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481Y1 - 피부 미용기기 - Google Patents

피부 미용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481Y1
KR200491481Y1 KR2020180003216U KR20180003216U KR200491481Y1 KR 200491481 Y1 KR200491481 Y1 KR 200491481Y1 KR 2020180003216 U KR2020180003216 U KR 2020180003216U KR 20180003216 U KR20180003216 U KR 20180003216U KR 200491481 Y1 KR200491481 Y1 KR 2004914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lotion
injection
uni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2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168U (ko
Inventor
김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멜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멜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멜론
Priority to KR20201800032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481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1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1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4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4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75Nozzle arrangements in gas str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93At least a part of the apparatus, e.g. a container, being provided with means, e.g. wheels or casters for allowing its displacement relative to the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02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05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using an atomising fluid as carrying fluid for feeding, e.g. by suction or pressure, a carried liquid from the container to the nozzle
    • B05B7/2408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using an atomising fluid as carrying fluid for feeding, e.g. by suction or pressure, a carried liquid from the container to the nozzle characterised by the container or its attachment means to the spray apparatus
    • B05B7/241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using an atomising fluid as carrying fluid for feeding, e.g. by suction or pressure, a carried liquid from the container to the nozzle characterised by the container or its attachment means to the spray apparatus the container being pressuri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02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78Gun with a container which, in normal use, is located above the gu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7Spray nozzles; Generating atomised liquid

Landscapes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부 미용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 시술자의 피부에 분무되는 화장수의 침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화장수를 안개 분부하여 피부의 피지와 노폐물을 제거하고 수분과 영양을 채워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장수가 분사되는 분사부의 마개가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공기가 분사되는 작동부로부터 분리 가능함으로써 서로 다른 종류사의 화장수가 담겨있는 분사부를 마련해 화장수 별로 분사부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피부 미용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분사부와 작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피부 미용기기{SKIN CARE DEVICE}
본 고안은 피부 미용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 시술자의 피부에 분무되는 화장수의 침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화장수를 안개 분부하여 피부의 피지와 노폐물을 제거하고 수분과 영양을 채워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장수가 분사되는 분사부의 마개가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공기가 분사되는 작동부로부터 분리 가능함으로써 서로 다른 종류사의 화장수가 담겨있는 분사부를 마련해 화장수 별로 분사부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피부 미용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는 연령이나 환경, 계절 등에 영향을 받아 그 상태가 일정하지 않으며, 땀과 피지에 의해 자연 방어 작용이 부족하여 화장품을 통해 피부에 영양분을 보충하거나 방어 작용을 도와야 한다.
즉, 피부의 탄력 관리를 넘어 문제성 피부인 여드름, 검버섯, 기미, 색소성 병변 등과 같은 다양한 피부 질환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성분으로 구성된 약제(이하, 화장수라 통칭)를 피부에 도포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화장수는 산성이나 알칼리성 또는 중성 피부에 사용되는 세 가지 계통으로 대별되며, 산성 화장수는 땀과 피지의 분비가 왕성한 젊은 피부에 사용되고 알칼리성 화장수는 노화가 시작되는 중년의 피부에 사용되어 피부의 부드러움과 탄력성, 윤택성을 유지하고, 중성 화장수는 정상적인 건강한 피부에 사용된다.
