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9388U - 도어식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커피믹스 스틱류 제품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도어식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커피믹스 스틱류 제품 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9388U
KR20100009388U KR2020090003018U KR20090003018U KR20100009388U KR 20100009388 U KR20100009388 U KR 20100009388U KR 2020090003018 U KR2020090003018 U KR 2020090003018U KR 20090003018 U KR20090003018 U KR 20090003018U KR 20100009388 U KR20100009388 U KR 201000093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door
dotted line
packaging box
typ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30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권식
Original Assignee
(주) 동남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동남사 filed Critical (주) 동남사
Priority to KR20200900030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9388U/ko
Publication of KR201000093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38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21Contents-dispensing means consisting of mobile element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s or attached to the containers
    • B65D5/722Contents-dispensing means consisting of mobile element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s or attached to the containers having an alternating movement co-operating with incised or scored openings near the bottom-edges of the bodies of tubular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36Further treatment of dried coffee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coffe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52Devices for discharging successive articles or portions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식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커피믹스 스틱류 제품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 상부점선절취선(101), 좌측점선절취선(102) 및 우측점선절취선(103)과; 상부접이선(104)을 중심으로 탄성접철 개방되는 손가락 터치부(105)와; 하부접이선(106)을 중심으로 탄성접철 개방되는 도어식 인출구(10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도어식 인출구를 손가락으로 열고 일회용 커피를 포함하는 긴막대 스틱류 제품을 한 개씩 꺼낼 수 있으며, 제품을 꺼낸 후 도어식 인출구를 다시 닫아서 보관할 수 있는 도어식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커피믹스 스틱류 제품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커피믹스, 스틱류, 포장박스

Description

도어식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커피믹스 스틱류 제품 포장박스{OMIT}
본 고안은 도어식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커피믹스 스틱류 제품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박스 전면 하단부에 도어식 인출구가 일회용 커피믹스 포장 크기보다 약간 길게 형성되어 있고, 도어식 인출구를 손가락으로 열고 일회용 커피를 포함하는 긴막대 스틱류 제품을 한 개씩 꺼낼 수 있으며, 제품을 꺼낸 후 도어식 인출구를 다시 닫아서 보관할 수 있는 도어식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커피믹스 스틱류 제품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포장 박스는 그 내부에 수용된 상품이 유통중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보다 큰 단위 포장으로 유통을 편리하게 해 주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포장박스는 가벼우면서 견고한 구조를 갖는 종이판재를 이용하여 박스를 제작하고, 상하면에 개봉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하부면을 밀폐한 후에 그 내부에 상품을 적재하고 그 상부면을 밀폐 처리하여 유통이 된다.
