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255Y1 - 노치부를 포함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조립체 - Google Patents

노치부를 포함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255Y1
KR200491255Y1 KR2020180001920U KR20180001920U KR200491255Y1 KR 200491255 Y1 KR200491255 Y1 KR 200491255Y1 KR 2020180001920 U KR2020180001920 U KR 2020180001920U KR 20180001920 U KR20180001920 U KR 20180001920U KR 200491255 Y1 KR200491255 Y1 KR 2004912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rument panel
outer case
notch
fixed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9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984U (ko
Inventor
이소희
김중성
이재철
Original Assignee
에스트라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트라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트라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800019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255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9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9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2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2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instrument panel or dashboard
    • B60K37/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5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eans of attachment to or integration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60Structural details of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68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695Dial features
    • B60K2370/143
    • B60K2370/69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노치부(Notch)를 포함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구비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은 운전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계기판 및 오디오나 에어컨의 조절판이 장착된 센터페시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차량의 정차 또는 주행 중 외부충격 등에 의해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머리 등이 차량 실내 전방부에 위치한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부딪치는 헤드 임팩트(Head impact)의 경우 상기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머리를 포함한 신체의 충격을 흡수하며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구성하는 내부 컨트롤부가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내측 즉, 차량의 전방으로 추가적으로 인입되도록 파손이 용이한 노치부를 포함하는 인스트르먼트 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노치부를 포함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조립체 {An instrument panel assembly including a notch}
본 고안은 노치부(Notch)를 포함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구비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은 운전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계기판 및 오디오나 에어컨의 조절판이 장착된 센터페시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차량의 정차 또는 주행 중 외부충격 등에 의해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머리 등이 차량 실내 전방부에 위치한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부딪치는 헤드 임팩트(Head impact)의 경우 상기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머리를 포함한 신체의 충격을 흡수하며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구성하는 내부 모듈체가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내측 즉, 차량의 전방으로 추가적으로 인입되도록 파손이 용이한 노치부를 포함하는 인스트르먼트 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공조장치 및 제어장치의 동작상태정보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통해 차량 내부의 운전자 및 동승자에게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인스트루먼트 패널은, 인스트루먼트 보드(instrument board)라고도 부른다.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또는 보드는 대시보드 일측면 또는 중앙에 위치하며서 운전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계기판 및 오디오나 에어컨의 조절판이 장착된 센터페시아를 포함하며 이를 일반적으로 인스트루먼트 패널이라고 칭한다.
종래 이러한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통해 차량의 공조장치 및 제어장치의 동작상태정보를 제공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조립체는, 하나의 견고한 조립체의 구성으로써 존재함으로써 차량 내부에 탑승한 탑승자 신체의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지 못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며, 헤드 임팩트로 인한 탑승자 신체의 충격을 저감하기 위하여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모듈체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내측 즉, 차량의 전방으로 밀려나는 구성의 경우는 상기 모듈체의 전면에 별도의 베젤 구성을 추가하여야 함에 따라 제조공정이 복잡해지며, 상기 헤드 임팩트 테스트 결과를 반영하여 디자인을 수정할 경우, 상기 베젤을 포함한 전체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디자인을 수정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인스트루먼트 패널 외부 케이스와 모듈체 외의 추가적인 구성을 부가하지 않으면서도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의 신체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전면부 충격이 존재하는 경우, 모듈체의 고정단에 파단이 발생하여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내측 즉, 차량의 전방으로 상기 모듈체가 추가 인입될 수 있는 노치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인스트루먼트 패널 외부 케이스와 모듈체 외의 추가적인 구성을 부가하지 않으면서도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의 신체를 효과적으로 보호가능한 기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3-144523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전면부 충격이 존재하는 경우, 모듈체의 고정단에 파단이 발생하여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내측 즉, 차량의 전방으로 상기 모듈체가 추가 인입될 수 있는 노치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인스트루먼트 패널 외부 케이스와 모듈체 외의 추가적인 구성을 부가하지 않으면서도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의 