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132Y1 - 방화문용 경첩 보강대 - Google Patents

방화문용 경첩 보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132Y1
KR200490132Y1 KR2020190001165U KR20190001165U KR200490132Y1 KR 200490132 Y1 KR200490132 Y1 KR 200490132Y1 KR 2020190001165 U KR2020190001165 U KR 2020190001165U KR 20190001165 U KR20190001165 U KR 20190001165U KR 200490132 Y1 KR200490132 Y1 KR 2004901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bolt
hole
front frame
horizont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1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춘남
Original Assignee
(주)동방파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방파스텍 filed Critical (주)동방파스텍
Priority to KR20201900011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1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1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1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82Strength alteration by reinforcing, e.g. by applying rib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화문용 경첩 보강대에 관한 것으로서, 방화문의 중량을 크게 늘어나지 않게 하면서도 경첩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또한, 보강을 위한 두께에도 2단 경첩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구멍 형성이 가능하며, 더불어 외부 냉기의 전달을 차단하여 방화문에 나타나는 결로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방화문용 경첩 보강대를 제공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수용부가 형성된 전면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 후방에 고정되는 후면프레임으로 구성된 방화문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경첩을 보강하여 고정하는 경첩 보강대에 있어서, 상기 돌출수용부로 삽입되고, 상기 경첩과 전면프레임을 관통한 볼트가 체결되는 제1볼트구멍이 형성된 일측수평부와, 상기 일측수평부의 타단을 제1절곡선을 이용하여 내측으로 절곡시켜 형성되고, 상기 제1볼트구멍의 직하부에 체결되어 노출되는 볼트 기둥부분이 걸려 간섭되지 않도록 간섭방지부가 형성된 수직연결부와, 상기 수직연결부의 타단을 제2절곡선을 이용하여 외측으로 절곡하고, 상기 전면프레임과 리벳으로 고정되는 리벳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리벳구멍에서 벗어난 위치에 상기 경첩과 전면프레임과 후면프레임을 관통한 볼트와 체결되는 제2볼트구멍이 형성된 타측수평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방화문용 경첩 보강대{Hinge reinforcement bar for fire door}
본 고안은 방화문용 경첩 보강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문틀과 경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방화문 내면을 보강하여 경첩을 고정하는 동시에 중량의 방화문의 하중을 경첩과 양분하여 지지하도록 하는 방화문용 경첩 보강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첩은 문을 여닫이 방식으로 회전시켜 개폐되도록 설치하는 것으로서, 회전하는 한 쌍의 경첩 플레이트에 각각 문틀과 문을 고정하여 사용된다.
상기 개폐되는 문 중 특히, 방화(防火)를 목적으로 설치되는 방화문은 자체 중량이 상당하면서도 두께가 얇은 철판으로 형성되어 경첩을 고정하기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위 출원인이 선등록한 특허등록 제1890880호(명칭: 보호커버가 일체로 구비된 경첩보강대 및 그를 이용한 설치방법)이 개시되었다..
상기 선행기술은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갖는 문틀 내부에 경첩보강대를 설치시켜 경첩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효과가 있지만, 반대 측 방화문에 경첩을 고정하기 곤란하여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하지 못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방화문의 내측면 즉, 경첩이 고정되는 내면의 두께를 두껍게 하도록 판상의 보강대를 고정하였으나, 이는 방화문의 무게를 가중시키게 되고, 그 가중된 하중이 경첩으로 전달되면 경첩이 그 하중을 지지하지 못하고 파손되는 또다른 문제점을 발생하게 되었다.
