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834Y1 - 진열 겸용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진열 겸용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834Y1
KR200420834Y1 KR2020060010723U KR20060010723U KR200420834Y1 KR 200420834 Y1 KR200420834 Y1 KR 200420834Y1 KR 2020060010723 U KR2020060010723 U KR 2020060010723U KR 20060010723 U KR20060010723 U KR 20060010723U KR 200420834 Y1 KR200420834 Y1 KR 2004208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packaging box
main body
box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7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석
Original Assignee
이건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건석 filed Critical 이건석
Priority to KR20200600107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8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8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8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2External stands or display elements for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장상자를 겸비하여 별도의 진열대 없이 바로 진열할 수 있는 구조의 포장상자를 얻기 위한 것인 바,
내부에 다수의 물건을 적재하기 위한 접이식 포장상자를 갖는 본체와, 본체의 바닥면인 저면을 중심으로 그 상부가 개봉되는 상부뚜껑부와, 밑면과 상부뚜껑부의 사이의 측면에 상부절취선과 좌/우측면을 절취하여 하부접이선을 중심으로 개방되는 측면뚜껑부를 더 구성함으로 서, 별도의 진열대를 사용하지 않고 포장상자를 이용하여 제품을 일일이 꺼내지 않고 진열할 수 있어 상품 관리의 효율성 및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 포장상자의 개봉여부를 사용자 또는 소비자가 알 수 있으므로 믿고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물질의 포장상자 내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위생적인 포장상자를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상부뚜껑부, 측면뚜껑부, 진열대

Description

진열 겸용 포장상자{A displaying combination packing box}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진열 겸용 포장상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진열 겸용 포장상자를 전개한 전개도.
도 3은 본 고안의 진열 겸용 포장상자의 내피를 절첩하여 부착한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진열 겸용 포장상자의 측면뚜껑부를 개구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20 : 제1,2세로밑판끼움면 30,40 : 제1,2가로밑판끼움면
60,70 : 제1,2세로측면 80,90 : 제1,2가로측면
110,120 : 제1,2뚜껑날개면 130 : 상부뚜껑부
140,150 : 제1,2측면뚜껑날개면 160 : 내피
170 : 외피 180 : 밑면수단부
190 : 측면수단부 200 : 뚜껑수단부
본 고안은 진열 겸용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상자를 겸비하여 별도의 진열대 없이 바로 진열할 수 있는 구조의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포장된 상자를 개봉하여 물품을 인출한 후에는 상자의 원형상태로 단순한 용기로 이용하거나 상자를 폐품으로 버리게 됨으로써 비경제적인 결점이 있었다.
또 상품의 유통 용도로 사용하는 포장 박스에는 일정 크기를 갖게 포장된 다수의 과자가 그 내부에 적층이 되어 있다.
포장 박스는 그 내부에 수용된 상품이 유통 중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보다 큰 단위 포장으로 유통을 편리하게 해 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설명과 같은 기능을 하기 위해서 가벼우면서 대체적으로 견고한 구조를 갖는 종이재의 이용하여 상자를 제작하고 있다.
종래의 상자는 상하면에 개봉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하부면을 밀폐한 후에 그 내부에 상품을 적재하고, 그 상부면을 밀폐 처리하여 유통이 된다.
종래의 포장상자는 단지 포장을 하기 위한 외부케이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진열을 위해서는 꺼내어 사용하거나 측면을 잘라내어 사용하므로 자원을 낭비하는 문제점과 임의적으로 잘라서 사용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박스는 측면뚜껑부를 형성함에 있어 절취된 상태로 조립되어 측면을 열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송중에 절취부분이 빠지게 되므로 내부 내용물이 외부로 이탈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제품의 상태가 개봉된 상태인지 밀봉된 상태인지 알 수가 없으므로 구매 자, 소비자가 신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한 본 고안은 포장상자를 겸하면서 진열대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진열 겸용 포장상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품상태가 밀봉된 상태인지 밀봉된 상태인지 알 수 있도록 절취선을 구성하여 절취되어 있으며 개봉된 것이고, 절취되어 있지 않으면 개봉되지 않는 상태임을 알 수 있는 진열 겸용 포장상자를 제공하는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다수의 물건을 적재하기 위한 접이식 포장상자를 갖는 본체와, 본체의 바닥면인 저면을 중심으로 그 상부가 개봉되는 상부뚜껑부와, 밑면과 상부뚜껑부의 사이의 측면에 상부절취선과 좌/우측면을 절취하여 하부접이선을 중심으로 개방되는 측면뚜껑부를 더 구성하여 달성하였다.
