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331Y1 - 포장지의 개봉 구조 - Google Patents

포장지의 개봉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331Y1
KR200491331Y1 KR2020180004755U KR20180004755U KR200491331Y1 KR 200491331 Y1 KR200491331 Y1 KR 200491331Y1 KR 2020180004755 U KR2020180004755 U KR 2020180004755U KR 20180004755 U KR20180004755 U KR 20180004755U KR 200491331 Y1 KR200491331 Y1 KR 2004913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apping paper
cut
opening
opened
ou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7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룡
Original Assignee
김영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룡 filed Critical 김영룡
Priority to KR20201800047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3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3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3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1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 B65D75/5822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and defining, after tearing, a small dispensing spout, a small orific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포장지의 개봉 구조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포장지의 개봉 구조는, 포장지의 상부에 접힘되는 절취부가 형성되되, 상기 절취부의 일부분은 상기 포장지의 표면에 열접합되고, 상기 절취부의 나머지 부분은 절취선이 형성되어 상기 포장지와 일정한 틈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포장지는 상기 틈으로 삽입되는 손가락에 의해 상기 절취부가 상측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전개되고 동시에 상기 절취선이 절취되어 개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포장지의 개봉시 절취부를 포장지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지 않고서도 개봉할 수 있는 구조를 확보함으로써 기존 포장자의 개봉시 절취부의 분리로 인한 쓰레기 회수의 어려움을 개선하면서도 환경오염을 방지에 기여할 수 있고, 절취부의 틈으로 손가락을 삽입시키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포장지를 개봉할 수 있게 됨으로써 포장지 개봉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장지의 개봉 구조{STRUCTURE FOR OPENING OF WRAPPING PAPER}
본 고안은 포장지의 개봉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지의 개봉시 절취부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포장지의 개봉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지는 주로 1회의 사용량을 갖는 커피믹스, 과립형태의 약 등의 분말 또는 시럽형태의 약, 건강보조제 등의 액상의 대상품을 포장하는데 사용되며, 스틱형 또는 파우치형으로 형성된다.
기존의 포장지는 대부분 상부 일단을 횡방향으로 절취하여 개봉하도록 형성된다. 즉, 포장지는 상부 일단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절취부를 완전히 절취하여 개봉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종래의 포장지는 상부에 형성된 절취부를 횡방향으로 완전히 절취하여 개봉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포장지의 개봉 후 절취부 조각이 포장지로부터 분리되어 쓰레기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포장지로부터 분리된 절취부 조각은 크기가 매우 작아 청소시 회수하는데 어려울뿐만 아니라 비닐류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환경을 오염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포장지의 개봉시 절취부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포장지에 관한 연구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00996호(2018년09월12일)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포장지의 개봉시 절취부가 분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절취부의 분리로 인한 회수의 어려움을 개선하면서도 환경오염을 방지에 기여할 수 있는 포장지의 개봉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포장지의 상부에 접힘되는 절취부가 형성되되, 상기 절취부의 일부분은 상기 포장지의 표면에 열접합되고, 상기 절취부의 나머지 부분은 절취선이 형성되어 상기 포장지와 일정한 틈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포장지는 상기 틈으로 삽입되는 손가락에 의해 상기 절취부가 상측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전개되고 동시에 상기 절취선이 절취되어 개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지의 개봉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포장지는, 스틱형 또는 파우치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장지가 스틱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절취부는 상기 포장지의 상부 전체 영역이 삼각형상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장지가 파우치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절취부는 상기 포장지의 상측 모서리부 영역이 삼각형상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포장지의 개봉시 절취부를 포장지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지 않고서도 개봉할 수 있는 구조를 확보함으로써, 기존 포장자의 개봉시 절취부의 분리로 인한 쓰레기 회수의 어려움을 개선하면서도 환경오염을 방지에 기여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절취부의 틈으로 손가락을 삽입시키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포장지를 개봉할 수 있게 됨으로써, 포장지 개봉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지의 개봉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장지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지의 개봉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지의 개봉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지의 개봉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포장지(10)와, 그리고 절취부(20)를 포함한다.
포장지(10)는 각종 1회 사용량을 갖는 액체 또는 분말을 포장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서, 포장지(10)는 본 실시예에서 스틱형으로 이루어지고 액체 또는 분말의 포장 후 밀봉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포장지(10)는 비닐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포장지(10)에 포장되는 액체 또는 분말은, 커피, 건강차 등의 기호식품또는 홍삼 등을 포함하는 건강 보조식품 또는 약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절취부(20)는 포장지(10)의 개봉을 위해 절취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서, 절취부(20)는 포장지(10)의 상부 전체 영역이 삼각형상으로 접힘되도록 형성된다. 즉, 절취부(20)는 포장지의 표면에 삼각 형상으로 접혀지되, 그 일부분은 포장지(10)의 표면에 열접합되고 열접착되지 않은 나머지 전체 부분은 포장지(10)와 일정한 틈(22)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틈(22)이 형성되는 절취부(20)에는 포장지(10)를 개봉할 수 있는 절취선(24)이 형성된다.
이러한 절취부(20)는 포장지(10)의 개봉시 틈(22)으로 손가락의 일부를 삽입시켜 상측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전개시키게 되면, 절취선(24)이 손가락으로부터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절취되어 개봉될 수 있는 구조로 된 것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시예에 따른 포장지의 개봉 과정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지(10)에 포장된 각종 액체 또는 분말의 음용을 위해 개봉하려는 경우, 절취부(20)의 틈(22)으로 손가락을 삽입시켜 상측 방향으로 밀어서 들어올리게 된다. 그러면, 절취부(20)는 포장지(10)에 열접착되지 않은 부분이 손가락으로부터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들리면서 펼쳐지도록 전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절취부(20)가 상측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전개되는 과정에 의해 절취선(24)이 자연스럽게 절취됨으로써, 포장지(10)를 개봉할 수 있게 된다.
즉, 절취부(20)는 절취선(24)의 절취에 따라 포장지(1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서도 포장지(10)의 개봉 구조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지의 개봉 구조는, 포장지(10)의 개봉시 절취부(20)를 포장지(10)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지 않고서도 개봉할 수 있는 구조를 확보함으로써, 기존 포장지의 개봉시 절취부의 분리로 인한 쓰레기 회수의 어려움을 개선하면서도 환경오염을 방지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지의 개봉 구조는, 절취부(20)의 틈(22)으로 손가락을 삽입시키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포장지(10)를 개봉할 수 있게 됨으로써, 포장지(10) 개봉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지의 개봉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지(10)가 파우치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 포장지(10)는 전술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스틱형 대신에 파우치형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절취부(20)는 포장지(10) 상부의 양측 모서리중 어느 한쪽의 모서리부에 형성된다. 즉, 절취부(20)는 모서리부 영역이 포장지의 표면에 삼각형상으로 접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포장지를 개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지의 개봉 구조는, 파우치형으로 형성되는 포장지(10)의 모서리부에 절취부(20)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작용 및 효과는 전술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앞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포장지
20: 절취부
22: 틈
24: 절취선

