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535Y1 - 가위 및 집게가 구비된 스탠드 - Google Patents

가위 및 집게가 구비된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535Y1
KR200491535Y1 KR2020180005177U KR20180005177U KR200491535Y1 KR 200491535 Y1 KR200491535 Y1 KR 200491535Y1 KR 2020180005177 U KR2020180005177 U KR 2020180005177U KR 20180005177 U KR20180005177 U KR 20180005177U KR 200491535 Y1 KR200491535 Y1 KR 2004915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scissors
tongs
magnet
lowe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1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456U (ko
Inventor
최기성
Original Assignee
(주)지브라유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브라유앤씨 filed Critical (주)지브라유앤씨
Publication of KR202000004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4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5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5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021Stands, supports or guiding device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for securing them to the work
    • B25H1/0042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Table Equipment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위 및 집게의 하부에 스탠드를 설치하여 가위 및 집게가 식탁 등의 바닥면에 닿지 않도록 하는 가위 및 집게가 구비된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위와 집게의 하부에 스탠드를 개별적으로 각각 설치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하며, 각각의 스텐드는 자석에 의해 서로 탈부착되게 함으로써, 가위 및 집게가 바닥면에 닿지 않아 위생적으로 음식을 먹을 수 있게 하고, 가위와 집게가 부착된 상태로 한곳에 놓여서 가위와 집게를 쉽게 찾아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가위(4) 및 집게(5)의 하측 손잡이부(4a,5a) 하부에 스탠드(6,6')를 각각 설치하거나, 또는 하측 손잡이부(4a,5a)와 각각의 스탠드(6,6')를 일체로 형성하되, 이 한 쌍의 스탠드(6,6')는 식탁 등의 상면에 놓여지는 베이스판(11,11')의 상면에 가위(4) 및 집게(5)의 하측 손잡이부(4a,5a)가 놓여지는 수직블럭(12,12')이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이 베이스판(11,11')의 일측면에는 스탠드(6,6')를 탈부착시키기 위한 수직블럭(12)의 측면에 측면자석(13,13')이 자석설치부(14,14')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가위 및 집게의 하측 손잡이부와 각각의 스탠드는 스탠드 착탈수단에 의해 탈부착되게 구성하되, 상기 스탠드 착탈수단은, 스탠드의 수직블럭 상부에 상부자석이 각각 설치되고, 가위의 하측 손잡이부 하측에 상기 상부자석에 부착되는 자성체가 설치되고, 집게의 하측 손잡이부가 자성체인 금속으로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다른 실시예로써 가위(4) 및 집게(5)의 하측 손잡이부(4a,5a)의 하부에 스탠드(6)를 개별적으로 각각 설치하되, 상기 스탠드(6)는 식탁의 상면에 올려놓는 스탠드본체(10)와, 가위(4) 및 집게(5)의 하측 손잡이부(4a,5a) 하부에 설치하는 스탠드부착구(30)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스탠드본체(10)는 베이스판(11)의 상면에 수직블럭(12)이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수직블럭(12)의 상면에는 스탠드부착구(30)의 저면과 탈부착시키기 위한 상부자석(15)이 설치되며, 베이스판(11)의 일측면에는 서로 마주 대하는 스탠드본체(10)를 탈부착 시키기 위한 수직블럭(12)의 측면에 측면자석(13)이 자석설치부(14)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스탠드부착구(30)는 저면에 상부자석(15)의 자력에 의해 탈부착되는 자성체(31)가 설치된 본체(32)가 구비되고, 이 본체(32)의 상부에는 가위(4) 및 집게(5)의 하측 손잡이부(4a,5a) 저면에 부착되는 부착날개부(33)가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위 및 집게가 구비된 스탠드 {A stand with scissors and tongs}
본 고안은 가위 및 집게의 하부에 각각의 스탠드를 설치하여 가위 및 집게가 식탁 등의 바닥면에 닿지 않도록 하는 스탠드가 구비된 가위 및 집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위와 집게의 하부에 스탠드를 개별적으로 각각 설치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하며, 각각의 스텐드는 자석에 의해 서로 탈부착되게 함으로써, 가위 및 집게가 바닥면에 닿지 않아 위생적으로 음식을 먹을 수 있게 하고, 가위와 집게가 부착된 상태로 한곳에 놓여서 가위와 집게를 쉽게 찾아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한민국에서는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집게로 고기를 비롯한 각종 음식을 집은 상태에서 가위로 절단하는 경우가 많다.
