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648Y1 - 침대 헤드 겸용 파티션 - Google Patents

침대 헤드 겸용 파티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648Y1
KR200490648Y1 KR2020190002738U KR20190002738U KR200490648Y1 KR 200490648 Y1 KR200490648 Y1 KR 200490648Y1 KR 2020190002738 U KR2020190002738 U KR 2020190002738U KR 20190002738 U KR20190002738 U KR 20190002738U KR 200490648 Y1 KR200490648 Y1 KR 2004906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frame
partition body
bent portion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7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정호
Original Assignee
엄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정호 filed Critical 엄정호
Priority to KR20201900027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6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6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6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2Head or foot 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1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 E04B2/7405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3Details of furniture, e.g. tables or shelves, associated with the part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8Details of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침대 헤드 겸용 파티션이 개시되며, 상기 침대 헤드 겸용 파티션은, 파티션 본체; 및 상기 파티션 본체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파티션 본체를 침대의 매트리스를 감싸는 프레임에 탈거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은, 상기 파티션 본체의 일면 상에 구비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로부터 일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돌출 길이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절곡부 사이에 상기 프레임이 삽입 가능하도록 설정된다.

Description

침대 헤드 겸용 파티션{BED HEAD FOR PARTITION}
본 고안은 침대 헤드 겸용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인간이 수면 또는 휴식을 취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구로, 최근에는 보다 안락하고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설계 및 제작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상부에 매트리스가 설치되는 프레임과 헤드로 구성되고 있다. 침대의 헤드는 사용자가 침대에 누웠을 때 사용자의 머리 부분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보호하는 기능과 함께 장식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헤드는 침대의 일단측에 착설되어 베개를 베고 누웠을 때 베개나 머리가 밀리지 않게 받쳐 주는 용도로만 사용되었다.
또한, 종래에 조립식 침대가 다양하게 출시되어 있으나, 종래의 조립식 침대는 침대의 헤드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었다. 따라서, 침대의 헤드를 머리받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헤드의 개발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이 등록특허공보 제10-0484543호에 개시된 바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여 헤드 또는 파티션으로 사용 가능한 침대 헤드 겸용 파티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침대 헤드 겸용 파티션은, 파티션 본체; 및 상기 파티션 본체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파티션 본체를 침대의 매트리스를 감싸는 프레임에 탈거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은, 상기 파티션 본체의 일면 상에 구비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로부터 일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돌출 길이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절곡부 사이에 상기 프레임이 삽입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파티션 본체의 하부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탈거 가능하도록 고정시켜주는 고정 구조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파티션 본체의 하면에는 상기 파티션 본체와 바닥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상기 파티션 본체를 지지하는 파티션용 받침 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는 상기 프레임과 바닥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용 받침 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 구조체는, 상기 파티션 본체와 바닥 사이의 간격 상기 프레임과 바닥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며 연장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는 일측 절곡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타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는 타측 절곡부를 갖는 고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일측 절곡부와 상기 타측 절곡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일측 절곡부와 상기 타측 절곡부 사이에 상기 파티션 본체의 하부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고안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ㄷ자 걸이 형태인 브라켓 및 손으로도 쉽게 돌려 고정할 수 있는 나사가 형성된 나사 유닛과 ㄷ자 형태의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고정 구조체에 의해 파티션 본체가 프레임에 장착 및 탈거 가능하므로, 프레임의 전방을 향하는 부분, 좌측부, 우측부, 후방을 향하는 부분 등 다양한 위치에 파티션 본체가 쉽게 고정 및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파티션 본체가 침대의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식으로 설치될 수 있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헤드뿐만 아니라 가벽(파티션)으로 설치할 수 있는 침대 헤드 겸용 파티션이 구현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침대 헤드 겸용 파티션은 침대 헤드(머리 받이) 용도뿐만 아니라 파티션으로도 사용 가능하며, 화장대, 간이책상의 백패널 등으로 사용 가능하다.
