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027Y1 - 향 발산량 조절이 가능한 장신구 - Google Patents

향 발산량 조절이 가능한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027Y1
KR200490027Y1 KR2020190000932U KR20190000932U KR200490027Y1 KR 200490027 Y1 KR200490027 Y1 KR 200490027Y1 KR 2020190000932 U KR2020190000932 U KR 2020190000932U KR 20190000932 U KR20190000932 U KR 20190000932U KR 200490027 Y1 KR200490027 Y1 KR 2004900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cover
base
coupling
frag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9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은경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라트
Priority to US17/284,655 priority Critical patent/US11980261B2/en
Priority to EP19872543.4A priority patent/EP3868247B1/en
Priority to CN201980067270.5A priority patent/CN112839543B/zh
Priority to PCT/KR2019/008854 priority patent/WO2020080649A1/ko
Priority to JP2021545657A priority patent/JP7183436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0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0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2Jewellery dispersing perfum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06Gems provided with a cavity, e.g. for containing another g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3Replaceable cartridges, ref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신구 착용으로 심미적 아름다움을 주는 동시에 향 발산 기능을 가져 후각적 자극을 통해 착용자의 안정을 도모하고 주변에 착용자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으며 착용자의 취향과 기호에 따라 쉽고 간편하게 향을 교체할 수 있으며, 내부에 수납된 향 카트리지의 향 발산량을 착용자의 기호나 착용환경에 따라 다양한 모드로 쉽고 간단하게 변화시킬 수 있어서 향 카트리지의 사용기간을 늘림은 물론 럭셔리하면서 센스 있는 향기 코디네이트가 가능하게 되는 향 발산량 조절이 가능한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수납 공간을 가지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수납 공간에 수납 가능하게 형성되며, 내부 기공에 향기 원액을 함유하는 향 카트리지;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및 향 카트리지가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향 발산량 조절이 가능한 장신구{ACCESSORY WITH CONTROL FUNCTION OF VOLUME OF GIVE OUT FRAGRANCE}
본 고안은 향 발산량 조절이 가능한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신구 착용으로 심미적 아름다움을 주는 동시에 향 발산 기능을 가져 후각적 자극을 통해 착용자의 안정을 도모하고 주변에 착용자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고 착용자의 취향과 기호에 따라 쉽고 간편하게 향을 교체할 수 있으며, 내부에 수납된 향 카트리지의 향 발산량을 착용자의 기호나 착용환경에 따라 다양한 모드로 쉽고 간단하게 변화시킬 수 있어서 향 카트리지의 사용기간을 늘림은 물론 럭셔리하면서 센스 있는 향기 코디네이트가 가능하게 되는 향 발산량 조절이 가능한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신구는 착용자의 신체에 착용하여 미적 장식 효과를 줌과 동시에 자신만의 개성 표현의 수단으로 쓰여왔다. 그리고 요즘들어 장신구에 향수나 방향제를 내장시켜 향기 발산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성 제품들도 시장에 제공되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 향수나 방향제를 수납하여 제품화된 장신구는 향기를 모두 발산하고 나면, 향수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착용자가 향수의 기능을 목적으로 장신구를 구입하였을 경우에는 오래 사용하지 않고도 향기가 모두 발산하게 되어 그 사용목적을 상실하게 되며 그 결과 사용자는 향기 장신구 착용의 매력과 흥미를 잃어 장신구로서의 수명이 대단히 짧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품 제작 단계가 아닌 사용 단계에서는 향수나 방향제를 장신구에 수납 형성시키기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향수나 방향제를 교체하기도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기존의 향수나 방향제는 기능상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이 매우 짧으므로 자주 교체하거나 향수를 계속 주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금까지의 향기나는 장신구는 제작시에 장신구 제품 표면에 향기나는 방향제나 첨가제를 도포시키거나, 또는 별도의 고체향수를 장신구 제품의 후면부에 부착시켜 향기나도록 향수기능을 제공하였으나,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일정기간 사용 후에는 향수가 모두 휘산 소모된다는 일회성의 한계가 있었다.
또한 향 발산제에 대해 피부 알러지 반응이 있는 사용자의 경우 향 발산체와의 직접적인 피부 접촉을 꺼려하게 되는데, 대부분의 제품이 장신구 자체에 향을 입히거나 장신구 외부로 향 발산제가 드러난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알러지에 의한 심각한 피부 손상을 야기하는 사례가 많았다.
한편 기존의 향수나 방향제를 수납하여 제품화된 장신구는 향 발산량이 일정 기간으로 제한된 방향제를 사용하게 되며, 실제 장신구를 사용 또는 착용하지 않는 시간에도 일정한 향 발산량이 유지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향 발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결국 장신구의 방향 사용시간을 줄어들게 하는 원인이 되어 방향 장신구 제품의 선호도를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외출시 착용하는 장신구이지만 만나는 상대방의 방향 기호 혹은 착용 환경의 성격에 따라 향 발산량을 조절해야 할 필요가 있지만 지금까지의 방향제 수납 장신구는 향 발산량 조절이 불가능하거나 향 발산량 조절이 가능하다 하더라도 발산량의 조정이 까다롭고 복잡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장신구 착용으로 심미적 아름다움을 주는 동시에 향 발산 기능을 가져 후각적 자극을 통해 착용자의 안정을 도모하고 주변에 착용자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으며 착용자의 취향과 기호에 따라 쉽고 간편하게 향을 교체할 수 있는 향 발산량 조절이 가능한 장신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내부에 수납된 향 카트리지의 향 발산량을 착용자의 기호나 착용환경에 따라 다양한 모드로 쉽고 간단하게 변화시킬 수 있어서 향 카트리지의 사용기간을 늘림은 물론 럭셔리하면서 센스 있는 향기 코디네이트가 가능하게 되는 향 발산량 조절이 가능한 장신구를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내부에 수납 공간을 가지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수납 공간에 수납 가능하게 형성되며, 내부 기공에 향기 원액을 함유하는 향 카트리지;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및 향 카트리지가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팔찌, 펜던트, 반지, 귀걸이, 목걸이, 발찌, 노리개, 브로치, 헤어밴드, 헤어핀, 메달 및 클립 중 어느 하나의 주장식부의 형태를 가지거나, 이 주장식부를 인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부속장식부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지르코니아나 알루미나 중 어느 하나를 주재료로 하여 세라믹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향 카트리지는 지르코니아나 알루미나 중 어느 하나를 주재료로 하여 다공성 세라믹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향 카트리지는 향기 원액에 담기거나 향기 원액을 분사 또는 도포하여 내부 기공에 향기 원액을 함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상기 향 카트리지가 일면이 노출된 상태로 수납될 수 있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일면을 덮을 수 있으며 착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으로 개방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의 중심부에 상기 향 카트리지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홈;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상기 수납홈을 중심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힌지핀; 및 상기 수납홈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 1 결합 자석과 제 2 결합 자석; 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베이스와 마주하는 하면에서 상기 제 1 결합 자석 및 제 2 결합 자석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1 슬라이딩 자석과 제 2 슬라이딩 자석; 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핀을 통해 상기 베이스와 커버가 결합되며 커버가 베이스 상에서 스윙 방식으로 수평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의 제 1 결합 자석과 제 2 결합 자석은 서로 같은 자성을 가지며, 상기 커버의 제 1 슬라이딩 자석과 제 2 슬라이딩 자석은 베이스의 제 1 결합 자석 및 제 2 결합 자석과 반대 자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의 제 1 결합 자석과 커버의 제 1 슬라이딩 자석이 자성으로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의 제 2 결합 자석과 커버의 제 2 슬라이딩 자석이 자성으로 결합되어 향 카트리지가 내장되는 수납홈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폐쇄 모드로 본체가 향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착용자가 커버를 밀어 커버가 힌지핀을 중심으로 수평회전함으로써, 상기 커버의 제 1 슬라이딩 자석이 위치이동하여 상기 베이스의 제 2 결합 자석과 자성으로 결합되고, 베이스의 제 1 결합 자석과 커버의 제 2 슬라이딩 자석은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향 카트리지의 일부가 착용자측으로 드러나게 하는 착용자측 쿼터개방 모드로 본체가 향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용자측 쿼터개방 모드로의 상태변환을 위해 하기 수학식에 따른 배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L2b - D2b ≤ L1c ≤ L2b + D2b