신체를 효과적으로 보호가능한 효과를 구비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내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모듈체, 상기 모듈체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조작부, 상기 모듈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외부 케이스와 볼트결합되는 제1고정단, 상기 모듈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외부 케이스의 가공홈 내부로 삽입되는 제2고정단 및 상기 제1고정단 또는 제2고정단에 형성되는 제1, 2노치부가 구비되는 노치부를 포함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조립체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외부 케이스는 계기판 또는 센터페시아가 상기 외부 케이스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케이스 일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듈체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고정단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과 고정되며, 일측에 계기판 또는 센터페시아의 제어를 위한 제어회로 등이 고정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모듈체의 전방에 구비되어,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조작부 일측에 형성된 다이얼을 회전시키거나, 버튼을 누르거나, 스크린 등을 터치하는 행위를 통해서 차량의 공조제어, 조명제어, 음향제어 또는 시트제어를 포함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고정단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면과 상기 제1고정단의 일측이 면접촉하며 고정이 가능한 평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고정단은 상기 모듈체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1노치부는 상기 평면부가 서로 상이한 두께를 가지는 단턱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고정단은 상기 가공홈으로 삽입가능하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돌출된 2개 이상의 삽입핀 및 상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돌출된 삽입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하로 요철부가 형성된 클립이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2노치부는 상기 삽입핀과 동일하거나 얇은 두께를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돌출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전면부 충격이 존재하는 경우, 모듈체의 고정단에 파단이 발생하여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내측 즉, 차량의 전방으로 상기 모듈체가 추가 인입될 수 있는 노치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인스트루먼트 패널 외부 케이스와 모듈체 외의 추가적인 구성을 부가하지 않으면서도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의 신체를 효과적으로 보호가능한 효과가 존재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구비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공조관련시스템 제어를 위한 조작부를 나타낸 확대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단을 통해 인스트루먼트 패널 외부 케이스에 고정된 모듈체를 나타낸 사시확대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 패널 외부 케이스에 고정가능한 모듈체의 제1고정단을 나타낸 사시확대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고정단을 통해 인스트루먼트 패널 외부 케이스에 고정된 모듈체를 나타낸 사시확대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 패널 외부 케이스에 고정가능한 모듈체의 제2고정단을 나타낸 사시확대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더하여,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은 노치부(Notch)를 포함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구비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은 운전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계기판 및 오디오나 에어컨의 조절판이 장착된 센터페시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차량의 정차 또는 주행 중 외부충격 등에 의해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머리 등이 차량 실내 전방부에 위치한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부딪치는 헤드 임팩트(Head impact)의 경우 상기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머리를 포함한 신체의 충격을 흡수하며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구성하는 내부 모듈체가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내측 즉, 차량의 전방으로 추가적으로 인입되도록 파손이 용이한 노치부를 포함하는 인스트르먼트 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또는 보드는 대시보드 일측면 또는 중앙에 위치하며서 운전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계기판 및 오디오나 에어컨의 조절판이 장착된 센터페시아를 포함하며 이를 일반적으로 인스트루먼트 패널이라고 칭한다.
종래 이러한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통해 차량의 공조장치 및 제어장치의 동작상태정보를 제공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조립체는, 하나의 견고한 조립체의 구성으로써 존재함으로써 차량 내부에 탑승한 탑승자 신체의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하는 것이 불가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며, 헤드 임팩트로 인한 탑승자 신체의 충격을 저감하기 위하여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모듈체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내측 즉, 차량의 전방으로 밀려나는 구성의 경우는 상기 모듈체의 전면에 별도의 베젤 구성을 추가하여야 함에 따라 제조공정이 복잡해지며, 상기 헤드 임팩트 테스트 결과를 반영하여 디자인을 수정할 경우, 상기 베젤을 포함한 전체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디자인을 수정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전면부 충격이 존재하는 경우, 모듈체의 고정단에 파단이 발생하여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내측 즉, 차량의 전방으로 상기 모듈체가 추가 인입될 수 있는 노치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인스트루먼트 패널 외부 케이스와 모듈체 외의 추가적인 구성을 부가하지 않으면서도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의 신체를 효과적으로 보호가능한 효과가 존재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구비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공조관련시스템 제어를 위한 조작부를 나타낸 확대정면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대시보드 일측면 또는 중앙에 위치하며서 운전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계기판 및 오디오나 에어컨의 조절판이 장착된 센터페시아를 포함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구성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전면부이자, 차량 탑승자가 육안으로 표시되는 내용을 관찰하고 조작하는 것이 가능한 조작부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인스트루먼트 패널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전면부 충격이 존재하는 경우, 모듈체의 