한편, 현재 수용자에게 공급되는 방화문과 문틀은 일명 유럽형으로 알려진 측면 2단으로 형성시켜 기밀성에 의한 열차단 목적을 갖고 있기 때문에 방화문에 설치되는 경첩의 플레이트도 2단으로 절곡 형성시켜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경첩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구멍의 위치는 전세계적으로 규격화되어 위치를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2단으로 절곡된 부분에 두께가 비교적 두꺼운 보강대를 설치하면 그 볼트구멍을 일치되지 못하고 두께살을 파고드는 문제점이 있어 설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상기와 같이 두께를 보상받기 위해 보강대를 고정한 경우에는 외부의 열 즉, 외부의 냉기가 외부로 노출된 경첩 힌지부로 전달되면 플레이트로 이동하게되고, 이렇게 이동된 냉기는 방화문 내부에 단열 목적으로 설치된 단열재의 열과 접촉후 온도차에 의해 결로현상이 발생되며, 그 수증기는 단열재를 훼손시켜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방화문의 중량을 크게 늘어나지 않게 하면서도 경첩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또한, 보강을 위한 두께에도 2단 경첩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구멍 형성이 가능하며, 더불어 외부 냉기의 전달을 차단하여 방화문에 나타나는 결로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방화문용 경첩 보강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수용부가 형성된 전면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 후방에 고정되는 후면프레임으로 구성된 방화문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경첩을 보강하여 고정하는 경첩 보강대에 있어서, 상기 돌출수용부로 삽입되고, 상기 경첩과 전면프레임을 관통한 볼트가 체결되는 제1볼트구멍이 형성된 일측수평부와, 상기 일측수평보의 타단을 제1절곡선을 이용하여 내측으로 절곡시켜 형성되고, 상기 제1볼트구멍의 직하부에 체결되어 노출되는 볼트 기둥부분이 걸려 간섭되지 않도록 간섭방지부가 형성된 수직연결부와, 상기 수직연결부의 타단을 제2절곡선을 이용하여 외측으로 절곡하고, 상기 전면프레임과 리벳으로 고정되는 리벳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리벳구멍에서 벗어난 위치에 상기 경첩과 전면프레임과 후면프레임을 관통한 볼트와 체결되는 제2볼트구멍이 형성된 타측수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섭방지부는 제1볼트구멍의 내경보다 비교적 넓게 관통 형성된 볼트기둥수용구멍과, 상기 볼트기둥수용구멍의 양측 일단은 제1절곡선을 넘어 일측수평부를 파고들도록 "⊂" 의 홈형상으로 각각 연장시켜 절개된 연장절개홈과, 양측에 각각 구비된 상기 연장절개홈의 사이에는 절개되어 파고든 길이에 의해 자연히 돌출 형성되는 연장수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면프레임에는 전면프레임과 타측수평부를 고정하는 리벳에서 외부로 돌출된 리벳헤드를 내부에 수용되도록 리벳의 헤드 외경보다 비교적 크게 형성되는 헤드수용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측수평부에는 전면프레임 방향으로 돌출된 위치결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위치결정돌기와 대응하는 위치의 전면프레임에는 위치결정돌기가 내부로 삽입되어 가결합되도록 하는 위치결정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수용부의 내면과 일측수평부의 외면 사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경첩을 통해 전달된 냉기가 방화문 내부로 이동을 차단시켜 결로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측수평부에서 간격방향으로 복수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돌출수용부와 점접촉으로 열전달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돌출수용부를 받쳐 지지되도록 하는 받침볼록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연결부에 복수가 관통 형성되어 경첩을 통해 전달된 외부열이 방화문 내부로 이동됨을 차단하는 열차단구멍이 구성된 것을 특징을 하는 방화문용 경첩 보강대.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보강대를 경첩의 길이와 유사하게 형성시켜 방하문에 가중되는 중량을 최소로 하고, 또한 경첩 보강대를 제1,2절곡선을 이용하여 2단으로 절곡시켜 유럽형 2단 경첩을 고정할 수 있으며, 더불어 수직연결부에 간섭방지부를 형성함으로써, 경첩을 고정한 볼트의 기둥부분이 장애나 간섭없이 수용 배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일측수평부에 형성된 제1볼트구멍은 제1절곡선에 일부분이 파고들어 수직연결부의 두께에 볼트의 기둥부분이 접촉되어 고정이 불가능하지만 해당 부분에 간섭방지부 예컨대 관통된 볼트기둥수용구멍을 형성하여 이러한 장애와 간섭을 제거하여 견고한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후면프레임에 리벳헤드를 수용하는 헤드수용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외부로 돌출된 리벳헤드에 의해 