도 1은 침대의 프레임의 전방을 향하는 부분에 구비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헤드 겸용 파티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침대의 프레임의 전방을 향하는 부분에 구비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헤드 겸용 파티션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헤드 겸용 파티션의 브라켓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침대의 프레임의 전방을 향하는 부분에 구비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헤드 겸용 파티션을 전방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침대의 프레임의 전방을 향하는 부분에 구비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헤드 겸용 파티션을 우측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헤드 겸용 파티션의 파티션 본체의 하부를 하측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보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헤드 겸용 파티션의 고정 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헤드 겸용 파티션의 고정 구조체에 대한 프레임과 파티션 본체의 고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 측면도이다.
도 9는 침대의 프레임의 좌측부에 구비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헤드 겸용 파티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침대의 프레임의 좌측부에 구비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헤드 겸용 파티션을 도 9와 다른 각도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입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고안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고안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고안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측, 상부, 하측, 하부, 일측, 일단, 타측, 타단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측,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상부,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하측,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하부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8시 방향이 일측, 전반적으로 8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가 일단, 전반적으로 2시 방향이 타측, 전반적으로 2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가 타단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 일측은 전방으로도 이해될 수 있으며, 타측은 후방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침대 헤드 겸용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헤드 겸용 파티션(이하 '본 파티션'이라 함)(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파티션(1)은 파티션 본체(11)를 포함한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파티션(1)은 파티션 본체(11)의 일면에 구비되어 파티션 본체(11)를 침대의 매트리스를 감싸는 프레임(21)에 탈거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브라켓(12)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브라켓(12)은 파티션 본체(11)의 일면 상에 구비되는 연결부(121), 연결부(121)로부터 일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돌출되는 돌출부(122) 및 돌출부(122)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절곡부(123)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브라켓(12)은 ㄷ자 형태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부(121)에는 나사 구멍이 형성될 수 있고, 연결부(121)와 파티션 본체(11)가 나사 결합되는 형태로 브라켓(12)은 파티션 본체(11)에 구비(결합)될 수 있다.
돌출부(122)의 돌출 길이는 연결부(121)와 절곡부(123) 사이에 프레임(21)이 삽입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12)은 프레임(21)에 걸려 파티션 본체(11)를 프레임(21)에 임시 고정(가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돌출부(122)의 돌출 길이는 연결부(121)와 절곡부(123) 사이에 프레임(21)이 끼움 결합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연결부(121)와 절곡부(123) 사이에 프레임(21)이 끼움 결합됨으로써, 브라켓(12)은 프레임(21)에 고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파티션 본체(11)는 프레임(21)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부(121)와 절곡부(123) 사이의 간격은 프레임(21)이 외력(이를 테면, 인력)에 의해 끼움 결합 가능하고, 외력에 의해 탈거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연결부(121)와 절곡부(123) 사이의 간격은, 프레임(21)이 착탈(장착 및 탈거) 가능하게 연결부(121)와 절곡부(123) 사이에 끼움 결합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티션 본체(11)는 프레임(21)에 견고하게 가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파티션(1)은 파티션 본체(11)의 하부를 프레임(21)의 하부에 탈거 가능하도록 고정시켜주는 고정 구조체(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파티션(1)과 프레임(21)의 착탈은 브라켓(12) 및 고정 구조체(13)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파티션(1)은 브라켓(12) 뿐만 아니라 고정 구조체(13)에 의해서도 프레임(21)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다.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파티션 본체(11)의 하면에는 파티션 본체(11)와 바닥(본 파티션(1) 또는 프레임(21)의 하측에서 본 파티션(1) 또는 프레임(21)을 지지하는 땅 또는 건물의 바닥 등)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파티션 본체(11)를 지지하는 파티션용 받침 유닛(111)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파티션용 받침 유닛(111)은 파티션 본체(11)의 하면의 꼭지점 부근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프레임(21)의 하면에는 프레임(21)과 바닥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프레임(21)을 지지하는 프레임용 받침 유닛(211)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고정 구조체(13)는 파티션 본체(11)와 바닥 사이의 간격 및 프레임과 바닥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며 연장되는 플레이트부(1311), 플레이트부(1311)의 일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는 일측 절곡부(1312), 플레이트부(1311)의 타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는 타측 절곡부(1313)를 갖는 고정 유닛(13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일측 절곡부(1312)와 타측 절곡부(1313) 사이의 간격은 일측 절곡부(1312)와 타측 절곡부(1313) 사이에 파티션 본체(11)의 하부 및 프레임(21)의 하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측 절곡부(1312)와 타측 절곡부(1313) 사이에 파티션 본체(11)의 하부 및 프레임(21)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일측 절곡부(1312)는 프레임(21)의 일면과 대향하고, 타측 절곡부(1313)는 파티션 본체(11)의 타면과 대향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고정 구조체(13)는 일측 절곡부(1312)를 관통하며 일측 절곡부(1312)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 유닛(132)을 포함할 수 있다. 나사 유닛(132)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일측 절곡부(1312)에 형성된 나사 유닛(132)이 통과하는 홀의 내면에는 나사 유닛(132)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 가능한 나사 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나사 유닛(132)의 일측 절곡부(1312)를 통과한 량(통과한 부분의 길이)은 조절될 수 있다.