고정단에 파단이 발생하여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내측 즉, 차량의 전방으로 상기 모듈체가 추가 인입될 수 있는 노치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인스트루먼트 패널 외부 케이스와 모듈체 외의 추가적인 구성을 부가하지 않으면서도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의 신체를 효과적으로 보호가능한 구성을 포함하는 조립체로서 실시가능한 기술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단(210)을 통해 인스트루먼트 패널 외부 케이스(100)에 고정된 모듈체(200)를 나타낸 사시확대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 패널 외부 케이스(100)에 고정가능한 모듈체(200)의 제1고정단(210)을 나타낸 사시확대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인스트루먼트 패널 외부 케이스(100)에 삽입되는 모듈체(200)의 구체적인 태양 및 상기 모듈체(200)의 외부 케이스(100) 내측에서의 고정을 위한 수단 즉, 제1고정단(210) 구성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전면부 충격이 존재하는 경우, 모듈체의 고정단에 파단이 발생하여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내측 즉, 차량의 전방으로 상기 모듈체가 추가 인입될 수 있는 노치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인스트루먼트 패널 외부 케이스와 모듈체 외의 추가적인 구성을 부가하지 않으면서도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의 신체를 효과적으로 보호가능한 구성의 제공을 위해, 차량 내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 케이스(100), 상기 외부 케이스(100)의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모듈체(200), 상기 모듈체(200)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조작부(300), 상기 모듈체(20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외부 케이스(100)와 볼트결합되는 제1고정단(210), 상기 모듈체(20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외부 케이스(100)의 가공홈(110) 내부로 삽입되는 제2고정단(220) 및 상기 제1고정단(210) 또는 제2고정단(220)에 형성되는 제1, 2노치부(212, 223)가 구비되는 노치부를 포함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조립체가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조작부(300)는 상기 모듈체(200)의 전방에 구비되어,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조작부 일측에 형성된 다이얼을 회전시키거나, 버튼을 누르거나, 스크린 등을 터치하는 행위를 통해서 차량의 공조제어, 조명제어, 음향제어 또는 시트제어를 포함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 케이스(100)는 계기판 또는 센터페시아가 상기 외부 케이스(100)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케이스(100) 일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구(12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구(120)의 구성을 통해, 외부 케이스를 플라스틱 또는 가죽의 소재로 마감하며, 수려한 인테리어 미관을 형성하며, 상기 계기판 또는 센터페시아가 상기 외부 케이스(100)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삽입고정되어 탑승자로 하여금 육안으로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모듈체(20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고정단(210, 220)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케이스(100)의 내측과 고정되며, 일측에 계기판 또는 센터페시아의 제어를 위한 제어회로 등이 고정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3 및 도 4에서 확인가능한 상기 제1고정단(210)은 상기 외부 케이스(100)의 내측면과 상기 제1고정단(210)의 일측이 면접촉하며 고정이 가능한 평면부(211)를 포함하되, 상기 제1고정단(210)은 상기 모듈체(200)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평면부(211)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 일면과 면접촉하며 상기 모듈체(200)가 안정적으로 고정 및 결착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평면부(211)는 볼트결합 등과 같은 결합구조로 결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고정단(210)에 형성된 상기 제1노치부(212)는 상기 평면부(211)상에 서로 상이한 두께를 가지는 단턱부(213)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단턱부(213)의 구성을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전면부 충격이 존재하는 경우, 모듈체의 제1고정단(210) 즉,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제1노치부(212) 및 단턱부(213)에 파단이 발생하여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내측 즉, 외부 케이스(100) 내측과 차량의 전방으로 상기 모듈체(200)가 추가 인입되도록 파단되는 제1노치부(212)를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인스트루먼트 패널 외부 케이스와 모듈체 외의 추가적인 구성을 부가하지 않으면서도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의 신체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고정단(220)을 통해 인스트루먼트 패널 외부 케이스(100)에 고정된 모듈체(200)를 나타낸 사시확대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 패널 외부 케이스(100)에 고정가능한 모듈체(200)의 제2고정단(220)을 나타낸 사시확대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인스트루먼트 패널 외부 케이스(100)에 삽입되는 모듈체(200)의 구체적인 태양 및 상기 모듈체(200)의 외부 케이스(100) 내측에서의 고정을 위한 수단 즉, 제2고정단(220) 구성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2고정단(220)은 상기 가공홈(110)으로 삽입가능하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돌출된 2개 이상의 삽입핀(221) 및 상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돌출된 삽입핀(221)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하로 요철부가 형성된 클립(222)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고정단(210)의 구성과 형상이 상이하며, 상기 2개 이상의 삽입핀(221)구성을 통하여 클립(222)의 스냅결합을 통하여 간단하게 결착이 가능하고, 견고한 결합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2노치부(223)는 상기 삽입핀(221)과 동일하거나 얇은 두께를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돌출턱(224)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삽입핀(221)과 동일하거나 얇은 두께를 가지는 돌출턱(224)의 구성을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전면부 충격이 존재하는 경우, 모듈체의 제2고정단(220) 즉,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돌출턱(224)에 파단이 발생하여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내측 즉, 외부 케이스(100) 내측과 차량의 전방으로 상기 모듈체(200)가 추가 인입되도록 파단되는 제2노치부(223)를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인스트루먼트 패널 외부 케이스와 모듈체 외의 추가적인 구성을 부가하지 않으면서도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의 신체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인스트루먼트 패널
100 : 외부 케이스
110 : 가공홈
120 : 삽입구
200 : 모듈체
210 : 제1고정단
211 : 평면부
212 : 제1노치부
213 : 단턱부
220 : 제2고정단
221 : 삽입핀
