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730Y1 - 인식오류 방지필름 - Google Patents

인식오류 방지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730Y1
KR200490730Y1 KR2020190000853U KR20190000853U KR200490730Y1 KR 200490730 Y1 KR200490730 Y1 KR 200490730Y1 KR 2020190000853 U KR2020190000853 U KR 2020190000853U KR 20190000853 U KR20190000853 U KR 20190000853U KR 200490730 Y1 KR200490730 Y1 KR 2004907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film layer
recognition error
error prevent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8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영
이성복
김일영
문창완
김재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텔레콤
Priority to KR20201900008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7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7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7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3Special arrangements for circuits, e.g. for protecting identification code in mem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25/00Cards, e.g. identity cards, credit c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실시 형태는 IC칩과 안테나가 내장된 IC카드가 복수개로 사용될 시에 인식오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식오류 방지필름에 있어서, 전기-자기 파장을 흡수할 수 있는 투자율 400~800의 나노크리스털(Nano-Crystal) 합금 재질로 이루어진 인식오류 방지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인식오류 방지필름{Film for protecting cognition error and IC card}
본 고안은 인식오류 방지필름으로서, 복수개의 IC카드를 카드 리더 단말기에 접촉시에 발생되는 인식오류를 방지하는 인식오류 방지필름에 관한 것이다.
버스, 지하철, 택시 등의 공공 운송 수단에서의 결제 수단으로 무선 비접촉 방식의 RF 카드가 이미 화폐를 대신하는 대표적인 결제 방식으로 자리 매김하였다. 사용 편의성의 이유로 보급이 시작되었고 보안성 및 신뢰성의 보완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신용, 직불 등의 수많은 지불 결재 방식과 결부되어 RF 카드가 지속적으로 신규 또는 교체로 발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신용카드, 체크카드, 직불카드 등의 기존의 카드들은 칩과 개인 발급번호가 새겨진 앞면, RFID 또는 NFC 안테나 층, 그리고 뒷면 플라스틱(마그네틱 바)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로 금융기관에서 발급되는 여러 종류의 카드들은 카드의 정보 저장기능 외에 어떠한 사용기능 보호 내지는 사용자의 사용효율 개선을 위한 장치가 없는 상태이다.
현대사회에서 카드의 지불수단 외 멀티 기능이 추가되면서 다양한 카드를 복수로 소지하고 생활하는 시대이다. 그리고 각자가 소지하는 방법은 지갑이나 휴대폰 케이스에 동시에 여러 장을 넣어서 다닌다. 버스나 음식점 또는 카드의 사용 필요에 의해 해당 장소의 카드 단말기에 접촉했을 때 통신 불량 또는 사용의 불량으로 인한 애로사항이 수없이 발생하고 있다. 결국은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면 1장의 카드만 끄집어내어서 다시 단말기에 접촉을 시도하게 되는 불편함과 파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09-0030292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복수개의 IC카드를 카드 리더 단말기에 접촉시에 발생되는 인식오류를 방지하는 인식오류 방지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실시 형태는 IC칩과 안테나가 내장된 IC카드가 복수개로 사용될 시에 인식오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식오류 방지필름에 있어서, 전기-자기 파장을 흡수할 수 있는 투자율 400~800의 나노크리스털(Nano-Crystal) 합금 재질로 이루어진 인식오류 방지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형태는, IC칩과 