종류에 따라 두께가 다른 프레임(21)의 두께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21)과 파티션 본체(11)가 일측 절곡부(1312)와 타측 절곡부(1313) 사이에서 끼임 배치되면 바람직하겠지만, 상황 또는 조건 등에 따라 프레임(21)과 파티션 본체(11)가 일측 절곡부(1312)와 타측 절곡부(1313) 사이에서 끼임 배치되지 않을 경우, 나사 유닛(132)이 프레임(21)을 일측에서 지지하여 프레임(21)과 파티션 본체(11)가 나사 유닛(132)과 타측 절곡부(1313) 사이에서 끼임 배치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나사 유닛(132)은 나사 유닛(132)의 일측 절곡부(1312)를 통과한 량(통과한 부분의 길이)에 따라 프레임(21)을 파티션 본체(11) 측으로(다시 말해, 프레임(21) 및 파티션 본체(11)를 타측 절곡부(1313)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21) 및 파티션 본체(11)는 나사 유닛(132)과 타측 절곡부(1313)에 의해 끼임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21)과 파티션 본체(11)의 결합성이 증가될 수 있으며, 파티션 본체(11)는 프레임(21)에 견고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고정 구조체(13)는 나사 유닛(132)과 프레임(21) 사이에 개재 가능한 보조 플레이트(133)를 포함할 수 있다. 나사 유닛(132)이 프레임(21)을 가압할 때 나사 유닛(132)의 첨단에 외력이 집중되어 프레임(21)에 작용하므로, 프레임(21)이 손상될 수 도 있으나, 본 파티션(1)에 의하면 보조 플레이트(133)가 이 나사 유닛(132)과 프레임(21) 사이에 개재되므로, 나사 유닛(132)의 프레임(21) 가압에도 프레임(21)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조 플레이트(133)는 철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나사 유닛(132) 및 고정 유닛(131)은 철제(철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본 파티션(1)은 파티션 본체(11)를 프레임(21)에 고정시켜주는 ㄷ자 걸이 형태인 브라켓(12)과 두 개와 손으로도 쉽게 돌려 고정할 수 있는 나사가 형성된 나사 유닛(132) 및 ㄷ자 형태의 고정 유닛(131)을 포함하는 고정 구조체(13)를 포함함으로써, 프레임(21)(침대)의 전방을 향하는 부분(사용자의 머리 부분이 위치하는 방향을 향하는 부분), 좌측부(좌측을 향하는 부분), 우측부(우측을 향하는 부분), 후방을 향하는 부분(배면 부분)(전방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부분) 등에도 쉽게 고정 및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라켓(12)은 파티션 본체(11)에 고정 부착되어 프레임(21)의 정면, 좌면, 우면, 배면 등 중 하나에 걸림으로써 파티션 본체(11)를 임시 고정할 수 있고, 고정 구조체(13)는 파티션 본체(13)에서 파티션 본체(11)를 프레임(21)에 완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파티션(1)은 파티션 본체(11)에 구비되는 콘센트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콘센트 구조체는 파티션 본체(11)의 상면에 구비되는 콘센트 유닛(1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콘센트 구조체는 파티션 본체(11)를 통과하며 콘센트 유닛(113)에 일단이 연결되어 콘센트 유닛(113)으로부터 파티션 본체(11)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전선(115) 및 전선(115)의 타단에 구비되는 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예시적으로, 콘센트 유닛(113)은 파티션 본체(11)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고, 전선(115)은 파티션 본체(11)를 높이 방향(상하 방향)으로 통과하여 파티션 본체(11)의 하면과 바닥 사이를 통과해 파티션 본체(11)의 외부로 연장되어 파티션 본체(11)의 하측을 통해 본 파티션(1)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플러그는 다른 콘센트에 꼽아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전선(115)이 파티션 본체(11)의 하면과 바닥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파티션용 받침 유닛(111)의 높이는, 파티션 본체(11)와 바닥 사이의 간격이 전선(115)의 두께보다 크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파티션용 받침 유닛(111)과 이웃 파티션용 받침 유닛(111) 사이에는 전선(115)이 통과하는 전선 통과로가 형성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티션용 받침 유닛(111)은 파티션 본체(11)의 하면의 꼭지점 부근에 구비될 수 있으며, 단면이 ㄱ자 형상일 수 있다. 파티션 본체(11)의 하면은 직사각형일 수 있고, 파티션용 받침 유닛(111)과 가장 가까운 이웃 파티션용 받침 유닛(111) 사이 또는 파티션용 받침 유닛(111)과 가장 먼 이웃 파티션용 받침 유닛(111) 사이에는 전선(115)이 통과할 수 있는 전선 통과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선(115)의 연장 방향의 자유도가 확보될 수 있다. 