222 : 클립
223 : 제2노치부
224 : 돌출턱

Claims (8)

  1. 차량 내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 케이스(100);
    상기 외부 케이스(100)의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모듈체(200);
    상기 모듈체(200)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조작부(300);
    상기 모듈체(20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외부 케이스(100)와 볼트결합되는 제1고정단(210);
    상기 모듈체(20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외부 케이스(100)의 가공홈(110) 내부로 삽입되는 제2고정단(220); 및
    상기 제1고정단(210) 또는 제2고정단(220)에 형성되는 제1, 2노치부(212, 223);
    가 구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10)에 충격 발생시 상기 제1 및 제2고정단(210, 220)의 상기 제1 및 제2노치부(212, 223)에 파단이 발생하여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이 상기 차량의 전방으로 인입되고,
    상기 제1고정단(210)은, 상기 외부 케이스(100)의 내측면과 상기 제1고정단(210)의 일측이 면접촉하며 고정이 가능한 평면부(211);를 포함하되 상기 제1고정단(210)은 상기 모듈체(200)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제1노치부(212)는, 상기 평면부(211)상에 서로 상이한 두께를 가지는 단턱부(2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단(220)은, 상기 가공홈(110)으로 삽입가능하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돌출된 2개 이상의 삽입핀(221); 및 상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돌출된 삽입핀(221)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하로 요철부가 형성된 클립(222);이 구비되며,
    상기 제2노치부(223)는, 상기 삽입핀(221)과 동일하거나 얇은 두께를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돌출턱(22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치부를 포함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100)는,
    계기판 또는 센터페시아가 상기 외부 케이스(100)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케이스(100) 일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구(120);
    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치부를 포함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체(20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고정단(210, 220)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케이스(100)의 내측과 고정되며, 일측에 계기판 또는 센터페시아의 제어를 위한 제어회로 등이 고정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치부를 포함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300)는,
    상기 모듈체(200)의 전방에 구비되어,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조작부 일측에 형성된 다이얼을 회전시키거나, 버튼을 누르거나, 스크린 등을 터치하는 행위를 통해서 차량의 공조제어, 조명제어, 음향제어 또는 시트제어를 포함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치부를 포함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조립체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2020180001920U 2018-05-02 2018-05-02 노치부를 포함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조립체 KR2004912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920U KR200491255Y1 (ko) 2018-05-02 2018-05-02 노치부를 포함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920U KR200491255Y1 (ko) 2018-05-02 2018-05-02 노치부를 포함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984U KR20190002984U (ko) 2019-12-05
KR200491255Y1 true KR200491255Y1 (ko) 2020-03-10

Family

ID=68834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920U KR200491255Y1 (ko) 2018-05-02 2018-05-02 노치부를 포함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255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1242A (ja) * 2002-09-18 2004-06-10 Nsk Ltd 車両用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670B1 (ko) * 2004-09-15 2006-07-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클러스터 게이지 장착구조
KR101055041B1 (ko) * 2008-11-27 2011-08-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글로브박스
JP2013144523A (ja) 2012-01-16 2013-07-25 Toyota Motor Corp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KR101857687B1 (ko) * 2012-12-26 2018-05-1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프론트엔드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1242A (ja) * 2002-09-18 2004-06-10 Nsk Ltd 車両用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984U (ko)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8228B2 (en) Roof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US8444177B2 (en) Assembly with an instrument panel for a motor vehicle and a knee airbag
KR102005738B1 (ko)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CN108001400B (zh) 乘客保护装置
US8297676B2 (en) Vehicle interior trim panel
US20120104732A1 (en) Door hinge structure for passenger airbags
US20130147174A1 (en) Mounting apparatus for an external airbag of a vehicle
US8602448B2 (en) Frontal center curtain airbag for vehicle
CN107791991B (zh) 气囊盖
CN103991367A (zh) 车辆的门构造
US8672343B2 (en) Mounting apparatus of side airbag for vehicle
KR200491255Y1 (ko) 노치부를 포함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조립체
JP5359104B2 (ja) 自動車のドアトリム構造
JP2006088774A (ja) 後席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CN111267962B (zh) 前支柱构造
JP2018069781A (ja) 支持部材
KR100990569B1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
US11975673B2 (en) Tether clip, pillar structure provided with the sam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CN1718987B (zh) 车门结构
JP5321734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モジュール
KR101666158B1 (ko) 에어백 도어 회전결합구조를 갖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어셈블리
US10894518B2 (en) Door trim
JP2009248610A (ja) エアバッグドア支持構造
JP2008012946A (ja) 車室材構造
JP4394312B2 (ja) 車載用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