위와 같이 집게로 음식물을 집어서 가위로 절단하면 집게와 가위에 음식물의 양념이나 국물 등이 묻게 되는데, 그 집게와 가위를 식탁에 그냥 내려놓으면 가위 및 집게의 선단부가 식탁에 닿으면서 그 들의 선단부와 식탁이 오염되어 통에 가위 및 집게를 꼽아 보관하였으나, 통의 내부가 비위생적일 경우 음식을 먹는 사람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가위를 세워둘 수 있는 특허가 등록되어 알려지고 있는데, 상기 종래의 발명(특허등록 제10-1320190호)은 그 청구범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잡이가 각각 연결된 두 개의 날이 회전축으로 교차되는 가위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어느 한 손잡이에는 탁자 위에 안착되는 받침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두 개의 날이 탁자 위에 닿지 않도록 받치며,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탁자 위에 세워진 두 개의 날이 쓰러지지 않도록 균형을 유지하는 균형추를 구비하되, 상기 받침대의 바닥면에는 두 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홈이 길게 형성되어 균형추가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하부측 손잡이에 받침대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받침대의 바닥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홈에 균형추가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었는데, 종래의 스탠드가위(일본 카이사에서 제작한 카이 스탠드가위)처럼 스탠드 가위의 하부측 손잡이의 하부에 오리발 형태의 받침대만 형성하면 되는 것을, 받침대의 바닥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장홈을 형성하고 그 장홈에 균형추가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불필요한 구성만 추가하였다.
이는 불필요한 구성이 추가됨에 따라 생산단가만 상승되고 그 장홈과 전후 이동되는 균형추 부분에 이물질이 끼고 곰팡이가 생기는 등의 비위생적인 문제를 포함하고 있었다.
무엇보다 음식을 절단할 때, 한 손으로 잡은 집게로 절단할 음식물을 집어 들고 다른 손으로 잡은 가위로 음식물을 절단하므로 집게와 가위가 항상 함께 사용되고 있는 것이 현재 대한민국에서의 실정이다.
그런데, 종래발명과 종래의 카이 스탠드가위는 세워지는 가위만 있을 뿐 집게는 종래의 일반적인 것을 그대로 사용함에 따라 집게의 선단부에 묻은 음식물의 양념이나 국물이 식탁을 오염시키고, 집게의 선단부가 통이나 식탁에 닿아서 비위생적인 문제가 있고, 가위 및 집게를 개별적으로 식탁에 내려놓아야 하는데 식탁에는 여러 종류의 음식이 담긴 다수의 용기들이 놓여져서 비좁은 식탁에서 가위 및 집게를 내려놓을 여유 공간이 별로 없어서 종래의 가위 및 집게를 개별적으로 식탁에 내려놓는 것에 곤란함이 있는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특허등록 제10-1320190호(발명의 명칭 : 가위)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위 및 집게와 그 하부에 각각의 스탠드(=2개의 스탠드)가 스탠드 착탈수단에 의해 분리 결합될 수 있게 함으로써, 식탁에 놓인 여러 가지의 음식과 함께 놓인 가위 및 집게를 쉽게 찾아서 간편하게 사용한 뒤에 가위 및 집게를 각각의 스탠드에 설치된 자석의 자력으로 부착하여 식탁에 내려놓고 다음 사용 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며, 스탠드와 가위 및 집게를 분리하여 세척을 용이하게 하고, 가위 및 집게를 스탠드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음식을 잡고 자르므로 스탠드가 거추장스럽지 않게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삭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위 및 집게의 하측 손잡이부의 하부에 스탠드(=2개의 스탠드)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스탠드는 식탁 등의 상면에 놓여지는 베이스판의 상면에 가위 및 집게의 하측 손잡이부가 놓여지는 