후면프레임이 전면프레임과 이격되지 않게하여 단열효과가 저하됨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위치결정돌기를 위치결정홈에 삽입시켜 최초 전며프레임과 타측수평부가 정위치에 가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후 리벳으로 손쇱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돌출수용부와 일측수용부 사이에 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수직연결부에 복수의 열차단구멍을 형성하여 외부 냉기가 내부로 전달됨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더불어 일측수용부에 점접촉되는 받침볼록부를 형성하여 돌출수용부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동시에 열전달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경첩 보강대를 이용하여 경첩이 설치되는 상태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경첩 보강대를 이용하여 경첩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경첩 보강대의 절곡전 상태의 전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절곡된 경첩 보강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위치결정돌기가 형성된 경첩 보강대를 도시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전면프레임과 경첩 보강대가 위치결정돌기가 위치결정홈에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위치결정돌기가 위치결정홈에 삽입된 후, 리벳고정된 상태를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된 리벳 헤드가 후면프레임의 헤드수용구멍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받침블록부가 형성된 경첩 보강대를 도시된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받침볼록부가 돌출수용부 내면과 점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열차단구멍이 형성된 경첩 보강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서 열차단구멍이 "S"형상으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는 도 12에서 열차단구멍이 "Z"형상으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경첩 보강대(500)는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와 같이 크게, 방화문(100)에 경첩(200)이 고정되도록 일측에 배치되는 일측수평부(510)와, 그 일측수평부(510)의 일단을 절곡시켜 형성되고 복수의 간섭방지부(530)가 형성된 수직연결부(520)와, 그 수직연결부(520)의 타단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타측수평부(540)로 구성된다.
상기 방화문(100)은 문틀(300)과 경첩(200)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방화문(100)을 폐쇄할 실외부분에 배치되는 전면프레임(110)과, 실내부분에 배치되는 후면프레임(12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방화문(100)은 문틀(300)과 동일한 2단으로 절곡형성시켜 폐쇄 시, 기밀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프레임(110)은 전방 측면의 두께가 외방향으로 돌출 절곡시켜 내부에 공간을 확보하는 돌출수용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수용부(111)의 후방은 판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면프레임(110)의 후방 판상에는 후술할 타측수평부(540)와 결합되는 리벳관통구멍(140)이 형성되고, 더불어 볼트(410)로 고정되는 볼트관통구멍(130)이 형성되며, 또한 돌출수용부(111)에도 관통된 볼트관통구멍(13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후면프레임(120)은 전방부분을 유턴시켜 내측으로 접어 두께를 2배로 형성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유턴된 전면에는 전면프레임(110)의 후방 판상에 형성된 볼트관통구멍(130)과 연통하는 볼트관통구멍(13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면프레임(110)에 형성된 리벳관통구멍(140)과 연통하되 리벳(420) 헤드의 외경보다 비교적 크게 형성되어 내부로 삽입 수용되는 헤드수용구멍(15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전면프레임(110)과 타측수평부(540)를 리벳(420)으로 고정하면 헤드의 높이가 외부로 돌출되고, 이렇게 돌출된 리벳(420) 헤드는 전,후면프레임(110)(120)이 맞닿을 때 그 높이만큼 들떠 발생하는 틈새를 제거하도록 헤드가 헤드수용구멍(150)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후면프레임(120)의 유턴된 전방 내면과 전면프레임(110) 후방 외면이 맞닿아 접촉되도록 구성되고, 이와 같이 접촉된 상기 전,후면프레임(110)(120)의 내부에 확보된 공간에 열을 보온하거나 차단하는 단열재가 수용 장착된다.
