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751Y1 - 절취 가능한 의료밴드 - Google Patents

절취 가능한 의료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751Y1
KR200490751Y1 KR2020190002607U KR20190002607U KR200490751Y1 KR 200490751 Y1 KR200490751 Y1 KR 200490751Y1 KR 2020190002607 U KR2020190002607 U KR 2020190002607U KR 20190002607 U KR20190002607 U KR 20190002607U KR 200490751 Y1 KR200490751 Y1 KR 2004907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area
horizontal
base sheet
rem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6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진영
Original Assignee
허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진영 filed Critical 허진영
Priority to KR20201900026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7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7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7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61F13/020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with absorbent fibrous layers, e.g. woven or non-woven absorbent pads or island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544Plasters form 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95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 A61F2013/00842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for tearing off dressing of desired siz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취가능한 의료밴드가 개시되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밴드는, 일측면이 접착성 또는 점착성을 갖는 베이스 시트, 및 상기 일측면 상에서 상기 베이스 시트의 가로 방향 기준으로 중간에 배치되는 거즈부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시트에서, 상기 거즈부를 중심으로 가로 방향 일측의 제1 시트부에는, 절취시 제1 절취 영역만큼 제거되고 제1 잔여 영역만큼 잔여하는 절취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 절취선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시트에서, 상기 거즈부를 중심으로 가로 방향 타측의 제2 시트부에는, 절취시 제2 절취 영역만큼 제거되고 제2 잔여 영역만큼 잔여하는 절취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 절취선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절취선 및 상기 제2 절취선은, 상기 베이스 시트가 상기 일측면이 내주면이 되도록 구부러지면서 상기 베이스 시트의 가로 방향 양단이 소정의 가로 길이만큼 서로 포개어졌을 때, 상기 제1 잔여 영역과 상기 제2 잔여 영역이 서로 오버랩(overlap)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절취 가능한 의료밴드{CUTTING MEDICAL BAND}
본 고안은 절취 가능한 의료밴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의료밴드는 손가락 마디에 부착하였을 때 손가락이 접힐 때마다 의료밴드가 구겨지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마디 부분에 의료밴드가 두 겹으로 중첩되어 사용자가 답답함을 느끼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672685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의료밴드의 양단에 절취선을 형성하여 손가락이 접힐 때마다 의료밴드가 구겨지는 것을 최소화하는 의료밴드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의료밴드의 양단에 절취선을 형성하여 마디 부분에 의료밴드가 두겹으로 중첩되지 않는 의료밴드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고안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밴드는, 일측면이 접착성 또는 점착성을 갖는 베이스 시트, 및 상기 일측면 상에서 상기 베이스 시트의 가로 방향 기준으로 중간에 배치되는 거즈부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시트에서, 상기 거즈부를 중심으로 가로 방향 일측의 제1 시트부에는, 절취시 제1 절취 영역만큼 제거되고 제1 잔여 영역만큼 잔여하는 절취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 절취선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시트에서, 상기 거즈부를 중심으로 가로 방향 타측의 제2 시트부에는, 절취시 제2 절취 영역만큼 제거되고 제2 잔여 영역만큼 잔여하는 절취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 절취선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절취선 및 상기 제2 절취선은, 상기 베이스 시트가 상기 일측면이 내주면이 되도록 구부러지면서 상기 베이스 시트의 가로 방향 양단이 소정의 가로 길이만큼 서로 포개어졌을 때, 상기 제1 잔여 영역과 상기 제2 잔여 영역이 서로 오버랩(overlap)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절취선은 상기 제1 시트부의 가로 방향 일단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가로 방향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1 가로 절취선 및 상기 제1 가로 절취선이 상기 거즈부에 도달하기 이전에 세로 방향 일측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1 세로 절취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절취선은 상기 제1 시트부의 가로 방향 타단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가로 방향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2 가로 절취선 및 상기 제2 가로 절취선이 상기 거즈부에 도달하기 이전에 세로 방향 타측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2 세로 절취선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절취 영역은, 상기 제1 절취선을 따라 절개되었을 때 상기 제1 시트부로부터 제거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제1 절취선 또는 제1 가로 절취선을 경계로 상기 제1 잔여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세로 방향 일측에 위치한 영역이고, 상기 제2 절취 영역은, 상기 제2 절취선을 따라 절개되었을 때 상기 제2 시트부로부터 제거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제2 절취선 또는 제2 가로 절취선을 경계로 상기 제2 잔여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세로 방향 타측에 위치한 영역인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세로 절취선은, 상기 제1 절취선을 따른 절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적어도 일부 구간에 세로 방향 일측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거즈부에 