안테나가 내장된 IC카드가 복수개로 사용될 시에 인식오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기-자기 파장을 흡수할 수 있는 투자율 400~800의 나노크리스털(Nano-Crystal) 합금 재질로 이루어진 인식오류 방지필름을 갖는 IC카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IC카드는, IC칩이 구비된 카드 본체; 및 상기 카드 본체의 후면에 부착되어, 투자율 400~800의 나노크리스털(Nano-Crystal) 합금 재질로 이루어진 인식오류 방지필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드 본체의 후면에 부착되는 인식오류 방지필름층은, 카드 본체의 후면에 점착층을 통해 나노크리스털 합금층이 부착된 후, 나노크리스털 합금층의 점착 반대편면에 PET 필름이 부착된 필름층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IC카드는, IC칩이 마련된 카드 전면; 카드 후면; 및 상기 카드 전면과 카드 후면 사이에 삽입되어 위치하여 투자율 400~800의 나노크리스털(Nano-Crystal) 합금 재질로 이루어진 인식오류 방지필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드 전면과 카드 후면 사이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인식오류 방지필름층은, 안테나층 또는 안테나 필름 하단에 위치하여, 테두리 안테나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또는 카드 전체 크기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인식오류 방지필름층은, 1겹의 단일층으로 마련되거나, 또는 2겹 이상의 복수층으로 마련되며, 총 두께는 20~100㎛ 범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형태는, IC카드와 IC카드 사이에 위치하여 IC칩과 안테나가 내장된 IC카드가 복수개로 사용될 시에 인식오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식오류 방지필름 시트지에 있어서, FET 재질의 하부층; 상기 하부층의 상면에 마련된 점착층; 상기 점착층 상면에 마련된 투자율 400~800의 나노크리스털(Nano-Crystal) 합금 재질로 이루어진 인식오류 방지필름층; 및 상기 인식오류 방지필름층의 마련된 FET 재질의 상부층;을 포함하는 인식오류 방지필름 시트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반도체, 전자부품 산업이 발전하면서 카드의 다기능화, 복합화 기술로 변모해 가면서, 본 고안으로 인하여 그동안 카드를 사용하면서 불편하고,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카드와 단말기 사이의 접촉불량, 정보 인식 오류가 발생하지 않게 되며, NFC(근거리 무선통신)기능 저하 등이 개선되어 가드사용의 효율성이 좋아진다. 또한 복수의 카드를 지갑이나 휴대폰 꽂이에 함께 소지한 상태로 임의의 카드 사용이 가능해져 그 편의성이 개선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방식의 인식오류 방지필름을 갖는 IC카드의 예시 그림.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방식의 인식오류 방지필름을 갖는 IC카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방식의 인식오류 방지필름을 갖는 IC카드의 예시 그림.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사이에 단독방식으로 사용되는 인식오류 방지필름 시트지의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방식의 인식오류 방지필름을 갖는 IC카드의 예시 그림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방식의 인식오류 방지필름을 갖는 IC카드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방식의 인식오류 방지필름을 갖는 IC카드의 예시 그림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사이에 단독방식으로 사용되는 인식오류 방지필름 시트지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IC카드라 함은, IC칩과 안테나가 내장된 카드로서, 신용카드, 체크카드, 교통카드, 직불카드, 사원카드 등의 모든 다양한 형태의 IC칩이 적용된 카드를 말한다.
이와 같이 지불수단이나 정보교환(블루투스 기능), 특수정보의 인식용으로 제작된 IC카드는 각각의 카드가 IC칩과 안테나(송신부)가 내장되어 있는데, 현대 사회에서 이러한 IC카드는 무차별적으로 공급되었고 현재도 보급이 진행 되고 있는 다양한 복합 기능을 가진 대중 교통카드는 각 개인의 지갑속에서 스스로 인지하였던 그렇지 않았던 이미 여러 장 포함되어 사용되고 있다. 만약에 소지한 여러 장의 교통 카드, 예를 들면 버스 교통카드 운영사업자가 발행한 선불 교통카드와 특정 신용카드사에서 발급받은 버스 사용 가능한 신용 후불 기능의 교통카드가 있다고 가정하자.
