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180B1 - 포장박스의 종이 손잡이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포장박스의 종이 손잡이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180B1
KR102147180B1 KR1020200029310A KR20200029310A KR102147180B1 KR 102147180 B1 KR102147180 B1 KR 102147180B1 KR 1020200029310 A KR1020200029310 A KR 1020200029310A KR 20200029310 A KR20200029310 A KR 20200029310A KR 102147180 B1 KR102147180 B1 KR 102147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paper
disk
packaging box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관
Original Assignee
홍석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석관 filed Critical 홍석관
Priority to KR1020200029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1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08Handle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수 제품, 스틱류 제품 등을 포장하는 박스의 손잡이로서 종이 소재로 제작되는 손잡이와 이러한 종이 소재의 손잡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포장박스를 들 때 사용하는 손잡이를 종이 소재로 제작하여 분리 배출 시에 손잡이와 포장박스를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등 재활용 측면에서 효과적인 동시에 합성수지 소재의 사용 배제에 따른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특히 1장의 종이 원판으로부터 종이 손잡이 제품을 완성하는데 까지 소요되는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또 스크랩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등 제작성 및 경제성 측면에서 우수한 포장박스의 종이 손잡이 및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포장박스의 종이 손잡이 및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paper grip and paper grip for box}
본 발명은 포장박스의 종이 손잡이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수 제품, 스틱류 제품 등을 포장하는 박스의 손잡이로서 종이 소재로 제작되는 손잡이와 이러한 종이 소재의 손잡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박스는 내부에 수용된 상품이 유통 중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보다 큰 단위 포장으로 유통을 편리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보통 포장박스는 가벼우면서 견고한 구조를 갖는 종이 판재를 이용하여 박스를 제작하고, 상하면에 개봉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하부면을 밀폐한 후, 내부에 상품을 적재하고 상부면을 밀폐 처리하여 유통이 된다.
최근에는 과자 포장박스, 분말 팩 포장박스, 스틱 커피믹스 포장박스 등 낱개 단위로 포장되어 있는 다량의 제품을 넣어서 포장할 수 있는 종이 판재의 포장박스가 주로 유통되고 있으며, 이러한 포장박스에는 전면에 절개 형태의 점선으로 되어 있는 상품 인출구, 상면에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 손잡이 등이 갖추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1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그립 파트(110)와 상자측에 접합되어 그립 파트를 지지하는 베이스 파트(120)로 구성되며, 상기 그립 파트(110)는 양단부의 걸림편(130)을 이용하여 베이스 파트(120)의 걸림홀(140)에 끼워지는 구조로 조립된다.
그러나, 종래의 손잡이, 즉 그립 파트와 베이스 파트는 합성수지 소재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 배출 시에 종이 소재의 포장박스로부터 손잡이를 떼어내야만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고, 이러한 불편함 등의 이유로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손잡이가 부착된 상태 그대로 포장박스를 버리게 되고, 결국 재활용의 어려움에 따른 자원 낭비는 물론 환경 오염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최근의 포장박스에는 합성수지 소재로 만든 종이 손잡이를 종이 소재로 만든 손잡이로 대체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종이 소재로 만든 손잡이는 비용이 많이 들고 제작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스크랩 낭비가 심하여 경제성 측면은 물론 제작성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9388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4-0002825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1080호 등록특허공보 제10-0877329호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64-03211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포장박스를 들 때 사용하는 손잡이를 종이 소재로 제작하여 분리 배출 시에 손잡이와 포장박스를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등 재활용 측면에서 효과적인 동시에 합성수지 소재의 사용 배제에 따른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특히 1장의 종이 원판으로부터 종이 손잡이 제품을 완성하는데 까지 소요되는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또 스크랩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등 제작성 및 경제성 측면에서 우수한 포장박스의 종이 손잡이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포장박스의 종이 손잡이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포장박스의 종이 손잡이 제조방법은 1장의 종이 원판을 준비하는 제1단계와, 상기 종이 원판의 폭 중간에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한 