상기 경첩(200)은 2단으로 절곡형성된 양측 플레이트는 각각 볼트구멍(210)을 형성시켜, 일측의 플레이트는 방화문(100)에 고정되고, 타측 플레이트는 문틀(300)에 고정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경첩 보강대(500)는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비교적 두께가 얇은 판상으로 형성되는 전,후면프레임(110)(120)에 경첩(200)을 볼트(410)로 고정할 수 있는 두께를 제공하여 보강하면서도 경첩(200)을 통해 전달되는 외부 냉기를 차단시켜 온도차에 의한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돌출수용부(111) 내부로 삽입되는 일측수평부(510)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수평부(510)의 타단을 제1절곡선(551)을 이용하여 내측으로 절곡하여 수직연결부(520)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연결부(520)의 타단을 제2절곡선(552)을 이용하여 다시 외측으로 절곡시켜 타측수평부(540)를 형성한다.
상기 일측수평부(510)는 돌출수용부(111)에 형성된 볼트관통구멍(130)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1볼트구멍(511)이 형성되어 볼트(410)가 경첩(200)에 형성된 볼트구멍(210)과 전면프레임(110)에 형성된 볼트관통구멍(130)을 통과한 후, 제1볼트구멍(511)에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직연결부(520)는 그 두께가 상기 제1볼트구멍(511)으로 체결된 볼트(410)의 기둥부분에 걸려 간섭되어 체결이 불가능하다.
즉, 상기 경첩(200)을 고정하도록 형성된 볼트구멍(210)의 위치는 세계적으로 규격화되어 위치를 변경할 수 없다. 그러하기 때문에 상기 일측수평부(510)와 수직연결부(520)를 제1절곡선(551)으로 절곡하면 그 두께의 외면이 볼트(410) 기둥부분이 파고들도록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제1볼트구멍(511) 직하부에 해당하는 면에 볼트(410) 기둥부분이 간섭없이 수용되는 간섭방지부(530)가 구성된다.
상기 간섭방지부(530)는 제1볼트구멍(511)의 내경보다 비교적 넓게 수직연결부(520)를 관통하는 볼트기둥수용구멍(53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볼트기둥수용구멍(531)의 양측을 폭을 갖는 "⊂"의 홈형상으로 절개된 연장절개홈(532)을 형성하되, 상기 연장절개홈(532)은 제1절곡선(551)을 넘어 일측수평부(510)를 파고들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장절개홈(532)의 한 쌍 사이에는 일측수평부(510)로 파고든 깊이만큼 돌출되는 연장수평부(533)가 자연히 형성되고, 상기 연장수평부(533)의 내부측에 제1볼트구멍(511)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간섭방지부(530)는 제1절곡선(551)을 이용하여 일측수평부(510) 또는 수직연결부(520)를 절곡시키면 깊게 파고든 연장절개홈(532)의 외측면 즉, 제1절곡선(551)과 접촉된 면은 구부려져 볼트기둥수용구멍(531)이 직립되어 관통되고, 내측면 즉, 연장수평부(533)와 접촉된 면은 구부려지지 않고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장수평부(533)는 절곡되지 않고 일측수평부(510)와 동일한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경첩(200)을 고정하도록 볼트구멍(210)을 진입한 볼트(410)가 전면프레임(110)을 관통하여 제1볼트구멍(511)에 체결된 후, 외부로 노출되는 볼트(410)의 기둥부분은 수직연결부(520)에 관통된 볼트기둥수용구멍(531)에 배치되어 간섭없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타측수평부(540)는 수직연결부(520)의 타단과 제2절곡선(552)을 이용하여 외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전면프레임(110)에 형성된 리벳관통구멍(140)과 대응하는 위치에 리벳구멍(541)이 형성되고, 상기 전,후면프레임(110)(120)에 형성된 볼트관통구멍(130)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볼트구멍(542)이 형성되어, 경첩(200)에서 절곡된 부분에 형성된 볼트구멍(210)으로 진입한 볼트(410)와 체결 고정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도 6 내지 도 9와 같이, 상기 