여기에서, L1c는 힌지핀에서 제 1 슬라이딩 자석의 중심부까지의 거리이고, L2b는 힌지핀에서 제 2 결합 자석의 중심부까지의 거리이며, D2b는 제 2 결합 자석의 중심부에서 최외곽까지의 평균거리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의 일방향 회전에 따라 착용자측 쿼터개방 모드로의 상태변환이 이루어지고 그 반대 방향 회전에 따라 커버의 공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하기 수학식에 따른 배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L1c - L2b│ 〉D1c + D2b
여기에서, D1c는 제 2 슬라이딩 자석의 중심부에서 최외곽까지의 평균거리이고, │L1c - L2b│는 L1c - L2b 의 절대값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착용자가 커버를 밀어 커버가 힌지핀을 중심으로 수평회전함으로써, 상기 커버의 제 2 슬라이딩 자석이 위치이동하여 상기 베이스의 제 1 결합 자석과 자성으로 결합되고, 베이스의 제 2 결합 자석과 커버의 제 1 슬라이딩 자석은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향 카트리지의 일부가 상대방측으로 드러나게 하는 상대방측 쿼터개방 모드로 본체가 향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대방측 쿼터개방 모드로의 상태변환을 위해 하기 수학식에 따른 배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L1b - D1b ≤ L2c ≤ L1b + D1b
여기에서, L2c는 힌지핀에서 제 2 슬라이딩 자석의 중심부까지의 거리이고, L1b는 힌지핀에서 제 1 결합 자석의 중심부까지의 거리이며, D1b는 제 1 결합 자석의 중심부에서 최외곽까지의 평균거리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의 일방향 회전에 따라 상대방측 쿼터개방 모드로의 상태변환이 이루어지고 그 반대 방향 회전에 따라 커버의 공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하기 수학식에 따른 배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L2c - L1b│ 〉D2c + D1b
여기에서, D2c는 제 2 슬라이딩 자석의 중심부에서 최외곽까지의 평균거리이고, │L2c - L1b│는 L2c - L1b 의 절대값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착용자가 커버를 밀어 커버가 힌지핀을 중심으로 수평회전함으로써, 상기 베이스의 제 1 결합 자석 및 제 2 결합 자석과 커버의 제 1 슬라이딩 자석 및 제 2 슬라이딩 자석 모두에서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향 카트리지의 일부가 상대방측으로 드러나게 하는 반 개방 모드로 본체가 향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와 커버에서 힌지핀을 탈거시켜 베이스로부터 커버를 떼어냄으로써 향 카트리지를 외부로 개방시켜 완전 개방 모드로 본체가 향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장신구 착용으로 심미적 아름다움을 주는 동시에 향 발산 기능을 가져 후각적 자극을 통해 착용자의 안정을 도모하고 주변에 착용자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착용자의 취향과 기호에 따라 쉽고 간편하게 향을 교체할 수 있어 반영구적인 향 발산 장신구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도 가지고 있다.
또한 향기를 발산하는 카트리지와 피부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향 발산체에 대해 피부 알러지 반응을 가진 사용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가지고 있다.
또한 내부에 수납된 향 카트리지의 향 발산량을 착용자의 기호나 착용환경에 따라 다양한 모드로 쉽고 간단하게 변화시킬 수 있어서 향 카트리지의 사용기간을 늘림은 물론 럭셔리하면서 센스 있는 향기 코디네이트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도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장신구의 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장신구의 향 카트리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장신구의 본체와 향 카트리지 간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장신구의 본체와 향 카트리지 간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의 본체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의 다양한 향 발산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의 결합 구성들에 대한 배치 제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장신구의 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장신구의 향 카트리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향 발산 기능을 가진 장신구는 인체에 착용되어 심미적으로 아름다움을 주는 본체(10)에 향 발산 기능을 가진 향 카트리지(20)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장신구로서 인체에 착용되어 그 외관을 통해 심미적 아름다움을 표출하게 된다.
이 같은 본체(1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팔찌, 펜던트, 반지, 귀걸이, 목걸이, 발찌, 노리개, 브로치, 헤어밴드, 헤어핀, 메달, 클립 등의 주장식부의 형태를 가지거나, 이들을 인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커넥터와 같은 부속장식부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체(10)는 일 예로서 팔찌를 구성하는 주장식부인 팔찌 헤드로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본체(10)는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공성 재질의 금속에 향수나 향기를 함침하여 향기를 지속적으로 발산해주는 여러 형태의 장신구가 제공되고 있으나, 이 경우 금속 재료가 사용되기 때문에 인체 친화성 및 착용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나타나 시장에서의 선호도가 낮았다. 또한 비중이 높아 필요한 크기와 형상으로 만들어내는데 한계가 있으며 강도나 경도가 낮아 내구성이 떨어져 상품성이 좋지 않았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본체(10)를 세라믹 재질로 만들어 강도와 경도를 높일 수 있으며, 제품의 견고성이 높아 사용시 제품 파손의 우려가 적으며 외면에 생활 스크래치가 잘 나타나지 않고 표면 광택이 좋아 상품성이 높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 같은 본체(10)는 세라믹 원재료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성형 몰드에 충진한 후 고온에서 소결시켜 제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세라믹 원재료는 지르코니아(ZrO2)나 알루미나(Al2O3)가 주재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소결 단계의 이후에 안정화된 성형품을 다이아몬드 지립 공구를 사용하여 광택 표면연마를 하거나 형상 연마가공을 하여 준보석에 가까운 표면과 형상을 만드는 연마가공단계를 거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10)에는 내부에 일정한 빈 공간으로 형성되는 수납부(12)가 형성되며, 이 수납부(12)는 그 공간을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면으로 접촉벽(11)이 구성되며, 이 접촉벽(11)은 장신구의 착용시 수납부(12) 내의 향 카트리지(20)와 착용자의 피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납부(12)는 상기 향 카트리지(2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으로 형성될 것이다.
상기 접촉벽(11)은 수납부(12)의 공간을 구획하는 면들 중 하나이며, 특히 해당 본체(10)를 장신구로서 인체에 착용할 때 인체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면이 될 것이다. 상기 향 카트리지(20)는 향 발산을 위해 향기 발산 물질이 내부 기공에 함유되게 되는데 이 같은 향기 발산 물질에 대해 피부 알러지 반응이 있는 사용자는 심각한 피부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수납부(12)에 수납되는 향 카트리지(20)가 직접적으로 피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수납부(12)는 접촉벽(11)을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
여기에서 상기 수납부(12)의 공간 형태는 상기 향 카트리지(20)의 외형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향 카트리지(20)의 내장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기구물이나 향 카트리지의 삽출 동작을 위한 기구물에 의해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내부 수납부(12)에 내장된 향 카트리지(20)로부터 발산되는 향기를 본체(10)의 외부로 내보내기 위해 통공(도시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향 카트리지(20)는 상기 본체(10)의 수납부(12)에 내장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향 발산 기능을 가진다.
