목 크기 제어를 통해 보다 작은 크기의 이물질도 차단할 수 있으나, 복수 개의 망체 및 별도의 망체 이동수단이 필요하여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에 부담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2016-0119626호에는 망체에 전기를 공급하여 발생하는 정전기를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충망도 제안되었는데, 이와 같은 방충망은 외부에 노출되어 설치되는 방충망의 환경상 빗물이나 수분에 의해 안전사고 문제가 있으며, 별도의 전원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공개특허공보 제2016-0061767호와 같은 방충망이 제안되었는데, 상기 방충망은 금속망에 미세한 망목이 형성된 시트를 접착한 것으로 간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방충망을 창문에 설치할 경우 조사되는 직사광선에 의해 접착제가 열화되어 접착력이 약화되어 접착된 시트가 창문으로부터 박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17-0058139호 (고안의 명칭 : 미세먼지용 방충망. 2017.05.26) 공개특허공보 제2016-0119626호 (고안의 명칭 :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용 방충망. 2016.10.14) 공개특허공보 제2016-0061767호 (고안의 명칭 : 미세먼지방지용 방충망 메쉬형 점착시트. 2016.06.01)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미세먼지 차단용 방충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은 단일한 망체에 다수의 미세망목이 일체로 형성되어 별도의 조립이나 접착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미세먼지 차단용 방충망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방충망은, 지지경사와 지지위사로 형성된 지지망목 내에 상기 지지경사 및 지지위사 보다 직경이 작은 다수의 미세경사와 미세위사로 제직된 다수의 미세망목이 형성되며, 상기 미세경사와 제직되는 미세위사는 지지경사의 상부에 배열되고, 상기 미세위사와 제직되는 미세경사는 지지위사의 하부에 배열되게 제직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지지경사와 지지위사는 평직으로 제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지지경사와 지지위사의 직경은 0.1~0.5mm이고, 상기 미세경사와 미세위사의 직경은 0.05~0.09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지지망목 내에 배열되는 미세경사 및 위사의 수는 3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지지경사 및 위사와 미세경사 및 위사는 모노필라멘트사가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지지망목의 내부에 다수의 미세망목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생산시 제직 이외에 조립이나 접착과 같은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또한 미세망목을 형성하는 미세경사와 미세위사가 지지위사와 지지경사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됨에 따라 지지망목내에서 작은 크기로 다수개로 이루어진 미세망목이 안정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방충망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충망의 조직을 경부점으로 도시한 조직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지망목(A)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방충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방충망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충망의 조직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인 방충망(100)은 방충망의 면상 형태를 유지시켜 주는 검은색의 지지사(지지경사(10) 및 지지위사(20))와,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파란색의 미세사(미세경사(30) 및 미세위사(40))가 교차하면서 제직되어 있다.
지지경사(10)와 지지위사(20)는 견고한 지지망목(A)을 형성하여 방충망(100)의 면상 형태가 유지되도록 제직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충망(100)의 조직을 경부점으로 도시한 조직도로, 경사 1,6,13,19번은 지지경사(10), 경사 2~5, 7~12, 14~19번은 미세경사(30), 위사 1,6,13,19번은 지지위사(20), 경사 2~5, 7~12, 14~19번은 미세위사(40)로 배열되어 있으며, 지지경사(10)와 지지위사(20)의 경부점(검은색 X)과 미세경사(30)와 미세위사(40)의 경부점(파란색 X)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지지경사(10)와 지지위사(20)는 한올 씩 교차한 평직 형태로 제직된다. 보다 견고한 조직을 위해 지지경사(10)와 지지위사(20)는 미세경사(30)와 미세위사(40) 보다 직경이 큰 모노필라멘트사로 이루어지며, 직경이 0.1~0.5mm인 것이 바람직한데, 직경이 0.1mm 미만이면 면상 형태의 유지가 어렵고 0.5mm를 초과하면 미세경사(30)와 미세위사(40)와의 제직이 어렵다. 지지경사(10)와 지지위사(20)로는 폴리에틸렌(PE), 폴리에스테르(PET), 나일론, 폴리프로필린(PP), 나일론 중 어느 하나의 합성섬유사가 사용될 수 있다.