버스를 타고 그 두 개의 IC카드를 포함한 지갑을 버스의 RF 리더 단말기에 갖다 대면 RF 리더 단말기는 두 개의 IC카드 중 어떠한 카드를 사용하여 결제해야 할 지 알 수가 없기 때문에 에러 처리를 하거나 한 장의 IC카드로 결제가 되더라도 결제가 발생한 IC카드가 어떠한 카드인지를 알 수가 없다. 즉 사용자가 인지 하지 못한 가운데 결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각 카드가 정상적인 동작을 하고 성능의 차이가 뚜렷하지 않은 경우 앞서의 에러 처리가 발생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정상이지만 각 카드의 통신 감도 차이가 현저하거나, 둘 중의 한 IC카드만이 정상적인 인식 환경에 놓이게 되는 경우에 후자와 같은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 있어 사용자는 결제를 원하는 IC카드를 선별하여 지갑으로부터 인출하여 별도로 RF 리더 단말기에 결제를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두 개의 IC카드를 RF 리더 단말기에 접촉했을 때 통신 불량 또는 사용의 불량으로 인한 애로사항이 수없이 발생하고 있다. 결국은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면 1장의 IC카드만 끄집어내어서 다시 단말기에 접촉을 시도하게 되는 불편함과 파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IC카드의 중요한 기반인 사용자 편의성을 잃어버린 모습이 된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카드 단말기인 RF 리더 단말기에 IC카드를 접촉 시(時), 복수의 IC카드가 동시에 수신되는 현상, 즉 복수의 전자파가 인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기-자기 파장을 흡수하거나 제어할 수 있는 인식오류 방지필름을 제안한다.
즉, 박막필름을 함께 카드에 부착 또는 삽입하여 사용하는 방법기술이 요구되어 진다. IC칩과 안테나가 내장된 IC카드가 복수개로 사용될 시에 인식오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기-자기 파장을 흡수할 수 있는 소정의 투자율(μ)을 가지는 나노크리스털(Nano-Crystal) 합금 재질로 이루어진 인식오류 방지필름을 제안한다.
투자율(magnetic permeability : H/m)이라 함은, 알려진 바와 같이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자화할 때에 생기는 자기력선속밀도(磁氣力線束密度)와 진공 중에서 나타나는 자기장 세기의 비를 말한다. 투자율은 물질의 종류에 따라 정해진다. 철 등의 강자성체나 페리자성체 등에서는 극히 큰 값을 나타내며, 그 값은 자성체의 자기적인 이력(履歷)이나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변한다. 따라서 투자율에 따라서 전기-자기 파장의 흡수력이 달라지게 된다.
본 고안은, 전기-자기 파장을 흡수할 수 있는 투자율(μ) 400~800[H/m]의 나노크리스털(Nano-Crystal) 합금 재질로 이루어진 인식오류 방지필름으로 구현된다.
실험 결과, 투자율(μ)이 400~800[H/m]을 가질 때에 전기-자기 파장을 가장 효율적으로 흡수함을 알 수 있다. 투자율이 400[H/m] 미만일 경우에는 다른 IC카드의 전기장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며, 투자율이 800[H/m]을 초과할 경우에는 자신의 IC카드의 IC칩의 기능에 영향을 미쳐 인식 에러가 발생되게 됨을 알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나노크리스털 합금 재료는, 철(Fe)을 기본물질로 하여 니켈(Ni), 규소(Si), 붕소(B), 몰리브덴(Mo), 코발트(Co) 등의 물질이 합금 형태로 존재하는 나노크리스털(Nano-Crystal)상태의 재질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고안의 전기-자기 파장을 흡수할 수 있는 투자율 400~800[H/m]의 나노크리스털(Nano-Crystal) 합금 재질로 이루어진 인식오류 방지필름을 IC카드에 부착 또는 삽입하여 사용함으로써, 복수개의 IC카드를 RF 리더 단말기에 접촉했을 때 다른 IC카드의 영향을 받지 않아 통신 불량 또는 사용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의 전기-자기 파장을 흡수할 수 있는 투자율 400~800[H/m]의 나노크리스털(Nano-Crystal) 합금 재질로 이루어진 인식오류 방지필름을 IC카드에 부착 또는 삽입 또는 단독사용한는 방식은, 부착형 방식, 삽입형 방식, 사용자 사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다.
