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089Y1 - 방화문용 실리더 보호커버 - Google Patents

방화문용 실리더 보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089Y1
KR200490089Y1 KR2020190001804U KR20190001804U KR200490089Y1 KR 200490089 Y1 KR200490089 Y1 KR 200490089Y1 KR 2020190001804 U KR2020190001804 U KR 2020190001804U KR 20190001804 U KR20190001804 U KR 20190001804U KR 200490089 Y1 KR200490089 Y1 KR 2004900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iece
cylinder
bent
accommodated
protectiv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8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춘남
Original Assignee
(주)동방파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방파스텍 filed Critical (주)동방파스텍
Priority to KR20201900018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0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0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0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4Casings of cylinder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75Insulating, e.g. for limiting heat transfer; Increasing fire-resistance of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4Casings of cylinder locks
    • E05B2009/046Cylinder locks operated by knobs or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화문용 실린더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되는 실린더의 크기에 적합한 중앙플레이트 양측에 설치되는 측면플레이트를 받침고정편과 고정구로 견고히 고정시켜 외력에 의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임의로 해체되지 않도록 하는 방화문용 실리더 보호커버를 제공하도록 전면 및 양측면이 개방되어 실린더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양측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가 돌출된 끼움돌부가 형성된 중앙플레이트와, 상기 중앙플레이트 개방된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끼움돌부가 끼워지도록 대응위치에 끼움홈부가 형성되며, 전방은 내부프레임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끼움단차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된 실린더와 도어손잡이가 연결되도록 측면에 설치구멍이 형성된 측면플레이트와, 상기 측면플레이트에서 전면을 제외한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측으로 절곡형성된 받침고정편와, 상기 받침고정편의 전부 또는 일부가 삽입 고정되는 중앙플레이트 대응위치에 형성된 고정구로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방화문용 실리더 보호커버{Cylinder cover of fire prevention door}
본 고안은 방화문용 실린더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화문을 개폐시키도록 설치되는 실린더의 폭 크기에 맞춰 내부가 조절된 보호커로 실린더를 수용하여 보호하도록 하는 동시에 견고한 고정력을 발휘하여 외력에 임의로 해체되지 않는 방화문용 실리더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실내 또는 실외의 화염 및 화기가 다른 장소로 번져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방화문이 설치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방화문은 대체적으로 화염에 강한 금속 판체를 양측에 이격시켜 설치하고, 그 이격되어 개방된 부분을 다른 판체로 마감하며, 그 내부에는 실내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단열재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또한, 방화문이 문틀에 설치되어 회전가능하도록 후면에 힌지가 설치되고, 방화문 전면 내부에 보호커버에 삽입된 개폐용 실린더와 설치되는 도어손잡이를 이용하여 방화문을 개폐하는 동시에 잠금 및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보호커버는 다양한 형태와 크기 그리고 폭으로 이루어진 실린더를 방화문 규격에 맞춰 설계하여 방화문 내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써, 실린더 내부로 유입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과 또는 화염의 침투를 차단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크기가 상이한 실린더를 보호하는 목적을 갖는 종래 기술로써, 특허등록 제1856389호(명칭: 방화문의 도어록 보호커버)가 개시되었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내·외측 도어핸들의 설치방향에 해당되는 방화문의 내부에 끼워져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내·외측 도어핸들 사이에 결합된 도어록용 실린더의 장착공간을 확보하는 방화문의 도어록 보호커버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보호커버는 측면부의 중심에 도어록용 실린더가 간섭 없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측면부의 상단과 하단 및 후단으로부터 내측으로는 절곡부가 형성된 제1커버편과; 