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146Y1 -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146Y1
KR200491146Y1 KR2020180003499U KR20180003499U KR200491146Y1 KR 200491146 Y1 KR200491146 Y1 KR 200491146Y1 KR 2020180003499 U KR2020180003499 U KR 2020180003499U KR 20180003499 U KR20180003499 U KR 20180003499U KR 200491146 Y1 KR200491146 Y1 KR 2004911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ace plate
coupling
withdrawing
coupling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4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303U (ko
Inventor
이성구
Original Assignee
(주)신원인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원인팩 filed Critical (주)신원인팩
Priority to KR20201800034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146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3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3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1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1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21Contents-dispensing means consisting of mobile element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s or attached to th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1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U-shape to form the base of the container and opposite sides of the body portion, the remaining sides being formed primarily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of these opposite sides, e.g. flaps hing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 B65D5/360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스틱형 커피믹스나 티백형 녹차를 담을 수 있고, 상기 스틱형 커피믹스나 상기 티백형 녹차를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인출부; 상기 인출부의 일단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일단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인출부에 대응되는 일단에 접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인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일단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수용부의 일면을 덮는 덮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여 도어식으로 정면으로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스틱형 커피믹스나 티백형 녹차 등 차제품을 한 개씩 인출 및 보관에 따른 편리성이 제공될 뿐만 아니라 내용물인 차제품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PACKING BOX THAT CAN DRAW OUT THE DISPOSABLE TEA PRODUCT TO THE FRONT}
본 고안은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식으로 정면으로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스틱형 커피믹스나 티백형 녹차 등 차제품을 한 개씩 인출 및 보관에 따른 편리성이 제공될 뿐만 아니라 내용물인 차제품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 박스는 그 내부에 수용된 상품이 유통중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보다 큰 단위 포장으로 유통을 편리하게 해 주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포장박스는 가벼우면서 견고한 구조를 갖는 종이판재를 이용하여 박스를 제작하고, 상하면에 개봉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하부면을 밀폐한 후에 그 내부에 상품을 적재하고 그 상부면을 밀폐 처리하여 유통이 된다.
종래의 포장박스는 단지 포장을 하기 위한 외부케이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진열을 위해서는 낱개로 꺼내어 사용하거나 측면을 잘라내어 사용하므로 자원을 낭비하는 문제점과 포장박스를 임의적으로 절개하여 사용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에는 과자 포장박스, 분말 팩 포장박스, 스틱 커피 믹스 포장박스 등의 판지 포장 박스에는 절개 점선으로 상품 인출구를 설치하고 있다 즉, 포장박스 상면에 인출구 형태로 절개 점선을 설치하고 절개 점선 부분을 뜯어내어 상판 인출구로 개방하도록 한 것, 포장박스의 전면에 인출구를 절개 점선으로 설치하고 이를 뜯어내어 전면에서 상품을 인출하도록 한 것 등 다양한 상품 인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절개 점선(1)을 설치한 박스는 전면 인출구(2)를 형성함에 있어 절개 점선 상태로 조립되고 있으나, 이송중에 절개점선이 절취되어 내부 내용물이 외부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들 절개 점선으로 형성된 판지 포장박스의 인출구는 한번 절개되어 뜯어내면, 내용물이 모두 들여다 보여 외관상 단정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인출구를 통해 내용물이 유출되는 등 사용상태에서 불편한 문제점도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1504901호(발명의 명칭: 제품 인출이 용이하도록 제품 받침대가 형성된 포장박스, 등록일자: 2015년 03월 17일) 및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0-2010-0009388호(고안의 명칭: 도어식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커피믹스 스틱류 제품 포장박스, 공개일자: 2010년 09월 29일)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도어식으로 정면으로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스틱형 커피믹스나 티백형 녹차 등 차제품을 한 개씩 인출 및 보관에 따른 편리성이 제공될 뿐만 아니라 내용물인 차제품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를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본 고안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실용신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는, 스틱형 커피믹스나 티백형 녹차를 담을 수 있고, 상기 스틱형 커피믹스나 상기 티백형 녹차를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인출부; 상기 인출부의 일단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일단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인출부에 대응되는 일단에 접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인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일단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수용부의 일면을 덮는 덮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단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결합되는 