이 같은 향 카트리지(2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의 수납부(12)에 내장될 수 있는 형태라면 그 형상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도 2에 도시된 향 카트리지(20)는 일 예로서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향 카트리지(20)는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향 카트리지(20)는 지르코니아(ZrO2)나 알루미나(Al2O3)중 어느 하나를 주재료로 선택하여 성형 몰드에 충진한 후 압력을 이용해 가압하여 기공을 만든 후 고온에서 소결시켜 제작할 수 있다. 이 같은 세라믹 재질의 향 카트리지(20)의 기공은 향기 발산 물질을 함유할 수 있게 할 것이다.
기공이 형성된 상기 향 카트리지(20)를 향기 원액에 일정 시간 동안 담가 놓으면 향기 원액이 모세관현상에 의해 기공에 함유되게 되며, 이 향 카트리지(20)의 기공에 함유된 향기 원액이 오랜 시간 동안 천천히 기공 밖으로 배출되면서 향 발산을 하게 된다.
이때 상술한 설명에서는 향 카트리지(20)를 향기 원액에 일정 시간 동안 담그는 방법을 예로서 서술하였으나, 이외에도 향기 원액을 향 카트리지(20)에 분사 또는 도포하는 방식으로도 향 카트리지(20)의 기공에 향기 원액을 함유시킬 수 있다.
이 같이 향기를 가진 향 카트리지(20)를 심미적 외관을 가진 본체(10)에 내장시키고 그 내장 상태를 유지시키는데에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우선 도 3에는 서랍식 결합 방법에 의한 향 카트리지(20)와 본체(10)의 결합 및 분리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향 카트리지(20)는 납작한 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20)의 수납부(12)는 이 향 카트리지(20)를 수용할 수 있게 판 형태의 빈 공간을 가진 공간부로서 형성된다. 이때 수납부(12)는 향 카트리지(20)를 밀어 넣고 빼낼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된 입구가 형성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향 카트리지(20)를 밀어 넣고 빼내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쉽고 간편하게 향 카트리지(20)를 교체할 수 있어 사용자의 향에 대한 취향과 기호에 따라 자유롭고 다채로운 장신구의 사용을 가능하게 만들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20)의 수납부(12)에는 내장된 향 카트리지(20)를 지지하여 향 카트리지(20)가 쉽게 수납부(12)에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수납 유지구가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장신구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장신구의 본체와 향 카트리지 간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10)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결합면에는 결합용 자석(13)이 구비된다. 또한 이에 대응되게 상기 향 카트리지(20)에서 상기 본체(10)의 결합면에 접하게 되는 결합면에도 결합용 자석(23)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용 자석(13, 23)을 이용해 상기 본체(10)의 외면에는 향 카트리지(20)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향 카트리지(20)의 외관 형상을 본체(10)의 외관 형상과 대응되게 구성함으로써 향 카트리지(20)가 본체(10)에 결합되었을 때 하나의 장신구로서 보여지도록 하는 것이 미적 완성도를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10)의 결합용 자석(13)과 향 카트리지(20)의 결합용 자석(23)은 결합을 위해 다른 극성을 가져야 하며, 본체(10)의 결합용 자석(13)과 향 카트리지(20)의 결합용 자석(23) 중 어느 하나를 메탈 소재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제 도 5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는 팔찌의 헤드 부위에 적용될 수 있으며, 착용자가 팔찌를 차고 있는 동안 착용자 주위로 팔찌의 헤드 부위에서 은은한 향이 발산되어 착용자의 개성을 표현하고 상대방에게 자신의 매력을 어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실제 이 같은 팔찌를 찬 상태에서 다양한 사람을 만나고 저마다 성격이 다른 모임에 참석하게 되는 등 착용자들은 각기 다른 여러 상황에 처하게 될 것이다. 즉 어떤 사람과의 만남에서는 강한 향을 통해 상대에게 자신의 매력을 어필할 필요가 있을 것이고, 또 다른 모임에서는 강하지 않고 되도록 은은한 향으로 자신이 지나치게 돋보이지 않도록 하는 배려가 필요할 것이다.
하지만 상술한 실시예들에서의 장신구는 고정된 사이즈의 향 발산 출구(향 카트리지를 밀어 넣고 빼낼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된 입구)만이 형성될 뿐이어서 향 발산량을 착용자의 기호나 착용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없었다. 물론 간단하게 향 발산 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를 추가할 수는 있으나 재료(세라믹)의 특성상 도어의 추가가 쉽지 않으며 도어 추가만으로는 착용자가 원하는 정도의 상황에 따른 다양한 향 발산 모드들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신구의 본체(10)는 향 카트리지(20)가 일면이 노출된 상태로 수납될 수 있는 베이스(14)와 이 베이스(14)의 일면을 덮을 수 있으며 착용자의 간단한 손가락 움직임으로 개방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커버(17)로 구성되게 되며, 상기 본체(10)는 팔찌를 구성하는 주장식부로서 양단에 스트랩(30)이 체결되어 팔찌를 구성하게 된다.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먼저 상기 베이스(14)는 상면의 중심부에 상기 향 카트리지(20)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홈(14a)을 가진다. 상기 수납홈(14a)의 깊이는 향 카트리지(20)의 두께와 같거나 조금 크게 설계되어 차후 설명될 커버(17)의 스윙 움직임이 향 카트리지(20)에 의해 제한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14)는 해당 본체(10)를 장신구로서 인체에 착용할 때 인체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면이 될 것이다. 상기 향 카트리지(20)는 향 발산을 위해 향기 발산 물질이 내부 기공에 함유되게 되는데 이 같은 향기 발산 물질에 대해 피부 알러지 반응이 있는 사용자는 심각한 피부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향 카트리지(20)가 직접적으로 피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베이스(14)를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
이 수납홈(14a)을 중심으로 베이스(14)의 상면에서 일측에는 상기 커버(17)와 결합될 수 있는 힌지핀(16)이 형성되게 되며, 이 힌지핀(16)을 통해 베이스(14)와 커버(17)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핀(16)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커버(17)는 상기 베이스(14) 상에서 스윙 방식으로 수평회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 같은 힌지핀(16)은 베이스(14)를 중심으로 커버(17)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도면에서와 같이 커버(17)에 핀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베이스(14)에 이 핀의 몸체가 수용됨으로써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커버(17)와 베이스(14)에 각각 핀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핀들의 말단을 하나의 튜브에 삽입시키는 방식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홈(14a)의 바닥면에는 제 1 결합 자석(15a)과 제 2 결합 자석(15b)이 형성된다.
한편 제 1 결합 자석(15a)과 제 2 결합 자석(15b)이 형성되는 베이스(14)의 상면과 마주하는 커버(17)의 하면에는 이 제 1 결합 자석(15a) 및 제 2 결합 자석(15b)과 마주하여 대응하는 위치에 제 1 슬라이딩 자석(18a) 및 제 2 슬라이딩 자석(18b)이 형성되게 된다. 여기에서 베이스(14)의 제 1 결합 자석(15a)과 제 2 결합 자석(15b)은 결합시 향 카트리지(2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때 베이스(14)의 제 1 결합 자석(15a)과 제 2 결합 자석(15b)은 같은 자성을 가지게 구비되며, 이와 반대로 커버(17)의 제 1 슬라이딩 자석(18a)과 제 2 슬라이딩 자석(18b)은 베이스(14)의 제 1 결합 자석(15a)과 제 2 결합 자석(15b)과 반대 자성을 가지게 구비된다.