접힘선을 형성하고, 상기 접힘선에 의해 구획되는 한쪽의 제1원판에는 손잡이 인출홀을 관통 형성하는 동시에 다른 한쪽의 제2원판에는 칼선을 이용하여 양단부에 걸림편을 가지는 손잡이를 절개 형성하되, 제2원판측과의 연결을 위한 적어도 1개의 연결띠를 남겨두고 손잡이를 절개 형성하며, 상기 걸림편과 연접되는 제2원판 영역에 걸림편의 이동을 위한 슬라이드 공간부를 관통 형성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원판 또는 제1원판의 내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접힘선을 이용하여 안쪽으로 제1원판과 제2원판을 두겹으로 접어서 접착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2원판의 외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두겹으로 접혀져 있는 제1원판과 제2원판을 포장박스의 박스 상판에 부착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포장박스의 종이 손잡이 제조방법은 사용 시 손잡이을 위로 잡아 당기면 손잡이가 위로 인출됨과 동시에 양쪽의 걸림편이 슬라이드 공간부를 따라 이동하다가 슬라이드 공간부의 끝에 걸림에 따라 손잡이의 인출 상태가 유지되면서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포장박스를 들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제2단계는 제1원판에 손잡이 인출홀을 관통 형성할 때 손잡이 인출홀의 양편에 이와 통하는 손가락 걸이홀을 함께 관통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단계는 제2원판에 칼선을 이용하여 손잡이를 절개 형성할 때 손잡이를 성형하는 양편의 칼선 일측과 접하는 손가락 걸이홀을 함께 관통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단계는 제2원판에 손잡이를 절개 형성할 때 손잡이에 폭 방향을 따라 나란한 동시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꺽임선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위의 제1단계 내지 제4단계를 포함하는 포장박스의 종이 손잡이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포장박스의 종이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포장박스의 종이 손잡이 및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포장박스에 사용되는 손잡이를 포장박스와 동일한 소재인 종이 소재로 제작하고, 또 종이 소재의 손잡이에 최적의 단면 구조를 부여하여 자체 강도를 확보함으로써, 포장박스 분리 배출 시에 손잡이와 포장박스를 따로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등 재활용 측면에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또 종전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 손잡이의 사용 배제에 따른 환경 오염을 적극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1장의 종이 원판으로부터 종이 손잡이 제품을 완성하는데 까지 소요되는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또 스크랩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등 제작 공정 단순화 및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따라서 종이 손잡이의 제작과 관련한 제작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손잡이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손잡이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손잡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합성수지 소재로 만든 손잡이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손잡이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포장박스의 종이 손잡이 제조방법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1장의 종이 원판을 사용하여 종이 손잡이 제품을 제작함과 더불어 최소한의 공정과 단순한 공정으로 종이 손잡이 제품을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공정 단순화 및 제작비 절감 등을 통해 제작성 향상과 경제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먼저, 제1단계로서, 1장의 종이 원판(10)을 준비하는 제1단계를 실시한다.
상기 종이 원판(10)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타원형, 원형,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종이 소재의 원판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직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종이 원판(10)이 적용된다.
이러한 종이 원판(10)은 견고함을 위해 두께가 두꺼울수록 좋지만 경제성 측면이나 성형성 측면 등을 고려해야 하므로 0.1∼1.5㎜ 정도의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실용적인 측면에서 볼 때 0.4∼0.6㎜ 정도의 두께로 이루어진 종이 원판(10)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제2단계로서, 상기 종이 원판(10)에 손잡이 인출홀(13), 손잡이(17) 등을 성형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종이 원판(10)의 폭 중간에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한 접힘선(11)을 형성한다.
즉,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종이 원판(10)의 폭(W)을 1/2로 분할한 지점에서 종이 원판(10)의 길이(L) 방향을 따라 나란한 직선상의 접힘선(11)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접힘선(11)은 프레스 설비에서의 프레스 공정 등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이때의 접힘선(11)은 후술하는 제3단계에서 종이 원판(10)을 두겹으로 접을 때 기준선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종이 원판(10)의 폭 중간에 접힘선(11)을 형성함으로써 종이 원판(10)은 2개의 영역, 즉 한쪽의 제1원판(12)과 다른 한쪽의 제2원판(14)으로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접힘선(11)에 의해 구획되는 한쪽의 제1원판(12)에는 손잡이 인출홀(13)을 관통 형성한다.