정면판과, 제1측면판과 제2측면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정면판의 양측면에 접힘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측면판과 상기 제2측면판의 각각 일단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보강리브에 형성된 걸림홈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측면판과, 제1날개면판과 제2날개면판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날개면판은 상기 측면판의 제1측면판의 일측면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날개면판은 상기 측면판의 제2측면판의 일측면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날개면판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면에 결합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바닥면판과, 제1결합면판과 제2결합면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면판과 상기 제2결합면판이 서로 끼움결합되며, 상기 바닥부와 상기 수용부의 사이에 접히는 일단부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상기 바닥면판의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면판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면판과 상기 제2결합면판에 끼움판과 끼움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면판의 끼움판이 상기 제2결합면판의 끼움홈에, 상기 제2결합면판의 끼움판이 상기 제1결합면판의 끼움홈에 서로 교차하여 끼움결합된다.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에 접힘 가능한 삽입리브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보강리브와, 한 쌍으로, 상기 본체에 이웃하게 상기 복수개의 수용부 중 일부 수용부의 상단에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는 날개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날개가 조립되면서 상기 수용부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본체의 삽입리브가 삽입되면서 상기 수용부의 수용공간을 밀폐시키되, 상기 본체와 상기 삽입리브의 양끝단부에 형성된 절취부분에 상기 한 쌍의 날개에 각각 형성된 삽입단의 결합으로 상기 수용부의 수용공간을 밀폐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구성요소인 삽입리브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인출부의 정면판 상단부에 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리브의 삽입홈에 삽입 결합된다.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의 구성요소인 정면판의 상단부에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를 잡아당겨 상기 인출부가 상기 수용부로부터 인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구성요소인 삽입리브의 양측면에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조립시 상기 삽입리브와 상기 수용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도어식으로 정면으로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스틱형 커피믹스나 티백형 녹차 등 차제품을 한 개씩 인출 및 보관에 따른 편리성이 제공될 뿐만 아니라 내용물인 차제품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본 고안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포장상자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전개도,
도 4는 도 2에 따른 인출부가 정면으로 인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2에 따른 덮개부의 다른 일 실시예의 도면,
도 6은 도 2에 따른 인출부의 다른 일 실시예의 도면.
후술하는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서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따른 인출부가 정면으로 인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2에 따른 덮개부의 다른 일 실시예의 도면이며, 도 6은 도 2에 따른 인출부의 다른 일 실시예의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10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부(110), 바닥부(120), 수용부(130), 덮개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100)는 장시간 동안 사용이 가능하거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찢어지지 않거나 구겨지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외부에 다양한 색상, 무늬 등을 표현하여 사용자 및 구매자들에게 심미감을 제공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인출부(110)는 스틱형 커피믹스나 티백형 녹차를 담을 수 있고, 내부에 담겨진 스틱형 커피믹스나 티백형 녹차를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하도록 도어식으로 형성된다.
인출부(110)는 길이가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수용부(130)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수용부(130)의 내부에 수용된다.
인출부(110)에 담겨진 스틱형 커피믹스나 티백형 녹차 등의 차제품은 도어식으로 형성된 인출부(110)를 잡아 당기면 잡아 당기는 방향으로 쏠리게 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출이 가능하다.
인출부(110)는 정면판(111), 측면판(112), 날개면판(113)으로 구성된다.
정면판(111)은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도면과 같이 일단이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진 일단에 결합돌기(111a)가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덮개부(140)에 형성되는 결합홈(141a)에 결합된다.
결합돌기(111a)는 덮개부(140)의 결합홈(141b)에 제일 먼저 삽입되는 일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확대되었다가 다시 내측방향으로 축소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덮개부(140)의 결합홈(141b)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면서 외측방향으로 확대로 인해 결합돌기(111a)가 결합홈(141b)으로부터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측면판(112)은 제1측면판(112a)과 제2측면판(112b)으로 형성되어 정면판(111)의 양측면에 접힘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고, 제1측면판(112a)과 제2측면판(112b)의 각각 일단에 걸림돌기(112a', 112b')가 형성되어 수용부(130)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보강리브(142)에 형성된 걸림홈(142a, 142b)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측면판(112)은 수용부(130)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되, 정면판(111)의 길이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수용부(130)의 내부에 용이하게 수용된다.
측면판(112)의 제1측면판(112a)과 제2측면판(112b)은 정면판(111)의 양측면에 접힙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정면판(111)에 직교로 각각 연결된다.