또한, 피부 영양을 위한 다양한 화장수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피부에 화장품을 바라는 방법으로는 일단 화장수를 손에 바르고, 손에 있는 화장수를 얼굴 등에 바름과 동시에 문질러 피부의 표면에 화장수를 침투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하지만, 상기 제시한 방법과 같이 액체 상태의 화장수를 피부에 발라 문지르게 되면 액체 형태로 이루어진 화장수의 입자 크기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치부 침투가 순조롭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오늘날 피부 미용에 관심이 많아짐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화장품들이 개발되고 있고, 그 중에서도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한 스프레이 화장품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스프레이 방식의 화장품들은 미스트 제형의 화장수 조성물을 소형의 고압용기에 압축가스와 함께 수용되어 있어 사용자가 필요시 밸브를 개방하여 피부로 화장수를 분사하는 방식이거나, 혹은 고압가스와 화장수를 별도의 용기에 저장한 상태에서 고압가스가 분출될 때 그 압력차를 이용하여 화장수가 분출되도록 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화장수가 담겨있는 별도의 용기는 고압가스가 담긴 용기가 구비되며 분사가 이루어지는 분사장치의 일측에서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것으로 별도의 마개없이 그대로 분사장치와 결합하는 것입니다.
즉, 용기에 화장수를 담은 후 그대로 분사장치와 결합해 사용하기 때문에 분리된 용기를 밀폐할 마개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아 다른 화장수를 사용해야 할 경우 용기 안에 화장수를 버리고 다른 화장수를 담아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고, 화장수가 낭비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25130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48281호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피 시술자의 피부에 분무되는 화장수의 침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화장수를 안개 분부하여 피부의 피지와 노폐물을 제거하고 수분과 영양을 채워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장수가 분사되는 분사부의 마개가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공기가 분사되는 작동부로부터 분리 가능함으로써 서로 다른 종류사의 화장수가 담겨있는 분사부를 마련해 화장수 별로 분사부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피부 미용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작동부와 분사부의 결합주고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큰 힘을 들이지 않고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여 사용이 용이한 피부 미용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분사부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됨으로써 화장수를 끝까지 다 사용할 수 있는 피부 미용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공기를 압축해 제공하는 본체 및 제공받은 공기와 함께 화장수를 분사하는 분사장치를 포함하는 피부 미용기기에 있어서, 상기 분사장치는 작동버튼의 동작에 따라 상기 본체에서 제공되는 공기를 분사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와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며, 작동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음압으로 화장수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는 상기 작동부의 선단에서 위치하되, 내부로 인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공기 배출부; 및 상기 공기 배출부의 후단에서 하부에 형성되며 말굽형태로 이루어지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마개의 상단에 위치하되, 내부로 인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화장수 분사부; 상기 마개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화장수 분사부의 일부 둘레가 노출되도록 상기 마개의 측면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삽입부;을 포함하며, 상기 말굽형태의 홀더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수용공간에서 노출된 상기 화장수 분사부의 둘레를 감싸면서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 압축기; 상기 공기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는 압축공기 저장부; 노즐과 연결되며, 상기 압축공기 저장부의 공기를 토출시키는 제1 공압포트; 및 상기 공압포트의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노즐과 연결되며 상기 제1 공압포트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유입하는 제2 공압포트; 상기 제2 공압포트와 연통되도록 상기 작동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공압포트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 배출부로 안내하는 공기 배출라인; 및 상기 공기 배출부의 둘레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되, 상기 공기분사구의 상부 부분은 상기 공기 배출부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분사 유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사부는 화장수가 담기는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의 상부를 덮는 마개는 용기의 내부에 위치되며 내부로 인입된 상기 화장수 분사부와 연결되어 상기 용기에 담긴 화장수 배출을 유도하는 화장수 공급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홀더는 상기 공기 배출부의 후단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단턱부; 및 상기 단턱부의 하부에 부착 고정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서 상기 공기 배출부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노출된 화장수 분사부를 삽입해 감쌀 수 있도록 전단이 일정반경 절개되고 수직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되어 말굽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부와 접하는 후단이 상기 중공부 보다 좁은 폭으로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되어 