여기서, 손잡이 인출홀(13)은 제1원판(12)의 중앙 영역에서 원판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는 직사각형의 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 인출홀(13)의 폭은 손잡이(17)의 폭과 같거나 약간 큰 폭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 손잡이 인출홀(13)의 길이는 손잡이(17)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단계에서는 제1원판(12)에 손잡이 인출홀(13)을 관통 형성할 때 손잡이(17)를 잡기 위한 손가락 걸이홀(23a)을 형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원판(12)의 중앙 영역에 직사각형 홀 형태의 손잡이 인출홀(13)의 형성 시, 손잡이 인출홀(13)의 길이 중간 위치에서 그 양편에 각각 손잡이 인출홀(13)과 그대로 통하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손가락 걸이홀(23a)을 함께 관통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되는 손가락 걸이홀(23a)은 사용자가 손잡이(17)를 잡을 때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손가락 걸이홀(23a)을 통해 손가락을 집어넣은 후 손잡이(17)의 폭 양편을 손쉽게 잡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도 상기 손잡이 인출홀(13)과 손가락 걸이홀(23a)은 프레스 설비에서의 펀칭 공정 등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힘선(11)에 의해 구획되는 다른 한쪽의 제2원판(14)에는 걸림편(16)을 가지는 손잡이(17)와 슬라이드 공간부(19)를 형성한다.
상기 손잡이(17)는 직사각형의 길다란 종이 띠로서, 종이 원판(10)의 일부를 그대로 이용하여 만들어지게 되며, 손잡이(17)의 외곽 형상에 상응하는 형태를 가지면서 상하 동작하는 커터(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형성되는 칼선(15)을 이용하여 손잡이(17)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손잡이(17)의 외곽 형상을 따라 만들어지는 칼선(15)에 의해 손잡이(17)가 제2원판(14)측으로부터 분리되면서 구분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17)의 형성 위치는, 제1원판(12)과 제2원판(14)을 두겹으로 접었을 때, 제1원판(12)에 형성되는 손잡이 인출홀(13)의 형성 위치와 일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7)의 길이 방향 양쪽 단부에는 걸림편(16)이 일체 형성되며, 이때의 걸림편(16) 또한 종이 원판(10)의 일부가 그대로 이용되어 만들어지게 됨과 더불어 칼선(15)에 의해 제2원판(14)측으로부터 분리되면서 구분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편(16)의 폭은 손잡이(17)의 폭 대비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손잡이(17)의 인출 시, 손잡이(17)가 손잡이 인출홀(13)을 통해 빠져나갈 때 걸림편(16)은 함께 따라 나가지 못하고 걸려질 수 있게 된다.
특히, 2단계에서는 칼선(15)을 이용하여 양쪽 단부에 걸림편(16)이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17)의 절개 형성 시, 손잡이(17)의 완전 분리를 막기 위해 제2원판(14)측과의 연결을 위한 적어도 1개의 연결띠(18), 예를 들면 양쪽 걸림편(16)측과 제2원판(14)측 간을 연결하는 2개의 연결띠(18)를 남겨두고 일체형의 걸림편(16) 및 손잡이(17)를 절개 형성한다.
즉, 일체형의 걸림편(16) 및 손잡이(17)를 형성하기 위한 칼선(15)이 계속 이어지지 않고 연결띠 형성 부위에서 칼선(15)이 끊어지도록 하여 일체형의 걸림편(16) 및 손잡이(17)를 절개 형성한다.
이렇게 상기 걸림편(16) 및 손잡이(17)를 제2원판(14)측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약 0.5∼1㎜ 정도의 폭을 가지는 연결띠(18)를 이용하여 제2원판(14)측에 살짝 붙어 있게 함으로써, 후속 공정(예컨대,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 두겹으로 접는 공정, 포장박스측에 부착하는 공정 등)을 실시할 때 손잡이(17)가 떨어져나가거나 옆으로 삐딱하게 위치가 틀어지거나 하는 등의 위치 변동없이 제2원판(14) 상의 제위치를 고수할 수 있게 되고, 결국 후속 공정이 정확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주는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제2단계에서는 걸림편(16)과 연접되는 제2원판(14)의 영역에 걸림편(16)의 이동을 위한 슬라이드 공간부(19)를 관통 형성하는 단계가 실시된다.