수직블럭이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며, 이 베이스판의 일측면에는 서로 마주 대하는 스탠드를 탈부착시키기 위한 수직블럭의 측면에 측면자석이 자석설치부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가위 및 집게의 하측 손잡이부와 각각의 스탠드는 스탠드 착탈수단에 의해 탈부착되게 구성하되, 상기 스탠드 착탈수단은 스탠드의 수직블럭 상부에 상부자석이 각각 설치되고, 가위의 하측 손잡이부 하측에 상기 상부자석에 부착되는 자성체가 설치되고, 집게의 하측 손잡이부가 자성체인 금속으로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가위 및 집게의 하측 손잡이부의 하부에 스탠드(=2개의 스탠드)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스탠드는 식탁의 상면에 올려놓는 스탠드본체와, 가위 및 집게의 하측 손잡이부 하부에 설치하는 스탠드부착구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스탠드본체는 베이스판의 상면에 수직블럭이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수직블럭의 상면에는 스탠드부착구의 저면과 탈부착시키기 위한 상부자석이 설치되며, 베이스판의 일측면에는 서로 마주 대하는 또 다른 스탠드본체를 탈부착 시키기 위한 측면자석이 자석설치부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스탠드부착구는 저면에 상부자석의 자력에 의해 탈부착되는 자성체가 설치된 연질 소재의 본체가 구비되고, 이 본체의 상부에는 가위 및 집게의 하측 손잡이부 저면에 부착되는 부착날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부착날개부와 본체의 경계부가 되는 외측에 홈형태의 목부가 형성되고, 부착날개부의 외측 저면에는 상부절곡홈이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가위 및 집게가 구비된 스탠드는, 가위 및 집게의 선단부가 식탁과 이격되어 그들의 선단부가 식탁 등 주변 물품에 접촉하지 않아 위생적인 효과와, 가위 및 집게의 선단부가 식탁이나 주변 물품에 접촉하지 않음에 따라 그들에 묻은 음식물이 주변을 오염시키지 않는 효과는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다.
집게에 설치된 스탠드와 가위에 설치된 스탠드가 자석에 의해 탈부착되게 함으로써, 식탁에 놓인 여러 가지의 음식과 함께 놓인 가위 및 집게를 쉽게 찾아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와, 본 고안을 사용한 뒤에 가위 및 집게를 부착하여 식탁에 내려놓고 다음 사용 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 그리고 가위 및 집게가 서로 부착되어서 여러 음식이 많이 놓여 있는 식탁의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가위 및 집게와 각각의 스탠드를 분리구성한 뒤에 이들을 착탈식으로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스탠드와 가위 및 집게를 분리하여 세척이 용이한 효과와, 사용자에 따라 스탠드가 손에 닿아서 집게 및 가위의 사용이 거북함을 느끼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각각의 스탠드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가위 및 집게만으로 음식을 잡고 자를 수 있어서 스탠드에 의한 거북함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좌측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의 좌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의 우측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에 포함되는 스탠드의 사시도.