탄성을 가질 수 있는 클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삽입부는 상기 받침부 및 단턱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마개에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면과 일치되도록 상기 마개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 및 클립부가 안착되는 안착면; 상기 단턱부의 측면과 접하도록 상기 단턱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면; 상기 안착면과 상기 결합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받침부의 측면과 접하도록 상기 받침부의 측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밀폐홈;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와 클립부는 상기 안착면에 안착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단턱부는 상기 결합면과 접하여 상기 분사부와 상기 작동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피 시술자의 피부에 분무되는 화장수의 침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화장수를 안개 분부하여 피부의 피지와 노폐물을 제거하고 수분과 영양을 채워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장수가 분사되는 분사부의 마개가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공기가 분사되는 작동부로부터 분리 가능함으로써 서로 다른 종류사의 화장수가 담겨있는 분사부를 마련해 화장수 별로 분사부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작동부와 분사부의 결합주고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큰 힘을 들이지 않고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여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셋째, 분사부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됨으로써 화장수를 끝까지 다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수용공간을 사이에 두고 제1 공기유입구멍과 제2 공기유입구멍이 형성됨으로써, 제1 공기유입구멍과 제2 공기유입구멍의 세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다섯째, 홀더와 삽입부가 밀폐되어 결합됨으로써 제1 공기유입구멍으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고 제2 공기유입구멍을 통해 용기로 유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피부 미용기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피부 미용기기의 분사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피부 미용기기의 작동부를 내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피부 미용기기의 분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피부 미용기기의 분사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피부 미용기기의 분사부의 공기 유입구멍에서 용기로 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보여주는 확대도 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피부 미용기기의 분사장치에서 공기 및 화장수가 분사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피부 미용기기의 본체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몰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피부 미용기기(1)기는 공기를 압축하고 압축된 공기를 제공하는 본체(400) 및 제공받은 공기를 이용해 공기와 화장수를 함께 분사하는 분사장치(10)를 포함하고 있다.
먼저 분사장치(1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분사장치(10)는 작동부(200) 및 분사부(1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작동버튼(210)의 동작에 따라 상기 본체(400)에서 제공되는 공기를 선단에 마련된 공기 배출부(220)를 통해 분사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작동부(200)는 노즐(500)에 의해 상기 본체(400)와 연결되어 압축된 공기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엄지와 검지 손가락으로 감싸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 사이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손에 파지되도록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전단보다 후단이 높은 위치에 있도록 휘어진 형태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작동부(200)는 작동버튼(210), 공기 배출부(220), 제2 공압포트(230), 공기 배출라인(240), 분사 유도부(250) 및 홀더(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버튼(210)은 상기 작동부(200)를 손에 파지하였을 때 검지 손가락의 끝으로 쉽게 누를 수 있도록 상기 작동부(200)의 전부 상단에 위치될 수 있고, 제2 공압포트(230)는 상기 작동부(200)의 전부 하단에 위치되어 상기 노즐(500)과 연결되어 상기 본체(400)에서 제공하는 공기가 유입되며, 상기 작동부(200)의 내부에서 상기 작동버튼(21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배출부(220)는 상기 작동버튼(210)의 동작에 따라 상기 본체(400)에서 제공되는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작동부(200)의 선단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공기 배출라인(240)은 상기 제2 공압포트(230)와 연통되도록 상기 공기 토출구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공압포트(230)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분사되도록 유도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분사 유도부(250)는 상기 공기 배출부(220)의 둘레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되, 상기 공기 배출부(220)의 상부 부분은 상기 공기 배출부(220)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분사되는 공기가 상부로 퍼지지 않고 전방으로만 분사될 수 있게 유도하는 것이다.
또한, 분사부(100)는 상기 작동부(200)와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에 마련되는 화장수 분사부(110)의 끝단이 상기 공기 배출부(220)의 하부 끝단과 수직방향으로 위치되어 상기 작동부(200)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음압으로 화장수를 분사할 수 있다.