(1) 부착형 방식
부착형 방식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IC칩이 구비된 카드 본체의 후면에, 투자율 400~800[H/m]의 나노크리스털(Nano-Crystal) 합금 재질로 이루어진 인식오류 방지필름층을 부착하는 방식이다.
IC카드 본체의 후면에 위치하는 인식오류 방지필름층은, 1겹의 단일층으로 마련되거나, 또는 2겹 이상의 복수층으로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식오류 방지필름층의 총 두께는 20~100㎛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드 본체의 후면에 부착되는 인식오류 방지필름층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드 본체의 후면에 양면성 점착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점착층을 통해 나노크리스털 합금층이 부착된 후, 나노크리스털 합금층의 점착 반대편면에 PET 필름이 부착된 필름층을 가진다. 즉, IC카드의 본체 후면에 인식오류 방지필름층을 부착함에 있어서, PET, PE, PC, 폴리비닐, 폴리이미드, 셀로판, 종이로 되어 보호층의 역할을 수행하는 필름층과 합지 또는 라미네이션(Lamination)하여 부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2겹의 방지필름층 위에 양면성 점착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점착층을 합지한 후, IC카드의 뒷면에 점착테이프의 한쪽 면을 부착시켜 사용한다. 20㎛두께의 나노크리스털 시트(투자율 400~800)의 2겹을 점착층(3겹)을 포함하는 구조로 적층하고 마지막 상부 층은 75㎛이하의 PET 필름 층의 구조로 적층한다.
(2) 삽입형 방식
삽입형 방식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IC칩이 마련된 카드 전면과, 카드 후면 사이에, 투자율 400~800[H/m]의 나노크리스털(Nano-Crystal) 합금 재질로 이루어진 인식오류 방지필름층을 삽입시켜 위치시키는 것이다.
카드의 신규 제작시에 적용되는 기술로서, 보통의 카드는 앞면부와 안테나 층, 그리고 뒷면부로 구성되는데, 이때 안테나 층(중간층)의 밑(하단부)에 본 나노 크리스털 필름을 삽입시켜서 일체화된 카드로 제작한다. 이때 사용되는 나노크리스털 필름층의 두께는 20~40㎛로 한정된다.
IC카드 본체의 후면에 위치하는 인식오류 방지필름층은, 1겹의 단일층으로 마련되거나, 또는 2겹 이상의 복수층으로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식오류 방지필름층의 총 두께는 20~100㎛ 범위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20~40㎛로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드 전면과 카드 후면 사이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인식오류 방지필름층은, 안테나층 또는 안테나 필름 하단에 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카드 전면과 카드 후면 사이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인식오류 방지필름층은, 안테나의 테두리 면적과 동일하거나 또는 카드 전체 크기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사용자 사용 방식
사용자 사용 방식은, 사용자가 서로 접하는 RF카드 사이에 본 고안의 인식오류 방지필름을 위치시켜 사용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지갑에 놓이는 두 개의 RF카드 사이에 본 고안의 인식오류 방지필름을 위치시켜 사용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하여, IC카드와 IC카드 사이에 위치하여 IC칩과 안테나가 내장된 IC카드가 복수개로 사용될 시에 인식오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식오류 방지필름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PET 재질의 하부 필름층과, 하부 필름층의 상면에 마련된 점착층과, 점착층 상면에 마련된 투자율 400~800[H/m]의 나노크리스털(Nano-Crystal) 합금 재질로 이루어진 인식오류 방지필름층과, 인식오류 방지필름층의 상면에 마련된 PET 재질의 상부 필름층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인식오류 방지필름은, 투자율 400~800[H/m]의 나노크리스털(Nano-Crystal) 합금 재질로 이루어진 