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이실시예에 포함되는 스탠드 착탈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삼실시예에 포함되는 스탠드 착탈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사실시예에 포함되는 스탠드 착탈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스탠드에 집게가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스탠드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의 (가)(나)는 도 9에 도시된 스탠드에 포함되는 스탠드부착구의 작용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가위 및 집게가 구비된 스탠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가위 및 집게가 구비된 스탠드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위(4) 및 집게(5)의 하단부에 스탠드(6,6')를 개별적으로 각각 설치하거나 또는 손잡이부와 일체로 형성하여 가위(4) 및 집게(5)가 식탁(미도시) 등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게 설치되게 되고, 그로인하여 가위(4) 및 집게(5)가 식탁 등의 바닥면에 닿지 않게 하여 음식물을 집고 절단하는 가위(4) 및 집게(5)의 선단부가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가위(4) 및 집게(5)를 세로방향으로 세운 상태에서의 가위(4) 및 집게(5)의 하측 손잡이부(4a,5a) 하부에 스탠드(6,6')를 개별적으로 각각 설치하거나, 또는 각각의 하측 손잡이부(4a,5a)와 각각의 스탠드(6,6')를 일체가 되게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스탠드(6,6')는 서로 마주 대한 상태에서 서로 탈부착되는 것으로, 식탁 등의 상면에 놓여지는 베이스판(11,11')의 상면에 가위(4) 및 집게(5)의 하측 손잡이부(4a,5a)가 놓여지는 수직블럭(12,12')이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 베이스판(11,11')의 일측면에는 서로 마주 대하는 스탠드(6,6')를 탈부착시키기 위한 수직블럭(12)의 측면에 측면자석(13,13')이 자석설치부(14,14')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스탠드(6,6')(=2개의 스탠드)는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에 설치된 측면자석(13,13')이 서로 부착되어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하측에 개별적으로 스탠드(6,6')가 설치된 가위(4)와 집게(5)를 측면자석(13,13')의 자력을 이용하여 부착하여 식탁의 상면에 세워놓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가위(4) 및 집게(5)의 하측 손잡이부(4a,5a)와 그들 하측에 설치되는 스탠드(6,6')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나사부재에 의해 설치되거나,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각각의 손잡이부(4a,5a)와 각각의 스탠드(6,6')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이실시예는, 가위(4) 및 집게(5)의 하측에 스탠드(6)가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서로 마주 대하는 스탠드(6,6')가 측면자석(13,13')에 의해 서로 탈부착되는 점에서는 일실시예와 동일하나, 이실시예가 다른 점은 가위(4) 및 집게(5)의 하측 손잡이부(4a,5a)와 각각의 스탠드(6,6')가 스탠드 착탈수단에 의해 탈부착되는 부분만 다른 것이다.
위의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이실시예에 포함되는 스탠드 착탈수단은, 스탠드(6,6')의 수직블럭(14,14') 상부에 가이드홈(16,16')을 형성하고, 가위(4) 및 집게(5)의 하측 손잡이부(4a,5a) 하측에 상기 가이드홈(16,16')에 슬라이드식으로 삽탈되는 가이드부(4b,5b)가 각각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본 고안의 삼실시예의 경우도 가위(4) 및 집게(5)의 하측에 스탠드(6,6')가 개별적으로 각각 설치되고, 서로 마주 대하는 스탠드(6,6')가 측면자석(13,13')에 의해 서로 탈부착되는 점에서는 일, 이실시예와 동일하나, 삼실시예가 다른 점은 가위(4) 및 집게(5)의 하측 손잡이부(4a,5a)와 각각의 스탠드(6,6')가 스탠드 착탈수단에 의해 탈부착되는 부분만 다른 것이다.