이러한 분사부(100)는 화장수 분사부(110), 화장수가 담기는 용기(120) 및 마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120)는 화장수를 담을 수 있는 일반적인 용기(120)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마개(130)는 상기 용기(120)의 상부에서 결합되며 화장수 분사부(110)는 마개(130)의 상단에 위치하되, 내부로 인입되어 고정된 형태일 수 있고, 상기 용기(120)에 담긴 화장수의 배출을 위한 화장수 공급관(140)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화장수 공급관(140)은 내부로 인입된 상기 화장수 분사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화장수 분사부(110)는 상기 마개(13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이며, 상기 마개(130)의 하부에 형성된 화장수 공급관(140)과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이렇게 수평방향으로 위치되는 작동부(200)와 상기 작동부(200)에 수직방향으로 위치되는 분사부(100)는 서로 결합 및 분리 될 수 있다.
상기 분사장치(10)의 결합 및 분리를 위해 상기 작동부(200)에는 상기 공기 배출부(220)의 후단에서 하부에 형성되며 말굽형태로 이루어지는 홀더(300)가 형성되고, 상기 분사부(100)는 상기 마개(130)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화장수 분사부(110)의 일부 둘레가 노출되도록 상기 마개(130)의 측면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수용공간(151)을 포함하는 삽입부(15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50)는 상기 받침부(330) 및 단턱부(320)를 지지하도록 상기 마개(130)에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수용공간(151)의 하부면과 일치되도록 상기 마개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330) 및 클립부(340)가 안착되는 안착면(152)와, 상기 단턱부(320)의 측면과 접하도록 상기 단턱부(320)와 동일한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면(153)과, 상기 안착면(152)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안착면(153)과 상기 결합면(153)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330)의 측면과 접하도록 상기 받침부(330)의 측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밀폐홈(15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폐홈(154)은 상기 수용공간(151)에서 연장되는 부분으로 상기 받침부(330)이 상기 밀폐홈(154)에 결합되고, 상기 단턱부(320)가 결합면(153)과 결합됨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151)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제1 공기유입구멍(170)으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제2 공기유입구멍(180)을 통해 용기(120)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말굽형태의 홀더(300)가 상기 수용공간(151)으로 삽입되고 상기 수용공간(151)에서 노출된 상기 화장수 분사부(110)의 둘레를 감싸면서 끼움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피 시술자의 피부에 분무되는 화장수의 침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화장수를 안개 분부하여 피부의 피지와 노폐물을 제거하고 수분과 영양을 채워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장수가 분사되는 분사부(100)의 마개(130)가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공기가 분사되는 작동부(200)로부터 분리 가능함으로써 서로 다른 종류사의 화장수가 담겨있는 분사부(100)를 마련해 화장수 별로 분사부(100)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홀더(300)는 상기 공기 배출부(220)의 후단 그리고 상기 제2 공압포트(230)의 전단, 즉 상기 공기 배출부(220)와 제2 공압포트(230) 사이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지지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310)는 작동부(200)를 손으로 감싸 파지하였을 때 중지 손가락이 상기 제2 공압포트(230)를 감싸면서 상기 지지부(310)와 상기 제2 공압포트(2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데, 상기 제2 공압포트(230)를 감싸 구부러지는 중지 손가락이 지지부(310)에 안정적으로 닿을 수 있게 상기 지지부(310)는 곡선의 형태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310)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단턱부(320)와, 상기 단턱부(320)의 하부에 부착 고정되는 받침부(330) 및 상기 받침부(330)에서 연장 형성되는 클립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턱부(320)는 전면이 곡선의 형태로 이루어 질 수 있고, 상기 받침부(330)는 대력적으로 사각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클립부(340)는 상기 받침부(330)에서 상기 공기 배출부(220)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51)으로 노출된 화장수 분사부(110)를 삽입해 감쌀 수 있도록 전단이 일정 반경 절개되고 수직방향으로 중공부(341)가 형성되어 말굽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부(330)와 접하는 후단이 상기 중공부(341) 보다 좁은 폭으로 절개된 절개홈(342)이 형성되어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클립부(340)는 절개홈(342)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클립부(340)가 상기 수용공간(151) 안에서 외부로 노출된 화장수 분사부(110)를 감싸며 결합되고 상기 받침부(330)와 클립부(340)가 안착면(152)에 안착되고 상기 단턱부(320)가 상기 결합면(153)과 접하여 상기 홀더(300)와 상기 삽입부(150)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작동부(200)와 상기 분사부(100)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마개(130)에는 제1, 2 공기유입구멍(170, 18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151)의 상부 부분에 제1 공기유입구멍(170)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 부분에 제2 공기유입구멍(18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개(130)의 상부를 관통하고 수용공간(151)을 상기 용기(120)와 연통되도록 상기 받침부(330)에 공기유입구멍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유입구멍은 상기 클립부(340)에 형성된 절개홈(342)에 의해 연통되는 것이다.