또 본체는 밑면수단부와 뚜껑수단부와 측면수단부로 구성하며, 상기 밑면수단부(50)는 제1,2 세로밑판끼움면(10,20)과 제1,2가로밑판끼움면(30,40)으로 결합구성되고, 상기 측면수단부(190)는 제1,2세로측면부(60,70)와 제1,2가로측면부(80,90)를 구성하여 밑면과 수직으로 절첩되어 본체의 기둥면을 구성하고, 상기 제1가로측면을 개구되도록 상부(80-1)와 좌/우측절취선(80-2,80-3)을 형성하여 하부(80-4)를 중심으로 개방되는 측면뚜껑부(100)를 구성하고, 상기 뚜껑수단부(200)는 제1,2뚜껑날개면(110,120)과, 상부뚜껑부(130)와, 양날개부를 형성한 측면뚜껑부(210)를 형성한 절취 전개된 본체를 형성함으로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예이다.
이하, 본 고안의 진열대 겸용 포장상자의 첨부된 도면을 첨부하여 상세한 설명을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본 고안은 포장상자를 겸비하여 진열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측면에 뚜껑부를 구성하되 개봉상태를 알 수 있도록 내피와 외피를 구성하여 외피에 절취선을 형성한 것을 요지로 측면뚜껑부는 두 개의 면이 절첩되어 접착재로 부착된 내피(150)와 외피(170)로 구성되며, 내피(160)는 제1,2측면뚜껑날개면(140,150)을 구성하여, 열고 닫을 때 측면 가이드역활을 하도록 구성되고, 외피(170)는 상부절취선(80-1)과 좌/우측절취선(80-2,80-3)을 절취하여 하부접이선(80-4)을 중심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며, 절취하지 않으면 이물질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고. 외부에서 포장상자의 개봉상태를 알 수 있도록 달성하였다.
본 고안은 내부에 다수의 물건을 내부에 적재하기 위한 접이식 포장상자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바닥면인 저면을 중심으로 그 상부가 개봉되는 상부뚜껑부와, 밑면과 상부뚜껑부의 사이의 측면에 상부와 좌/우측면을 절취하여 하부접이선을 중심으로 개방되는 측면뚜껑부를 구성하고 있다.
본체는 밑면수단부와 뚜껑수단부와 측면수단부로 구성된다.
밑면수단부(50)는 제1,2 세로밑판끼움면(10,20)과 제1,2가로밑판끼움면(30,40)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측면수단부(190)는 제1,2세로측면부(60,70)와 제1,2가로측면부(80,90)를 구성하여 밑면과 수직으로 절첩되어 본체의 기둥면을 구성하고, 상기 제1가로측면을 개구되도록 상부절취선(80-1)과 좌/우측철취선(80-2,80-3)을 형성하여 하부접이선(80-4)을 중심으로 개방되는 측면뚜껑부(100)를 구성하고 있다,
뚜껑수단부(200)는 제1,2뚜껑날개면(110,120)과, 상부뚜껑부(130)와, 양날개부를 형성한 측면뚜껑부(210)를 절취하여 전개도를 구성하여 절첩하도록 설계된다.
도 2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뚜껑부(210)는 두 개의 면이 절첩이 되어 접착재로 부착된 내피(160)와 외피(170)로 구성이 되며, 밑금친 부분을 내피(160)로 표시하여 구분이 쉽도록 도면에 도시하고 있다.
내피(160)는 제1,2측면뚜껑날개면(140,150)을 구성하여, 열고 닫을 때 측면 가이드역활 및 끼움돌기(100-1)를 형성하여 외피에 형성된 끼움홈(100)에 끼워지도록 구성이 된다.