가까워지게 비스듬히 연장되는 경사 절취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세로 절취선은, 상기 제2 절취선을 따른 절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적어도 일부 구간에 세로 방향 타측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거즈부에 가까워지게 비스듬히 연장되는 경사 절취선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포개어지는 상기 소정의 가로 길이는, 상기 베이스 시트가 사람의 손가락을 감싸도록 구부러졌을 때 상기 베이스 시트의 가로 방향 양단이 포개어지는 길이 양을 고려하여, 사람의 손가락의 둘레 길이를 기준으로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고안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의료밴드를 절취가능하게 함으로써 손가락에 부착된 의료밴드가 손가락이 접힐 때마다 의료밴드가 구겨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의료밴드의 양단에 절취선을 형성함으로써 마디 부분에 의료밴드가 두겹으로 중첩되지 않는 의료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밴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밴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밴드를 손가락에 부착하여 사용하였을 때의 사용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고안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고안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고안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전방, 전단, 전단면, 후방, 후단, 후다면, 상면, 하면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을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3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가로 방향 타단, 전반적으로 9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가로 방향 일단, 전반적으로 9시 방향이 가로 방향 일측 방향, 전반적으로 3시 방향이 가로 방향 타측 방향,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세로 방향 일단,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세로 방향 일측 방향,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세로 방향 타단,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세로 방향 타측 방향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의료밴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밴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밴드(10)는 베이스 시트(100) 및 거즈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시트(100)는 통공부를 복수개 가질 수 있다. 통공부를 통해 공기가 통하면서 사용자의 염증을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 시트(100)는 일측면이 접착성 또는 점착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베이스 시트(100)의 소재는 일 예로, 종이, 부직, 실크, 플라스틱, 면, 헝겊 등이 될 수 있다. 베이스 시트(100)의 모양은 사각형, 원형 등이 될 수 있으며, 각 모서리는 각진 형태, 둥근 형태 등이 될 수 있다. 베이스 시트(100)의 접착성 또는 점착성을 갖는 일측면은 별도의 박리시트, 종이 및 필름지 등에 접착되어 접착성 또는 점착성을 잃지 않도록 보호될 수 있다.
거즈부(200)는 상기 일측면 상에서 베이스 시트(100)의 가로 방향 기준으로 중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즈부(200)의 중심이 베이스 시트(100)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거즈부는 피부의 상처를 치료하기 위한 소독약, 약제가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약제는 사용자의 상처 및 염증을 치료하기에 적합한 약제이며, 미리 도포되어 있거나 사용자가 직접 도포하여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밴드(1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밴드(10)는 절취선을 포함할 수 있다. 절취선은 도2의 점선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료밴드(10)는 베이스 시트(100)에서 거즈부(200)를 중심으로 가로 방향 일측의 제1시트부에는, 절취시 제1 절취 영역(110)만큼 제거되고 제1 잔여 영역(111)만큼 잔여하는 절취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 절취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시트(100)에서, 거즈부(200)를 중심으로 가로 방향 타측의 제2 시트부에는, 절취시 제2 절취 영역(120)만큼 제거되고 제2 잔여 영역(121)만큼 잔여하는 절취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 절취선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밴드(10)의 제1 절취 영역(110)은, 제1 절취선을 따라 절개되었을 때 제1 시트부로부터 제거되는 영역으로서, 제1 절취선 또는 제1 가로 절취선을 경계로 제1 잔여 영역(111)보다 상대적으로 세로 방향 일측에 위치한 영역이고, 제2 절취 영역(120)은, 제2 절취선을 따라 절개되었을 때 제2 시트부로부터 제거되는 영역으로서, 제2 절취선 또는 제2 가로 절취선을 경계로 상기 제2 잔여 영역(121)보다 상대적으로 세로 방향 타측에 위치한 영역인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밴드(10)는, 제1 절취 영역(110) 및 제2 절취 영역(120)의 높이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제1 절취 영역(110) 및 제2 절취 영역(120)의 높이가 다른 경우, 제1 잔여 영역(111)의 높이와 제2 잔여 영역(121)의 높이의 합은 의료밴드(10)의 세로방향 길이 중 가장 높은 부분의 높이보다 같거나 작은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밴드(10)의 세로방향 길이 중 가장 높은 부분이 4cm이고, 제1 잔여 영역(111)의 높이가 2cm인 경우, 제2 잔여 영역(121)의 높이는 최대 2cm일 수 있다. 또는, 제1 잔여 영역(111)의 높이가 1cm 인 경우, 제2 잔여 영역(121)의 높이는 최대 3cm일 수 있으며, 제1 잔여 영역(111)의 높이와 동일하게 1cm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밴드(10)의 제1 절취선 및 상기 제2 절취선은, 상기 베이스 시트(100)가 일측면이 내주면이 되도록 구부러지면서 베이스 시트(100)의 가로 방향 양단이 소정의 가로 길이만큼 서로 포개어졌을 때, 제1 잔여 영역(111)과 제2 잔여 영역(121)이 서로 오버랩(overlap)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가 의료밴드(10)를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마디부분을 감싸도록 부착하는 경우, 제1 잔여 영역(111)과 제2 잔여 영역(121)이 오버랩되지 않음으로써 손가락 또는 발가락이 접히는 부분에 의료밴드(10)가 이중으로 감싸지지 않아 답답함을 줄일 수 있으며, 의료밴드(10)로 인해 손가락 또는 발가락을 구부리기 힘든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밴드(10)는 제1 절취선은 제1 시트부의 가로 방향 일단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가로 방향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1 가로 절취선 및 제1 가로 절취선이 거즈부(200)에 도달하기 이전에 세로 방향 일측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1 세로 절취선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취선은 제1 시트부의 가로 방향 타단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가로 방향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2 가로 절취선 및 제2 가로 절취선이 거즈부(200)에 도달하기 이전에 세로 방향 타측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2 세로 절취선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가로 절취선은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따라 가로 절취선을 선택해 절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로 절취선 및 제2 가로 절취선이 각각 2개씩이며, 2개의 절취선 사이의 거리는 1cm일 수 있다. 