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561Y1 - 작업성이 개선된 전원공급 모듈 - Google Patents

작업성이 개선된 전원공급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561Y1
KR200490561Y1 KR2020180000345U KR20180000345U KR200490561Y1 KR 200490561 Y1 KR200490561 Y1 KR 200490561Y1 KR 2020180000345 U KR2020180000345 U KR 2020180000345U KR 20180000345 U KR20180000345 U KR 20180000345U KR 200490561 Y1 KR200490561 Y1 KR 2004905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protective cover
supply module
pcb substrat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3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932U (ko
Inventor
홍유선
Original Assignee
김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순 filed Critical 김영순
Priority to KR20201800003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561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9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9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5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5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7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power supply

Abstract

본 고안은 작업성이 개선된 전원 공급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전원공급 모듈의 설치 및 시공작업시 전원선의 연결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작업 과정에서 PCB기판의 부품 손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원선(C)의 안내를 위한 안내통공(11)이 양측에 대칭형태로 구성되는 외장케이스(10)와, 상기 외장케이스(10) 내에 안착 구성되되 전원 공급상태 표시를 위한 LED소자(22)가 구비된 PCB기판(20)과, 상기 전원선(C)의 통전을 위해 PCB기판(2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통전구(30)와, 상기 통전구(30)에 구성되어 전원선(C)의 연결 및 분리 기능을 수행하는 체결나사(31)로 구성되는 전원공급 모듈에 있어서, 상기 체결나사(31)는 양측 안내통공(11)을 통해 안내된 전원선(C)의 개별적인 연결이 가능하도록 2개가 쌍을 이루어 양측에 대칭형태를 이루어 구비되고; 상기 PCB기판(20)에는 LED소자(22)의 노출을 최소화 함과 함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보호커버(5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작업성이 개선된 전원공급 모듈{POWER SUPPLY MODULE}
본 고안은 전원공급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 공급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현장에서의 작업성이 개선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작업성이 개선된 전원공급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 히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는 전원 공급상태 및 기기의 동작상태를 램프 불빛을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전원 공급모듈이 장치 일측에 설치되어지게 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전원공급 모듈을 도시한 것으로서, 외장케이스(10)에는 전원선(C)의 안내를 위한 안내통공(11)이 3방향으로 구성되고, 외장케이스(10) 내부에는 PCB기판(20)이 안착 구성되며, 상기 PCB기판(20)에는 전원선(C)과의 통전을 위한 통전구(30)가 결합되고, 상기 통전구(30)에는 전원선(C)의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체결나사(31)가 구비된다. 미설명 부호 22는 전원 공급상태 표시를 위한 LED소자이고, 40은 외장커버를 나타낸다.
한편, 전원공급모듈의 설치작업시에는 양측 안내통공(11)을 통해 안내되어진 각각의 전원선(C)이 체결나사(31)에 의해 고정 체결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종래 기술에서는 하나의 체결나사(31)에서 2개의 전원선(C)이 함께 체결이 이루어지게 됨으로 작업효율이 저하되어지게 된다.
즉, 2개의 전원선(C)을 하나의 체결나사(31)로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한쪽 전원선의 이탈이 발생되거나 위치가 유동되어짐으로서 작업성이 저하되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LED소자(22) 등과 같이 외부충격에 취약한 부품이 노출되어져 있기 때문에 설치 및 조립작업 과정에서 충격이 가해져 부품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전원선의 체결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작업 과정에서 부품 손상 발생이 방지되어질 수 있는 전원공급 모듈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시공 및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전원선의 안내를 위한 안내통공이 양측에 대칭형태로 구성되는 외장케이스와, 상기 외장케이스 내에 안착 구성되되 전원 공급상태 표시를 위한 LED소자가 구비된 PCB기판과, 상기 전원선의 통전을 위해 PCB기판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통전구와, 상기 통전구에 구성되어 전원선의 연결 및 분리 기능을 수행하는 체결나사로 구성되는 전원공급 모듈에 있어서, 상기 체결나사는 양측 안내통공을 통해 안내된 전원선의 개별적인 연결이 가능하도록 2개가 쌍을 이루어 양측에 대칭형태를 이루어 구비되고; 상기 PCB기판에는 LED소자의 노출을 최소화 함과 