예를 들면, 상기 걸림편(16)의 앞쪽(제2원판의 길이 중간쪽)으로 이와 연이어 접해 있는 곳에 소정의 폭을 가지는, 즉 손잡이 폭 대비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이루어진 걸림편(16)의 폭에 상응하는 폭을 가지는 관통부 형태의 슬라이드 공간부(19)가 형성된다.
이때의 슬라이드 공간부(19)는 손잡이(17)의 폭 양쪽 끝 부분에서 대략 사각형의 형상으로 떨어져 나간 양편 2곳의 빈 공간의 형태로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되는 슬라이드 공간부(19)를 이용하여 손잡이(17)의 걸림편(16)이 앞쪽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편(16)은 슬라이드 공간부(19)의 폭과 손잡이(17)의 폭 간의 경계부위에 폭 차이로 인해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걸림단(25)에 걸려질 수 있게 되고, 이렇게 걸림편(16)이 슬라이드 공간부(19)를 따라 이동하다가 걸림단(25)에 걸려지게 되면, 더 이상 손잡이(17)의 인출이 규제되면서 이때의 손잡이(17)의 인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단계에서는 제2원판(14)에 칼선(15)을 이용하여 손잡이(17)를 절개 형성할 때 손잡이(17)를 성형하는 양편의 칼선 일측과 접하는 손가락 걸이홀(23b)을 함께 관통 형성하는 과정이 실시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원판(12)의 중앙 영역에 손잡이(17)의 형성을 위한 칼선(15)을 낼 때, 손잡이(17)의 길이 중간 위치에서 그 양편에 각각 손잡이(17)의 형성 영역과 그대로 접하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손가락 걸이홀(23b)을 함께 관통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원판(12)과 제2원판(14)을 접힘선(11)을 기준으로 하여 두겹으로 접었을 때 제2원판(14)에 형성되는 손가락 걸이홀(23b)은 제1원판(12)에 형성되는 손가락 걸이홀(23a)은 서로 같은 위치에 일치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형성되는 손가락 걸이홀(23b)은 사용자가 손잡이(17)를 잡을 때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손가락 걸이홀(23b)을 통해 손가락을 집어넣은 후 손잡이(17)의 폭 양편을 손쉽게 잡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단계에서는 제2원판(14)에 손잡이(17)를 절개 형성할 때 손잡이(17)에 손잡이 폭 방향을 따라 나란한 동시에 손잡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꺽임선(24)을 형성하는 과정이 실시될 수 있다.
이렇게 손잡이(17)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꺽임선(24)이 형성되므로서, 바깥쪽으로 인출되는 손잡이(17)가 꺽임선(24)에 의해 마디마디가 자연스럽게 호(弧) 형상이나 아치 형상으로 휘어질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17)를 잡을 때 전혀 불편함없이 편안하게 손잡이(17)를 잡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원판(14) 상의 걸림편(16) 및 손잡이(17), 연결띠(18), 슬라이드 공간부(19), 손가락 걸이홀(23b), 꺽임선(24)의 성형은 프레스 설비에서의 칼선 커팅 공정, 펀칭 공정, 프레스 공정 등을 통해 1회의 프레스 작동에 의해 동시에 성형될 수 있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1원판(12) 상의 손잡이 인출홀(13), 손가락 걸이홀(23a)의 성형 또한 프레스 설비에서의 펀칭 공정 등에 의해 동시에 성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원판(12) 및 제2원판(14) 상에 형성되는 접힘선(11)은 물론 걸림편(16) 및 손잡이(17), 연결띠(18), 슬라이드 공간부(19), 손가락 걸이홀(23a,23b), 꺽임선(24), 손잡이 인출홀(13)은 프레스 설비의 1회 프레스 공정에 의해 동시에 성형될 수 있게 되므로서, 공정수를 대폭 단축할 수 있고, 또 원판 소재를 그대로 손잡이 등으로 활용하여 스크랩을 없앨 수 있으므로 제작이 쉽게 비용 또한 낮출 수 있는 등 제작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 제3단계로서, 제1원판(12)과 제2원판(24)을 두겹으로 접는 단계를 실시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원판(14) 또는 제1원판(12)의 내측면, 바람직하게는 제2원판(14)의 내측면에 접착제(20)를 도포하고, 계속해서 접힘선(11)을 이용하여 각 원판이 서로 마주 접하는 안쪽으로 제1원판(12)과 제2원판(14)을 두겹으로 접어서 접착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이때, 상기 접착제(20)는 공지의 핫멜트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제2원판(14)의 내면 빈 영역(손잡이 등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영역)에 적당한 면적에 걸쳐 도포될 수 있게 된다.