또는 절취선 사이의 거리는 각각 다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가로 절취선 2개 사이의 거리는 1cm이고, 제2 가로 절취선 2개 사이의 거리는 0.5cm 일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높이에 맞춰 2개의 절취선 중 하나를 선택해 절취할 수 있다.
또한, 세로 절취선도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에 따라 세로 절취선을 선택해 절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세로 절취선 및 제2 세로 절취선이 각각 3개씩이며, 3개의 절취선 사이의 거리는 0.5cm일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길이에 맞춰 3개의 절취선 중 하나를 선택해 절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밴드(10)의 제1 세로 절취선은, 제1 절취선을 따른 절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적어도 일부 구간에 세로 방향 일측으로 연장될수록 거즈부(200)에 가까워지게 비스듬히 연장되는 경사 절취선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세로 절취선은, 제2 절취선을 따른 절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적어도 일부 구간에 세로 방향 타측으로 연장될수록 거즈부(200)에 가까워지게 비스듬히 연장되는 경사 절취선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밴드(10)의 제1 세로 절취선, 및 제2 세로 절취선은 각각 제1 가로 절취선, 제 2가로 절취선에 대해 수직하지 않은 형태일 수 있으며, 곡선 형태일 수 있다. 곡선 형태는, 예를 들어, 볼록한 형태, 물결 형태, 완만한 곡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3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밴드(10)를 손가락에 부착하여 사용하였을 때의 사용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의료밴드(10)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부착되는 경우, 제1 잔여 영역(111)은 제2 잔여영역(121)과 겹치지 않도록 손가락을 감싸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제1 절취선 및 제2 절취선은, 베이스 시트(100)가 상기 일측면이 내주면이 되도록 구부러지면서 베이스 시트(100)의 가로 방향 양단이 소정의 가로 길이만큼 서로 포개어지고, 상기 소정의 가로 길이는 베이스 시트(100)가 사람의 손가락을 감싸도록 구부러졌을 때 베이스 시트(100)의 가로 방향 양단이 포개어지는 길이 양을 고려하여, 사람의 손가락의 둘레 길이를 기준으로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의 둘레 길이를 기준으로 복수개의 절취선 중 원하는 높이 또는 길이에 맞춰 의료밴드(10)를 절취하여 상기 포개어지는 소정의 가로 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의료밴드
100: 베이스 시트
110: 제1 절취 영역
120: 제2 절취 영역
111: 제1 잔여 영역
121: 제2 잔여 영역
200: 거즈부

Claims (5)

  1. 의료밴드에 있어서,
    일측면이 접착성 또는 점착성을 갖는 베이스 시트; 및
    상기 일측면 상에서 상기 베이스 시트의 가로 방향 기준으로 중간에 배치되는 거즈부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시트에서, 상기 거즈부를 중심으로 가로 방향 일측의 제1 시트부에는, 절취시 제1 절취 영역만큼 제거되고 제1 잔여 영역만큼 잔여하는 절취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 절취선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시트에서, 상기 거즈부를 중심으로 가로 방향 타측의 제2 시트부에는, 절취시 제2 절취 영역만큼 제거되고 제2 잔여 영역만큼 잔여하는 절취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 절취선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절취 영역은, 제1 절취선을 경계로 제1 잔여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세로 방향 일측에 위치한 영역이고,
    상기 제2 절취 영역은, 제2 절취선을 경계로 제2 잔여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세로 방향 타측에 위치한 영역이고,
    상기 제1 절취 영역 및 상기 제2 절취 영역의 높이가 다른 경우, 제1 잔여 영역의 높이와 제2 잔여 영역의 높이의 합은 상기 의료밴드의 세로방향 길이 중 가장 높은 부분의 높이 이하이며,
    상기 제1 절취선 및 상기 제2 절취선은, 상기 베이스 시트가 상기 일측면이 내주면이 되도록 구부러지면서 상기 베이스 시트의 가로 방향 양단이 소정의 가로 길이만큼 서로 포개어졌을 때, 상기 제1 잔여 영역과 상기 제2 잔여 영역이 서로 오버랩(overlap)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인, 의료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취선은 상기 제1 시트부의 가로 방향 일단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가로 방향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1 가로 절취선 및 상기 제1 가로 절취선이 상기 거즈부에 도달하기 이전에 세로 방향 일측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1 세로 절취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절취선은 상기 제1 시트부의 가로 방향 타단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가로 방향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2 가로 절취선 및 상기 제2 가로 절취선이 상기 거즈부에 도달하기 이전에 세로 방향 타측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2 세로 절취선을 포함하는 것인, 의료밴드.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로 절취선은, 상기 제1 절취선을 따른 절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적어도 일부 구간에 세로 방향 일측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거즈부에 가까워지게 비스듬히 연장되는 경사 절취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세로 절취선은, 상기 제2 절취선을 따른 절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적어도 일부 구간에 세로 방향 타측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거즈부에 가까워지게 비스듬히 연장되는 경사 절취선을 포함하는 것인, 의료밴드.