미세경사(30) 및 미세위사(40)는 지지망목(A) 내에 다수의 미세망목(a)을 형성하도록 제직되는데, 도 2를 참조하면 지지망목(A) 내에 5올의 미세경사(30)와 4올의 미세위사(40)가 교차하여 다수의 미세망목(a)이 형성된다. 개구가 작은 미세망목(a)의 형성을 위해 미세경사(30) 및 미세위사(40)는 직경이 작은 미세 모노필라멘트사로 이루어지는데, 직경이 0.05~0.09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직경이 0.05mm 미만이면 제직이 어렵고, 0.09mm를 초과하면 미세망목(a)의 크기가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미세망목(a)의 크기는 지지망목(A) 내에 배열되는 미세경사(30) 및 미세위사(40) 수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데, 그 수는 3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세경사(30) 및 미세위사(40)는 지지경사(10)와 지지위사(20)와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PE), 폴리에스테르(PET), 나일론, 폴리프로필린(PP), 나일론 중의 어느 하나의 합성섬유사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직경이 작은 미세경사(30) 및 미세위사(40)에 의해 형성되는 미세망목(a)이 형태가 어그러짐이 없이 안정된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한 본 고안 방충망(100)의 조직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지지망목(A)을 확대한 도면으로, 지지망목(A) 내부에서 미세경사(30)와 교차되어 제직된 미세위사(40)는 지지망목(A)의 전면, 즉 지지경사(10) 상부에 배열되며, 미세망목(a) 내에서 미세위사(40)와 제직되는 미세경사(30)는 지지위사(20)의 하부에 배열된다. 따라서, 미세망목(a)을 형성하는 미세위사(40)와 미세경사(30)는 방충망(100)의 대향하는 전면과 후면에서 각각 지지경사(10)와 지지위사(20)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작은 크기로 다수 개로 이루어진 미세망목(a)이 지지망목(A)내에서 안정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미세먼지 차단용 방충망의 제직방법을 이하 설명한다.
지지사와 미세사의 준비
폴리에틸렌(PE), 폴리에스테르(PET), 나일론, 폴리프로필린(PP), 나일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모노필라멘트사 중 직경 0.1~0.5mm을 지지사로, 직경 0.05~0.09mm를 미세사로 준비한다. 준비된 지지사와 미세사를 정경공정을 통해 2개의 경사빔에 각각 권취하여 마련한다.
방충망 제직
2개의 경사빔으로부터 지지경사(10)와 미세경사(30)를 직기로 공급하고, 지지경사(10)와 미세경사(30)사이로 지지위사(20)와 미세위사(40)를 위입하여 방충망(100)을 제직한다. 경사 및 위사로 공급되는 지지사와 미세사는 1: 3~5 비율로 공급되어 제직되며, 미세위사(20)와 미세경사(10)는 방충망(10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배열되도록 제직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방충망(100)은 지지망목(A)의 내부에 다수의 미세망목(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생산 시 조립이나 접착과 같은 부가적인 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또한 미세망목(a)을 형성하는 미세경사(30)와 미세위사(40)가 지지위사(20)와 지지경사(1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됨에 따라 지지망목(A)내에서 작은 크기로 다수개가 안정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10: 지지경사 20: 지지위사
30: 미세경사 40: 미세위사
100: 방충망 A: 지지망목
a: 미세망목

Claims (5)

  1.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방충망에 있어서,
    0.1~0.5mm 직경의 모노필라멘트사인 지지경사와 지지위사가 평직으로 제직되어 형성된 지지망목 내에 0.05~0.09mm 직경의 모노필라멘트사인 미세경사와 미세위사가 3 내지 5의 개수로 배열되어 제직된 다수의 미세망목이 형성되며, 상기 미세경사와 제직되는 미세위사는 지지경사의 상부에 배열되고, 상기 미세위사와 제직되는 미세경사는 지지위사의 하부에 배열되게 제직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방충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80006117U 2018-12-27 2018-12-27 미세먼지 차단용 방충망 KR2004916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6117U KR200491663Y1 (ko) 2018-12-27 2018-12-27 미세먼지 차단용 방충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6117U KR200491663Y1 (ko) 2018-12-27 2018-12-27 미세먼지 차단용 방충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010 Division 2018-06-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075U KR20190003075U (ko) 2019-12-12
