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148U - 수저받침대 일체형 위생 젓가락 - Google Patents

수저받침대 일체형 위생 젓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148U
KR20170001148U KR2020150006280U KR20150006280U KR20170001148U KR 20170001148 U KR20170001148 U KR 20170001148U KR 2020150006280 U KR2020150006280 U KR 2020150006280U KR 20150006280 U KR20150006280 U KR 20150006280U KR 20170001148 U KR20170001148 U KR 201700011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
support portion
chopsticks
food hold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2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긍
Original Assignee
이태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긍 filed Critical 이태긍
Priority to KR20201500062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148U/ko
Publication of KR201700011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14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젓가락의 음식물 파지부분과 손잡이부분 사이에, 식탁 위에 놓일 수 있는 각각의 접지면과 각 접지면을 각지게 연결하는 각진 부분을 구비한, 중앙부를 포함하는 젓가락 받침부분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젓가락의 음식물 파지부분이 식탁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으로 젓가락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수저받침대 일체형 위생 젓가락 {Integrated hygienic chopsticks spoon rest}
본 고안은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젓가락에 있어서, 금속봉 형태의 음식물을 집는 음식물 파지부분과 손잡이부분 사이에 젓가락 받침부분을 일체로 형성하고, 추가적으로 손잡이부분에 젓가락 받침부분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젓가락의 음식물 파지부가 식탁에 직접 닿지 않는 위생적인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젓가락은 긴 막대 형태의 본체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손잡이 부분과 음식물을 집는 음식물 파지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음식물을 섭취를 위해 젓가락을 사용하는 경우, 음식물과 접촉됨으로써 젓가락의 단부, 즉, 음식물 파지부분에 붙어 있던 음식물이 식탁으로 옮겨져 달라붙게 되고, 또한, 식탁에 있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젓가락에 묻게 되어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젓가락의 음식물 파지부분과 손잡이부분 사이에 젓가락받침부분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젓가락의 음식물파지부분이 식탁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인 젓가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음식물 파지부분과 손잡이부분을 구비하고, 종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된 봉 형상의 본체를 구비한 젓가락에 있어서, 상기 젓가락은 상기 음식물파지부분과 상기 손잡이부분 사이에 젓가락 받침부분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젓가락 받침부분은, 본체 중앙의 부분둘레에서 일정 폭을 구비해 형성되고, 본체의 가로 직경방향에 수평하게 상면과 하면에서 각각 서로 대칭되도록 마련된 접지면과, 상면과 하면에 각각 마련된 상기 접지면을 본체의 세로 직경방향에 대응되는 양 측면에서 각지게 연결하는 각진 부분을 포함하는 중앙부분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본 고안에 따르면, 젓가락의 음식물 파지부분과 손잡이부분 사이에, 식탁 위에 놓일 수 있는 각각의 접지면과 각 접지면을 각지게 연결하는 각진 부분을 구비한, 중앙부를 포함하는 젓가락 받침부분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젓가락의 음식물파지부분이 식탁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으로 젓가락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젓가락 받침부분 이외에 식탁 위에 놓일 수 있는 각각의 접지면과 각 접지면을 각지게 연결하는 각진 부분을 구비한, 지지부분을 포함하는 젓가락 받침부분을 젓가락의 손잡이부분 끝단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젓가락의 음식물 파지부분이 식탁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으로 젓가락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젓가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젓가락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젓가락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젓가락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젓가락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젓가락의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젓가락은, 본체(20)와 상기 본체(20)에 일체로 형성된 젓가락 받침부분(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20)는 종단면이 타원형인 금속봉 형태로서 양 단부에 음식물을 집는 음식물 파지부분(30)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젓가락 받침부분(10)는 상기 음식물 파지부분(30)와 손잡이부분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의 가로 직경 방향에 대해 수평하게 상면과 하면에서 각각 서로 대칭, 상면과 하면에 각각 마련된 상기 접지면(50)을 본체(20)의 세로 직경 방향에 대응되는 양 측면에서 각지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각진 부분(40)는 종단면이 타원형인 본체(20)에 있어서, 사용자가 젓가락의 각진 부분(40)가 식탁 위에 접지, 상기 젓가락 받침부분(10)의 상기 접지면(50)이 식탁 위에 놓이게 한다.
따라서, 종단면이 타원형인 젓가락본체(20)에 있어서, 음식물을 집기 위해 음식물과 접촉 면적이 넣은 부분, 즉, 가로 직경이 긴 부분이 항상 식탁 위에 수평하게 놓이게 되므로, 젓가락과 식탁 사이의 공간이 확보되어 젓가락의 음식물 파지부분(30)가 식탁에 닿지 않아 위생적이다.
한편, 상기 각진 부분(40)의 구배도는, 식탁 위에 놓인 젓가락이 젓가락의 가로 직경 방향과 수평이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양 접지면(50)은 젓가락의 가로 직경 방향에 대해 수평을 유지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젓가락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젓가락은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젓가락과 비교해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젓가락 받침부분(10), 젓가락의 음식물 파지부분(30) 및 손잡이부분이 식탁에 닿지 않아 보다 위생적으로 젓가락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젓가락 받침부분(1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젓가락을 보다 용이하게 잡을 수 있게 된다.
10 : 젓가락 받침부분
20 : 본체
30 : 음식물 파지부분
40 : 각진 부분
50 : 접지면