  5. 제1항에 있어서,
    서로 포개어지는 상기 소정의 가로 길이는, 상기 베이스 시트가 사람의 손가락을 감싸도록 구부러졌을 때 상기 베이스 시트의 가로 방향 양단이 포개어지는 길이 양을 고려하여, 사람의 손가락의 둘레 길이를 기준으로 설정되는 것인, 의료밴드.
KR2020190002607U 2019-06-21 2019-06-21 절취 가능한 의료밴드 KR2004907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607U KR200490751Y1 (ko) 2019-06-21 2019-06-21 절취 가능한 의료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607U KR200490751Y1 (ko) 2019-06-21 2019-06-21 절취 가능한 의료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751Y1 true KR200490751Y1 (ko) 2019-12-27

Family

ID=69006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607U KR200490751Y1 (ko) 2019-06-21 2019-06-21 절취 가능한 의료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751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39760A1 (en) * 2006-08-14 2008-02-14 Joseph John Lesko Removable gauze bandage with perforated adhesive strips to adjust bandage
KR20140000186A (ko) * 2010-06-29 2014-01-02 제니퍼 디그라지아 상처 및 밴드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01648U (ko) * 2012-09-12 2014-03-20 서동민 길이조절 일회용 반창고
KR20170065782A (ko) * 2015-12-04 2017-06-14 김성욱 다목적 일회용 의료 밴드
KR20180133699A (ko) * 2017-06-07 2018-12-17 류은혜 절취선을 따라 찢어 붙이는 밴드형 반창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39760A1 (en) * 2006-08-14 2008-02-14 Joseph John Lesko Removable gauze bandage with perforated adhesive strips to adjust bandage
KR20140000186A (ko) * 2010-06-29 2014-01-02 제니퍼 디그라지아 상처 및 밴드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01648U (ko) * 2012-09-12 2014-03-20 서동민 길이조절 일회용 반창고
KR20170065782A (ko) * 2015-12-04 2017-06-14 김성욱 다목적 일회용 의료 밴드
KR20180133699A (ko) * 2017-06-07 2018-12-17 류은혜 절취선을 따라 찢어 붙이는 밴드형 반창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8274B2 (ja) パンツ型着用物品
KR200472060Y1 (ko) 길이조절 일회용 반창고
US10251791B2 (en) Phimosiectomy shield
JP2016120031A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5243642B1 (ja) 使い捨ておむつ
WO2017175288A1 (ja) 吸収性物品
JP3212966U (ja) マスク
CN100479794C (zh) 短内裤式一次性尿布
KR200490751Y1 (ko) 절취 가능한 의료밴드
JP5464918B2 (ja) 眼科手術用ドレープ
JP6210585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6255536B2 (ja) 胴回り前後でスリット位置の異なる吸収性物品
JP6310295B2 (ja) 吸収性物品
JP2014083235A (ja) 使い捨ておむつ
US20120123312A1 (en) Full coverage adhesive patch
KR101972267B1 (ko) 코 부목
JP2018108201A (ja) 温熱具
JP2018007758A (ja) 保護眼帯固定用アイマスク及びその個装品
JP6201103B1 (ja) 足指のための吸水性包帯
JP6202622B2 (ja)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6096561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5996256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6243987B1 (ja) 患部保護具
JP6479446B2 (ja) 脇用汗取りシート
JP7028436B2 (ja) 患部保護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