제1측면판(112a)과 제2측면판(112b)은 각각 일단에 뾰족하게 형성되는 걸림돌기(112a', 112b')가 형성되어 보강리브(142)의 걸림홈(142a, 142b)에 걸려 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날개면판(113)은 제1날개면판(113a)과 제2날개면판(113b)으로 형성되되, 제1날개면판(113a)은 측면판(112)의 제1측면판(112a)의 일측면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제2날개면판(113b)은 측면판(112)의 제2측면판(112b)의 일측면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날개면판(113)은 측면판(112)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거나 동일하게 형성되어 측면판(112)과 함께 수용부(130)의 내부에 용이하게 수용된다.
날개면판(113)의 제1날개면판(113a)은 제1측면판(112a)에, 제2날개면판(113b)은 제2측면판(112b)에 직교로 접힘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제1날개면판(113a)과 제2날개면판(113b)은 서로 포개지도록 형성된다.
인출부(110)의 다른 일 실시예로, 인출부(110)의 구성요소인 정면판(111)의 상단부에 돌기(111b)가 형성되어 돌기(111b)를 잡아당겨 인출부(110)가 수용부(130)로부터 인출된다.
정면판(111)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돌기(111b)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져 손쉽게 잡아 당길 수 있어 인출부(110)가 수용부(130)로부터 이탈된다.
바닥부(120)는 인출부(110)의 일단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된다.
바닥부(120)는 바닥면판(121)과 결합면판(122)으로 구성된다.
바닥면판(121)은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면에 결합돌기(121a, 121b)가 각각 형성된다.
결합면판(122)은 제1결합면판(122a)과 제2결합면판(122b)으로 형성되어 제1결합면판(122a)과 제2결합면판(122b)이 서로 끼움결합되며, 바닥부(120)와 수용부(130)의 사이에 접히는 일단부에 형성되는 결합홈(141b)에 바닥면판(121)의 결합돌기(111a)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결합면판(122a)과 제2결합면판(122b)에 끼움판(122a', 122b')과 끼움홈(122a", 122b")이 각각 형성되어 제1결합면판(122a)의 끼움판(122a')이 제2결합면판(122b)의 끼움홈(122b")에, 제2결합면판(122b)의 끼움판(122b')이 제1결합면판(122a)의 끼움홈(122a")에 서로 교차하여 끼움결합되다.
결합돌기(111a)는 바닥부(120)와 수용부(130)의 사이에 접히는 일단부에 형성되는 결합홈(141b)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결합돌기(111a)는 바닥부(120)의 결합홈(141b)에 제일 먼저 삽입되는 일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확대되었다가 다시 내측방향으로 축소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바닥부(120)의 결합홈(141b)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면서 외측방향의 확대로 인해 결합돌기(111a)가 결합홈(141b)으로부터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수용부(130)는 바닥부(120)의 일단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되, 인출부(110)에 대응되는 일단에 접힙 가능하게 연결되고, 인출부(110)를 수용한다.
수용부(130)는 도면을 기준으로 3개의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용이하게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되어 손쉽게 조립이 가능하다.
3개의 사각형 형상의 수용부(130) 중 어느 한 개의 수용부(131)의 끝단부에 접착테이프나 접착제 등의 접착수단이 구비되는 접착부(150)가 접힘 가능하게 연결된다.
접착부(150)는 수용부(130) 중 도면을 기준으로, 제일 왼쪽에 배치되는 수용부(131)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고,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보강리브(142)는 제일 오른쪽에 배치되는 수용부(133)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며, 가운데 배치되는 수용부(132)는 바닥면판(121)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된다.
덮개부(140)는 수용부(130)의 일단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용부(130)의 일면을 덮는다.
덮개부(140)는 본체(141), 보강리브(142), 날개(143)로 구성된다.
본체(141)는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에 접힘 가능한 삽입리브(141a)가 형성된다.
본체(141)는 상단 즉, 삽입리브(141a)와 접힘 가능한 일단의 양측에 절취부분(141a', 141a")이 형성되고, 하단의 중간에 인출부(110)의 결합돌기(111a)가 삽입으로 결합되는 결합홈(141b)이 형성된다.
본체(141)의 상단에 형성되는 삽입리브(141a)는 양끝단부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날개(143)와 수용부(13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용이하게 삽입된다.
보강리브(142)는 본체(141)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보강리브(142)는 본체(141)와 직교로 연결되는 것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단부 중간에 반구 형상으로 홈이 형성된다.
보강리브(142)의 하단부는 양끝단부에 걸림홈(142a, 142b)이 형성되어 인출부(110)의 2개의 걸림돌기(112a', 112b')가 삽입된다.