타측수평부(540)에는 전면프레임(110)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위치결정돌기(543)가 형성되고, 상기 위치결정돌기(543)와 대응하는 위치의 전면프레임(110)에는 위치결정구멍(112)이 형성되어 위치결정돌기(543)가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프레임(110)에 형성된 위치결정구멍(112)에 경첩 보강대(500)에 형성된 위치결정돌기(543)를 맞춰 끼워 가결합하면 경첩 보강대(500)에 형성된 제1,2볼트구멍(511)(542) 및 리벳구멍(541)과 전면프레임(110)에 형성된 볼트관통구멍(130) 및 리벳관통구멍(140)의 중심이 일치되는 정위치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돌출수용부(111) 내부로 삽입되는 일측수평부(510)는 밀착되지 않도록 3.5mm ~ 5.5mm 거리의 간격(d)을 두고 설치되어 경첩(200)에서 전달되는 외부 냉기 전달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경첩(200)의 힌지축 부분은 실외에 배치되어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이렇게 노출된 경첩(200)은 외부 냉기에 노출되어 온도가 낮아지게 되며, 비교적 높은 온도의 열을 갖는 방화문(100) 내부 단열재의 온기가 낮은 온도측으로 이동하여 온도차에 의한 결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결로는 단열재를 훼손시켜 수명을 단축시키거나 또는 단열기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돌출수용부(111)와 일측수평부(510) 사이를 이격시켜 열을 비접촉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간격(d) 부분에는 돌출수용부(111)과 일측수평부(510)를 지지하는 구성이 없어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고, 이렇게 내구성이 저하되면 화재폭발 등의 외력이 가해졌을 때 변형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첨부된 도면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상기 일측수평부(510)의 외면에는 볼록하게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받침볼록부(560)를 구성하여 상기 받침볼록부(560)의 상측과 돌출수용부(111)의 내면을 점접촉시켜 열전달을 최소화 하는 동시에 방화문(100)이 닫힐 때, 경첩(200)에서 발생한 충격이 돌출수용부(111)로 전달되어 파손시키는 하중을 받쳐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더 나아가, 상기 수직연결부(520)에도 열차단을 목적으로 하는 복수의 열차단구멍(570)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열차단구멍(570)은 첨부된 도면 도 12와 같이, 경첩(200)에서 전달되는 냉기 또는 단열재에서 전달되는 온기의 열전달이 원활하지 않도록 간섭시키도록 한 것이고, 또한 상기 열차단구멍(570)과 더불어 동일하게 관통되는 볼트기둥수용구멍(531)이 함께 열전달율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되는 열찰단구멍(570)은 "ㅁ"형상의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을 관통시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수직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응력을 분산하이 지지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 도 13과 같이 경사진 사선을 관통시켜 형성되거나, 또는 첨부된 도면 도 14와 같이, 원형 또는 장공형 또는 타원형을 관통시켜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경첩 보강대의 설치를 살펴보면 첨부된 도면 도 7 내지 도 9와 같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전면프레임(110)에 형성된 위치결정구멍(112) 내부로 타측수평부(540)에 형성된 위치결정돌기(543)를 삽입시켜 정위치에 가결합한다.
다음, 가결합된 상기 전면프레임(110)과 타측수평부(540)를 리벳(420)으로 고정하고, 후면프레임(120)에 형성된 헤드수용구멍(150)으로 리벳팅 한 외측 리벳(420) 헤드를 삽입시켜 정위치에 배치한 후, 상기 전면프레임(110)과 후면프레임(120)을 스폿용접으로 고정하여 방화문(100)을 완성한다.