위의 도 8에 도시된 삼실시예에 포함되는 2개의 스탠드 착탈수단은, 스탠드(6,6')의 수직블럭(14,14') 상부에 상부자석(15,15')이 각각 설치되고, 가위(4)의 하측 손잡이부(4a) 하측에 상기 상부자석(15)에 부착되는 자성체(4c)가 설치되고, 집게(5)의 하측 손잡이부(5a)가 자성체(5c)인 금속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스탠드(6,6')에 설치된 상부자석(15,15')과 가위(4) 및 집게(5)의 하측 손잡이부(4a,5a)에 구비된 자성체(4c) 및 자성체(5c)가 하측 손잡이부(5a)가 자력에 의해 탈부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7, 8에 도시된 각각의 스탠드(6,6')는 저면에 잡착제나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17)을 이용하여 식탁의 상면 소정위치에 접착시킨 뒤에, 식탁에 접착 고정된 스탠드(6,6')에서 가위(4) 및 집게(5)를 탈부착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본 고안의 사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써, 사실시예의 집게(5)와 가위(4)의 하부에 설치되는 스탠드(6) [집게(5)의 하부에 설치되는 스탠드는 가위(4)의 하부에 설치되는 스탠드(6)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도면 및 도면부호의 설명에 대한 기재는 생략한다]는, 식탁의 상면에 올려놓는 스탠드본체(10)와, 가위(4) 및 집게(5)의 하부에 설치되는 각각의 스탠드부착구(30)로 분리 구성되며, 이들 스탠드본체(10)와 스탠드부착구(30)는 탈부착 수단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탈부착 수단은 자석을 이용하거나, 또는 스탠드본체(10)나 스탠드부착구(30)의 일측에는 "T"형 가이드홈이나, 역삼각형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타측에 상기 각각의 가이드홈에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지는 가이드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한 쌍의 스탠드본체(10)는 식탁 등의 상면에 놓여지는 베이스판(11)의 상면에 가위(4) 및 집게(5)의 하부를 설치하는 수직블럭(12)이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수직블럭(12)의 상면에는 스탠드부착구(30)의 저면과 탈부착시키기 위한 탈부착 수단이 되는 상부자석(15)이 설치되며, 베이스판(11)의 일측면에는 서로 마주 대하는 또 다른 스탠드본체(10)를 탈부착 시키기 위한 수직블럭(12)의 측면에 측면자석(13)이 자석설치부(14)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2개의 스탠드부착구(30)는 저면에 상부자석(15)의 자력에 의해 탈부착되는 자성체(31)가 설치된 본체(32)가 구비되고, 이 본체(32)의 상부에는 가위(4) 및 집게(5)의 하측 손잡이부 저면에 부착되는 부착날개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부착날개부(33)를 포함한 본체(32)는 고무나, 실리콘, 연질합성수지재와 같은 연질 소재로 형성되어 부착날개부(33)에 부착되는 가위(4) 및 집게(5)의 크기와 모양에 맞게 구부려지면서 부착되게 한다.
상기 부착날개부(33)와 본체(32)의 경계부가 되는 외측에 목부(34)를 홈형태로 형성하고, 부착날개부(33)의 양 외측 저면에는 상부절곡홈(35)을 추가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부착날개부(33)가 더 부드럽게 잘 구부려져서 크기와 모양이 다른 가위(4)와 집게(5)의 하부에 잘 부착시킬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삼, 사실시예에서 상기 자성체(4c,5c,31)는 상부자석(15)에 부착되는 금속재나 또 다른 자석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일실시예는, 가위(4) 및 집게(5)의 하측 손잡이부(4a,5a) 하부에 스탠드(6,6')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데, 스탠드(6,6')가 소정의 높이를 지니고 있어서 가위(4) 및 집게(5)가 세로로 세워진 상태에서 식탁 등의 바닥면과 이격되게 수평 설치된다.
이들 가위(4) 및 집게(5)의 하부에 각각 설치된 스탠드(6,6')는 하부에 평평한 판형태의 베이스판(11,11')이 형성되어 식탁의 상면에 안정되게 놓여지고, 이 베이스판(11,11')의 상부에 소정의 높이를 가진 수직블럭(12,12')이 수직 형성되며, 그 수직블럭(12,12')의 상부에 가위(4) 및 집게(5)의 하부가 각각 설치되어 스탠드(6,6')의 높이만큼 가위(4) 및 집게(5)가 식탁의 상면과 간격을 두어 그 식탁의 상면에 닿지 않게 세워둘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가위(4) 및 집게(5)를 양손에 잡은 상태에서 집게(5)로 절단할 음식물을 집은 상태에서 타측 손으로 잡은 가위(4)로 음식물을 절단할 수 있으며, 가위(4)와 집게(5)의 사용을 마친 뒤에는 가위(4)의 하부에 설치된 스탠드(6)의 측면자석(13)과, 집게(5)의 하부에 설치된 스탠드(6')의 측면자석(13')를 부착시켜서 양측 베이스판(11,11')을 식탁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이렇게 서로 대칭되는 양측 스탠드(6,6')를 측면자석(13,13')의 자력에 의해 부착시킨 상태로 바닥에 놓으면, 가위(4)와 집게(5)는 스탠드(6,6')의 높이만큼 식탁의 상면과 이격되기 때문에 가위(4) 및 집게(5)에 묻은 양념 등이 식탁의 상면에 묻지 않고, 가위(4) 및 집게(5)의 선단부가 식탁의 상면에 접촉하지 않아 위생적인 것이다.