날개(143)는 한 쌍으로, 본체(141)에 이웃하게 수용부(130)의 상단에 접힘 가능하게 형성된다.
한 쌍의 날개(143) 중 어느 하나의 날개(143a)는 제일 왼쪽에 배치되는 수용부(131)의 상단에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날개(143b)는 제일 오른쪽에 배치되는 수용부(133)의 상단에 접힘 가능하게 형성된다.
한 쌍의 날개(143)가 조립되면서 수용부(130)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본체(141)의 삽입리브(141a)가 삽입되면서 수용부(130)의 수용공간을 밀폐시키되, 본체(141)와 삽입리브(141a)의 양끝단부에 형성된 절취부분(141a', 141a")에 한 쌍의 날개(143)에 각각 형성된 삽입단(143a', 143b')의 결합으로 수용부(130)의 수용공간을 밀폐된다.
삽입리브(141a)의 절취부분(141a', 141a")과 날개(143)의 삽입단(143a', 143b')으로 인해 결합관계가 더욱 향상되므로 운반하는 과정에서 수용공간에 수용된 차제품의 이탈을 방지한다.
덮개부(140)의 다른 일 실시예로, 덮개부(140)의 구성요소인 삽입리브(141)의 양측면에 끼움돌기(141b', 141b")가 형성되어 조립시 삽입리브(141a)와 수용부(13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는 위에서 설명한 삽입리브(141a)의 절취부분(141a', 141a")과 날개(143)의 삽입단(143a', 143b')의 결합으로 인해 결합관계가 더욱 향상되는 것과 같이 삽입리브(141a)의 양측면에 형성된 끼움돌기(141b', 141b")로 인해 수용부(130)로부터의 결합관계가 더욱 더 향상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
110 : 인출부
111 : 정면판
111a : 결합돌기
111b : 돌기
112 : 측면판
112a : 제1측면판
112a' : 걸림돌기
112b : 제2측면판
112b' : 걸림돌기
113 : 날개면판
113a : 제1날개면판
113b : 제2날개면판
120 : 바닥부
121 : 바닥면판
121a, 121b : 결합돌기
122 : 결합면판
122a : 제1결합면판
122a' : 끼움판
122a" : 끼움홈
122b : 제2결합면판
122b' : 끼움판
122b" : 끼움홈
123 : 결합홈
130 : 수용부
140 : 덮개부
141 : 본체
141a : 삽입리브
141a', 141a" : 절취부분
141b : 결합홈
142 : 보강리브
142a , 142b : 걸림홈
143 : 날개
143a', 143b' : 삽입단
141 : 삽입리브
141a : 결합홈
141b', 141b" : 끼움돌기
150 : 접착부

Claims (9)

  1. 스틱형 커피믹스나 티백형 녹차를 담을 수 있고, 상기 스틱형 커피믹스나 상기 티백형 녹차를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인출부;
    상기 인출부의 일단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일단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인출부에 대응되는 일단에 접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인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일단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수용부의 일면을 덮는 덮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 되,
    상기 바닥부는,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면에 결합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바닥면판과,
    제1결합면판과 제2결합면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면판과 상기 제2결합면판이 서로 끼움결합되며, 상기 바닥부와 상기 수용부의 사이에 접히는 일단부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상기 바닥면판의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면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단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결합되는 정면판과,
    제1측면판과 제2측면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정면판의 양측면에 접힘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측면판과 상기 제2측면판의 각각 일단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보강리브에 형성된 걸림홈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측면판과,
    제1날개면판과 제2날개면판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날개면판은 상기 측면판의 제1측면판의 일측면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날개면판은 상기 측면판의 제2측면판의 일측면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날개면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면판과 상기 제2결합면판에 끼움판과 끼움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면판의 끼움판이 상기 제2결합면판의 끼움홈에, 상기 제2결합면판의 끼움판이 상기 제1결합면판의 끼움홈에 서로 교차하여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에 접힘 가능한 삽입리브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보강리브와,