외피(170)는 제1가로측면(80)의 일부면에 측면뚜껑부를 형성하도록 상부절취선(80-1)과 좌/우측절취선(80-2,80-3)을 절취하여 하부접이선(80-4)을 중심으로 개방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외피는 절취선을 형성하며 쉽게 절취하여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특히 절취하지 않으면 이물질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고. 외부에서 포장상자 의 개봉상태를 알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3은 내피를 제1가로측면에 접어서 부착한 상태도이며, 절취선은 공정상에서 내피와 외피를 절첩한 상태에서 칼선을 형성하거나 그 전공정에서 칼선을 형성함은 본 고안의 권리내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전시대 겸용 포장상자를 도시한 한 것으로 상부뚜껑부를 개구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측면뚜껑부를 개구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외피에 끼움홈(100)을 구성하여 제1,2측면뚜껑날개면의 끝단에 형성된 끼움돌기(100-1)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하였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별도의 진열대를 사용하지 않고 포장상자를 이용하여 제품을 일일이 꺼내지 않고 진열할 수 있어 상품 관리의 효율성 및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생산시에 쉽게 박스내에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원터치형 구조로 형성하여 제품을 수용하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 포장상자의 개봉여부를 사용자 또는 소비자가 알 수 있으므로 믿고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물질의 포장상자내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위생적인 포장상자를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포장상자산업상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내부에 다수의 물건을 적재하기 위한 접이 포장상자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바닥면인 저면을 중심으로 그 상부가 개봉되는 상부뚜껑부와, 밑면수단부와 상부뚜껑부의 사이의 측면수단부에 상부절취선과 좌/우측절취선을 형성하여 하부접이선을 중심으로 개방되는 내피와 외피가 구성된 측면뚜껑부를 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 겸용 포장상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밑면수단부와 뚜껑수단부와 측면수단부로 구성되며,
    상기 밑면수단부(50)는 제1,2 세로밑판끼움면(10,20)과 제1,2가로밑판끼움면(30,40)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측면수단부(190)는 제1,2세로측면부(60,70)와 제1,2가로측면부(80,90)를 구성하여 밑면과 수직으로 절첩되어 본체의 기둥면을 구성하고, 상기 제1가로측면을 개구되도록 상부절취선(80-1)과 좌/우측철취선(80-2,80-3)을 형성하여 하부접이선(80-4)을 중심으로 개방되는 측면뚜껑부(100)를 구성하고,
    상기 뚜껑수단부(200)는 제1,2뚜껑날개면(110,120)과, 상부뚜껑부(130)와, 양날개부를 형성한 측면뚜껑부(210)를 절취된 전개도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 겸용 포장상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뚜껑부(210)는
    두 개의 면이 절첩되어 접착재로 부착된 내피와 외피로 구성되며,
    내피(160)는 끼움돌기(100-1)가 형성된 제1,2측면뚜껑날개면(140,150)을 구성하여, 열고 닫을 때 측면 가이드역활을 하도록 구성되고,
    외피(170)는 상부(80-1)와 좌/우측절취선(80-2,80-3)을 절취하여 하부(80-4)를 중심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며, 측면뚜껑부가 열릴시에 제1,2측면뚜껑날개면의 끼움돌기(100-1)가 끼움홈(100)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외피를 절취하지 않으면 이물질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고. 외부에서 포장상자의 개봉상태를 알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 겸용 포장상자.
KR2020060010723U 2006-04-21 2006-04-21 진열 겸용 포장상자 KR2004208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723U KR200420834Y1 (ko) 2006-04-21 2006-04-21 진열 겸용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723U KR200420834Y1 (ko) 2006-04-21 2006-04-21 진열 겸용 포장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834Y1 true KR200420834Y1 (ko) 2006-07-06

Family

ID=41769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723U KR200420834Y1 (ko) 2006-04-21 2006-04-21 진열 겸용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8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303U (ko) * 2018-07-27 2020-02-05 (주) 신원인팩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303U (ko) * 2018-07-27 2020-02-05 (주) 신원인팩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
KR200491146Y1 (ko) 2018-07-27 2020-02-26 (주)신원인팩 일회용 차제품을 정면으로 인출이 가능한 포장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68450B2 (ja) 商品パッケージ
US6929400B2 (en) Flexible reclosable container with easy opening
US4106615A (en) Box blank and assembled package box for display
GB2432829A (en) Dispensing container for recycling
RU2015144605A (ru) Тара с защитой от вскрытия
KR20180070564A (ko) 인서트를 포함하는 재밀봉 가능한 용기
KR200420834Y1 (ko) 진열 겸용 포장상자
KR102580503B1 (ko) 인서트를 포함하는 재밀봉식 용기
JP6140515B2 (ja) 容器用包装箱
EP3038945B1 (en) Flip-top container with improved resistance against breakage at the hinge connection
US10870511B2 (en) Flip-top container with tooth-shaped side perforations
EP0922642A1 (en) Packaging container
JP2009255934A (ja) 再封機能付きカートン
KR20130029497A (ko) 포장용 박스
KR20120086482A (ko) 스틱류 제품의 진열 겸용 포장상자
JP2009255933A (ja) 再封機能付きカートン
KR20080075942A (ko) 일회용커피를 포함하는 긴막대 스틱류 제품의 진열 겸용포장상자
KR100741664B1 (ko) 포장박스
KR101582148B1 (ko) 포장용 수납상자
CN220130797U (zh) 一种便于存放洗衣片的包装盒
KR102077551B1 (ko) 물품의 인출이 용이한 포장용 박스
KR102502119B1 (ko) 포장박스
KR200250999Y1 (ko) 전시 가능한 포장 상자
JP2008110767A (ja) 箱体
KR200420385Y1 (ko) 포장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9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