Claims (3)

  1. 음식물파지부분과 손잡이부분을 구비하고, 종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된 봉 형상의 본체를 구비한 젓가락에 있어서, 상기 젓가락은 상기 음식물파지부분과 상기 손잡이부분 사이에 젓가락 받침부분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젓가락 받침부분은, 본체 중앙의 외부둘레에서 일정 폭을 구비해 형성되고, 본체의 가로 직경방향에 수평하게 상면과 하면에서 각각 서로 대칭되도록 마련된 접지면과, 상면과 하면에 각각 마련된 상기 접지면을 본체의 세로 직경방향에 대응되는 양 측면에서 각지게 연결하는 각진 부분을 포함하는 중앙부를 특징으로 하고 있는 젓가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젓가락은 상기 손잡이부의 끝단에 젓가락 받침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젓가락 받침부분은, 손잡이부의 외부둘레에서 일정폭을 구비해 형성되고, 본체의 가로 직경방향에 수평하게 상면과 하면에서 각각 서로 대칭되도록 마련된 접지면과 상면과 하면에 각각 마련된 상기 접지면을 본체의 세로 직경방향에 대응되는 양측면에서 각지게 연결하는 각진 부분을 포함하는 지지부분 및 상기 지지부분의 길이방향의 일단에서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본체의 외면까지 연결,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의 타단은 외면이 상기 지지부의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수직면으로 형성된 젓가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양 접지면 사이의 높이는 상기 중앙부의 양 접지면 사이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젓가락.
KR2020150006280U 2015-09-21 2015-09-21 수저받침대 일체형 위생 젓가락 KR2017000114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280U KR20170001148U (ko) 2015-09-21 2015-09-21 수저받침대 일체형 위생 젓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280U KR20170001148U (ko) 2015-09-21 2015-09-21 수저받침대 일체형 위생 젓가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148U true KR20170001148U (ko) 2017-03-29

Family

ID=58496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280U KR20170001148U (ko) 2015-09-21 2015-09-21 수저받침대 일체형 위생 젓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14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17746B2 (en) 2019-12-31 2022-05-03 Fred Hsu Chopstick buddi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17746B2 (en) 2019-12-31 2022-05-03 Fred Hsu Chopstick buddi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97628A1 (en) Utensils with integrated stand
KR20170001148U (ko) 수저받침대 일체형 위생 젓가락
KR101903942B1 (ko) 숟가락 반지
CN106037545A (zh) 一种新型防烫夹
JP5408594B1 (ja) 表裏に梃子支点を有する両面衛生洋食具
KR20190139100A (ko) 탈착 가능한 받침대가 결합된 일체형 숟가락
CN202665089U (zh) 便于搁放的饭勺
US20180042416A1 (en) Sanitary Utensil
KR20180000188U (ko) 숟가락
KR200484638Y1 (ko) 청결유지가 가능한 양식기
KR20150000463U (ko) 숟가락과 포크의 위생구조
TWI764577B (zh) 食具結構
KR102223747B1 (ko) 헤드업 위생 젓가락
TWM484368U (zh) 筷子
KR20120017121A (ko) 젓가락
TWM537857U (zh) 餐用器具改良結構
KR20130137869A (ko) 조리도구
TWM465094U (zh) 食物容器結構改良
TWM551880U (zh) 湯匙餐具改良結構
KR200317777Y1 (ko) 지지대가 형성된 식사도구
CN201337257Y (zh) 一种筷子架
TWM493337U (zh) 多功能餐具
KR200432440Y1 (ko) 위생 취식 도구
KR20140008203A (ko) 위생 젓가락
KR20170001086U (ko) 지지대를 갖는 가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