다음, 제4단계로서, 두겹으로 접혀져 있는 제1원판(12)과 제2원판(14)을 포장박스(21)의 박스 상판(22)에 부착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이를 위하여, 두겹으로 접혀져 있는 제1원판(12)과 제2원판(14) 중 제2원판(14)의 외측면에 핫멜트 등의 접착제(20)를 도포한 후,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원판(14)의 외측면, 즉 접착제(20)가 도포되어 있는 제2원판(14)의 밑면을 포장박스(21)의 박스 상판(22)에 부착한다.
이렇게 두겹의 제1원판(12)과 제2원판(14)을 포장박스(21)의 박스 상판(22)에 부착하게 되면, 윗쪽으로 손잡이(17)가 노출될 수 있게 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손잡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박스(22)의 박스 상판(22)에 두겹으로 접착되어 있는 제1원판(12) 및 제2원판(14)을 부착하면, 제1원판(12)의 손잡이 인출홀(13)을 통해 손잡이(17)가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포장박스(22)의 박스 커버(26)를 닫게 되면, 박스 커버(26)에 있는 홀 부분을 통해 손잡이(17)가 노출되어 보이게 되고, 계속해서 박스 커버(26)에 박스 잠금편(27)을 체결하여 포장박스(21)를 완전히 닫는다.
사용자가 포장박스(21)를 들기 위해 손잡이(17)를 잡아당기게 되면, 손잡이(17) 및 걸림편(16)을 잡고 있던 연결띠(18)가 당기는 힘에 의해 끊어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걸림편(16)은 슬라이드 공간부(19)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슬라이드 이동하던 걸림편(16)이 걸림단(25)에 걸리게 되면, 손잡이(17)는 더 이상 인출되지 않게 되고, 이때의 손잡이(17)는 완만한 호(弧) 형상을 이루며 적당한 길이로 인출되어 있게 되며, 사용자는 이렇게 윗쪽으로 나와 있는 손잡이(17)를 잡고 포장박스(21)를 편리하게 들고 다닐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포장박스에 사용되는 손잡이를 종이 소재로 제작하고, 1장의 종이 원판을 사용함과 더불어 최소한의 공정(커팅, 절곡, 접착 등)만으로 종이 손잡이 제품을 완성하는 새로운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분리 배출 시에 손잡이를 별도로 분리할 필요가 없어 처리가 간편하고, 종전과 같은 합성수지류의 손잡이를 배제할 수 있어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1장의 종이 원판을 일괄적으로 접거나 잘라내는 공정만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제작성 측면은 물론 경제성 측면에서 우수한 이점이 있다.
