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430Y1 - 페인팅 솔이 구비된 화장용 팩 용구 - Google Patents

페인팅 솔이 구비된 화장용 팩 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430Y1
KR200470430Y1 KR2020120002286U KR20120002286U KR200470430Y1 KR 200470430 Y1 KR200470430 Y1 KR 200470430Y1 KR 2020120002286 U KR2020120002286 U KR 2020120002286U KR 20120002286 U KR20120002286 U KR 20120002286U KR 200470430 Y1 KR200470430 Y1 KR 2004704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pack
cosmetic
brush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2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707U (ko
Inventor
김윤호
Original Assignee
김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호 filed Critical 김윤호
Priority to KR20201200022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430Y1/ko
Publication of KR201300057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7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4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4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41Flexible or deformable reservoirs, e.g. resilient bulbs, compressible tub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1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arranged like in cosmetics brushes, e.g. mascara, nail polish, eye shad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ollapsible empty tub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 팩 재료가 충진된 튜브형 용기의 몸체에 노즐과 솔을 결합하여 손에 묻히지 않고도 피부에 골고루 페인팅할 수 있도록 한 솔이 구비된 화장용 팩 용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 입구에 결합 된 노즐을 튜브형 용기의 몸체 입구를 개폐하는 마개로 결합하여 몸체의 내부압력에 의해 마개를 분리하도록 하고 내부압력이 미치는 방향으로 마개가 기우려 지게 분리되어 몸체에 충진된 내용물의 배출과 외부공기 흡입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기울여지며 분리되는 마개에 의해 외부공기를 몸체 내부로 원활히 유입되게 하므로, 몸체에 연속적으로 압력을 주면서 내용물을 손쉽게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페인팅 솔이 구비된 화장용 팩 용구{Pack containers equipped cosmetic brush painting}
본 고안은 안면에 보습력을 보충하여 주는 화장 팩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한 화장용 팩 용구에 관한 것으로 수용부를 갖는 튜브형 용기의 몸체와 페인팅 솔이 결합 구성되는 화장용 팩 용기에 있어서,
튜브형 용기의 몸체 입구에 결합 되는 마개를 손쉽게 개방하고 몸체 내부에 공기 유입을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몸체 내부에 충진된 내용물이 손쉽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페인팅 솔이 구비된 화장용 팩 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는 피부 상층부터 표피, 진피, 피하 지방 층의 세 부분으로 분류된다. 이 중 표피는 다시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으로 세분되며, 기저층의 표피 세포는 피부 상부로 올라오면서 분화되어, 최종적으로 각질층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각질층에 도달한 표피 세포는 핵이 소실되고 케라틴이라 불리우는 불수용성 단백질로 채워지면서 죽은 세포로 전환된다. 각질층은 분화된 표피 세포 (각질세포)와 이들 사이를 채워주는 피부지질(skin lipid)로 구성되며 체내 물질이 외부로 나가는 것을 막아주고 외부의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방어 기능을 한다.
상기 각질세포는 차례 차례로 계속 만들어지지만 최외층의 오래된 각질세포가 때로서 분리하기 때문에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처럼 항상 새로운 세포층이 위치 변화하는 것을 턴오버(Turn Over)라 하고 부위나 연령에 따라서 다르지만 정상의 피부에서는 이 표피의 턴오버는 약 4주간 소요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각질층 이 정상적으로 박리 되지 않고 피부 표면에 남아있게 되면 각질층은 두꺼워지고 얼굴빛은 칙칙하고 어두워진다.
이렇게 피부표면이나 모발의 모낭에 남아있는 불순물은 산소나 미생물에 의해 산화되거나 분해되고 이러한 물질은 염증과 같은 피부 트러블을 일으킨다.
따라서 이러한 피부보호를 위하여 다양한 각질 제거용 재료와 수단들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수단들 중에서 얼굴 표면에 영양을 얼굴에 공급하기 위해 팩 제(劑)를 흠뻑 발라두는 미안술(美顔術)이 호평을 받는다.