상기 제1커버편과 동일하게 측면부의 중심에 도어록용 실린더가 간섭 없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측면부의 상단과 하단 및 후단으로부터 내측으로는 절곡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1커버편과 일정간격 떨어진 위치에서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커버편과; 상기 제1커버편과 제2커버편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상기 제1커버편과 제2커버편의 측면부와 절곡부에 결합되어 제1커버편과 제2커버편을 보강함과 동시에 제1커버편과 제2커버편 사이에 도어록용 실린더의 장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좌우측면과 상하부면 및 후면이 폐쇄되고, 도어록용 실린더와 연결된 잠금쇠가 출입작동되는 전면만이 개방되도록 하는 보강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중앙에 배치된 보강대의 일측을 내부에 수용되도록 제1커버편이 고정되고, 타측도 마찬가지로 내부에 수용되도록 제2커버편으로 고정되어 전면만이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보호커버는 보강대의 양측면을 제1,2커버편에 수용하도록 상,하단 및 후단에 절곡하여 형성되는 절곡부는 전체를 절곡하기 위한 작업비용 및 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고, 전체를 절곡하는 과정에서 수평상태가 되지 못하면어긋나 틈새가 발생하여 그 틈새를 통해 이물질이 침투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걸림편이 걸림공에 걸려 고정하는 과정에서 걸림편은 걸림공에 후크방식으로 걸려짐으로 유격에 의한 이동되는 문제점이 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끼움공과 끼움편이 억지끼움으로 고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어느 한 부분이 맞춤되지 않을 때는 어긋나 걸림편이 걸림공에 걸려지지 않게 되어 불량품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비교적 폭이 넓은 보강대는 외력의 하중을 가장 넓게 받게되는데 종래 고정되는 구조상 제1,2커버편의 절곡부가 하중을 많이 받는 보강대 외측면에 안착되어 증가된 하중을 받게 되는 문제점과, 더불어 그 가중된 하중의 응력을 발휘하도록 끼움편의 두께를 두껍게 보강해야 하는 설계문제가 있고, 그리하지 않아 하중을 버틸 수 없는 경우에는 강한압력에 보호커버가 쉽게 해체되어 실리더를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되는 실린더의 크기에 적합한 중앙플레이트 양측에 설치되는 측면플레이트를 받침고정편과 고정구로 견고히 고정시켜 외력에 의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임의로 해체되지 않도록 하는 방화문용 실리더 보호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전면 및 양측면이 개방되어 실린더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양측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가 돌출된 끼움돌부가 형성된 중앙플레이트와, 상기 중앙플레이트 개방된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끼움돌부가 끼워지도록 대응위치에 끼움홈부가 형성되며, 전방은 내부프레임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끼움단차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된 실린더와 도어손잡이가 연결되도록 측면에 설치구멍이 형성된 측면플레이트와, 상기 측면플레이트에서 전면을 제외한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측으로 절곡형성된 받침고정편와, 상기 받침고정편의 전부 또는 일부가 삽입 고정되는 중앙플레이트 대응위치에 형성된 고정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받침고정편은 끼훔홈 바닥면에서 절곡 형성하되, 끼움홈의 폭보다 비교적 좁게 형성시켜 양측에 절곡공간을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절곡공간의 내측 단부는 "∪"형상으로 유턴되는 절곡부로 형성시켜 받침고정편의 상면에 끼움홈으로 진입한 끼움돌부의 내면이 안착되어 중앙플레이트의 내면을 받쳐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받침고정편과 중앙플레이트가 접촉된 부분을 스폿용접으로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고정편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구는 내부에 받침고정편이 내부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사다리꼴 형상의 받침고정편의 외주면의 어느 부분이 고정구의 측면과 맞닿아 억지끼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받침고정편은 절곡된 부분에 관통된 고정구멍이 형성되고, 일단에 진입단부가 형성되어 고정구로 집입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구는 내면에 각각 "└ ┘"형상으로 한 쌍이 절곡 형성되어 상기 받침고정편의 양측면이 수용되는 가이드부가 구성되고, 한 쌍의 상기 가이드부에서 벗어난 중앙위치에 진입단부가 진입하는 선단은 낮고 말단은 낮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진입단부가 경사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휘어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멍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구성되며, 상기 고정돌기에서 벗어난 중앙위치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진입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누름안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받침고정편의 양측면에서 측면플레이트와 절곡된 부분은 가이드 내부에 수용되도록 수직부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에서 