상기 가위(4)와 집게(5)의 하부와 베이스판(11,11') 상면 사이의 간격을 1.5~3c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가위(4)와 집게(5) 사용을 위하여 손으로 잡았을 때, 그 1.5~3cm의 공간으로 손가락이 들어가서 사용상의 편리함을 주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이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써, 이는 가위(4) 및 집게(5)와 그 하측의 스탠드(6,6')가 각각 분리 형성되며, 서로 분리 형성된 가위(4) 및 집게(5)와 그 하측의 스탠드(6,6')를 스탠드 착탈수단에 의해 슬라이드식으로 착탈하는 것이다.
이실시예에서의 스탠드 착탈수단은 가위(4) 및 집게(5)의 하측 손잡이부(4a,5a)에 가이드부(4b,5b)를 형성하고, 스탠드(6,6')의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부(4b,5b)가 슬라이드식으로 삽탈되는 가이드홈(16,1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실시예는 가위(4) 및 집게(5)를 스탠드(6,6')로부터 분리하여 세척이 용이하게 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스탠드(6,6')를 식탁의 소정위치나 그 주변 소정위치에 양면테이프 등의 접착수단(17)을 이용하여 부착 시킨 상태에서 가위(4) 및 집게(5)를 슬라이드식으로 탈부착하면서 그들 가위(4) 및 집게(5)를 사용자가 원하는 바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이실시예의 경우도 양측 스탠드(6,6')를 측면자석(13,13')으로 탈부착하는 것은 동일하며, 위의 설명에서 스탠드(6,6')의 상측에 가이드홈(16,16')을 형성하고 가위(4) 및 집게(5)의 하측 손잡이부(4a,5a)에 가이드부(4b,5b)를 형성한다고 설명하였으나, 가이드홈을 가위(4) 및 집게(5)의 하부에 형성하고 가이드부를 스탠드에 형성해도 무방하다.
도 8에 도시된 삼실시예의 경우도 이실시예와 동일하게 가위(4) 및 집게(5)의 하측과 각각의 스탠드(6,6')를 분리형성하고, 분리 형성된 가위(4) 및 집게(5)의 하측과 각각의 스탠드(6,6')를 스탠드 착탈수단에 의해 탈부착하는 점에서는 이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런데, 삼실시예에서의 스탠드 착탈수단은 자석의 자력에 의해 가위(4) 및 집게(5)의 하측과 각각의 스탠드(6,6')를 탈부착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스탠드(6,6')의 상측에 상부자석(15,15')이 설치되고 가위(4) 및 집게(5)의 하측 손잡이부(4a,5a)에는 상기 상부자석(15,15')과 자력에 의해 탈부착되는 금속과 같은 자성체(4c,5c)나, 자석을 부착하여 서로 탈부착하게 하는 것이다.