KR200491663Y1 true KR200491663Y1 (ko) 2020-05-15

Family

ID=68834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6117U KR200491663Y1 (ko) 2018-12-27 2018-12-27 미세먼지 차단용 방충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6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1850A (ko) 2021-07-14 2023-01-25 주식회사 나노섬유 고강도, 저융점성을 갖는 복합멀티필라멘트사로 제직한 방충망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4135A (ko) 2020-10-23 2022-05-02 최광현 정전기를 이용한 미세먼지 및 바이러스 차단용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물품
KR102158800B1 (ko) 2020-02-24 2020-09-22 최광현 정전기를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망체 및 이를 구비한 물품
KR102660133B1 (ko) 2020-03-11 2024-04-24 최광현 정전기를 이용한 미세먼지 및 바이러스 차단용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물품
KR102600661B1 (ko) * 2022-10-31 2023-11-1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내구성이 향상된 미세먼지 방진망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996B1 (ko) * 2010-06-04 2012-10-19 (주) 텍스토머 황사방지 방충망
KR20160061767A (ko) 2014-11-24 2016-06-01 이재원 미세먼지방지용 방충망 메쉬형 점착시트
KR101792228B1 (ko) 2015-04-06 2017-10-31 박지연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
KR101786728B1 (ko) 2015-11-18 2017-10-18 오승현 미세먼지용 방충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1850A (ko) 2021-07-14 2023-01-25 주식회사 나노섬유 고강도, 저융점성을 갖는 복합멀티필라멘트사로 제직한 방충망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075U (ko) 2019-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1663Y1 (ko) 미세먼지 차단용 방충망
EP2284306B1 (de) Anordnung zur Erzeugung von Lichteffekten
US9777411B2 (en) Woven shielding textile impervious to visible and ultraviolet electromagnetic radiation
CA2533761A1 (en) Enhanced surface geometry sheeting
EP2423359A3 (en) Industrial fabric
CN108029410A (zh) 一种抗拉伸遮阳网
EP0600944B1 (en) Insect-net
KR100616033B1 (ko) 방풍직물
CN209756348U (zh) 一种新型高耐晒户外涤纶布
JP3143513U (ja) 粘着メッシュシート
JP2020005576A (ja) 遮熱ネット
KR101253526B1 (ko) 블라인드 커튼 기능을 가지는 롤 커튼용 커튼지 및 그 제조방법
CN209003502U (zh) 能消除摩尔纹的光线可调窗帘布
KR101363745B1 (ko) 밀도가 다른 투시창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 및 그 제직방법
WO2020235001A1 (ja) 防草シート、及び防草シートの製造方法
KR20120027929A (ko) 합성수지사로 구성된 방충망 원단 및 그 제직장치
CN209251238U (zh) 防草布
CN209305084U (zh) 遮光显纬窗帘面料
JP3101644U (ja) ネット状シート
JP2001061357A (ja) 遮光シート及び使用方法
CN209749346U (zh) 种植双孢菇的黑单丝平纹网布
JP2020026690A (ja) 網戸用網シート
CN216423752U (zh) 一种有耐晒效果的涤纶梭织坯布
CN220787698U (zh) 一种透气绕丝筒
CN215163477U (zh) 防眩光遮阳面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