진입단부 사이에는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부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고정구멍과의 거리를 비교적 짧게하여 휘어짐과 복원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름안내부는 진입단부가 진입하는 선단이 벌어지도록 중앙플레이트의 내면에서 외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고정돌기에 의해 상방향으로 휘어진 진입단부가 경사면을 따라 원상태로 복원하면서 고정구멍에 고정돌기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입단부에는 누름안내부의 양측면이 내부로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 끼움홈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중앙플레이트를 선택하여 측면플레이트와 결합하게 구성함으로써, 실린더의 크기를 수용할 수 있는 적합한 폭으로 형성된 중앙플레이트를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교적 폭이 넓어 하중을 많이 받는 중앙플레이트의 내면과 받침고정편의 외면이 맞닿게 지지하여 하중에 대한 응력을 발휘할 수 있고, 더불어 끼움돌부와 끼움홈부가 상호 끼워지면 상기 받침고정편과 더불어 하중을 이중으로 지지하여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받침고정편과 중앙플레이트를 스폿용접 함으로써, 중앙플레이틀 받치는 동시에 일체화되도록 고정시켜 외력에 의한 해체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더불어 받침고정편을 고정구에 끼워 배치하면 임의로 이동되지 않아 정위치에 스폿용접을 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받침고정편을 휨가능하게 형성하고, 고정구를 받침고정편이 휘어진 후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구성하여 받침고정편의 고정구멍이 고정구의 고정돌기에 끼워진 이후에는 절단없이는 절대 해체될 수 없어 큰 외력에도 변형 또는 파손되지 않아 실린더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입단부에 끼움홈을 형성함으로써, 휘어진 받침고정편이 원상태로 복원되는 과정에서 누름안내부를 내부로 삽입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즉, 받침고정편은 중앙플레이트를 받쳐 지지하는 동시에 스폿용접 또는 고정구에 고정된 이후에는 임의로 해체되지 않게 구성되어 보호커버 내부에 수용된 실린더를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린더가 보호커버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중앙플레이트의 폭이 좁은 보호커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중앙플레이트의 폭이 넓은 보호커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를 결합하여 고정구에 일부 받침고정편이 고정되고, 일부는 스폿용접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측면플레이트의 받침고정편과 끼움홈부를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전체 받침고정편이 고정구에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결합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멍이 형성된 받침고정편이 가이드부, 고정돌기 및 누름안내부로 구성된 고정구에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받침고정편이 고정구에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받침고정편이 고정구에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끼움홈이 구성된 받침고정편이 고정구에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진입단부가 누름안내부의 각도로 경사지 면으로 형성되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보호커버(10)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과 같이 크게, 방화문을 보강하도록 내부에 설치된 내부프레임(1)의 일측에 설치되는 실린더(2)를 보호하도록, 중앙플레이트(100)와 그 중앙플레이트(100)의 양측에 각각 배치 고정되는 측면플레이트(200)와 상기 중앙플레이트(100)에 형성되는 받침고정편(300)과 그 받침고정편(300)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측면플레이트(200)에 형성되는 고정구(400)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플레이트(100)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면과 양측면이 개방된 "ㄷ"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방화문을 잠금 및 해제시키는 실린더(2)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10)이 확보된다.
또한, 상기 중앙플레이트(100)의 양측 외주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외측으로 돌출되는 끼움돌부(120)가 형성되어, 후술할 끼움홈부(210)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때 상기 끼훔홈부(210)에 끼움돌부(120)가 끼워진 상태에서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끼움돌부(120)는 측면플레이트(200)의 두께 길이로 돌출된다.
이렇게 상기 중앙플레이트(100)는 내부에 실린더(2)가 수용됨으로써, 실린더(2)의 크기에 맞는 폭으로 설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화문용 실린더는 열쇠를 이용하는 수동식 실린더와 상기 수동식 실린더의 폭(w)보다 비교적 폭(W)이 큰 키패널을 이용한 전자식 실린더가 사용되기 때문에 방화문의 사용처에 따라 설치되는 실린더(2) 크기에 적합한 중앙플레이트(100)를 작업자가 선택하여 시공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갖는다.