Claims (4)

  1. 포장지의 개봉을 위해 포장지의 상부에 삼각 형상으로 접힘되도록 형성되는 절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취부의 일부분은 포장지의 표면에 열접착되고 열접착되지 않은 상기 절취부의 나머지 부분은 절취선이 형성되어 상기 포장지의 표면과 일정한 틈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포장지는 상기 틈으로 삽입되는 손가락에 의해 열접착되지 않은 상기 절취부가 상측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전개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절취선이 절취되어 개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지의 개봉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는, 스틱형 또는 파우치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지의 개봉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가 스틱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절취부는 상기 포장지의 상부 전체 영역이 삼각형상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지의 개봉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가 파우치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절취부는 상기 포장지의 상측 모서리부 영역이 삼각형상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지의 개봉 구조.
KR2020180004755U 2018-10-18 2018-10-18 포장지의 개봉 구조 KR2004913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755U KR200491331Y1 (ko) 2018-10-18 2018-10-18 포장지의 개봉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755U KR200491331Y1 (ko) 2018-10-18 2018-10-18 포장지의 개봉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331Y1 true KR200491331Y1 (ko) 2020-03-20

Family

ID=69948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755U KR200491331Y1 (ko) 2018-10-18 2018-10-18 포장지의 개봉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331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4777A (ko) * 2006-09-14 2008-03-19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포장용 백
JP2010173688A (ja) * 2009-01-29 2010-08-12 Toppan Printing Co Ltd 詰替え用包装袋
KR101233752B1 (ko) * 2011-03-28 2013-02-21 조아라 슬라이스 식품 포장 패키지 및 세트
KR20130001552U (ko) * 2011-08-29 2013-03-08 남민우 먹기 쉽게 개봉되는 과자봉지
KR20180100996A (ko) 2017-03-03 2018-09-12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스틱형 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4777A (ko) * 2006-09-14 2008-03-19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포장용 백
JP2010173688A (ja) * 2009-01-29 2010-08-12 Toppan Printing Co Ltd 詰替え用包装袋
KR101233752B1 (ko) * 2011-03-28 2013-02-21 조아라 슬라이스 식품 포장 패키지 및 세트
KR20130001552U (ko) * 2011-08-29 2013-03-08 남민우 먹기 쉽게 개봉되는 과자봉지
KR20180100996A (ko) 2017-03-03 2018-09-12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스틱형 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50688B1 (en) Stand-up package of flexible material, particularly for granular or powdery products
JP2019147629A (ja) 異種物質収容装置
AU2011378451B2 (en) Packaged oral care implement and package
EP2017193A1 (en) Stand-up reclosable package of flexible material
BRPI0519727B1 (pt) Sheet container
EP0818393B1 (en) Pharmaceutical carton with additional panels providing information
KR200491331Y1 (ko) 포장지의 개봉 구조
EP2566786B1 (en) Package for a beverage preparation
EP0752370A2 (en) Container for prepackaged products
KR102401117B1 (ko) 고형제와 액상을 분리하여 포장하는 포장용기
US5088617A (en) Package for food products
US2307559A (en) Container
KR102663468B1 (ko) 개방 장치를 포함하는 재밀봉 가능한 개방 장치 및 패키지
CN100497115C (zh) 用于可压缩扁平制品的包装
JP2005231707A (ja) 改ざん防止用箱
JP6657554B2 (ja) スライド式紙箱
JP4347616B2 (ja) パウチ容器
JP2007223616A (ja) 密封袋状包装体
WO2018092553A1 (ja) 包装容器
JP6530648B2 (ja) 抽出用バッグ
JP5212855B2 (ja) 減容可能な包装用容器
JP4792380B2 (ja) 折り畳み可能な包装用容器
JP2010137916A (ja) 包装袋
WO2016173908A1 (en) A package assembly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package assembly
JP2017071419A (ja) 飲料抽出用フィルタ及び飲料抽出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