종래의 포장박스는 단지 포장을 하기 위한 외부케이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진열을 위해서는 낱개로 꺼내어 사용하거나 측면을 잘라내어 사용하므로 자원을 낭비하는 문제점과 포장박스를 임의적으로 절개하여 사용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에는 과자 포장박스, 분말 팩 포장박스, 스틱 커피 믹스 포장박스 등의 판지 포장 박스에는 절개 점선으로 상품 인출구를 설치하고 있다. 즉, 포장박스 상면에 인출구 형태로 절개 점선을 설치하고 절개 점선 부분을 뜯어내어 상판 인출구로 개방하도록 한 것, 포장박스의 전면에 인출구를 절개 점선으로 설치하고 이를 뜯어내어 전면에서 상품을 인출하도록 한 것 등 다양한 상품 인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절개 점선(1)을 설치한 박스(등록특허공보 제10-0877329호 참조)는 전면 인출구(2)를 형성함에 있어 절개 점선 상태로 조립되고 있으나, 이송중에 절개점선이 절취되어 내부 내용물이 외부로 이탈되는 문제가 있었고, 또한, 이들 절개 점선으로 형성된 판지 포장박스의 인출구는 한번 절개되어 뜯어내면, 내용물이 모두 들여다 보여 외관상 단정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인출구를 통해 내용물이 유출되는 등 사용상태에서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08-75942호는 상기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한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뚜껑부(100)가 일회용 커피를 포함하는 긴막대 스틱류 제품의 포장 크기보다 약간 길이가 큰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전면뚜껑부를 손가락으로 열고 일회용 커피를 포함하는 긴막대 스틱류 제품을 한개씩 꺼낼 수 있으며 일회용 커피를 포함하는 긴막대 스틱류 제품을 꺼낸 후 전면뚜껑부(100)를 다시 닫아서 보관할 수 있고 포장박스를 겸하면서 진열대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진 열 겸용 포장박스를 제안하고 있지만, 상기 전면뚜껑부(100)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면이 접철되어 접착제로 부착된 내피와 외피를 구성하고, 상기 내피에 끼움돌기를 형성하며, 전면뚜껑부를 열고 닫을 때 측면 가이드역활을 하도록 전면뚜껑날개면(150)을 구성하여야 하는 등 박스구조가 복잡하고 이로 인한 제작비용이 추가되어 실용성이나 경제성면에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박스본체 전면 하단부에 도어식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커피믹스 스틱류 제품 포장박스에 있어서, 포장박스 전면 하단부에 도어식 인출구가 일회용 커피믹스 포장 크기보다 약간 길게 형성되어 있고, 도어식 인출구를 손가락으로 열고 일회용 커피를 포함하는 긴막대 스틱류 제품을 한 개씩 꺼낼 수 있으며, 제품을 꺼낸 후 도어식 인출구를 다시 닫아서 보관할 수 있는 도어식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커피믹스 스틱류 제품 포장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박스본체 전면 하단부에 도어식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커피믹스 스틱류 제품 포장박스에 있어서, 상부점선절취선, 좌측점선절취선 및 우측점선절취선과; 상부접이선을 중심으로 탄성접철 개방되는 손가락 터치부와; 하부접이선을 중심으로 탄성접철 개방되는 도어식 인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식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커피믹스 스 틱류 제품 포장박스를 기술적 수단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도어식 인출구를 손가락으로 열고 일회용 커피를 한개씩 꺼낼 수 있으며 일회용 커피를 꺼낸 후 도어식 인출구를 다시 닫아서 보관할 수 있고, 이물질의 포장상자 내부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위생적인 포장박스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인출구를 통해 내용물이 유출되는 등 사용상태에서 불편한 점이 전혀 없이 내용물이 소진될 때까지 외관이 단정하게 유지되고, 기존 박스의 구조적 변경없이 그대로 적용가능하여 제작비용 추가없이 실용성이나 경제성을 향상시키므로 포장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본 고안의 도어식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커피믹스 스틱류 제품 포장박스는 상부점선절취선(101), 좌측점선절취선(102) 및 우측점선절취선(103)과; 상부접이선(104)을 중심으로 탄성접철 개방되는 손가락 터치부(105)와; 하부접이선(106)을 중심으로 탄성접철 개방되는 도어식 인출구(10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식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커피믹스 스틱류 제품 포장박스의 정면도이고, 도 6은 상기 도어식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커피믹스 스틱류 제품 포장박스의 도어식 인출구의 개폐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식 인출구(107)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커피믹스 스틱류 제품 포장박스는 본체에 형성된 상부점선절취선(101), 좌측점선절취선(102) 및 우측점선절취선(103)과; 상부접이선(104)을 중심으로 탄성접철 개방되는 손가락 터치부(105)와; 상기 손가락 터치부(105) 좌우측에 경사각 α를 가지고 형성된 제1끼움결합돌기(108)가 형성되고, 박스 본체에는 제1끼움결합홈(109)이 형성되며, 상기 제1끼움결합돌기(108)와 상기 제1끼움결합홈(109)이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일회용 커피를 꺼낸 후 도어식 인출구(107)를 다시 닫은 경우 잘 열리지 않도록 잠금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부점선절취선(101)과 좌측점선절취선(102) 및 우측점선절취선(103)은 각각 경사각 γ를 형성한다. 상기 경사각 α는 60°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경사각 γ는 115°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각 α가 60°미만인 경우에는 제1끼움결합돌기(108)가 가늘어지게 되어 손가락 터치부(105)를 눌러 절취할 경우 찢어지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경사각 α가 60°, 경사각 γ가 115°를 초과하게 되면, 제1끼움결합돌기(108)와 제1끼움결합홈(109)의 결합 잠금효과가 저하되어 도어식 인출구(107)가 쉽게 열릴 우려가 있다.
