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762Y1 - 드릴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드릴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762Y1
KR200489762Y1 KR2020170005421U KR20170005421U KR200489762Y1 KR 200489762 Y1 KR200489762 Y1 KR 200489762Y1 KR 2020170005421 U KR2020170005421 U KR 2020170005421U KR 20170005421 U KR20170005421 U KR 20170005421U KR 200489762 Y1 KR200489762 Y1 KR 2004897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mounting
support
movable plate
lif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4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004U (ko
Inventor
이준열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54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762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0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0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7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7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021Stands, supports or guiding device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for securing them to the work
    • B25H1/0035Extensible supports, e.g.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021Stands, supports or guiding device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for securing them to the work
    • B25H1/0042St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드릴을 거치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드릴 지지장치가 소개된다.
이 드릴 지지장치는 드릴의 거치가 가능한 지지대와, 지지대의 하단에 마련되는 이동판과, 이동판이 목표물을 향하도록 이동판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릴 지지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DRILL}
본 고안은 드릴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선반은 선박의 프로펠러 축과 Rudder Stock, 양수발전소의 Upper shaft, 터빈 로터의 가공 등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대형 선반을 이용하여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해서, 먼저, 선반의 축 중심에 센터 헤드를 삽입한 상태에서, 에어 드릴을 이용하여 선반의 척 죠우를 센터 헤드의 측부에 고정하고, 가공이 필요한 공작물을 대형 선반의 센터 헤드와 심압대 사이에 위치시킨 후, 센터 헤드와 심압대 사이에 위치된 공작물를 회전시켜 가공을 진행한다.
그런데, 종래 척 죠우를 통해 센터 헤드를 선반의 축 중심에 고정하는 경우, 작업자가 에어 드릴을 직접 들고 지지한 상태에서, 에어 드릴을 고속 회전시켜야 하는데, 이때, 작업자가 에어 드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가 쉽지 않고, 에어 드릴의 중간 멈춤 또는 과부하시, 작업자에게 안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특허문헌: 국내 실용신안등록 20-0234387호 (2001. 06. 04. 등록)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선반의 척 죠우 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드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드릴 지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드릴 지지장치는, 드릴을 거치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드릴 지지장치로서, 드릴의 거치가 가능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마련되는 이동판; 및 상기 이동판이 공작물을 향하도록 상기 이동판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드릴 지지장치는, 상기 이동판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판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풋 브레이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드릴을 지지하기 위한 거치 브라켓; 상기 이동판의 상부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내경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승강봉; 상기 거치 브라켓의 하부에 수직하게 연결하고, 상기 암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산이 외경면에 형성되는 승강로드; 및 상기 승강로드를 상기 승강봉에서 입출시키기 위한 승강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 브라켓은 상기 드릴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드릴의 하부가 삽입되는 제 1 거치홈이 형성된 제 1 거치편; 및 상기 제 1 거치편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상기 드릴의 전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드릴의 전단이 관통 가능한 제 2 거치홈이 형성된 제 2 거치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는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판의 하면에는 상기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한 쌍의 이동편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풋 브레이크는 상기 이동판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시소부와, 작업자의 풋 푸시가 가능하도록 상기 시소부의 일단에 절곡 형성되는 푸시부와, 상기 푸시부에 의해 가압시, 상기 베이스와의 마찰에 의해 정지되도록 상기 시소부의 타단에 절곡 형성되는 브레이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선반의 척 죠우 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드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 지지장치에 드릴이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 지지장치를 도시한 후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 지지장치가 대형 선반의 측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 지지장치의 풋 브레이크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실용신안등록 청구 가능한 본 고안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 지지장치에 드릴이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 지지장치를 도시한 후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 지지장치가 대형 선반의 측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 지지장치(10)는, 지지대(100), 이동판(200), 베이스(300) 및 풋 브레이크(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척 죠우(21)를 대형 선반(20)의 축 중심을 향해 이동시키기 위한 드릴(3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센터 헤드(22)를 대형 선반(20)의 축 중심에 장착하기 위한 척 죠우(21)를 대형 선반(20)의 축 중심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드릴(30)을 지지하는 드릴 지지장치(10)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이 드릴 지지장치는 대형 선반 이외에도, 드릴(30)의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분야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지지대(100)는 드릴(30)의 형상에 맞는 거치홈을 제공하는 거치 브라켓(110)과, 이동판(200)의 상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승강봉(120)과, 거치 브라켓(110)의 하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도록 승강봉(120)에 삽입되는 승강로드(130)와, 승강로드(130)를 승강봉(120)에서 입출시키기 위한 승강핸들(1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거치 브라켓(110)은 드릴(3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 1 거치편(111)과, 드릴(30)의 전단을 지지하도록 제 1 거치편(111)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 2 거치편(112)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 1 거치편(111) 및 제 2 거치편(112)에는 드릴(30)의 하부 및 전단에 대한 거치가 이루어지는 제 1 거치홈(111a) 및 제 2 거치홈(112a)이 드릴(3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승강봉(120)은 중공의 암나사봉으로, 이동판(200)의 상부에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승강봉(120)의 내경면에는 승강로드(130)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므로, 승강로드(130)는 암나사산을 따라 승강봉(120)에서 입출되면서 승강될 수 있고, 이때, 거치 브라켓(110)의 높이는 승강로드(130)의 승강 높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승강로드(130)는 외경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로드로, 거치 브라켓(110)의 하부에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고, 승강봉(120)에 삽입되어 회전시 승강봉(120)에서 승강될 수 있다. 이때, 승강로드(130)와 거치 브라켓(110) 사이에는 승강로드(130)를 독립적인 회전시키기 위한 베어링(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로드(130)의 회전에 의해 승강로드(130)가 승강봉(120)에서 승강될 때, 승강로드(130)의 승강운동만이 거치 브라켓(110)에 전달될 수 있다.