이어서, 상기 경첩(200)을 방화문(100) 일측에 배치한 후 볼트(410)의 나선 기둥부분은 전,후면프레임(110)(120)에 연통된 볼트관통구멍(130)을 통과한 후, 내부에 배치된 제1볼트구멍(511)과 제2볼트구멍(542)에 각각 체결하여 경첩(200) 고정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경첩 보강대(500)는 유럽형으로 알려진 2단 방화문에 절곡된 경첩(200)의 고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방화문(100) 내부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여 결로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방화문용 경첩 보강대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방화문: 100 전면프레임: 110
돌출수용부: 111 위치결정구멍: 112
후면프레임: 120 볼트관통구멍: 130
리벳관통구멍: 140 헤드수용구멍: 150
경첩: 200 볼트구멍: 210
문틀: 300 볼트: 410
리벳: 420 경첩 보강대: 500
일측수평부: 510 제1볼트구멍: 511
수직연결부: 520 간섭방지부: 530
볼트기둥수용구멍: 531 연장절개홈: 532
연장수평부: 533 타측수평부: 540
리벳구멍: 541 제2볼트구멍: 542
위치결정돌기: 543 제1,2절곡선: 551,552
받침볼록부: 560 열차단구멍: 570
간격: d

Claims (7)

  1.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수용부(111)가 형성된 전면프레임(110)과 상기 전면프레임(110) 후방에 고정되는 후면프레임(120)으로 구성된 방화문(10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경첩(200)을 보강하여 고정하는 경첩 보강대(500)에 있어서,
    상기 돌출수용부(111)로 삽입되고, 상기 경첩(200)과 전면프레임(110)을 관통한 볼트(410)가 체결되는 제1볼트구멍(511)이 형성된 일측수평부(510)와,
    상기 일측수평부(510)의 타단을 제1절곡선(551)을 이용하여 내측으로 절곡시켜 형성되고, 상기 제1볼트구멍(511)의 직하부에 체결되어 노출되는 볼트(410) 기둥부분이 걸려 간섭되지 않도록 간섭방지부(530)가 형성된 수직연결부(520)와,
    상기 수직연결부(520)의 타단을 제2절곡선(552)을 이용하여 외측으로 절곡하고, 상기 전면프레임(110)과 리벳(420)으로 고정되는 리벳구멍(541)이 형성되며, 상기 리벳구멍(541)에서 벗어난 위치에 상기 경첩(200)과 전면프레임(110)과 후면프레임(120)을 관통한 볼트(410)와 체결되는 제2볼트구멍(542)이 형성된 타측수평부(540)로 구성되되,
    상기 돌출수용부(111)의 내면과 일측수평부(510)의 외면 사이에 간격(d)을 두고 설치되어 경첩(200)을 통해 전달된 냉기가 방화문(100) 내부로 이동을 차단시켜 결로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경첩 보강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방지부(530)는 제1볼트구멍(511)의 내경보다 비교적 넓게 관통 형성된 볼트기둥수용구멍(531)과,
    상기 볼트기둥수용구멍(531)의 양측 일단은 제1절곡선(551)을 넘어 일측수평부(510)를 파고들도록 "⊂" 의 홈형상으로 각각 연장시켜 절개된 연장절개홈(532)과,
    양측에 각각 구비된 상기 연장절개홈(532)의 사이에는 절개되어 파고든 길이에 의해 자연히 돌출 형성되는 연장수평부(533)로 구성되어,
    상기 제1절곡선(551)을 이용하여 수직연결부(520)를 절곡하면 연장수평부(533)를 제외한 연장절개홈(532) 외측면만 구부려져 상기 연장수평부(533)는 일측수평부(510)와 동일한 수평상태를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경첩 보강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프레임(120)에는 전면프레임(110)과 타측수평부(540)를 고정하는 리벳(420)에서 외부로 돌출된 헤드를 내부에 수용되도록 리벳(420)의 헤드 외경보다 비교적 크게 형성되는 헤드수용구멍(1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경첩 보강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수평부(540)에는 전면프레임(110) 방향으로 돌출된 위치결정돌기(543)가 형성되고, 상기 위치결정돌기(543)와 대응하는 위치의 전면프레임(110)에는 위치결정돌기(543)가 내부로 삽입되어 정위치에 가결합되도록 하는 위치결정구멍(1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경첩 보강대.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수평부(510)에서 간격(d)방향으로 복수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돌출수용부(111)와 점접촉으로 열전달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돌출수용부(111)를 받쳐 지지되도록 하는 받침볼록부(56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경첩 보강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연결부(520)에 복수가 관통 형성되어 경첩(200)을 통해 전달된 외부열이 방화문(100) 내부로 이동됨을 차단하는 열차단구멍(570)이 구성된 것을 특징을 하는 방화문용 경첩 보강대.