참고로, 도 6에는 전선(115)이 파티션용 받침 유닛(111)과 가장 가까운 이웃 파티션용 받침 유닛(111) 사이의 전선 통과로를 통과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본 파티션(1)은 파티션 본체(11)의 상부에 구비되는 램프(15)를 포함할 수 있다. 램프(15)는 파티션 본체(11)에 탈착(장착 및 탈거) 가능하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파티션(1)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침대의 헤드용 파티션을 별도로 개발한 고정 걸이 장치(브라켓(12))를 이용해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침대(프레임(21))의 좌, 우측에 이동설치를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 설치환경에 따라 본 파티션(1)을 편의에 따라 가벽으로 설치하여 사용하게 할 수 있다. 이를 테면, 도 1을 참조하면, 본 파티션(1)은 침대의 헤드가 설치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헤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침대의 좌측(또는 우측) 공간과 침대를 가벽으로 분리하고 싶을 때 본 파티션(1)은 침대의 좌측(또는 우측)으로 이동되어 프레임(21)에 설치되어 가벽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파티션(1)은 프레임(21)의 좌측, 우측, 헤드가 설치되는 일측, 헤드가 설치되는 곳의 반대편 타측 등 다양한 위치에 구비됨으로써, 헤드, 가벽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환경에 따라, 본 파티션(1)을 쉽게 이동시켜 사용하고자 하는 다른 환경으로 침대를 조립(프레임(21)에 본 파티션(1)을 조립)하여 적절히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조립은 브라켓(12) 및 고정 구조체(13)에 의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조립되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파티션(1)에 의하면 침대가 놓여지는 사용자의 환경 등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 침대의 프레임(2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좁은 공간에서도 한 개의 임시 가벽을 설치하는 효과를 낼 수 있게 하여, 사용자는 본 파티션(1)을 이용해 효과적으로 방안 가구 구조를 설정(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파티션(1)은 프레임(21)에 결합되는 형태가 아니라, 단독으로 구비되어 통상의 파티션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침대 헤드 겸용 파티션
11: 파티션 본체
111: 파티션용 받침 유닛
113: 콘센트 유닛
115: 전선
12: 브라켓
121: 연결부
122: 돌출부
123: 절곡부
13: 고정 구조체
131: 고정 유닛
1311: 플레이트부
1312: 일측 절곡부
1313: 타측 절곡부
132: 나사 유닛
133: 보조 플레이트
15: 램프

Claims (6)

  1. 침대 헤드 겸용 파티션에 있어서,
    파티션 본체; 및
    상기 파티션 본체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파티션 본체를 침대의 매트리스를 감싸는 프레임에 탈거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은, 상기 파티션 본체의 일면 상에 구비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로부터 일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돌출 길이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절곡부 사이에 상기 프레임이 삽입 가능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파티션 본체의 하부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탈거 가능하도록 고정시켜주는 고정 구조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파티션 본체의 하면에는 상기 파티션 본체와 바닥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상기 파티션 본체를 지지하는 파티션용 받침 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는 상기 프레임과 바닥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용 받침 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 구조체는, 상기 파티션 본체와 바닥 사이의 간격 상기 프레임과 바닥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며 연장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는 일측 절곡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타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는 타측 절곡부를 갖는 고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일측 절곡부와 상기 타측 절곡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일측 절곡부와 상기 타측 절곡부 사이에 상기 파티션 본체의 하부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설정되는 것인, 침대 헤드 겸용 파티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절곡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면과 대향하고,