인식오류 방지필름층과, 상기 인식오류 필름방지층의 하면에 마련된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의 하면에 마련되는 하부 필름층, 및 인식오류 방지필름층의 상면에 마련되는 상부 필름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인식오류 방지필름층은, 1겹의 단일층으로 마련되거나, 또는 2겹 이상의 복수층으로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식오류 방지필름층의 총 두께는 20~100㎛ 범위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20㎛ 이내로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필름층 및 하부 필름층은, PET 재질뿐만 아니라, PE, PC, 폴리비닐, 폴리이미드, 셀로판, 종이 등의 다양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20㎛ 두께의 나노크리스털 합금 재질의 인식오류 방지필름층(투자율 400~800)을 1겹, 2겹, 3겹, 그리고 5겹으로 적층시키고 상단과 하단은 50~75㎛ 상, 하부 필름층을 부착하고 카드의 50~100%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한다. 이때 사용되는 상, 하부 필름층의 재질은 PET, PE, PC, 폴리이미드 등의 합성수지와 종이, 셀로판 필름을 포함한다. 나노 크리스털 시트의 적층시에 사용되는 접착방식은 양면테이프의 점착층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제작된 방지필름(나노크리스털 시트)을 IC카드와 IC카드 사이에 끼워서 소지할 수 있고 끼워진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IC칩과 안테나가 내장된 IC카드가 복수개로 사용될 시에 인식오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식오류 방지필름에 있어서,
    전기-자기 파장을 흡수할 수 있는 투자율 400~800[H/m]의 나노크리스털(Nano-Crystal) 합금 재질로 이루어지는 인식오류 방지필름층을 포함하되, IC 카드의 후면에 부착하는 부착형 방식으로 사용하거나, IC 카드 제조 시 카드 전면과 카드 후면 사이의 중간층에 삽입한 후 압착하는 삽입형 방식으로 사용하거나, IC 카드와 상기 IC 카드에 접하는 다른 IC 카드 사이에 위치시켜 사용하며,
    상기 나노크리스털 합금의 재료는,
    철(Fe)을 기본물질로 하고, 니켈(Ni), 규소(Si), 붕소(B), 몰리브덴(Mo), 코발트(Co)를 포함하는 재료가 합금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IC 카드의 후면에 부착하는 부착형 방식으로 사용되는 인식오류 방지 필름층은,
    상기 IC 카드 본체의 후면에 인식오류 방지필름층을 부착하기 위한 점착층과, 상기 인식오류 방지필름층의 점착층 반대편면에 부착되는 필름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필름층은 PET, PE, PC, 폴리비닐, 폴리이미드, 셀로판, 종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인식오류 방지필름층에 합지 또는 라미네이션(Lamination)하여 부착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IC 카드의 제조 시 카드 전면과 카드 후면 사이의 중간층에 삽입한 후 압착하는 삽입형 방식으로 사용되는 인식오류 방지필름층은,
    IC 카드의 카드 전면과 카드 후면 사이에 삽입되어 부착되되, 상기 IC 카드의 안테나층 또는 안테나 필름 하단에 위치하여, 안테나의 테두리 면적과 동일하거나 또는 카드 전체 크기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IC 카드와 상기 IC 카드에 접하는 다른 IC 카드 사이에 위치시켜 사용되는 인식오류 방지필름층은,
    상기 인식오류 방지필름층의 하면에 마련된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의 하면에 마련되는 하부 필름층, 및 인식오류 방지필름층의 상면에 마련되는 상부 필름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상부 필름층 및 하부 필름층은 PET, PE, PC, 폴리비닐, 폴리이미드, 셀로판, 종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식오류 방지필름층은,
    1겹의 단일층으로 마련되거나, 또는 2겹 이상의 복수층으로 마련되며, 총 두께는 20~100㎛ 범위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식오류 방지필름.