다음은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사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써, 이는 가위(4) 및 집게(5)의 하측 손잡이부(4a,5a) 하부에 스탠드부착구(30)를 각각 설치하고, 이 스탠드부착구(30)가 스탠드본체(10)에 자석과 같은 탈부착 수단에 의해 탈부착되게 구성되어 사용을 마친 가위(4) 및 집게(5)를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
사실시예에 포함되는 스탠드(6)는 가위(4) 및 집게(5)에 설치된 스탠드부착구(30)의 자성체(31)를 그에 대응하는 스탠드본체(10)의 수직블럭(12) 상측에 설치된 상부자석(15)에 부착시키면,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가위(4) 및 집게(5)의 하부에 스탠드(6)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스탠드(6)를 이용하여 가위(4) 및 집게(5)를 식탁의 상면에 세워 놓을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한 손으로는 집게(5)를 잡고 타른 손으로는 가위(4)를 잡은 상태에서 절단하려는 가위(4)로 절단하며, 사용을 마친 가위(4)와 집게(5)는 그 하측에 설치된 양측 스탠드(6)의 측면자석(13)을 서로 부착시킨 상태로 식탁을 상면에 안착시킨다.
이 경우에도 평평한 베이스판(11)에 의해 식탁의 상면에 가위(4) 및 집게(5)가 설치된 스탠드(6)를 안정되게 내려놓을 수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측면자석(13)을 부착시켜서 가위(4) 및 집게(5)를 식탁의 상면에 가지런하게 안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사실시예에서 가위(4) 및 집게(5)의 하부에 부착된 각각의 스탠드부착구(30)와 스탠드본체(10)는 수직블럭(12)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자석(15)과 스탠드부착구(30)의 하부에 설치된 자성체(31)를 탈부착하여 설거지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탠드부착구(30)는 부착날개부(33)를 포함한 본체(32)는 고무나, 실리콘, 연질합성수지재와 같은 연질 소재로 형성되어 부착날개부(33)에 부착되는 가위(4) 및 집게(5)의 크기와 모양이 다른 경우에도 그 크기 및 모양에 맞게 구부리면서 양면테이프(36)를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탠드부착구(30)의 양측 부착날개부(33)와 본체(32)의 경계부가 되는 외측에 목부(34)를 홈형태로 형성하고, 양측 부착날개부(33)의 외측 저면에는 상부절곡홈(35)을 추가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부착날개부(33)가 더 부드럽게 잘 구부려져서 크기와 모양이 다른 가위(4) 및 집게(5)의 하측 손잡이부(4a,5a)와 부착날개부(33)를 틈새가 없이 잘 부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가위(4) 및 집게(5)의 하측 손잡이부(4a,5a)와 부착날개부(33) 사이에 틈새가 없이 부착되면, 음식찌꺼기 등의 이물질이 끼지 않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4 : 가위 4a,5a : 하측 손잡이부 4b,5b : 가이드부
4c, 5c, 31 : 자성체 5 : 집게 6 : 스탠드
10 : 스탠드본체 11 : 베이스판 12 : 수직블럭
13 : 측면자석 14 : 자석설치부 15 : 상부자석
16 : 가이드홈 17 : 접착수단 30 : 스탠드부착구
32 : 본체 33 : 부착날개부 34 : 목부
35 : 상부절곡홈 36 : 양면테이프

Claims (5)

  1. 가위 및 집게의 하측 손잡이부의 하부에 스탠드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각각 설치되는 스탠드는 식탁 등의 상면에 놓여지는 베이스판의 상면에 가위 및 집게의 하측 손잡이부가 놓여지는 수직블럭이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며, 이 베이스판의 일측면에는 서로 마주 대하는 스탠드를 탈부착시키기 위한 수직블럭의 측면에 측면자석이 자석설치부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가위 및 집게의 하측 손잡이부와 각각의 스탠드는 스탠드 착탈수단에 의해 탈부착되게 구성하되,
    상기 스탠드 착탈수단은, 스탠드의 수직블럭 상부에 상부자석이 각각 설치되고, 가위의 하측 손잡이부 하측에 상기 상부자석에 부착되는 자성체가 설치되고, 집게의 하측 손잡이부가 자성체인 금속으로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및 집게가 구비된 스탠드.