승강핸들(140)은 승강봉(12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경면은 승강로드(130)의 외경면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승강핸들(140)의 일방향(예를 들어, 시계방향) 회전시, 승강핸들(140)의 회전력에 의해 승강로드(130)는 승강봉(120)에서 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승강핸들(140)의 타방향(예를 들어, 반시계방향) 회전시, 승강핸들(140)의 회전력에 의해 승강로드(130)는 승강봉(120)에서 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판(200)은 지지대(100)의 하단에 마련되어, 드릴(30)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목표물, 예를 들어, 대형 선반(20)의 척 죠우(21)를 향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판(200)의 하면에는 베이스(300)의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한 쌍의 이동편(210)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300)는 대형 선반의 측부에 이격되게 위치되어, 이동판(200)을 척 죠우(21)를 향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300)는 척 죠우(21)의 이동 방향과 동일 연장선에 배치되고, 베이스(300)의 상면에는 척 죠우(21)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3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치 브라켓(110)에 거치된 드릴(30)이 척 죠우(21)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있는 경우, 작업자는 척 죠우(21)를 향해 지지대(100)를 푸시할 수 있고, 이때, 이동판(200)의 이동편(210)이 베이스(300)의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 지지장치의 풋 브레이크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풋 브레이크(400)는 작업자의 풋 푸시에 의해, 이동판(200)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풋 브레이크(400)는 이동판(200)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시소부(410)와, 시소부(410)의 일단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푸시부(420)와, 시소부(410)의 타단에 상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브레이크부(4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판(200)이 베이스(300)를 따라 이동하는 도중, 작업자가 푸시부(420)를 밟으면, 작업자의 풋 푸시에 의해, 푸시부(420)가 하방향으로 푸시되는데, 이때, 시소부(410)를 중심으로 브레이크부(430)의 상단과 하부(절곡 부분)가 이동판(200)과 베이스(300) 사이에 끼워지므로, 이동판(200)은 정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형 선반(20)의 척 죠우(21)로부터 지지대(100)를 일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한 상태에서, 드릴(30)의 하부 및 전단을 거치 브라켓(110)의 제 1 거치홈(111a) 및 제 2 거치홈(112a)에 각각 거치한다. 이때, 베이스(300)는 척 죠우(21)의 이동방향과 동일 연장선에 배치되므로, 지지대(100)가 연결된 이동판(200)은 베이스(300)의 레일을 따라 척 죠우(21)를 향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유지된다.
드릴(30)이 거치 브라켓(110)에 거치되면, 작업자는 이동판(200)을 척 죠우(21)에 근접하게 이동시킨 상태에서, 풋 브레이크(400)를 이용하여 드릴 지지장치(10)를 고정한다. 예컨대, 드릴 지지장치(10)의 고정을 위해, 작업자가 풋 브레이크(400)의 푸시부(420)를 밟으면, 작업자의 풋 푸시에 의해, 풋 브레이크(400)의 브레이크부(430)가 이동판(200)과 베이스(300) 사이에 끼워지게 되고, 이동판(200)은 해당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다.
이때, 드릴(30)의 높이와 척 죠우(21)의 높이가 서로 상이하면, 승강핸들(140)을 회전시켜, 드릴(30)의 높이와 척 죠우(21)의 높이를 서로 매칭시킬 수 있다.
이후, 드릴(30)과 척 죠우(21)가 서로 매칭 가능한 지점에 위치되면, 드릴(30)과 척 죠우(21) 사이를 연결한 후, 드릴(30)을 작동시킴으로써, 척 죠우(21)를 대형 선반(20)의 축 중심으로 이동시킨다.