이 베이스(14)의 제 1 결합 자석(15a) 및 제 2 결합 자석(15b)과 커버(17)의 제 1 슬라이딩 자석(18a) 및 제 2 슬라이딩 자석(18b)의 자력결합 상태에 따라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10)는 다양한 향 발산 모드들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의 다양한 향 발산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의 향 발산 모드 중 폐쇄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폐쇄 모드에서는 베이스(14)의 제 1 결합 자석(15a)과 커버(17)의 제 1 슬라이딩 자석(18a)이 자성으로 결합되고, 또한 베이스(14)의 제 2 결합 자석(15b)과 커버(17)의 제 2 슬라이딩 자석(18b)이 자성으로 결합되게 된다. 그 결과 베이스(14) 상에서 커버(17)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 카트리지(20)가 내장되는 수납홈(14a)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만들 것이다.
따라서 이 폐쇄 모드에서 수납홈(14a) 내에 내장된 향 카트리지(20)는 직접적으로 외부 노출이 되지 않고 베이스(14)와 커버(17) 사이의 틈새를 통해서만 향 발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향 발산량이 대단히 적어지게 된다.
이 같은 폐쇄 모드는 외부 활동이 없는 개인 공간(예컨데, 집 안)이나 취침시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적절히 활용될 수 있으며, 폐쇄 모드로 사용시간을 늘리는 것이 곧 향 카트리지(20)의 사용수명을 늘리는 것이 될 것이다.
특히 수평 회전할 수 있는 커버(17)에 착용자의 손가락 끝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가볍게 미는 동작만으로 커버(17)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켜 베이스(14)의 제 1 결합 자석(15a) 및 제 2 결합 자석(15b)과 커버(17)의 제 1 슬라이딩 자석(18a) 및 제 2 슬라이딩 자석(18b)을 위치이동시켜 자력으로 결합되게 할 수 있어 폐쇄 모드로의 상태변환이 쉽고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이때 폐쇄 모드에서 보다 많은 양의 향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17)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8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의 향 발산 모드 중 착용자측 쿼터개방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착용자측 쿼터개방 모드에서는 베이스(14)의 제 2 결합 자석(15b)과 커버(17)의 제 1 슬라이딩 자석(18a)이 자성으로 결합되는 반면, 베이스(14)의 제 1 결합 자석(15a)과 커버(17)의 제 2 슬라이딩 자석(18b)은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 같은 착용자측 쿼터개방 모드는 착용자가 폐쇄 모드 상태에 있는 본체(10)에 대하여 손가락 끝을 커버(17)에 대고 가볍게 밀어 수평회전(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변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착용자측 쿼터개방 모드에서 폐쇄 모드로의 변환 역시 손가락 끝을 커버(17)에 대고 시계반대방향으로 가볍게 밀어 이루어질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때 폐쇄 모드에서 착용자측 쿼터개방 모드로 바꿀 때 착용자가 커버(17)에 가하는 힘은 폐쇄 모드에 있던 제 1 결합 자석(15a)과 제 1 슬라이딩 자석(18a)의 결합인력 그리고 제 2 결합 자석(15b)과 제 2 슬라이딩 자석(18b)의 결합인력을 해지시킬 정도의 힘만이 요구된다. 왜냐하면 이 힘을 커버(17)에 수평회전(도면에서 시계방향) 방향으로 가하여 제 1 결합 자석(15a)과 제 1 슬라이딩 자석(18a)의 결합인력 그리고 제 2 결합 자석(15b)과 제 2 슬라이딩 자석(18b)의 결합인력을 해지시키면 자연스럽게 제 2 결합 자석(15b)과 제 1 슬라이딩 자석(18a) 간 인력에 의해 제 2 결합 자석(15b)과 제 1 슬라이딩 자석(18a)이 결합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베이스(14) 상에서 커버(17)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홈(14a) 내 향 카트리지(20)의 일부(상면의 약 1/4)가 착용자측으로 드러나게 만들 것이다.
따라서 이 착용자측 쿼터개방 모드에서 수납홈(14a) 내에 내장된 향 카트리지(20)에서는 착용자측으로 개방된 틈을 통해 착용자를 향하여 향 발산을 하게 될 것이다.
이 같은 착용자측 쿼터개방 모드는 착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향을 자신에게 보낼 수 있어서 움직임이 많지 않은 자리에서 은은한 향기를 통해 자신의 기분을 개선하고자 하는 용도로 적절히 활용될 수 있으며, 개방 부위가 작기 때문에 향 카트리지(20)의 사용수명을 늘릴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수평 회전할 수 있는 커버(17)에 착용자의 손가락 끝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가볍게 미는 동작만으로 커버(17)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켜 커버(17)의 제 1 슬라이딩 자석(18a)을 위치이동시킬 수 있어 착용자측 쿼터개방 모드로의 상태변환이 쉽고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커버(17)에 의해 수납홈(14a)의 일부만이 개방되기 때문에 수납홈(14a)에서 향 카트리지(20)가 이탈될 염려가 없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의 향 발산 모드 중 상대방측 쿼터개방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대방측 쿼터개방 모드에서는 베이스(14)의 제 1 결합 자석(15a)과 커버(17)의 제 2 슬라이딩 자석(18b)이 자성으로 결합되는 반면, 베이스(14)의 제 2 결합 자석(15b)과 커버(17)의 제 1 슬라이딩 자석(18a)은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 같은 상대방측 쿼터개방 모드는 착용자가 폐쇄 모드 상태에 있는 본체(10)에 대하여 손가락 끝을 커버(17)에 대고 가볍게 밀어 수평회전(도면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변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대방측 쿼터개방 모드에서 폐쇄 모드로의 변환 역시 손가락 끝을 커버(17)에 대고 시계방향으로 가볍게 밀어 이루어질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때 폐쇄 모드에서 상대방측 쿼터개방 모드로 바꿀 때 착용자가 커버(17)에 가하는 힘은 폐쇄 모드에 있던 제 1 결합 자석(15a)과 제 1 슬라이딩 자석(18a)의 결합인력 그리고 제 2 결합 자석(15b)과 제 2 슬라이딩 자석(18b)의 결합인력을 해지시킬 정도의 힘만이 요구된다. 왜냐하면 이 힘을 커버(17)에 수평회전(도면에서 시계반대방향) 방향으로 가하여 제 1 결합 자석(15a)과 제 1 슬라이딩 자석(18a)의 결합인력 그리고 제 2 결합 자석(15b)과 제 2 슬라이딩 자석(18b)의 결합인력을 해지시키면 자연스럽게 제 1 결합 자석(15a)과 제 2 슬라이딩 자석(18b) 간 인력에 의해 제 1 결합 자석(15a)과 제 2 슬라이딩 자석(18b)이 결합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베이스(14) 상에서 커버(17)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홈(14a) 내 향 카트리지(20)의 일부(상면의 약 1/4)가 상대방측으로 드러나게 만들 것이다.
따라서 이 상대방측 쿼터개방 모드에서 수납홈(14a) 내에 내장된 향 카트리지(20)에서는 상대방측으로 개방된 틈을 통해 착용자측 보다는 상대방을 향하여 향 발산을 하게 될 것이다.