상기 측면플레이트(200)는 중앙플레이트(100)의 개방된 양측면에 각각 배치 고정되는 것으로써, 상기 끼움둘부(120)가 끼워지는 대응위치에 끼움홈부(2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면플레이트(200)의 개방된 전방은 내측으로 단차지게 절곡한 끼움단차부(220)를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2)가 설치되는 내부프레임(1)의 내부로 끼움단차부(220)가 삽입되어 고정되어 내부프레임(1)의 외면과 측면프레임(200)의 외면 높이가 동일하게 배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끼움단차부(220)의 단차 깊이는 내부프레임(1)의 두께 높이로 절곡시켜 외면 높이를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플레이트(200) 양측면을 관통하는 설치구멍(230)이 형성되어, 외부에 설치된 도어손잡이(3)의 몸체가 설치구멍(230)을 통과한 후, 내부에 배치되는 실린더(2)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받침고정편(300)은 중앙플레이트(100)의 내면을 받치는 동시에 고정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측면플레이트(200)에서 전면을 제외한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고정편(300)은 측면플레이트(200)에 형성된 끼움홈부(210)를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끼움홈부(210)의 바닥면을 내측으로 절곡하여 받침고정편(300)을 형성하되, 상기 받침고정편(300)의 상면에 끼움돌부(210)가 안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상기 받침고정편(300)이 형성된 끼움홈부(210) 깊이는 플레이트의 두께의 2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홈부(210)의 폭은 받침고정편(300)의 폭보다 비교적 크게 형성시켜 양측에 여유있게 절곡공간(310)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형상으로 유턴되어 끼움홈부(210)와 받침고정편(300)을 연결하는 절곡부(311)가 형성되는 것으로써, 상기 받침고정편(300)의 절곡 시 여유있는 절곡공간(310)을 이용하여 간섭없이 작업되고, 이때 휘어지는 중심이 되는 절곡부(311)는 부드러운 곡면으로 형성되어 절곡하중이 가해질 때 발생하는 응력집중으로 해당부분이 파손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받침고정편(300)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고정구(400)에 용이하게 삽입된 후 양측 경사진 어느 부분에 고정구(400)가 걸려 억지끼움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받침고정편(300)은 첨부된 도면 도 9 내지 도 13과 같이, 절곡된 부분에 고정구멍(320)이 형성되고, 일단에 고정구(400)로 진입하는 진입단부(321)가 형성되어 후술할 고정구(400)에 형성되는 고정돌기(411)가 고정구멍(320)에 끼워져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진입단부(321)가 형성된 받침고정편(300)의 양측에서 측면플레이트(200)와 절곡되는 부분은 수직부(323)로 형성되어 후술할 가이드부(410)에 수용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부(323)와 진입단부(321) 사이에는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부(324)로 형성되어, 폭을 좁힌 경사부(324)가 가이드부(410)를 간섭없이 용이하게 통과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경사부(324)에는 고정구멍(320)과 거리를 비교적 짧게 형성하는 유연부(325)를 형성하여 쉽게 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유연부(325)로 거리가 짧게 형성하면 받침고정편(300)이 휘어지려는 저항이 작게 발생하여 적은 힘으로도 쉽게 휘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구(400)는 받침고정편(300)이 내부로 수용되어 고정되도록 중앙플레이트(100)에 형성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고정구(400)는 전체 받침고정편(300)이 형성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거나 또는 일부 받침고정편(300) 만이 고정되도록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받침고정편(300)의 갯 수와 동일하게 형성시켜 고정결합 할 경우에는 견고한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고, 그렇지 않고 일부분에만 고정구(400)를 형성하여 해당하는 위치의 받침고정편(300)만 고정구(400)에 고정되며, 그 외에 받침고정편(300)은 중앙플레이트(100)의 내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스폿용접(312)으로 고정된다.
이렇게 일부분에만 형성된 고정구(400)에 받침고정편(300)을 고정하는 이유는 상기 받침고정편(300)은 중앙플레이트(100)를 받쳐 지지하는 목적을 갖고 있기 때문에 고정구(400)에 받침고정편(300)을 끼워 중앙플레이트(100)와 측면플레이트(20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구속한 후, 고정구(400)에 끼워지지 않는 받침고정편(300)에 스폿용접(312)하면 접합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들뜸에 의한 틈새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400)는 중앙플레이트(100)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그 내부에 받침고정편(300)이 수용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고정구(400)는 내면에 "└ ┘"형상으로 한 쌍이 절곡 형성되어 상기 받침고정편(300)의 양측면이 수용되는 가이드부(4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410)에서 벗어난 중앙위치에 상기 받침고정편(300)에 형성된 고정구멍(320)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돌기(411)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411)는 받침고정편(300)의 진입단부(321)가 최초 진입하는 선단은 낮고 말단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는 경사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411)를 벗어난 중앙위치에는 진입단부(321)가 진입하는 부분은 넓고 중앙플레이트(100) 내면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경사진 누름안내부(41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410)를 통과한 진입단부(321)가 고정돌기(411)의 경사에 안내되어 진행되면 가이드부(410)의 단부에 걸려진 유연부(325)가 휘어져 고정구멍(320)의 일단이 함께 들려지면 돌출된 고정돌기(411)에 걸리는 간섭없이 정위치에 배치되고, 이후 계속 진행하는 진입단부(321)가 누름안내부(412)와 접촉된 후 이동하면 내측으로 형성된 경사진 면에 의해 상승된 진입단부(321)가 원상태로 복원되며, 이렇게 진입단부(321)가 복원되면 들려졌던 고정구멍(320)도 원상태로 낮아지면서 고정돌기(411)가 고정구멍(320)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다.