동일한 방법으로, 대형 선반(20)의 사방향에 설치된 척 죠우(21)를 대형 선반(20)이 축 중심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축 중심으로 이동된 척 죠우(21)에 의해,센터 헤드(22)는 대형 선반(20)의 축 중심에 고정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지지대 110 :거치 브라켓
120 :승강봉 130 :승강로드
140 :승강핸들 200 :이동판
210 :이동편 300 :베이스
310 :레일 400 :풋 브레이크

Claims (6)

  1. 드릴을 거치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드릴 지지장치로서,
    드릴의 거치가 가능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마련되는 이동판;
    상기 이동판이 목표물을 향하도록 상기 이동판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 및
    상기 이동판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판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풋 브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풋 브레이크는
    상기 이동판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시소부와, 작업자의 풋 푸시가 가능하도록 상기 시소부의 일단에 절곡 형성되는 푸시부와, 상기 푸시부에 의해 가압시, 상기 베이스와의 마찰에 의해 정지되도록 상기 시소부의 타단에 절곡 형성되는 브레이크부를 포함하는 드릴 지지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드릴을 지지하기 위한 거치 브라켓;
    상기 이동판의 상부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내경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승강봉;
    상기 거치 브라켓의 하부에 수직하게 연결하고, 상기 승강봉의 암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산이 외경면에 형성되는 승강로드; 및
    상기 승강로드를 상기 승강봉에서 입출시키기 위한 승강핸들을 포함하는 드릴 지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브라켓은
    상기 드릴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드릴의 하부가 삽입되는 제 1 거치홈이 형성된 제 1 거치편; 및
    상기 제 1 거치편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상기 드릴의 전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드릴의 전단이 관통 가능한 제 2 거치홈이 형성된 제 2 거치편을 포함하는 드릴 지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는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판의 하면에는
    상기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한 쌍의 이동편이 돌출 형성되는 드릴 지지장치.
  6. 삭제
KR2020170005421U 2017-10-19 2017-10-19 드릴 지지장치 KR2004897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421U KR200489762Y1 (ko) 2017-10-19 2017-10-19 드릴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421U KR200489762Y1 (ko) 2017-10-19 2017-10-19 드릴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004U KR20190001004U (ko) 2019-04-29
KR200489762Y1 true KR200489762Y1 (ko) 2019-08-02

Family

ID=66249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421U KR200489762Y1 (ko) 2017-10-19 2017-10-19 드릴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762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2307A (ja) * 2002-10-03 2004-04-22 Kobayashi Gimune Seisakusho:Kk ドリルスタンド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2729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보조 브레이크 장치
KR200234387Y1 (ko) 2001-03-16 2001-10-08 박대용 유압식 자동선반의 센터드릴 장치
KR20070036457A (ko) * 2005-09-29 2007-04-0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마운팅 클립 전용공구
ITMI20090186A1 (it) * 2009-02-12 2010-08-13 Montolit Brevetti Tagliapiastrelle con portautensile regolabile in altezza.
KR101387746B1 (ko) * 2012-03-09 2014-04-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핸드 드릴 지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2307A (ja) * 2002-10-03 2004-04-22 Kobayashi Gimune Seisakusho:Kk ドリルスタン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004U (ko) 201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4244B2 (en) Automatic carving device for wheel
CN105562935A (zh) 一种木板雕刻机
CN103752892A (zh) 角度可调钻孔机
CN104369011A (zh) 一种钻孔夹具
JP3193764U (ja) スクリュー成形加工機
CN114311155B (zh) 一种用于家具板材的高精度打孔设备及其使用方法
CN106002067A (zh) 一种圆管切割辅助支撑夹具
CN102049564B (zh) 切割机及其护罩组件
CN207668536U (zh) 用于数控车床的自动定心跟刀架
CN113043192A (zh) 一种自动化机械的加工用翻转工装及其使用方法
CN202539285U (zh) 一种折弯机的前托料架升降机构
CN103990681A (zh) 辊轮两摆动方向可调的立式旋压机构
KR101927753B1 (ko) 파렛트 클램핑 장치
KR200489762Y1 (ko) 드릴 지지장치
CN205363483U (zh) 龙门架式石材线条机
CN208772475U (zh) 一种加工中心的电主轴及加工中心
CN106276037A (zh) 基于保护板材的输送机构
CN206297328U (zh) 一种玉石雕刻机旋转轴
KR102248127B1 (ko) 자동 팔레트 교환 장치
CN106624865A (zh) 一种工件夹持装置
AU2016101632A4 (en) Radial pin-hole chamfering device
CN106346259B (zh) 卧式铰珩机床系统
CN105033310A (zh) 一种轮胎模具胎侧板钻床
CN212046636U (zh) 一种可转向的雕刻机工件夹持装置
CN109532209B (zh) 一种版辊传动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