    한 쌍으로, 상기 본체에 이웃하게 상기 수용부의 상단에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는 날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날개가 조립되면서 상기 수용부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본체의 삽입리브가 삽입되면서 상기 수용부의 수용공간을 밀폐시키되, 상기 본체와 상기 삽입리브의 양끝단부에 형성된 절취부분에 상기 한 쌍의 날개에 각각 형성된 삽입단의 결합으로 상기 수용부의 수용공간을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구성요소인 삽입리브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인출부의 정면판 상단부에 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리브의 삽입홈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의 구성요소인 정면판의 상단부에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를 잡아당겨 상기 인출부가 상기 수용부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구성요소인 삽입리브의 양측면에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조립시 상기 삽입리브와 상기 수용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
KR2020180003499U 2018-07-27 2018-07-27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 KR2004911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499U KR200491146Y1 (ko) 2018-07-27 2018-07-27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499U KR200491146Y1 (ko) 2018-07-27 2018-07-27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303U KR20200000303U (ko) 2020-02-05
KR200491146Y1 true KR200491146Y1 (ko) 2020-02-26

Family

ID=69493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499U KR200491146Y1 (ko) 2018-07-27 2018-07-27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14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433Y1 (ko) * 2021-01-11 2023-01-30 (주)신원인팩 전면 개폐가 가능한 포장용 상자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7356A (ja) 2002-03-18 2003-09-25 Kimura Kigata:Kk 側面から収容物の出し入れ可能な箱
KR200420834Y1 (ko) 2006-04-21 2006-07-06 이건석 진열 겸용 포장상자
JP2013209114A (ja) 2012-03-30 2013-10-10 Sanyo Energy Higashiura Co Ltd 包装用箱
KR200477098Y1 (ko) * 2013-12-11 2015-05-06 (주) 신원인팩 덮개에 스토퍼가 부가된 포장용 케이스
WO2015166341A1 (en) 2014-04-29 2015-11-05 Kraft Foods R&D, Inc. Carton, carton blank and method of erecting and filling a carton
CN205998306U (zh) * 2016-07-19 2017-03-08 上海阿拉丁生化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包装盒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4339Y2 (ja) * 1991-02-28 1997-11-17 古林紙工株式会社 開閉蓋の開放状態を維持しうる包装用容器
KR20130055364A (ko) * 2011-11-18 2013-05-28 최은정 담배 케이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7356A (ja) 2002-03-18 2003-09-25 Kimura Kigata:Kk 側面から収容物の出し入れ可能な箱
KR200420834Y1 (ko) 2006-04-21 2006-07-06 이건석 진열 겸용 포장상자
JP2013209114A (ja) 2012-03-30 2013-10-10 Sanyo Energy Higashiura Co Ltd 包装用箱
KR200477098Y1 (ko) * 2013-12-11 2015-05-06 (주) 신원인팩 덮개에 스토퍼가 부가된 포장용 케이스
WO2015166341A1 (en) 2014-04-29 2015-11-05 Kraft Foods R&D, Inc. Carton, carton blank and method of erecting and filling a carton
CN205998306U (zh) * 2016-07-19 2017-03-08 上海阿拉丁生化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包装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303U (ko)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6703Y1 (ko) 포장상자
KR101554009B1 (ko) 스틱 과자 상품 인출 창 구조를 갖는 포장 박스
KR200491146Y1 (ko)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
US20180346234A1 (en) Pack for consumer goods
KR101875279B1 (ko) 다용도 수납박스
KR101463269B1 (ko) 손잡이 일체형 포장상자
CN107344645B (zh) 折叠式包装盒
US1167847A (en) Display-box.
KR101504901B1 (ko) 제품 인출이 용이하도록 제품 받침대가 형성된 포장박스
KR20100009388U (ko) 도어식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커피믹스 스틱류 제품 포장박스
KR101315122B1 (ko) 서로 다른 2 종류의 스틱타입 상품을 담는 포장박스
KR102066243B1 (ko) 접시모듈이 구비된 치킨 박스
JPS5933806Y2 (ja) 複数トレ−付容器
US4064988A (en) Display container
KR101582148B1 (ko) 포장용 수납상자
KR101354472B1 (ko) 가구용 공간박스
KR200475841Y1 (ko) 삼각형 포장상자
KR200453474Y1 (ko) 포장용 상자
KR100874104B1 (ko) 구획벽을 일체로 구비한 음식물 포장 박스
KR200384754Y1 (ko) 원터치 개폐가 가능한 택배용 포장 박스
KR102018563B1 (ko) 제품 전시 및 격리 포장 가능한 포장 케이스
KR20200079222A (ko) 접시모듈이 구비된 치킨 박스
JP2016047734A (ja) 連結包装箱
KR101692957B1 (ko) 포장용 박스
KR20240006271A (ko) 3개의 포장공간이 분할구비된 포장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