즉, 작동버튼(210)을 눌러 화장수와 공기가 함께 분사될 때 상기 용기(120)의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지 않도록 제1 공기유입구멍(170)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절개홈(342)을 지나 상기 제2 공기유입구멍(180)을 통해 상기 용기(120)의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화장수가 화장수 공급관(140)을 통해 원활하게 제공되어 분사될 수 있다.
따라서, 분사부(100)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됨으로써 화장수를 끝까지 다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공기유입구멍(170) 및 제2 공기유입구멍(180)이 수용공간(151)을 사이에 두고 형성됨에 따라, 화장수를 지속적으로 사용해 공기유입구멍이 막혔을 경우 쉽게 제1, 2 공기유입구멍(170, 180)을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분사장치(10)에 공기를 제공하는 본체(400)는 함체 및 뚜껑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함체는 제1 함체(410), 제1 함체(4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함체(420), 제2 함체(420)에 끼움 결합되는 제3 함체(430) 및 제3 함체(430)에 끼워지는 제4 함체(4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함체(4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공간에는 공기 압축기(411), 압축공기 저장부(412), 제1 공압포트(413) 및 전원부(4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압축기(411)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공기를 압축하는 것이고, 상기 압축공기 저장부(412)는 상기 공기압축기(411)로부터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는 곳이며, 상기 제1 공압포트(413)는 노즐(500)과 연결되며 상기 압축공기 저장부(412)의 공기를 토출시키는 것이며, 상기 전원부(414)는 상기 제1 공압포트(413)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 함체(420) 및 제3 함체(430)는 상기 제1 함체(41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있는 공기압축기(411), 압축공기 저장부(412)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제1 함체(41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이며, 제4 함체(440)는 상기 제3 함체(430)에 형성된 공간에 끼워지고, 상기 분사장치(10) 및 노즐(500)을 수용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함체(410) , 제2 함체(420) , 제3 함체(430)는 분리되지 않고, 상기 제4 함체(440)는 상기 제3 함체(430)에서 분리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1 함체(410)에 구비되어 있는 제1 공압포트(413) 및 전원부(414)는 사용자가 노즐(500)과 연결하고 전원을 켜 사용할 수 있도록 상부에 위치되는 제3 함체(43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제1 공압포트(413)와 전원부(414)의 노출을 위해 상기 제2 함체(420)와 제3 함체(430)에는 상기 제1 공압포트(413)와 전원부(414)가 관통되는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460)은 상기 함체의 일측과 힌지(470)결합되어 있그며, 상기 뚜껑과 상기 함체는 별도의 개폐장치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뚜껑의 내부에는 거울(450)이 부착될 수 있다.