이 같은 상대방측 쿼터개방 모드는 착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향을 상대방에게 보낼 수 있어서 움직임이 많지 않은 자리에서 은은한 향기를 통해 자신의 매력을 어필하고자 하는 용도로 적절히 활용될 수 있으며, 개방 부위가 작기 때문에 향 카트리지(20)의 사용수명을 늘릴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수평 회전할 수 있는 커버(17)에 착용자의 손가락 끝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가볍게 미는 동작만으로 커버(17)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켜 커버(17)의 제 2 슬라이딩 자석(18b)을 위치이동시킬 수 있어서 상대방측 쿼터개방 모드로의 상태변환이 쉽고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커버(17)에 의해 수납홈(14a)의 일부만이 개방되기 때문에 수납홈(14a)에서 향 카트리지(20)가 이탈될 염려가 없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의 향 발산 모드 중 반 개방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반 개방 모드에서는 베이스(14)의 제 1 결합 자석(15a) 및 제 2 결합 자석(15b)과 커버(17)의 제 1 슬라이딩 자석(18a) 및 제 2 슬라이딩 자석(18b) 모두에서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 같은 반 개방 모드는 착용자가 착용자측 쿼터개방 모드에 있는 본체(10)에 대하여 손가락 끝을 커버(17)에 대고 가볍게 밀어 수평회전(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변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반 개방 모드에서 착용자측 쿼터개방 모드로의 변환 역시 손가락 끝을 커버(17)에 대고 반시계방향으로 가볍게 밀어 이루어질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때 착용자측 쿼터개방 모드에서 반 개방 모드로 바꿀 때 착용자가 커버(17)에 가하는 힘은 착용자측 쿼터개방 모드에 있던 제 2 결합 자석(15b)과 제 1 슬라이딩 자석(18a)의 결합인력을 해지시킬 정도의 힘만이 요구된다.
그 결과 베이스(14) 상에서 커버(17)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홈(14a) 내 향 카트리지(20)의 절반이 드러나게 만들 것이다.
따라서 이 반 개방 모드에서 수납홈(14a) 내에 내장된 향 카트리지(20)에서는 절반 정도 개방된 틈을 통해 향 발산을 하게 될 것이다.
이 같은 반 개방 모드는 착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향을 자신과 주위에 보낼 수 있어서 움직임이 많지 않은 자리에서 향기를 통해 자신의 기분을 개선시키면서 동시에 주변에 자신의 매력을 어필하고자 하는 용도로 적절히 활용될 수 있으며, 개방 부위가 절반 정도이기 때문에 향 카트리지(20)의 사용수명을 늘릴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수평 회전할 수 있는 커버(17)에 착용자의 손가락 끝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가볍게 미는 동작만으로 커버(17)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켜 커버(17)의 제 1 슬라이딩 자석(18a)을 위치이동시킬 수 있어서 반 개방 모드로의 상태변환이 쉽고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커버(17)에 의해 수납홈(14a)의 절반만이 개방되기 때문에 수납홈(14a)에서 향 카트리지(20)가 이탈될 염려가 없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의 향 발산 모드 중 완전 개방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완전 개방 모드에서는 베이스(14)와 커버(17)에서 힌지핀(16)을 탈거시켜 베이스(14)로부터 커버(17)를 완전히 떼어내게 된다. 이 같은 완전 개방 모드는 수납홈(14a) 내 향 카트리지(20)를 완전히 드러내서 향 카트리지(20)의 교체나 향기액의 충전을 가능하게 만드는 상태이다.
또한 이 완전 개방 모드에서 수납홈(14a) 내에 내장된 향 카트리지(20)에서는 외부로 완전히 개방되어 많은 양의 향 발산을 하게 될 것이다.
이 같은 완전 개방 모드는 착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향을 자신과 주위에 많이 보낼 수 있어서 움직임이 많지 않은 자리에서 강한 향기를 통해 자신의 기분을 급속히 개선시키면서 동시에 주변에 자신의 매력을 강렬하게 어필하고자 하는 용도로 적절히 활용될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도 8과 도 9에 각각 도시된 착용자측 쿼터개방 모드와 상대방측 쿼터개방 모드는 도 7에 도시된 폐쇄 모드에서 커버(17)에 착용자의 손가락 끝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가볍게 미는 동작만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마찬가지로 착용자측 쿼터개방 모드나 상대방측 쿼터개방 모드에서 폐쇄 모드로의 모드 변환 역시 착용자의 가벼운 손가락 움직임만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중요한 것은 착용자가 별다른 숙련도 없이도 언제 어디서든 가벼운 손가락 움직임만으로 이 같은 모드 변환을 유려하게 해낼 수 있도록 제반 구성들이 구비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즉 폐쇄 모드 - 쿼터개방 모드로의 상태변환이 쉽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그 변환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제반 구성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커버(17)를 수평회전시키도록 제공되는 힌지 핀(16), 그리고 수평회전되는 커버(17)의 동작 반경을 결정하는 결합 자석(15a, 15b) 및 슬라이딩 자석(18a, 18b) 간의 상호 배치 구조를 제한하게 되며, 이를 통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 본체(10)의 형태나 자석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정확한 모드 변환과 안정적인 모드 유지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도 12에는 이 같은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베이스(14)의 상부면(도 12의 (a))과 커버(17)의 하부면(도 12의 (b))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베이스(14)의 상부면과 커버(17)의 하부면은 본체 구성시 마주하여 자력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는 면이다.
먼저 베이스(14)의 상부면에는 힌지핀(16), 제 1 결합 자석(15a) 그리고 제 2 결합 자석(15b)이 구비될 것이다.
여기에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핀(16)에서 제 1 결합 자석(15a)의 중심부까지의 거리를 L1b라 하고, 마찬가지로 상기 힌지핀(16)에서 제 2 결합 자석(15b)의 중심부까지의 거리를 L2b라 한다. 또한 제 1 결합 자석(15a)의 중심부에서 최외곽까지의 평균거리를 D1b라 하고, 제 2 결합 자석(15b)의 중심부에서 최외곽까지의 평균거리를 D2b라 한다.
이때 상술한 D1b와 D2b는 자석의 중심부에서 최외곽까지의 평균거리로 표현되는데, 도 12와 같이 자석이 원형 단면을 가지는 경우에는 D1b와 D2b는 자석의 반지름일 것이다. 하지만 본 고안에서 제 1 결합 자석(15a) 그리고 제 2 결합 자석(15b)이 원형인 것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닌 바 자석은 삼각형이나 사각형을 포함한 다각형 그리고 무정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다각형이나 무정형의 경우 중심부에서 최외곽까지의 거리는 외곽 부위별로 달라질 것이기 때문에 본 제안에서 D1b와 D2b는 자석의 중심부에서 다양한 최외곽까지의 평균거리인 것이 모든 형태의 자석을 포괄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커버(17)의 하부면에는 힌지핀(16), 제 1 슬라이딩 자석(18a) 그리고 제 2 슬라이딩 자석(18b)이 구비될 것이다.
여기에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핀(16)에서 제 1 슬라이딩 자석(18a)의 중심부까지의 거리를 L1c라 하고, 마찬가지로 상기 힌지핀(16)에서 제 2 슬라이딩 자석(18b)의 중심부까지의 거리를 L2c라 한다. 또한 제 1 슬라이딩 자석(18a)의 중심부에서 최외곽까지의 평균거리를 D1c라 하고, 제 2 슬라이딩 자석(18b)의 중심부에서 최외곽까지의 평균거리를 D2c라 한다.
이 같은 폐쇄 모드 - 착용자측 쿼터개방 모드로의 상태변환이 쉽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그 변환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제반 구성들의 배치는 다음의 수학식 1을 만족해야 한다.
Figure 112019023185711-utm00001
이 수학식 1을 만족하도록 제반 구성들이 배치되면, 착용자가 폐쇄 모드 상태에 있는 본체(10)에 대하여 손가락 끝을 커버(17)에 대고 가볍게 밀어 수평회전(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 도 8 참조)시키게 되면 미는 힘에 의해 폐쇄 모드에 있던 제 1 결합 자석(15a)과 제 1 슬라이딩 자석(18a)의 결합인력 그리고 제 2 결합 자석(15b)과 제 2 슬라이딩 자석(18b)의 결합인력은 해제될 것이며 동시에 회전 방향에 있던 제 2 결합 자석(15b)과 제 1 슬라이딩 자석(18a) 간 인력에 의해 제 2 결합 자석(15b)과 제 1 슬라이딩 자석(18a)이 자연스럽게 자성에 의해 결합되게 될 것이다.