즉, 피부가 거칠어졌을 때나, 햇볕에 검게 탓을 때, 혹은 피로해 졌을 때, 마스크 팩을 사용하며, 목적에 따라 적당한 팩 재료를 선택하여 노폐물이나 모혈(毛穴) 속에 끼어 있던 때 등이 팩의 재료에 흡수되어 나오면서 그 효과를 올린다.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하여 주로 사용되는 팩의 재료는 오이 및 채소와 과일 같은 천연재료와 화장수 등, 이외의 재료를 혼합하여 사용되어져 오고 있다.
이렇게 사용되는 천연 팩은 그 재료의 구성이 많고, 제조하는 과정이 복잡하여 일반 사용자가 직접 제조하기가 매우 불편하였고, 야외에서 사용하여야 할 경우에도 많은 도구와 재료들을 휴대하여야 하므로 사실상 휴대하여 사용할 수 없을 뿐만아니라, 용기에 담겨진 화장 팩 재료를 별도의 도구로 퍼내서 도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일정 두께로 피부에 도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 하고져, 본 출원인은 출원 제 20-2011-7830호와 같이 여러 가지 도구를 휴대하지 않고도 화장 팩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화장 팩 재료가 충진된 튜브형 용기의 몸체에 개폐노즐과 솔을 결합하여 손에 묻히지 않고도 피부에 골고루 페인팅할 수 있도록 한 솔이 구비된 화장용 팩 용기를 출원하였다.
그러나 상기 튜브형 용기의 몸체에 충진된 화장 팩 재료는 점질을 유지하는 내용물로서, 상기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하여서는 튜브형 용기의 몸체를 눌러서 용기 내부의 공기를 압박하여 배출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개폐노즐이 점질의 내용물과 좁은 입구 때문에 공기유입을 막게 되어 내용물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고, 튜브형 용기의 몸체 내부로 공기 흡입을 할 수 없어서, 압축된 튜브형 용기의 몸체는 원상태로 복귀되지 못하게 되어 연속적으로 눌러 압박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충진된 화장 팩 재료의 내용물을 연속적으로 배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 되어 사용하기가 매우 불편하였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불편함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여러 가지의 도구를 휴대하지 않고도 화장 팩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화장 팩 재료가 충진된 튜브형 용기의 몸체에 솔을 결합하여 손에 묻히지 않고도 피부에 골고루 페인팅할 수 있도록한 솔이 구비된 화장용 팩 용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 입구에 결합 된 마개를 손쉽게 분리하고 용기 내부로 공기의 유입을 원활하게 하여 충진된 점질의 화장 팩 재료를 손쉽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페인팅 솔이 구비된 화장용 팩 용기는 일측이 개방된 튜브형 용기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입구를 폐쇄하는 마개와; 상기 몸체 입구와 나사 결합 되는 플랜지{flang}로 구성되며, 상기 플랜지는 배출구와 솔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팅 솔이 구비된 화장용 팩 용구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화장 팩 재료 및 얼굴에 도포하는 도구등, 여러가지의 화장 팩 용구 없이도 손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화장 팩 재료를 손에 묻히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튜브형 용기 입구에 결합된 마개를 손쉽게 분리 개방하고 튜브형 용기 입구를 통하여 내부로 공기 유입을 원활하게 하도록 하므로서 점질의 화장팩 재료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분해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4은 본 고안에 따른 사용 상태도로서, 마개가 개방되어 화장팩 재료의 내용물이 배출되고 이와 동시에 튜브형 공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마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마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분해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4은 본 고안에 따른 사용 상태도로서, 마개가 개방되어 화장팩 재료의 내용물이 배출되고 이와 동시에 튜브형 공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페인팅 솔이 구비된 화장용 팩 용기(1)는 일측이 개방되어 개구부(12)가 형성된 튜브형의 몸체(10)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개구부(12)에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 되는 마개(20)와, 상기 개구부(12)와 결합 되고 페인팅 솔(34)이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30)로 구성되어 진다.