10 : 종이 원판
11 : 접힘선
12 : 제1원판
13 : 손잡이 인출홀
14 : 제2원판
15 : 칼선
16 : 걸림편
17 : 손잡이
18 : 연결띠
19 : 슬라이드 공간부
20 : 접착제
21 : 포장박스
22 : 박스 상판
23a,23b : 손가락 걸이홀
24 : 꺽임선
25 : 걸림단
26 : 박스 커버
27 : 박스 잠금편

Claims (6)

  1.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1장의 종이 원판(10)을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종이 원판(10)의 폭을 1/2로 분할한 지점에서 종이 원판(10)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한 직선 상의 접힘선(11)을 형성하고, 상기 접힘선(11)에 의해 구획되는 한쪽의 제1원판(12)에는 손잡이 인출홀(13)을 관통 형성하는 동시에 다른 한쪽의 제2원판(14)에는 칼선(15)을 이용하여 양단부에 걸림편(16)을 가지는 손잡이(17)를 절개 형성하되, 상기 손잡이(17)는 직사각형의 길다란 종이 띠로서, 종이 원판(10)의 일부를 그대로 이용하여 만들어지게 되며, 상기 걸림편(16)과 연접되는 제2원판 영역에 걸림편(16)의 이동을 위한 슬라이드 공간부(19)를 관통 형성하며, 상기 제1원판(12) 및 제2원판(14) 상에 형성되는 접힘선(11)은 물론 걸림편(16) 및 손잡이(17), 연결띠(18), 슬라이드 공간부(19), 손가락 걸이홀(23a,23b), 꺽임선(24), 손잡이 인출홀(13)은 프레스 설비의 1회 프레스 공정에 의해 동시에 성형될 수 있게 되므로서, 공정수를 단축할 수 있도록 한 제2단계;
    상기 제2원판(14) 또는 제1원판(12)의 내측면에 접착제(20)를 도포한 후에 접힘선(11)을 이용하여 안쪽으로 제1원판(12)과 제2원판(14)을 두겹으로 접어서 접착하는 제3단계;
    상기 제2원판(14)의 외측면에 접착제(20)를 도포한 후에 두겹으로 접혀져 있는 제1원판(12)과 제2원판(14)을 포장박스(21)의 박스 상판(22)에 부착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2단계는 제2원판(14)에 칼선(15)을 이용하여 손잡이(17)를 절개 형성할 때, 제2원판(14)측과의 연결을 위한 적어도 1개의 연결띠(18)를 남겨두고 손잡이(17)를 절개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2단계는 제1원판(12)에 손잡이 인출홀(13)을 관통 형성할 때 손잡이 인출홀(13)의 양편에 이와 통하는 손가락 걸이홀(23a)을 함께 관통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2단계는 제2원판(14)에 칼선(15)을 이용하여 손잡이(17)를 절개 형성할 때 손잡이(17)를 성형하는 양편의 칼선 일측과 접하는 손가락 걸이홀(23b)을 함께 관통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사용 시 손잡이(17)을 위로 잡아 당기면 손잡이(17)가 위로 인출됨과 동시에 양쪽의 걸림편(16)이 슬라이드 공간부(19)를 따라 이동하다가 슬라이드 공간부(19)의 끝에 걸림에 따라 손잡이(17)의 인출 상태가 유지되면서 사용자가 손잡이(17)를 잡고 포장박스를 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의 종이 손잡이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제2원판(14)에 손잡이(17)를 절개 형성할 때 손잡이(17)에 폭 방향을 따라 나란한 동시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꺽임선(24)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의 종이 손잡이 제조방법.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의 포장박스의 종이 손잡이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의 종이 손잡이.
KR1020200029310A 2020-03-10 2020-03-10 포장박스의 종이 손잡이 및 제조 방법 KR102147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310A KR102147180B1 (ko) 2020-03-10 2020-03-10 포장박스의 종이 손잡이 및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310A KR102147180B1 (ko) 2020-03-10 2020-03-10 포장박스의 종이 손잡이 및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180B1 true KR102147180B1 (ko) 2020-08-24

Family

ID=72235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310A KR102147180B1 (ko) 2020-03-10 2020-03-10 포장박스의 종이 손잡이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18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470B1 (ko) 2021-01-06 2021-02-23 홍석관 포장박스의 종이 손잡이 및 제조 방법
KR102308998B1 (ko) 2020-12-10 2021-10-05 홍석관 포장박스의 종이 손잡이 및 제조 방법
KR102308256B1 (ko) 2021-07-02 2021-10-05 홍석관 보강부를 갖춘 종이 손잡이 및 제조방법
KR102634593B1 (ko) 2022-11-16 2024-02-06 홍석관 포장박스용 종이 손잡이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2119A (en) 1987-07-29 1989-02-02 Canon Kk Absolute encoder