함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보호커버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전원공급 모듈의 설치 및 시공작업시 전원선의 연결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작업 과정에서 PCB기판의 부품 손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의 전원공급 모듈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공급 모듈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PCB기판과 보호커버 분리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PCB기판과 보호커버 분리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PCB기판과 보호커버 체결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서 PCB기판과 보호커버 체결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호커버 단면 구조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호커버 결합부 측면 구조도.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의 보호커버 결합부 정면 구조도.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공급 모듈의 구성을 도 2 내지 도 6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서의 전원공급 모듈은, 전원선(C)의 안내를 위한 안내통공(11)이 양측에 대칭형태로 구성되는 외장케이스(10)와, 상기 외장케이스(10) 내에 안착 구성되되 전원 공급상태 표시를 위한 LED소자(22)가 구비된 PCB기판(20)과, 상기 전원선(C)의 통전을 위해 PCB기판(2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통전구(30)와, 상기 통전구(30)에 구성되어 전원선(C)의 연결 및 분리 기능을 수행하는 체결나사(31)로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체결나사(31)를 양측 안내통공(11)을 통해 안내된 전원선(C)의 개별적인 연결이 가능하도록 2개가 쌍을 이루어 양측에 대칭형태를 이루어 구비되고, PCB기판(20)에는 LED소자(22)의 노출을 최소화 함과 함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보호커버(50)가 구성되었다.
상기 보호커버(50)는 PCB기판(20)에 걸려질 수 있도록 걸림턱(51)이 양단부에 구비되고, 상면에는 LED소자(22)의 보호를 위한 관통공(52)이 LED소자(22)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하로 관통된 형상을 이루어 형성되며, 일정 높이를 이루는 LED소자(22)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원통형상을 이루는 LED 지지부(53)가 구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3은 휴즈 부품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고안 전원공급 모듈의 설치 및 시공작업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전원공급 모듈은 PCB기판(20)에 구성되어 있는 통전구(30)에 체결나사(31)가 2개를 한쌍으로 하여 좌우 양측에 대칭형태로 구비됨으로서, 양측의 안내통공(11)을 통해 안내되어진 전원선(C)의 연결작업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2개의 전원선(C)을 하나의 체결나사로 고정시키던 종래 방식에 비해 안정적인 조립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PCB기판(20) 일측에는 탄성 고무재질의 보호커버(50)가 장착되어져 있기 때문에 LED소자(22) 및 휴즈(23)를 포함하여 기판면에 실장되어진 부품이, 작업 과정에서 작업공구 등과의 접촉에 따른 손상을 방지함과 함께, LED소자(22)의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일러, 히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의 전원 공급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장치 일측에 설치되는 전원 공급모듈의 설치 및 시공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보호커버(50)의 저면에는 PCB기판(20)에 장착된 스피커 부품(24)을 일정 탄성력으로 가압 지지하기 위한 스펀지 재질의 탄성패드(54)가 구성되고, 관통공(52) 내벽면에는 LED소자(22)에서 발생되는 빛의 반사효율 개선을 위한 반사코팅층(52a)이 형성되되, 상기 반사코팅층(52a)은 알루미늄 20~40중량%, 나노은 20~40중량%, 테프론 10~30중량%, 파라핀왁스 10~30중량%, 규산소다, 5~20중량%, 유리섬유 1~10중량%의 혼합 조성을 이루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스펀지 재질의 탄성패드(54)에 의해 PCB기판(20)에 실장된 스피커 부품(24)의 유동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됨과 함께 보호커버(50)의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반사코팅층(52a)에 의해 LED소자(22)의 불빛이 반사되어짐으로서 광손실이 방지되어지게 되는데, 특히 반사코팅층(52a)은 반사효율 향상을 위한 알루미늄 분말과 나노은 외에도 코팅층의 윤활성 향상을 위한 테프론과, 알루미늄 분말의 균일한 확산 분포를 위한 파라핀왁스, 그리고 나노은 성분의 변색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규산소다 및 코팅층의 강도강화를 위한 유리섬유가 추가로 첨가됨으로서 반사코팅층(52a)의 기능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통전구(30)에는 다수의 체결나사(31)를 구획하기 위한 가이드격벽(32)이 구성되고, 상기 보호커버(50)에는 통전구(30)에 구비된 가이드격벽(32)에 지지되어질 수 있도록 격벽지지홈(55)이 일측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보호커버(50)를 PCB기판(20)에 장착했을 때 가이드격벽(32)이 격벽지지홈(55)에 삽입 지지되어짐으로서 보호커버(50)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됨과 함께 외부 충격에 따른 변형 발생이 방지되어지게 되는 이점을 나타낸다.
10 : 외장케이스 11 : 안내통공
20 : PCB기판 22 : LED소자
30 : 통전구 31 : 체결나사
32 : 가이드격벽 40 : 외장커버
50 : 보호커버 51 : 걸림턱
52 : 관통공 53 : LED 지지부
C : 전원선

Claims (5)