상기 몸체(10)는 화장 팩 내용물을 충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신축성을 갖고 탄력적으로 복원력을 갖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일측은 개방되어 돌출된 개구부(12)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2) 외주면으로 나사 형성되어 진다.
상기 마개(20)는 상기 개구부(12) 내주면에 결합 되고 탄력이 내포된 연질의 실리콘 및 고무로 형성된다.
상기 마개(20)를 내포한 개구부(12)와 결합 되는 플랜지(30)는 내주면으로는 나사선이 형성된 결합홈(36)이 형성되고 결합홈(36)과 연계되어 관통된 배출관(32)이 형성되어 지며, 상기 배출관(32)의 하부 외주면 둘레로 페인팅용 솔(34)이 형성된다.
상기 마개(20)는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마개(20)의 다른 실시예로서, 마개(20) 두께의 높이를 일측은 높고 일측이 낮게 형성하여 양측의 무게를 달리 하므로서, 중심에서 두께가 높은 방향으로 기우려지도록 형성되었다.
또한, 상기 마개(20)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6 내지 도 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정두께를 갖으며, 일측면에 다수의 돌기(22)가 돌출 형성되며 돌기(22) 사이로 화장 팩 재료의 내용물과 공기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도 3에서 도시되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에 형성된 개구부(12) 내주면에 마개(20)가 결합 설치되고 개구부(12) 외주면 에는 플랜지(30)가 결합 설치되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결합 되는 본 고안은 도 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용물이 충진된 연질의 몸체(10)를 누르면, 몸체(10) 내부에 압력이 발생 되고, 내부 압력에 의해 화장 팩 재료의 내용물이 마개(20)를 밀면서 상기 개구부(12)가 개방된다. 이때, 마개(20)는 압력이 많이 미치는 방향으로 기우려 지면서 분리되고 기울여진 방향으로 화장 팩 재료의 내용물이 플랜지(30)에 형성된 배출구(32)를 관통하여 페인팅 솔(34)로 전달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여 배출된 화장 팩 재료의 내용물을 튜브형 용기의 몸체로부터 다시 배출하고자 할 때에는 눌러진 몸체(10)의 압력을 해제하면 되는데,
이때 외부공기가 배출구(32)를 관통하여 몸체(10) 내부로 유입되면서 눌려진몸체(10)가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마개(20)의 분리는 몸체의 내부압력에서 미치는 방향으로 기울여 지게 분리되므로 몸체(10) 내부에 외부공기를 원활히 흡입을 할 수 있도록 되므로 몸체(10)의 복귀를 신속히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몸체에 연속적으로 압력을 줄 수 있으므로, 내용물을 손쉽게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 몸체 12 : 개구부
20 : 마개 22 : 돌기
30 : 플랜지{flang} 32 : 배출관
34 : 페인팅 솔 36 : 결합홈

Claims (4)

  1. 일측이 개방되어 개구부(12)가 형성된 튜브형 용기의 몸체(10)와; 상기 개구부(12) 내주면에 결합 되고 탄력이 내포된 연질의 실리콘 및 고무로 형성되는 마개(20)와; 상기 개구부(12)의 외주면과 결합되는 결합홈(36)과, 상기 결합홈(36)과 서로 연통 되게 형성된 배출구(32)와, 상기 배출구(32) 외면으로 솔(34)이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30)가 구성되어 상기 몸체(10)와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팅 솔이 구비된 화장용 팩 용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연질의 탄성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팅 솔이 구비된 화장용 팩 용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20)의 두께를 일측은 높고 일측은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팅 솔이 구비된 화장용 팩 용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20)의 일측면에 다수의 돌기(22)가 돌출 형성되어, 돌기(22) 사이로 화장 팩 재료의 내용물과 공기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팅 솔이 구비된 화장용 팩 용구.