KR960034427U (ko) * 1995-04-25 1996-11-19 주식회사엘지화학 손잡이가 구비된 상품의 포장박스
KR19980060014U (ko) * 1997-03-07 1998-11-05 김용률 분말형 세제 포장 용기
US20080067223A1 (en) * 2004-06-11 2008-03-20 Fabien Jego Carton and Carton Blank With Strap Handle
KR100877329B1 (ko) 2005-10-07 2009-01-07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포장 박스의 스틱상품 디스플레이 인출구 장치
KR20100009388U (ko) 2009-03-17 2010-09-29 (주) 동남사 도어식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커피믹스 스틱류 제품 포장박스
KR20130001080A (ko) 2011-06-24 2013-01-03 덕천판지 주식회사 포장박스용 손잡이
KR20140002825U (ko) 2012-11-05 2014-05-14 (주)한성실업 포장상자용 손잡이
KR20150096635A (ko) * 2015-08-04 2015-08-25 (주)홈팩 걸림손잡이를 구비한 종이포장상자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2119A (en) 1987-07-29 1989-02-02 Canon Kk Absolute encoder
KR960034427U (ko) * 1995-04-25 1996-11-19 주식회사엘지화학 손잡이가 구비된 상품의 포장박스
KR19980060014U (ko) * 1997-03-07 1998-11-05 김용률 분말형 세제 포장 용기
US20080067223A1 (en) * 2004-06-11 2008-03-20 Fabien Jego Carton and Carton Blank With Strap Handle
KR100877329B1 (ko) 2005-10-07 2009-01-07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포장 박스의 스틱상품 디스플레이 인출구 장치
KR20100009388U (ko) 2009-03-17 2010-09-29 (주) 동남사 도어식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커피믹스 스틱류 제품 포장박스
KR20130001080A (ko) 2011-06-24 2013-01-03 덕천판지 주식회사 포장박스용 손잡이
KR20140002825U (ko) 2012-11-05 2014-05-14 (주)한성실업 포장상자용 손잡이
KR20150096635A (ko) * 2015-08-04 2015-08-25 (주)홈팩 걸림손잡이를 구비한 종이포장상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998B1 (ko) 2020-12-10 2021-10-05 홍석관 포장박스의 종이 손잡이 및 제조 방법
KR102219470B1 (ko) 2021-01-06 2021-02-23 홍석관 포장박스의 종이 손잡이 및 제조 방법
KR102308256B1 (ko) 2021-07-02 2021-10-05 홍석관 보강부를 갖춘 종이 손잡이 및 제조방법
KR102634593B1 (ko) 2022-11-16 2024-02-06 홍석관 포장박스용 종이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7180B1 (ko) 포장박스의 종이 손잡이 및 제조 방법
KR102180312B1 (ko) 포장박스의 종이 손잡이 및 제조 방법
US3905646A (en) Packaging structure and blank for container cover
US5584430A (en) Flip-top container with integral handles
US4478344A (en) Hand carrying basket
CN108861029B (zh) 显窃启塑料食品容器
MX2010010948A (es) Conjunto de recortes de carton, caja y metodo para elaborar una caja con dichos recortes.
MXPA03004323A (es) Caja de carton con surtidor de articulos.
CA2068731C (en) Carton having a perforation cut score opening and a carton blank for forming the same
US20060060578A1 (en) Secure locking container
KR102308256B1 (ko) 보강부를 갖춘 종이 손잡이 및 제조방법
US6216871B1 (en) Package and method for packaging of batches of articles of undetermined volume
KR102219470B1 (ko) 포장박스의 종이 손잡이 및 제조 방법
RO117608B1 (ro) Ambalaj multiplu pentru sticle si procedeu de realizare a acestuia
US4669630A (en) Container and cap assembly
CN101910022B (zh) 香烟包装盒
AU5227600A (en) Case and cardboard blank with tearaway wall
US5628452A (en) Package and blank for packaging cigarettes
JPH0585542A (ja) 再閉鎖可能な食品パツケージ
KR102308998B1 (ko) 포장박스의 종이 손잡이 및 제조 방법
KR102634593B1 (ko) 포장박스용 종이 손잡이
MXPA04007587A (es) Caja de carton y preforma de carton.
EP1074481A1 (en) A flexible bag having a tear off band for easy opening
CN109789945B (zh) 拉片和制造拉片的方法
JP3865687B2 (ja) 包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