  1. 전원선(C)의 안내를 위한 안내통공(11)이 양측에 대칭형태로 구성되는 외장케이스(10)와, 상기 외장케이스(10) 내에 안착 구성되되 전원 공급상태 표시를 위한 LED소자(22)가 구비된 PCB기판(20)과, 상기 전원선(C)의 통전을 위해 PCB기판(2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통전구(30)와, 상기 통전구(30)에 구성되어 전원선(C)의 연결 및 분리 기능을 수행하는 체결나사(31)로 구성되는 전원공급 모듈에 있어서,
    상기 체결나사(31)는 양측 안내통공(11)을 통해 안내된 전원선(C)의 개별적인 연결이 가능하도록 2개가 쌍을 이루어 양측에 대칭형태를 이루어 구비되고;
    상기 PCB기판(20)에는 LED소자(22)의 노출을 최소화 함과 함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보호커버(50)가 구성되며;
    상기 보호커버(50)는 PCB기판(20)에 걸려질 수 있도록 걸림턱(51)이 양단부에 구비됨과 함께 상면에는 LED소자(22)의 보호를 위한 관통공(52)이 LED소자(22)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하로 관통된 형상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보호커버(50)에는 일정 높이를 이루는 LED소자(22)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원통형상을 이루는 LED 지지부(53)가 구비되며;
    상기 보호커버(50)의 저면에는 PCB기판(20)에 장착된 부품을 일정 탄성력으로 가압 지지하기 위한 탄성패드(54)가 구성되고, 관통공(52) 내벽면에는 LED소자(22)에서 발생되는 빛의 반사효율 개선을 위한 반사코팅층(52a)이 형성되되, 상기 반사코팅층(52a)은 알루미늄 20~40중량%, 나노은 20~40중량%, 테프론 10~30중량%, 파라핀왁스 10~30중량%, 규산소다, 5~20중량%, 유리섬유 1~10중량%의 혼합 조성을 이루고;
    상기 통전구(30)에는 다수의 체결나사(31)를 구획하기 위한 가이드격벽(32)이 구성되고, 상기 보호커버(50)에는 통전구(30)에 구비된 가이드격벽(32)에 지지되어질 수 있도록 격벽지지홈(55)이 일측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이 개선된 전원공급 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80000345U 2018-01-23 2018-01-23 작업성이 개선된 전원공급 모듈 KR2004905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345U KR200490561Y1 (ko) 2018-01-23 2018-01-23 작업성이 개선된 전원공급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345U KR200490561Y1 (ko) 2018-01-23 2018-01-23 작업성이 개선된 전원공급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932U KR20190001932U (ko) 2019-07-31
KR200490561Y1 true KR200490561Y1 (ko) 2019-12-02

Family

ID=67439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345U KR200490561Y1 (ko) 2018-01-23 2018-01-23 작업성이 개선된 전원공급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561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474B1 (ko) * 2009-07-13 2010-06-14 주식회사 룩스원 발광 다이오드 모듈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910U (ko) * 1997-12-01 1999-07-05 전주범 브이씨알용 발광다이오드 고정구
US9599292B2 (en) * 2011-09-20 2017-03-21 Koninklijke Philips N.V. Light emitting module, a lamp, a luminaire and a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474B1 (ko) * 2009-07-13 2010-06-14 주식회사 룩스원 발광 다이오드 모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932U (ko) 201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9331B2 (en) Cage and connector cover for a receptacle assembly
CN203942113U (zh) 连接器和连接器组件
RU2562922C2 (ru) При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коробка для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ого кабеля
KR20110095863A (ko) 조명 기구
CA2850618C (en) Optical fiber-based optical functional device cartridge module
JP2016046047A (ja) 光源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JP2014146027A (ja) 光ファイバコネクタ
KR200490561Y1 (ko) 작업성이 개선된 전원공급 모듈
WO2008088676A3 (en) Indoor optical fibre cable assemblies with fexible network access point
GB2573361A (en) Panel light apparatus
JP2014179211A (ja) 光源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CN202121164U (zh) 堆叠式电连接器
TWI763124B (zh) 電子設備、電子模組和電子設備元件
CN220570239U (zh) 可拼接结构的阻燃桥架
CN210572876U (zh) 一种具有一体式散热器的热插拔式接口连接器
JP2006236719A (ja) Lan端子台
CN205299415U (zh) 一种底盘卡接结构及其应用的灯具
CN204302541U (zh) 一种并行光收发模块
CN215582085U (zh) 带指示灯导光柱插卡组件的通讯设备
KR200260350Y1 (ko) 다심광커넥터 보호 지지판
CN219958466U (zh) Led显示单元及具有其的led显示装置
CN217145244U (zh) 一种阻燃型中空塑料板
CN210443725U (zh) 一种矩形电连接器
TWI718782B (zh) 電連接器殼座組合、電連接器及電子裝置
JP6793790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