또한, 박스 본체에는 제2끼움결합돌기(110)가 형성되고, 손가락 터치부(105)에는 상부접이선(104)과 상부절취선(101)이 경사각 β를 이루며 형성되는 제2끼움결합홈(111)이 형성되며, 상기 제2끼움결합돌기(110)와 상기 제2끼움결합홈(111)이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상기 제1끼움결합돌기(108)와 상기 제1끼움결합홈(109)의 잠금기능을 보조하게 된다. 경사각 β는 경사각 α와 같이 60°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각 β가 60°미만인 경우에는 제2끼움결합돌기(110)가 길고 날카롭게 형성되어 도어식 인출구(107)를 통해 일회용 커피를 꺼낼 때 간섭되는 불편이 있으며, 경사각 β가 60°를 초과하게 되거나, 경사각 γ가 115°를 초과하게 되면 결합 잠금효과가 저하되어 도어식 인출구가 쉽게 열릴 우려가 있다.
상기 상부접이선(104)과, 상기 하부접이선(106)은 점선철취선을 절취할 때 쉽게 접철될 수 있도록 점선철취선(101, 102, 103) 동시에 성형된다.
또한, 손가락 터치부(105) 상부홈에는 손가락홈(112)이 형성되어 상기 점선절취선(101, 102, 103)들이 쉽게 절취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내용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기술로서 절개점선이 설치된 포장박스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기술로서 전면뚜껑부가 설치된 포장박스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식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커피믹스 스틱류 제품 포장박스의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식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커피믹스 스틱류 제품 포장박스의 도어식 인출구의 개폐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상부점선절취선 102 : 좌측점선절취선 103 : 우측점선절취선
104 : 상부접이선 105 : 손가락 터치부 106 : 하부접이선
107 : 도어식 인출구 108 : 제1끼움결합돌기 109 : 제1끼움결합홈
110 : 제2끼움결합돌기 111 : 제2끼움결합홈 112 : 손가락홈

Claims (4)

  1. 박스본체 전면 하단부에 도어식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커피믹스 스틱류 제품 포장박스에 있어서, 박스 본체에 형성된 상부점선절취선(101), 좌측점선절취선(102) 및 우측점선절취선(103)과; 도어식 인출구(107)의 상부에 형성된 손가락 터치부(105)와; 상기 도어식 인출구(107)와 손가락 터치부(105) 사이에 형성된 상부접이선(104)과; 상기 도어식 인출구(107) 하부에 형성된 하부접이선(106)과; 상기 손가락 터치부(105) 좌우측에 경사각 α를 가지고 형성된 제1끼움결합돌기(108)와; 상기 제1끼움결합돌기(108)와 결합되도록 박스 본체에 형성된 제1끼움결합홈(109)과; 상기 손가락 터치부(105) 좌우측에 상부접이선(104)과 상부절취선(101)이 경사각 β를 이루며 형성되는 제2끼움결합홈(111)과; 상기 제2끼움결합홈(111)과 결합되도록 박스 본체에 형성된 제2끼움결합돌기(110)와; 상기 상부점선절취선(101)과 좌측점선절취선(102) 및 우측점선절취선(103)이 각각 경사각 γ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어 일회용 커피믹스 스틱류 제품을 꺼낸 후 도어식 인출구(107)를 다시 닫는 경우 잘 열리지 않도록 잠금장치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식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커피믹스 스틱류 제품 포장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터치부(105) 좌우측에 형성된 경사각 α와 상부접이선(104)과 상부절취선(101)으로 형성되는 경사각 β는 각각 60°이고, 상기 상부점선절취선(101)과 좌측점선절취선(102) 및 우측점선절취선(103)이 각각형성하 는 경사각γ는 1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식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커피믹스 스틱류 제품 포장박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접이선(104)과, 상기 하부접이선(106)은 상기 점선철취선(101, 102, 103)을 절취할 때 쉽게 접철될 수 있도록 점선철취선과 동시에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식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커피믹스 스틱류 제품 포장박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터치부(105) 상부홈에는 상기 점선절취선(101, 102, 103)들이 쉽게 절취될 수 있도록 손가락홈(1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식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커피믹스 스틱류 제품 포장박스