이때 폐쇄 모드에서 착용자측 쿼터개방 모드로 바꿀 때에 착용자가 커버(17)에 가하는 힘은 폐쇄 모드에 있던 제 1 결합 자석(15a)과 제 1 슬라이딩 자석(18a)의 결합인력 그리고 제 2 결합 자석(15b)과 제 2 슬라이딩 자석(18b)의 결합인력을 해지시킬 정도의 힘만이 요구되며, 착용자측 쿼터개방 모드는 제 2 결합 자석(15b)과 제 1 슬라이딩 자석(18a)의 자연스러운 인력에 의해 만들어지게 될 것이다. 특히 상술한 수학식 1에 따른 제반 구성들의 배치 제한에 의해 착용자측 쿼터개방 모드를 완성시키는 제 2 결합 자석(15b)과 제 1 슬라이딩 자석(18a) 간의 결합은 결합유지가 가능할 정도의 면적범위로 서로 면하게 된 자성의 인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될 것이다.
특히 이 수학식 1을 만족하도록 제반 구성들이 배치되면, 베이스(14)나 커버(17)의 평면 사이즈 그리고 힌지 핀(16)의 위치나 자석의 위치에 관계없이 폐쇄 모드 - 착용자측 쿼터개방 모드로의 상태변환이 쉽고 정확하며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자석의 사이즈나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제품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는 장점도 가지게 된다.
다음으로 폐쇄 모드 - 상대방측 쿼터개방 모드로의 상태변환이 쉽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그 변환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제반 구성들의 배치는 다음의 수학식 2를 만족해야 한다.
Figure 112019023185711-utm00002
이 수학식 2를 만족하도록 제반 구성들이 배치되면, 착용자가 폐쇄 모드 상태에 있는 본체(10)에 대하여 손가락 끝을 커버(17)에 대고 가볍게 밀어 수평회전(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도 9 참조)시키게 되면 미는 힘에 의해 폐쇄 모드에 있던 제 1 결합 자석(15a)과 제 1 슬라이딩 자석(18a)의 결합인력 그리고 제 2 결합 자석(15b)과 제 2 슬라이딩 자석(18b)의 결합인력은 해제될 것이며 동시에 회전 방향에 있던 제 1 결합 자석(15a)과 제 2 슬라이딩 자석(18b) 간 인력에 의해 제 1 결합 자석(15a)과 제 2 슬라이딩 자석(18b)이 자연스럽게 자성에 의해 결합되게 될 것이다.
이때 폐쇄 모드에서 상대방측 쿼터개방 모드로 바꿀 때에 착용자가 커버(17)에 가하는 힘은 폐쇄 모드에 있던 제 1 결합 자석(15a)과 제 1 슬라이딩 자석(18a)의 결합인력 그리고 제 2 결합 자석(15b)과 제 2 슬라이딩 자석(18b)의 결합인력을 해지시킬 정도의 힘만이 요구되며, 상대방측 쿼터개방 모드는 제 1 결합 자석(15a)과 제 2 슬라이딩 자석(18b)의 자연스러운 인력에 의해 만들어지게 될 것이다. 특히 상술한 수학식 2에 따른 제반 구성들의 배치 제한에 의해 상대방측 쿼터개방 모드를 완성시키는 제 1 결합 자석(15a)과 제 2 슬라이딩 자석(18b) 간의 결합은 결합유지가 가능할 정도의 면적범위로 서로 면하게 된 자성의 인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될 것이다.
특히 이 수학식 2를 만족하도록 제반 구성들이 배치되면, 베이스(14)나 커버(17)의 평면 사이즈 그리고 힌지 핀(16)의 위치나 자석의 위치에 관계없이 폐쇄 모드 - 상대방측 쿼터개방 모드로의 상태변환이 쉽고 정확하며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자석의 사이즈나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제품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는 장점도 가지게 된다.
덧붙여 상기 수학식 1과 수학식 2를 모두 만족하도록 제반 구성들이 배치되면 단일 제품에서 착용자측 쿼터개방 모드와 상대방측 쿼터개방 모드 모두로 간단하고 안정적인 모드 변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방향으로 커버(17)를 회전시키게 되면 자성 결합 작용과 결합 구성들의 정교한 배치 구조(수학식 1, 수학식 2)를 통해 유려하게 폐쇄 모드 - 사용자측 쿼터개방 모드로의 상태변환이나 폐쇄 모드 - 착용자측 쿼터개방 모드로의 상태변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때 하나의 제품에서 상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폐쇄 모드 - 사용자측 쿼터개방 모드로의 상태변환과 상기 수학식 2를 만족하는 폐쇄 모드 - 착용자측 쿼터개방 모드로의 상태변환이 모두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제품 특성상 일반적일 것이나, 제품의 기능 포트폴리오나 가격 포트폴리오를 다각화시킬 필요성이 있거나 착용자의 다양한 조작 취향을 만족시키기 위해 두 가지 상태변환 중 어느 한 가지만을 제품에 부여하여 기능제한된 제품을 출시해야 할 필요성도 발생한다.
특히 위 두 가지 상태변환 중 어느 한 가지만이 제품에 부여된다면 해당 상태변환의 이루어지는 커버(17)의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의 회전에 대해서는 아무런 자성 결합 작용이 이루어지지 않게 하여 결국 커버(17)가 공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향수 사용에 대한 모드 취향에 맞춘 고객 맞춤형 제품을 만들어 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3에는 기능 제한형 고객 맞춤 제품의 결합 구성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베이스(14)의 상부면(도 13의 (a))과 커버(17)의 하부면(도 13의 (b))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베이스(14)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제 1 결합 자석(15a)과 제 2 결합 자석(15b)은 그 크기를 달리할 수 있다. 또한 커버(17)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제 1 슬라이딩 자석(18a)과 제 2 슬라이딩 자석(18b) 역시 그 크기를 달리할 수 있다.
또한 수납홈(14a)을 중심으로 자성 결합 구성들과 반대측에 위치되어 커버(17)의 회전축이 되는 힌지핀(16)의 위치는 자성 결합 구성들의 회전 반경을 조정하기 위해 중심부위가 아닌 측면부위가 될 것이다.
여기에서 커버(17)의 특정 방향 회전을 통해 폐쇄 모드 - 착용자측 쿼터개방 모드로의 상태변환(수학식 1)이 이루어지며 동시에 그 반대 방향 회전시에는 아무런 자성 결합 작용이 이루어지지 않게 하여 결국 커버(17)가 공회전되도록 하는 제반 구성들의 배치는 다음의 수학식 3을 만족해야 한다.
Figure 112019023185711-utm00003
상기 수학식 3에서 │L1c - L2b│은 L1c - L2b 의 절대값을 의미한다.