KR2020120002286U 2012-03-21 2012-03-21 페인팅 솔이 구비된 화장용 팩 용구 KR2004704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286U KR200470430Y1 (ko) 2012-03-21 2012-03-21 페인팅 솔이 구비된 화장용 팩 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286U KR200470430Y1 (ko) 2012-03-21 2012-03-21 페인팅 솔이 구비된 화장용 팩 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707U KR20130005707U (ko) 2013-10-01
KR200470430Y1 true KR200470430Y1 (ko) 2013-12-16

Family

ID=52433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286U KR200470430Y1 (ko) 2012-03-21 2012-03-21 페인팅 솔이 구비된 화장용 팩 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43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196A (ko) 2015-05-12 2016-11-22 김윤호 도포구가 구비된 화장용 팩 용구
KR20220115015A (ko) 2021-02-09 2022-08-17 이현석 한손으로 사용가능한 상향 토출식 액상화장품 도포 겸용 보관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137Y1 (ko) 2004-09-09 2004-12-13 주식회사 요진코스메플라스트 액체 어플리케이터
KR100530486B1 (ko) 2005-05-30 2005-11-22 이광석 화장용 브러쉬
KR100789290B1 (ko) 2006-09-28 2007-12-28 변영광 튜브형 액상 화장품용기
JP2009540980A (ja) 2006-06-30 2009-11-26 ノバルティ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アプリケータ・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137Y1 (ko) 2004-09-09 2004-12-13 주식회사 요진코스메플라스트 액체 어플리케이터
KR100530486B1 (ko) 2005-05-30 2005-11-22 이광석 화장용 브러쉬
JP2009540980A (ja) 2006-06-30 2009-11-26 ノバルティ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アプリケータ・ユニット
KR100789290B1 (ko) 2006-09-28 2007-12-28 변영광 튜브형 액상 화장품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196A (ko) 2015-05-12 2016-11-22 김윤호 도포구가 구비된 화장용 팩 용구
KR20220115015A (ko) 2021-02-09 2022-08-17 이현석 한손으로 사용가능한 상향 토출식 액상화장품 도포 겸용 보관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707U (ko) 201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05030C2 (ru) Бритвенный прибор с поворачивающимся гидравлическим соединителем
KR200385091Y1 (ko) 내용물출구 개폐가 가능한 화장품 용기
US8518001B2 (en) Skin treatment device
US10244844B2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application member detachably attached to side of button member
CN205513085U (zh) 具有一体化粉扑的可挤压式化妆品容器
KR200464761Y1 (ko)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
ATE490705T1 (de) Applikator mit einem auftragselement, welcher mit einem produktbehälter verbunden ist
KR101494616B1 (ko) 피부용 자가 주입기구
KR200470430Y1 (ko) 페인팅 솔이 구비된 화장용 팩 용구
KR20140000942U (ko) 진동을 이용한 화장용구
CN106213753A (zh) 化妆品容器
EP3047753A1 (en) Liquid content container comprising tension member
KR101392980B1 (ko) 퍼프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내용물 토출장치
KR101991156B1 (ko) 미세침 롤러가 장착된 화장품 용기
KR20160121749A (ko) 화장품 용기
KR101988860B1 (ko) 마사지 팩 용기
KR101010154B1 (ko) 스포이드
KR200459741Y1 (ko) 천연 팩 제조용기
KR101802270B1 (ko) 분리형 화장품 용기
KR200466650Y1 (ko) 페인팅 솔이 구비된 화장용 팩 용기
KR102609420B1 (ko)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KR20080000138U (ko) 퍼프 일체형 고상 화장품 용기
KR20190001401U (ko) 도포구가 구비된 화장용 팩 용구
JP2008302160A (ja) 塗布具及び塗布物質容器
KR20160089003A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