이렇게 본체(400)와 분사장치(10)로 이루어지는 피부 미용기(120)기의 사용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본체(400)의 제4 함체(440)에 결합된 상태로 들어있는 분사장치(10)의 분사부(100)와 작동부(200)를 꺼내고 용기(120)에 필요한 화장수를 담아 마개(130)와 결합하고, 노즐(500)을 제1 공압포트(413)와 제2 공압포트(230)에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사부(100)가 마개(1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작동부(200)와 분리가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다수의 분사부(100)를 마련하고 분사부(100)에 각기 다른 성분의 화장수를 담아 필요한 경우 즉시 분사부(100)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준비가 된 상태에서 전원부(414)를 눌러 피부 미용기(120)기를 작동시키면 공기압축기(411)에서 공기를 압축하고 압축된 공기를 압축공기 저장부(412)에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작동부(200)의 작동버튼(210)을 누르게 되면 상기 압축공기 저장부(412)의 공기가 제1 공압포트(413), 노즐(500) 그리고 제2 공압포트(230)를 거쳐 작동부(200)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공압포트(230)와 상기 공기 배출부(220)에 형성된 공기 배출라인(240)은 서로 연통된 상태일 수 있으며, 상기 공기 배출라인(240)을 통해 전방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 배출부(220)에서 형성되는 음압으로 인해 상기 화장수 분사부(110)로 화장수가 토출되어 상기 공기와 함께 미스트 형태로 뿌려서 사용자의 피부에 흡수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다른 화장수의 사용을 원할 경우 작동버튼(210)을 누르지 않은 상태로 상기 분사부(100)재를 상기 작동부(200)재와 분리하고 다른 화장수가 담긴 분사부(100)재의 삽입부(150)에 상기 작동부(200)의 홀더(300)를 삽입하여 클립부(340)로 수용공간(151)에 의해 노출된 화장수 분사부(110)의 둘레를 감싸 끼움결합한 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피부 미용기기 : 1 분사장치 : 10
분사부 : 100 작동부 : 200
홀더 : 300 본체 : 400

Claims (5)

  1. 공기를 압축해 제공하는 본체 및 제공받은 공기와 함께 화장수를 분사하는 분사장치를 포함하는 피부 미용기기에 있어서,
    상기 분사장치는
    작동버튼의 동작에 따라 상기 본체에서 제공되는 공기를 분사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와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며, 작동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음압으로 화장수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는
    상기 작동부의 선단에서 위치하되, 내부로 인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공기 배출부; 및 상기 공기 배출부의 후단에서 하부에 형성되며 말굽형태로 이루어지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마개의 상단에 위치하되, 내부로 인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화장수 분사부;
    상기 마개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화장수 분사부의 일부 둘레가 노출되도록 상기 마개의 측면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삽입부;을 포함하며,
    상기 말굽형태의 홀더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수용공간에서 노출된 상기 화장수 분사부의 둘레를 감싸면서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용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 압축기;
    상기 공기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는 압축공기 저장부;
    노즐과 연결되며, 상기 압축공기 저장부의 공기를 토출시키는 제1 공압포트; 및
    상기 공압포트의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용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노즐과 연결되며 상기 제1 공압포트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유입하는 제2 공압포트;
    상기 제2 공압포트와 연통되도록 상기 작동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공압포트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 배출부로 안내하는 공기 배출라인; 및
    상기 공기 배출부의 둘레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되, 상기 공기배출부의 상부 부분은 상기 공기 배출부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분사 유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사부는
    화장수가 담기는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의 상부를 덮는 마개는
    용기의 내부에 위치되며 내부로 인입된 상기 화장수 분사부와 연결되어 상기 용기에 담긴 화장수 배출을 유도하는 화장수 공급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용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공기 배출부의 후단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단턱부; 및
    상기 단턱부의 하부에 부착 고정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서 상기 공기 배출부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노출된 화장수 분사부를 삽입해 감쌀 수 있도록 전단이 일정반경 절개되고 수직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되어 말굽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부와 접하는 후단이 상기 중공부 보다 좁은 폭으로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되어 탄성을 가질 수 있는 클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용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받침부 및 단턱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마개에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면과 일치되도록 상기 마개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 및 클립부가 안착되는 안착면;
    상기 단턱부의 측면과 접하도록 상기 단턱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면;
    상기 안착면과 상기 결합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받침부의 측면과 접하도록 상기 받침부의 측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밀폐홈;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와 클립부는 상기 안착면에 안착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단턱부는 상기 결합면과 접하고 상기 받침부가 상기 밀폐홈에 접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이 밀폐된 상태로 상기 분사부와 상기 작동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용기기.