이 수학식 3이 상술한 수학식 1과 함께 만족하도록 제반 구성들이 배치되면, 착용자가 폐쇄 모드 상태에 있는 본체(10)에 대하여 손가락 끝을 커버(17)에 대고 가볍게 밀어 수평회전(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 도 8 참조)시키게 되면 미는 힘에 의해 폐쇄 모드에 있던 제 1 결합 자석(15a)과 제 1 슬라이딩 자석(18a)의 결합인력 그리고 제 2 결합 자석(15b)과 제 2 슬라이딩 자석(18b)의 결합인력은 해제될 것이며 동시에 회전 방향에 있던 제 2 결합 자석(15b)과 제 1 슬라이딩 자석(18a) 간 인력에 의해 제 2 결합 자석(15b)과 제 1 슬라이딩 자석(18a)이 자연스럽게 자성에 의해 결합되어 착용자측 쿼터개방 모드가 될 것이다. 이와 반대로 착용자가 폐쇄 모드 상태에 있는 본체(10)에 대하여 착용자측 쿼터개방 모드와 반대 방향으로 커버(17)를 회전시키게 되면 미는 힘에 의해 폐쇄 모드에 있던 제 1 결합 자석(15a)과 제 1 슬라이딩 자석(18a)의 결합인력 그리고 제 2 결합 자석(15b)과 제 2 슬라이딩 자석(18b)의 결합인력은 해제될 것이며 동시에 제 1 결합 자석(15a)과 제 2 슬라이딩 자석(18b)은 회전 움직임 중 서로 맞닿지 못해 자성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결국 해당 방향에서는 아무런 자성 결합 작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커버(17)가 공회전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이를 통해 일방향 회전시에는 착용자측 쿼터개방 모드로 모드 변환되고 그 반대 방향 회전시에는 공회전하도록 기능제한된 고객 맞춤형 제품을 만들어 낼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커버(17)의 특정 방향 회전을 통해 폐쇄 모드 - 상대방측 쿼터개방 모드로의 상태변환(수학식 2)이 이루어지며 동시에 그 반대 방향 회전시에는 아무런 자성 결합 작용이 이루어지지 않게 하여 결국 커버(17)가 공회전되도록 하는 제반 구성들의 배치는 다음의 수학식 4를 만족해야 한다.
Figure 112019023185711-utm00004
상기 수학식 4에서 │L2c - L1b│은 L2c - L1b 의 절대값을 의미한다.
이 수학식 4가 상술한 수학식 2과 함께 만족하도록 제반 구성들이 배치되면, 착용자가 폐쇄 모드 상태에 있는 본체(10)에 대하여 손가락 끝을 커버(17)에 대고 가볍게 밀어 수평회전(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도 9 참조)시키게 되면 미는 힘에 의해 폐쇄 모드에 있던 제 1 결합 자석(15a)과 제 1 슬라이딩 자석(18a)의 결합인력 그리고 제 2 결합 자석(15b)과 제 2 슬라이딩 자석(18b)의 결합인력은 해제될 것이며 동시에 회전 방향에 있던 제 1 결합 자석(15a)과 제 2 슬라이딩 자석(18b) 간 인력에 의해 제 1 결합 자석(15a)과 제 2 슬라이딩 자석(18b)이 자연스럽게 자성에 의해 결합되어 상대방측 쿼터개방 모드가 될 것이다. 이와 반대로 착용자가 폐쇄 모드 상태에 있는 본체(10)에 대하여 상대방측 쿼터개방 모드와 반대 방향으로 커버(17)를 회전시키게 되면 미는 힘에 의해 폐쇄 모드에 있던 제 1 결합 자석(15a)과 제 1 슬라이딩 자석(18a)의 결합인력 그리고 제 2 결합 자석(15b)과 제 2 슬라이딩 자석(18b)의 결합인력은 해제될 것이며 동시에 제 2 결합 자석(15b)과 제 1 슬라이딩 자석(18a)은 회전 움직임 중 서로 맞닿지 못해 자성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결국 해당 방향에서는 아무런 자성 결합 작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커버(17)가 공회전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이를 통해 일방향 회전시에는 상대방측 쿼터개방 모드로 모드 변환되고 그 반대 방향 회전시에는 공회전하도록 기능제한된 고객 맞춤형 제품을 만들어 낼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1 : 접촉벽
12 : 수납부 13 : 결합용 자석
14 : 베이스 14a : 수납홈
15a : 제 1 결합 자석 15b : 제 2 결합 자석
16 : 힌지핀 17 : 커버
18a : 제 1 슬라이딩 자석 18b : 제 2 슬라이딩 자석
20 : 향 카트리지 23 : 결합용 자석
30 : 스트랩

Claims (17)

  1. 내부에 수납 공간을 가지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수납 공간에 수납 가능하게 형성되며, 내부 기공에 향기 원액을 함유하는 향 카트리지;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및 향 카트리지가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는,
    상기 향 카트리지가 일면이 노출된 상태로 수납될 수 있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일면을 덮을 수 있으며 착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으로 개방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커버; 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의 중심부에 상기 향 카트리지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홈;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상기 수납홈을 중심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힌지핀; 및
    상기 수납홈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 1 결합 자석과 제 2 결합 자석; 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베이스와 마주하는 하면에서 상기 제 1 결합 자석 및 제 2 결합 자석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1 슬라이딩 자석과 제 2 슬라이딩 자석; 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핀을 통해 상기 베이스와 커버가 결합되며 커버가 베이스 상에서 스윙 방식으로 수평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팔찌, 펜던트, 반지, 귀걸이, 목걸이, 발찌, 노리개, 브로치, 헤어밴드, 헤어핀, 메달 및 클립 중 어느 하나의 주장식부의 형태를 가지거나, 이 주장식부를 인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부속장식부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지르코니아나 알루미나 중 어느 하나를 주재료로 하여 세라믹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향 카트리지는 지르코니아나 알루미나 중 어느 하나를 주재료로 하여 다공성 세라믹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향 카트리지는 향기 원액에 담기거나 향기 원액을 분사 또는 도포하여 내부 기공에 향기 원액을 함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제 1 결합 자석과 제 2 결합 자석은 서로 같은 자성을 가지며, 상기 커버의 제 1 슬라이딩 자석과 제 2 슬라이딩 자석은 베이스의 제 1 결합 자석 및 제 2 결합 자석과 반대 자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제 1 결합 자석과 커버의 제 1 슬라이딩 자석이 자성으로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의 제 2 결합 자석과 커버의 제 2 슬라이딩 자석이 자성으로 결합되어 향 카트리지가 내장되는 수납홈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폐쇄 모드로 본체가 향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10. 제 9항에 있어서,
    착용자가 커버를 밀어 커버가 힌지핀을 중심으로 수평회전함으로써,
    상기 커버의 제 1 슬라이딩 자석이 위치이동하여 상기 베이스의 제 2 결합 자석과 자성으로 결합되고, 베이스의 제 1 결합 자석과 커버의 제 2 슬라이딩 자석은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향 카트리지의 일부가 착용자측으로 드러나게 하는 착용자측 쿼터개방 모드로 본체가 향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측 쿼터개방 모드로의 상태변환을 위해 하기 수학식에 따른 배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수학식]
    L2b - D2b ≤ L1c ≤ L2b + D2b
    여기에서, L1c는 힌지핀에서 제 1 슬라이딩 자석의 중심부까지의 거리이고, L2b는 힌지핀에서 제 2 결합 자석의 중심부까지의 거리이며, D2b는 제 2 결합 자석의 중심부에서 최외곽까지의 평균거리를 나타낸다.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일방향 회전에 따라 착용자측 쿼터개방 모드로의 상태변환이 이루어지고 그 반대 방향 회전에 따라 커버의 공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하기 수학식에 따른 배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수학식]
    │L1c - L2b│ 〉D1c + D2b
    여기에서, D1c는 제 2 슬라이딩 자석의 중심부에서 최외곽까지의 평균거리이고, │L1c - L2b│는 L1c - L2b 의 절대값을 나타낸다.