  2. 삭제
  3. 삭제
  4. 가위 및 집게의 하측 손잡이부의 하부에 스탠드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각 설치되는 2개의 스탠드는 식탁의 상면에 올려놓는 스탠드본체와, 가위 및 집게의 하측 손잡이부 하부에 설치하는 스탠드부착구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각각 설치되는 스탠드본체는 베이스판의 상면에 수직블럭이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수직블럭의 상면에는 스탠드부착구의 저면과 탈부착시키기 위한 상부자석이 설치되며, 베이스판의 일측면에는 서로 마주 대하는 스탠드본체를 탈부착 시키기 위한 수직블럭의 측면에 측면자석이 자석설치부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각각 설치되는 스탠드부착구는 저면에 상부자석의 자력에 의해 탈부착되는 자성체가 설치된 연질 소재의 본체가 구비되고, 이 본체의 상부에는 가위 및 집게의 하측 손잡이부 저면에 부착되는 부착날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부착날개부와 본체의 경계부가 되는 외측에 홈형태의 목부가 형성되고, 부착날개부의 외측 저면에는 상부절곡홈이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및 집게가 구비된 스탠드.
  5. 삭제
KR2020180005177U 2018-08-17 2018-11-13 가위 및 집게가 구비된 스탠드 KR20049153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03842 2018-08-17
KR2020180003842 2018-08-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456U KR20200000456U (ko) 2020-02-26
KR200491535Y1 true KR200491535Y1 (ko) 2020-04-27

Family

ID=69638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177U KR200491535Y1 (ko) 2018-08-17 2018-11-13 가위 및 집게가 구비된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535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3615B2 (ja) * 1991-03-27 2001-06-04 東洋紡績株式会社 血液適合性材料
JP3199142U (ja) * 2015-05-27 2015-08-06 武生特殊鋼材株式会社 包丁置き台
KR101792459B1 (ko) * 2017-02-20 2017-10-31 유나경 선택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피절단물받이부가 구비된 음식물 절단용 가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190B1 (ko) * 2011-09-29 2013-10-23 김우식 가위
JP3173615U (ja) * 2011-12-01 2012-02-09 アーネスト株式会社 載置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3615B2 (ja) * 1991-03-27 2001-06-04 東洋紡績株式会社 血液適合性材料
JP3199142U (ja) * 2015-05-27 2015-08-06 武生特殊鋼材株式会社 包丁置き台
KR101792459B1 (ko) * 2017-02-20 2017-10-31 유나경 선택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피절단물받이부가 구비된 음식물 절단용 가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456U (ko)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97628A1 (en) Utensils with integrated stand
US8418971B2 (en) Utensil holding kit
KR200491535Y1 (ko) 가위 및 집게가 구비된 스탠드
KR101320190B1 (ko) 가위
US9192258B2 (en) Serving utensils
KR200451342Y1 (ko) 김밥 절단기
JP3153524U (ja) 箸保持具
US10856699B2 (en) Cutting board
CN105193207A (zh) 一种传菜托盘
US20170202383A1 (en) Elevated utensil
KR20090001851U (ko) 손잡이 식판
PT106945B (pt) Utensílio que permite segurar e cortar alimentos com uma só mão
USD726512S1 (en) Serving utensil gripper
KR20160084610A (ko) 주방용 다용도 거치대
KR20130006657U (ko) 접시
JP3161311U (ja) 食材支持具
KR200380935Y1 (ko) 위생 수저 받침대
US20180042416A1 (en) Sanitary Utensil
KR20150144733A (ko) 집게부가 바닥면과 이격된 음식물 집게
CN210581955U (zh) 一种防滑的餐具组合
KR20150000463U (ko) 숟가락과 포크의 위생구조
CN209807912U (zh) 一种新型多功能筷子
KR102223747B1 (ko) 헤드업 위생 젓가락
CN102940427A (zh) 一种餐具
KR20170001148U (ko) 수저받침대 일체형 위생 젓가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