KR2020180003216U 2018-07-13 2018-07-13 피부 미용기기 KR2004914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216U KR200491481Y1 (ko) 2018-07-13 2018-07-13 피부 미용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216U KR200491481Y1 (ko) 2018-07-13 2018-07-13 피부 미용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168U KR20200000168U (ko) 2020-01-22
KR200491481Y1 true KR200491481Y1 (ko) 2020-04-13

Family

ID=69227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216U KR200491481Y1 (ko) 2018-07-13 2018-07-13 피부 미용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48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914B1 (ko) * 2020-06-30 2021-08-03 주식회사 오멜론 앰플 분사용 미용기기
KR20210153955A (ko) 2020-06-11 2021-12-20 박성효 피부 미용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633B1 (ko) 2013-05-24 2014-08-28 (주)하배런메디엔뷰티 화장품 에어 브러쉬
KR101437563B1 (ko) 2013-01-18 2014-09-04 주식회사 파인바이오 피부미용장치 및 그 앰플 분사방법
JP5896372B2 (ja) 2011-08-24 2016-03-30 株式会社ストーリア 化粧用噴霧器を用いた化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8281A (ko) 2014-10-23 2016-05-04 (주)메디코넷 천연 한방 화장수의 미세 분무가 용이한 산소 스킨케어 장치
KR101825130B1 (ko) 2016-06-22 2018-02-02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 처리장치 및 가스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96372B2 (ja) 2011-08-24 2016-03-30 株式会社ストーリア 化粧用噴霧器を用いた化粧方法
KR101437563B1 (ko) 2013-01-18 2014-09-04 주식회사 파인바이오 피부미용장치 및 그 앰플 분사방법
KR101435633B1 (ko) 2013-05-24 2014-08-28 (주)하배런메디엔뷰티 화장품 에어 브러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955A (ko) 2020-06-11 2021-12-20 박성효 피부 미용기기
KR102283914B1 (ko) * 2020-06-30 2021-08-03 주식회사 오멜론 앰플 분사용 미용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168U (ko) 202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11988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the skin
KR102161372B1 (ko) 휴대용 미용 수소살균수 미스트 장치
JP3136465U (ja) 美顔器
KR200165482Y1 (ko) 화장용 브러쉬
KR200491481Y1 (ko) 피부 미용기기
KR101930255B1 (ko) 휴대용 충전식 산소미스트 용기
CN108175172B (zh) 化妆品容器
EP3287037A1 (en) Needle array-equipped cosmetics container
KR200338799Y1 (ko) 리퀴드 타입의 화장품 도포용기
KR101893074B1 (ko) 두피 케어 용기
JP5483414B2 (ja) 押下ヘッド付き吐出器
KR200438759Y1 (ko) 모발 손질용 미용기구
KR102237545B1 (ko) 수소수기에서 생성된 수소수를 충전하여 사용하는 미용 팩
KR102442702B1 (ko) 기능성 피부 미용 마스크팩 세트
KR102332138B1 (ko) 두피 분사형 헤어토닉 용기
KR102226872B1 (ko) 가스타입 스프레이 빗
KR101749496B1 (ko) 모발용 헤어팩
KR200472043Y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200470430Y1 (ko) 페인팅 솔이 구비된 화장용 팩 용구
ES2208846T3 (es) Distribuidor de productos cosmetico, fluidos o pastosos, destinados al maquillaje.
KR102561674B1 (ko) 두피 케어용 에어브러시
KR102387899B1 (ko) 피부 필링기
KR20160120368A (ko) 마스크 팩
KR20230084866A (ko) 개인용 케어 장치
KR102219225B1 (ko) 밴드형 미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