  13. 제 9항에 있어서,
    착용자가 커버를 밀어 커버가 힌지핀을 중심으로 수평회전함으로써,
    상기 커버의 제 2 슬라이딩 자석이 위치이동하여 상기 베이스의 제 1 결합 자석과 자성으로 결합되고, 베이스의 제 2 결합 자석과 커버의 제 1 슬라이딩 자석은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향 카트리지의 일부가 상대방측으로 드러나게 하는 상대방측 쿼터개방 모드로 본체가 향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측 쿼터개방 모드로의 상태변환을 위해 하기 수학식에 따른 배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수학식]
    L1b - D1b ≤ L2c ≤ L1b + D1b
    여기에서, L2c는 힌지핀에서 제 2 슬라이딩 자석의 중심부까지의 거리이고, L1b는 힌지핀에서 제 1 결합 자석의 중심부까지의 거리이며, D1b는 제 1 결합 자석의 중심부에서 최외곽까지의 평균거리를 나타낸다.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일방향 회전에 따라 상대방측 쿼터개방 모드로의 상태변환이 이루어지고 그 반대 방향 회전에 따라 커버의 공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하기 수학식에 따른 배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수학식]
    │L2c - L1b│ 〉D2c + D1b
    여기에서, D2c는 제 2 슬라이딩 자석의 중심부에서 최외곽까지의 평균거리이고, │L2c - L1b│는 L2c - L1b 의 절대값을 나타낸다.
  16. 제 9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착용자가 커버를 밀어 커버가 힌지핀을 중심으로 수평회전함으로써,
    상기 베이스의 제 1 결합 자석 및 제 2 결합 자석과 커버의 제 1 슬라이딩 자석 및 제 2 슬라이딩 자석 모두에서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향 카트리지의 일부가 상대방측으로 드러나게 하는 반 개방 모드로 본체가 향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17.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커버에서 힌지핀을 탈거시켜 베이스로부터 커버를 떼어냄으로써 향 카트리지를 외부로 개방시켜 완전 개방 모드로 본체가 향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KR2020190000932U 2018-10-16 2019-03-06 향 발산량 조절이 가능한 장신구 KR2004900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284,655 US11980261B2 (en) 2018-10-16 2019-07-17 Ornament capable of adjusting amount of emitted fragrance
EP19872543.4A EP3868247B1 (en) 2018-10-16 2019-07-17 Ornament capable of adjusting amount of emitted fragrance
CN201980067270.5A CN112839543B (zh) 2018-10-16 2019-07-17 可调节香气散发量的饰品
PCT/KR2019/008854 WO2020080649A1 (ko) 2018-10-16 2019-07-17 향 발산량 조절이 가능한 장신구
JP2021545657A JP7183436B2 (ja) 2018-10-16 2019-07-17 香り発散量を調節可能な装身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134 2018-10-16
KR20180123134 2018-10-1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412U Division KR20200002030U (ko) 2019-04-05 2019-04-05 향 발산량 조절이 가능한 장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027Y1 true KR200490027Y1 (ko) 2019-09-10

Family

ID=6790343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001A KR102056449B1 (ko) 2018-10-16 2019-03-06 착용 패턴에 따라 향 발산량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장신구
KR2020190000932U KR200490027Y1 (ko) 2018-10-16 2019-03-06 향 발산량 조절이 가능한 장신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001A KR102056449B1 (ko) 2018-10-16 2019-03-06 착용 패턴에 따라 향 발산량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장신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80261B2 (ko)
EP (1) EP3868247B1 (ko)
JP (1) JP7183436B2 (ko)
KR (2) KR102056449B1 (ko)
CN (1) CN112839543B (ko)
WO (1) WO20200806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28834A1 (en) * 2020-01-26 2021-07-29 Lidia Viana Wearable Apparatus for Producing Vapors of Volatile Compound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8540U (ja) * 2013-10-31 2014-01-30 サカタインクス株式会社 装飾品
KR20140086891A (ko) * 2012-12-28 2014-07-08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향발생 카트리지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3075B2 (ja) 1992-07-08 2000-11-27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29547U (ja) * 1992-09-28 1994-04-19 和男 滝口 香 炉
JP3188540B2 (ja) * 1992-12-21 2001-07-16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US5299736A (en) * 1993-05-17 1994-04-05 John Greene Air freshener device with a ceramic container and an absorbent pad
JP3000181U (ja) 1994-01-14 1994-08-02 株式会社エル・ジェー・ビー 身飾品/耳飾り
US6367706B1 (en) 1998-07-10 2002-04-09 Larry J. Putz Fragrance extend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US20030167599A1 (en) * 2002-03-07 2003-09-11 David Seidler Magnetic hinge
KR200323056Y1 (ko) 2003-05-09 2003-08-14 고영희 향기를 내는 비즈 목걸이
KR200359069Y1 (ko) 2004-05-21 2004-08-16 이재형 장신구용 향기 조절장치
US8919662B2 (en) * 2004-06-24 2014-12-30 Enviroscent, Inc. Scent devices and methods
JP3108423U (ja) 2004-10-26 2005-04-14 株式会社モールドリサーチ 芳香を発生する身飾具
US20070234757A1 (en) * 2006-04-07 2007-10-11 Royal Chain Inc. Resealable charm locket
KR200449506Y1 (ko) * 2008-03-17 2010-07-15 (주)아모레퍼시픽 수평회전식 뚜껑을 구비한 콤팩트의 힌지장치
US9259499B2 (en) * 2010-09-15 2016-02-16 Simpletek LLC Remotely deployable vapor delivery device
KR200470374Y1 (ko) 2012-06-04 2013-12-11 (주)아모레퍼시픽 향기 방출 구조체
CN202874251U (zh) * 2012-08-02 2013-04-17 汕头市京华塑胶有限公司 一种化妆盒
GB2540985A (en) * 2015-08-03 2017-02-08 Leshem Adoram Fragrance volatizing jewelry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same
WO2018011780A1 (en) * 2016-07-10 2018-01-18 Aab Co. Ltd Perfumed jewelr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6891A (ko) * 2012-12-28 2014-07-08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향발생 카트리지
JP3188540U (ja) * 2013-10-31 2014-01-30 サカタインクス株式会社 装飾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83436B2 (ja) 2022-12-05
WO2020080649A1 (ko) 2020-04-23
CN112839543B (zh) 2023-06-23
KR102056449B1 (ko) 2019-12-16
US20210393005A1 (en) 2021-12-23
CN112839543A (zh) 2021-05-25
EP3868247A1 (en) 2021-08-25
US11980261B2 (en) 2024-05-14
EP3868247B1 (en) 2023-09-27
EP3868247A4 (en) 2022-07-06
JP2022508767A (ja) 202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3399B2 (en) Latch mechanism for a timepiece
US20100102142A1 (en) Scent dispenser assembly
KR200490027Y1 (ko) 향 발산량 조절이 가능한 장신구
KR20200002030U (ko) 향 발산량 조절이 가능한 장신구
JP2005006705A (ja) 装身具
KR20200107704A (ko) 착용 패턴에 따라 향 발산량의 자동 조절이 가능한 장신구
US20030188550A1 (en) Holder for jewelry and adornment having the same
US20140013799A1 (en) Container and Jewelry to hold Scroll
US8820116B2 (en) Accessory having decorative coin ornaments and connectors
JP3129194U (ja) 芳香を発散する装身具,身飾品
JP3147796U (ja) 装身具の装飾体
KR200338250Y1 (ko) 향기나는 팔찌
JPWO2007086577A1 (ja) 容器、収納部を有する宝飾品
JP3226565U (ja) 身飾品
KR200352745Y1 (ko) 향기가 발산되는 금속이 구비된 돌하루방 장신구
CN202588562U (zh) 一种珠宝连接件及珠宝首饰
US20230055484A1 (en) Multiple use jewelry
JP3232581U (ja) 香るアクセサリー
KR20050032632A (ko) 향기나는 팔찌
JP3042078U (ja) 芳香機能をもつ装身具
JP3147797U (ja) 装身具の装飾体
JP2020509801A (ja) ジュエリーシステム
EP0442793A1 (fr) Objets de port personnel remplissant une fonction décorative, ornementale ou utilitaire, notamment un bracelet
KR200323056Y1 (ko) 향기를 내는 비즈 목걸이
KR20110008651U (ko) 다기공 발향체를 포함하는 액세서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