KR2020190001165U 2019-03-21 2019-03-21 방화문용 경첩 보강대 KR2004901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165U KR200490132Y1 (ko) 2019-03-21 2019-03-21 방화문용 경첩 보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165U KR200490132Y1 (ko) 2019-03-21 2019-03-21 방화문용 경첩 보강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132Y1 true KR200490132Y1 (ko) 2019-09-30

Family

ID=68084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165U KR200490132Y1 (ko) 2019-03-21 2019-03-21 방화문용 경첩 보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1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485Y1 (ko) * 2021-04-22 2021-10-21 (주)동방파스텍 문틀 및 문짝 경첩설치용 위치결정 경첩보강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598B1 (ko) * 2013-06-28 2014-12-12 (주)삼선씨에스에이 방화문용 문의 경첩 보강편 및 그 경첩 보강편이 조립된 방화문용 문
KR101518181B1 (ko) * 2014-11-10 2015-05-07 최재고 이중차단형 도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598B1 (ko) * 2013-06-28 2014-12-12 (주)삼선씨에스에이 방화문용 문의 경첩 보강편 및 그 경첩 보강편이 조립된 방화문용 문
KR101518181B1 (ko) * 2014-11-10 2015-05-07 최재고 이중차단형 도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485Y1 (ko) * 2021-04-22 2021-10-21 (주)동방파스텍 문틀 및 문짝 경첩설치용 위치결정 경첩보강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0132Y1 (ko) 방화문용 경첩 보강대
JP2017120017A (ja) ドア
KR101101935B1 (ko) 단열체가 마련된 방화문 및 이의 제조방법
US5428925A (en) Fiberglass bulkhead door assembly
KR101469598B1 (ko) 방화문용 문의 경첩 보강편 및 그 경첩 보강편이 조립된 방화문용 문
EP1989385B1 (en) Thermally resistive window sash member and window assembly
KR102452849B1 (ko) 건축물 외장용 무용접 내진 패널 조립체
JP7011915B2 (ja) 窓シャッターの縦枠の取付構造
KR200490089Y1 (ko) 방화문용 실리더 보호커버
KR101976731B1 (ko) 결로 방지 창틀 고정용 브래킷
KR200491667Y1 (ko) 방화문 2단경첩용 문틀보강대
KR102126717B1 (ko) 방화 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프레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JP7002265B2 (ja) 窓シャッター装置
JP7267472B2 (ja) 窓シャッターの縦枠の取付構造
US20200238795A1 (en) Window assembly having flush frame to sash
KR102602663B1 (ko) 현장 시공이 용이한 유리 프레임 도어 및 그 시공방법
KR100485363B1 (ko) 선박용 방화도어
KR102501274B1 (ko)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
KR200325016Y1 (ko) 도어 스톱퍼
KR102528081B1 (ko) 방화도어
JP6912344B2 (ja) 建具
KR200168255Y1 (ko) 출입용 도어의 내부결합구조
JP6328994B2 (ja) 建具
KR960009404Y1 (ko)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 고정용 쐐기
JP2000257359A (ja) 窓シャッターのブラケッ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