이렇게 고정이 완료되면 상기 받침고정편(300)은 가이드부(410), 고정돌기(411) 및 누름안내부(412)에 걸려 구속되어 임의로 해체가 불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 진입단부(321)는 누름안내부(412)의 내측 하단의 경사와 동일한 각도로 형성시켜 하강한 후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진입단부(321)는 누름안내부(412)의 양측면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 끼움홈(326)이 형성되어 원상태로 복원이 완료되면 끼움홈(326)에 누름안내부(412)가 정위치에서 끼워진 후 벗어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고안의 보호커버(10)는 실린더(2)의 크기에 맞춰 중앙플레이트(100)를 선택 조립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고, 측면플레이트(200)에 받침 겸 고정하는 받침고정편(300)을 형성하고 중앙플레이트(100)에 받침고정편(300)이 수용 고정되는 고정구(400)를 형성하여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와 더불어 견고한 고정력으로 절단하기 전에는 절대 해체 불가능한 유용한 방화문용 실리더 보호커버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보호커버: 10 중앙플레이트: 100
수용공간: 110 끼움돌부: 120
측면플레이트: 200 끼움홈부: 210
끼움단차부: 220 설치구멍: 230
받침고정편: 300 절곡공간: 310
절곡부: 311 스폿용접: 312
고정구멍: 320 진입단부: 321
수직부: 323 경사부: 324
유연부: 325 끼움홈: 326
고정구: 400 가이드부: 410
고정돌기: 411 누름안내부: 412
내부프레임: 1 실린더: 2
도어손잡이: 3

Claims (8)

  1. 방화문의 일측 내부프레임(1)에 설치되어 방화문을 개폐하는 실린더(2)를 보호하는 보호커버(10)에 있어서,
    전면 및 양측면이 개방되어 실린더(2)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수용공간(110)이 형성되고, 양측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가 돌출된 끼움돌부(120)가 형성된 중앙플레이트(100);
    상기 중앙플레이트(100) 개방된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끼움돌부(120)가 끼워지도록 대응위치에 끼움홈부(210)가 형성되며, 전방은 내부프레임(1)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끼움단차부(220)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된 실린더(2)와 도어손잡이(3)가 연결되도록 측면에 설치구멍(230)이 형성된 측면플레이트(200);
    상기 측면플레이트(200)에서 전면을 제외한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측으로 절곡형성된 받침고정편(300);
    상기 받침고정편(300)의 전부 또는 일부가 삽입 고정되는 중앙플레이트(100) 대응위치에 형성된 고정구(400);로 구성되되,
    상기 받침고정편(300)은 끼움홈부(210) 바닥면에서 절곡 형성하되, 끼움홈부(210)의 폭보다 비교적 좁게 형성시켜 양측에 절곡공간(310)을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절곡공간(310)의 내측 단부는 "∪"형상으로 유턴되는 절곡부(311)로 형성시켜 받침고정편(300)의 상면에 끼움홈부(210)로 진입한 끼움돌부(120)의 내면이 안착되어 중앙플레이트(100)의 내면을 받쳐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실린더 보호커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고정편(300)과 중앙플레이트(100)가 접촉된 부분을 스폿용접(312)으로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실린더 보호커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고정편(300)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구(400)는 받침고정편(300)이 내부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사다리꼴 형상의 받침고정편(300)의 외주면의 어느 부분이 고정구(400)의 측면과 맞닿아 억지끼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실린더 보호커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고정편(300)은 절곡된 부분에 관통된 고정구멍(320)이 형성되고, 일단에 진입단부(321)가 형성되어 고정구(400)로 집입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구(400)는 내면에 각각 "└ ┘"형상으로 한 쌍이 절곡 형성되어 상기 받침고정편(300)의 양측면이 수용되는 가이드부(410)가 구성되고, 한 쌍의 상기 가이드부(410)에서 벗어난 중앙위치에 진입단부(321)가 진입하는 선단은 낮고 말단은 낮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진입단부(321)가 경사진 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휘어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멍(320)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돌기(411)가 구성되며, 상기 고정돌기(411)에서 벗어난 중앙위치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진입단부(321)가 끼워져 고정되는 누름안내부(4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실린더 