KR2020090003018U 2009-03-17 2009-03-17 도어식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커피믹스 스틱류 제품 포장박스 KR2010000938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018U KR20100009388U (ko) 2009-03-17 2009-03-17 도어식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커피믹스 스틱류 제품 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018U KR20100009388U (ko) 2009-03-17 2009-03-17 도어식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커피믹스 스틱류 제품 포장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388U true KR20100009388U (ko) 2010-09-29

Family

ID=44199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018U KR20100009388U (ko) 2009-03-17 2009-03-17 도어식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커피믹스 스틱류 제품 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9388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894B1 (ko) * 2010-11-05 2013-01-02 구기승 두루마리 부직행주
KR20170002986U (ko) * 2016-02-16 2017-08-24 주식회사 비원씨앤알 다단 적재가 가능한 포장용 상자
KR102147180B1 (ko) 2020-03-10 2020-08-24 홍석관 포장박스의 종이 손잡이 및 제조 방법
KR102180312B1 (ko) 2020-04-22 2020-11-18 홍석관 포장박스의 종이 손잡이 및 제조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894B1 (ko) * 2010-11-05 2013-01-02 구기승 두루마리 부직행주
KR101215732B1 (ko) * 2010-11-05 2013-01-09 구기승 릴 포장 카세트
KR20170002986U (ko) * 2016-02-16 2017-08-24 주식회사 비원씨앤알 다단 적재가 가능한 포장용 상자
KR102147180B1 (ko) 2020-03-10 2020-08-24 홍석관 포장박스의 종이 손잡이 및 제조 방법
KR102180312B1 (ko) 2020-04-22 2020-11-18 홍석관 포장박스의 종이 손잡이 및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2810B1 (ko) 슬라이드 개구와 힌지 뚜껑을 가진 흡연 물품 패키지
JP2013531589A (ja) たばこ製品用スライド式パッケージ
RU2265563C2 (ru) Коробка с откидной крышкой
JP5961620B2 (ja) 喫煙品用パック
US20160130074A1 (en) Packet for holding substantially elongated articles such as cigarettes
WO2008104870A1 (en) A multiple rigid cigarette packet
KR20100009388U (ko) 도어식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커피믹스 스틱류 제품 포장박스
KR20150013459A (ko) 소비재 상품을 분배하기 위한 슬라이딩 부재를 갖춘 용기
US20240124217A1 (en) Opening pack
EP2681130B1 (en) Package for smoking articles
EP3079997B1 (en) Packaging for smoking articles
JP4105283B2 (ja) 引き出しと底緩衝機能付組箱
JP6110479B2 (ja) スライドオープン式硬質タバコパケット、及びそのための製造方法
RU2613163C2 (ru) Упаковка карманного формата,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для хранения малоразмерных предметов
EP3271267B1 (en) A package for smoking articles, corresponding blank and method for forming a such package
JP2014213882A (ja) 容器用包装箱
KR200491146Y1 (ko)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
CN105073604B (zh) 香烟的刚性的、铰接盖的、滑动打开的包装
MX2012002282A (es) Embalaje con abertura de facil acceso.
KR20120086482A (ko) 스틱류 제품의 진열 겸용 포장상자
KR200453474Y1 (ko) 포장용 상자
KR200384754Y1 (ko) 원터치 개폐가 가능한 택배용 포장 박스
KR100797569B1 (ko) 개폐가 편리한 포장케이스
CN210521397U (zh) 一种保健药品包装盒
BR112019022217A2 (pt) Embalagem e recorte para a mesm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