  7. 삭제
  8. 삭제
KR2020190000853U 2019-02-28 2019-02-28 인식오류 방지필름 KR2004907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853U KR200490730Y1 (ko) 2019-02-28 2019-02-28 인식오류 방지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853U KR200490730Y1 (ko) 2019-02-28 2019-02-28 인식오류 방지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730Y1 true KR200490730Y1 (ko) 2019-12-23

Family

ID=69006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853U KR200490730Y1 (ko) 2019-02-28 2019-02-28 인식오류 방지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7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19568A (zh) * 2023-10-25 2023-11-24 中诚华隆计算机技术有限公司 一种减少soc芯片非必要唤醒nfc识别进程的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0292A (ko) 2009-03-05 2009-03-24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카드 활성화 방법
KR101232222B1 (ko) * 2011-10-26 2013-02-12 한국기계연구원 전자파 흡수용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71103A (ko) * 2011-12-20 2013-06-28 김지연 지갑 속의 교통카드 중복 인식 방지 카드
KR20150045421A (ko) * 2013-03-05 2015-04-28 주식회사 아모센스 자기장 및 전자파 차폐용 복합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안테나 모듈
KR20170045995A (ko) * 2015-10-20 2017-04-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연자성 합금
KR20180013638A (ko) * 2016-07-29 2018-02-07 김수안 전자파 차단 기능을 갖는 무선통신 카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0292A (ko) 2009-03-05 2009-03-24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카드 활성화 방법
KR101232222B1 (ko) * 2011-10-26 2013-02-12 한국기계연구원 전자파 흡수용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71103A (ko) * 2011-12-20 2013-06-28 김지연 지갑 속의 교통카드 중복 인식 방지 카드
KR20150045421A (ko) * 2013-03-05 2015-04-28 주식회사 아모센스 자기장 및 전자파 차폐용 복합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안테나 모듈
KR20170045995A (ko) * 2015-10-20 2017-04-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연자성 합금
KR20180013638A (ko) * 2016-07-29 2018-02-07 김수안 전자파 차단 기능을 갖는 무선통신 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19568A (zh) * 2023-10-25 2023-11-24 中诚华隆计算机技术有限公司 一种减少soc芯片非必要唤醒nfc识别进程的方法
CN117119568B (zh) * 2023-10-25 2023-12-29 中诚华隆计算机技术有限公司 一种减少soc芯片非必要唤醒nfc识别进程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198B1 (ko) 통신장치 및 그 설치구조, 제조방법 및 통신방법
US8328106B1 (en) Convertible transaction card
US7482925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electromagnetically shield portable consumer devices
EP2556468B1 (en) Radio frequency shield with proximity change alert for a contactless data carrier
CN205451141U (zh) 抗金属高频电子标签
JP4109274B2 (ja) 非接触icカード通信調整板及び非接触icカードケース
CA2774300A1 (en) Rfid label
US20170196129A1 (en) Device for preventing data theft, use of false identity, and fraud during contactless data transmission via electromagnetic radio waves
KR200490730Y1 (ko) 인식오류 방지필름
JP3872496B2 (ja) Icカードアクセス制御体
US20120032786A1 (en) Communication device
KR20150032665A (ko) 루프 안테나용 실드 부재, 실드 유니트, 및 실드 태그
JP4012937B1 (ja) Rfid用カード収容具およびrfid用通信補助シート
KR101318453B1 (ko) 근거리 무선통신용 안테나 일체형 자성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2007264980A (ja) 非接触読取り可能なカード型記録媒体
KR100988046B1 (ko) 전자파 차폐 카드
US20110025463A1 (en) Parallel Antennas for Contactless Device
JP4849218B2 (ja) Icタグ用補助シート及び無線icタグシート、並びに無線icタグ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7199957A (ja) カード及びカード用補助部材
KR102026451B1 (ko) 인식오류 방지필름의 제조 방법
CN205750845U (zh) 一种带led指示功能的交易卡
JP4096065B1 (ja) 非接触icカード通信調整板、非接触icカードケース、および非接触icカードを収納可能な財布
JP2015055998A (ja) シート型rfidタグ
CN210836176U (zh) 一种nfc卡片
JP2005301420A (ja) 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