보호커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고정편(300)의 양측면에서 측면플레이트(200)와 절곡된 부분은 가이드부(410) 내부에 수용되도록 수직부(323)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323)에서 진입단부(321) 사이에는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부(324)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324)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고정구멍(320)과의 거리를 비교적 짧게하여 휘어짐과 복원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연부(3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실린더 보호커버.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안내부(412)는 진입단부(321)가 진입하는 선단이 벌어지도록 중앙플레이트(100)의 내면에서 외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고정돌기(411)에 의해 상방향으로 휘어진 진입단부(321)가 경사진 면을 따라 원상태로 복원하면서 고정구멍(320)에 고정돌기(411)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실린더 보호커버.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단부(321)에는 누름안내부(412)의 양측면이 내부로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 끼움홈(326)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실린더 보호커버.


KR2020190001804U 2019-05-02 2019-05-02 방화문용 실리더 보호커버 KR2004900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804U KR200490089Y1 (ko) 2019-05-02 2019-05-02 방화문용 실리더 보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804U KR200490089Y1 (ko) 2019-05-02 2019-05-02 방화문용 실리더 보호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089Y1 true KR200490089Y1 (ko) 2019-11-04

Family

ID=68531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804U KR200490089Y1 (ko) 2019-05-02 2019-05-02 방화문용 실리더 보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0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604B1 (ko) * 2022-12-19 2023-05-26 (주)동방파스텍 방화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430B1 (ko) * 2016-03-11 2016-11-15 (주)동방파스텍 개방된 상,하부 폐쇄기능을 갖는 방화문 실린더용 보호커버
KR101856389B1 (ko) * 2016-12-20 2018-05-09 최재고 방화문의 도어록 보호커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430B1 (ko) * 2016-03-11 2016-11-15 (주)동방파스텍 개방된 상,하부 폐쇄기능을 갖는 방화문 실린더용 보호커버
KR101856389B1 (ko) * 2016-12-20 2018-05-09 최재고 방화문의 도어록 보호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604B1 (ko) * 2022-12-19 2023-05-26 (주)동방파스텍 방화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5871B1 (en) Door structure
US4635399A (en) Door jamb support
US5566509A (en) Door jamb reinforcement strip
KR200490089Y1 (ko) 방화문용 실리더 보호커버
US20090095947A1 (en) Fall protection assembly
JP6855062B2 (ja) 足場用踏み板及び隙間カバー
US4000590A (en) Security grille
US5446996A (en) Portable security grill apparatus
US10443253B2 (en) Safety screen comprising a fixing means
KR102420645B1 (ko) 도어록 고정구가 탈착 가능한 도어록 보호커버
KR101681168B1 (ko) 방화문 개폐 실린더용 보호커버
KR102064113B1 (ko) 프레임과 탄성 고정되는 방화문용 실린더 보호커버
US2475416A (en) Portable sectional enclosure
JP4464159B2 (ja) 防犯錠
JP7011915B2 (ja) 窓シャッターの縦枠の取付構造
KR200490133Y1 (ko) 방화문용 내부프레임
JP5036335B2 (ja) 面格子
US2472791A (en) Overhead door lock
KR200369775Y1 (ko) 레일과 레일브래킷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이동형비계
KR102535604B1 (ko) 방화문
JP3239215B2 (ja) 窓シャッターのブラケット構造
JP7002265B2 (ja) 窓シャッター装置
GB2265664A (en) Security device for doors and windows
JP4663438B2 (ja) 野縁受及びハンガーの連結補強具並びに天井下地補強施工方法
KR102088043B1 (ko) 프레임과 고정되는 방화문용 실린더 보호커버 및 그 고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