    상기 타측 절곡부는 상기 파티션 본체의 타면과 대향하며,
    상기 고정 구조체는,
    상기 일측 절곡부를 관통하며 상기 일측 절곡부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 유닛을 더 포함하되,
    나사 유닛은 상기 프레임 및 상기 파티션 본체를 상기 타측 절곡부 측으로 가압 가능한것인, 침대 헤드 겸용 파티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유닛의 타측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보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 플레이트는 철제로 이루어지는 것인, 침대 헤드 겸용 파티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본체에 구비되는 콘센트 구조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콘센트 구조체는,
    상기 파티션 본체의 상면에 구비되는 콘센트 유닛;
    상기 파티션 본체를 통과하며 상기 콘센트 유닛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콘센트 유닛으로부터 상기 파티션 본체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전선; 및
    상기 전선의 타단에 구비되는 플러그를 포함하되,
    상기 파티션용 받침 유닛의 높이는, 상기 파티션 본체와 바닥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전선의 두께보다 크도록 설정되는 것인, 침대 헤드 겸용 파티션.
  6. 삭제
KR2020190002738U 2019-07-01 2019-07-01 침대 헤드 겸용 파티션 KR2004906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738U KR200490648Y1 (ko) 2019-07-01 2019-07-01 침대 헤드 겸용 파티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738U KR200490648Y1 (ko) 2019-07-01 2019-07-01 침대 헤드 겸용 파티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648Y1 true KR200490648Y1 (ko) 2019-12-10

Family

ID=68834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738U KR200490648Y1 (ko) 2019-07-01 2019-07-01 침대 헤드 겸용 파티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648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449U (ko) * 1998-04-11 1999-11-15 이대우 침대추락방지용 고정판
KR101746831B1 (ko) * 2017-02-22 2017-06-13 영남강철 주식회사 2층 침대
KR20170078286A (ko) * 2015-12-29 2017-07-07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목적 침대헤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449U (ko) * 1998-04-11 1999-11-15 이대우 침대추락방지용 고정판
KR20170078286A (ko) * 2015-12-29 2017-07-07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목적 침대헤드
KR101746831B1 (ko) * 2017-02-22 2017-06-13 영남강철 주식회사 2층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56353B2 (ja) シートにおけるスピーカーの外面取付具
CN108430267A (zh) 用于家具组件的电气集线器
KR200490648Y1 (ko) 침대 헤드 겸용 파티션
JP5130263B2 (ja) キャビネット
KR102296303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파티션 일체형 책상
JP2006020921A (ja) 支持部材の取付装置
JP5719626B2 (ja) テーブル装置及び椅子
KR20160012599A (ko) 조립식 컴퓨터 일체형 데스크
KR101678870B1 (ko) 매트리스 지지대
JP6577758B2 (ja) 間仕切パネル装置
JP4424121B2 (ja) デスク
JP4130284B2 (ja) デスクの連結構造
JP2006101922A (ja) 天板付家具
JP5966036B2 (ja) テーブル装置及び椅子
JP7488748B2 (ja) 天板付き什器
KR200295310Y1 (ko) 전선 받이용 파티션덕트
KR101807880B1 (ko) 마감판재가 구비된 침대프레임
JP2008245807A (ja) トイレ用カウンター
KR102025469B1 (ko) 컴퓨터 본체 또는 부품을 위한 수용 케이스
JPH0515214Y2 (ko)
JP3499618B2 (ja)
JP3320059B2 (ja) 収納家具の取付け構造
JP2007283005A (ja) 椅子の肘掛け装置
JP3054369U (ja) パソコンデスク
JP3115821U (ja) ベ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