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757Y1 - 비닐하우스용 빗물수거장치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용 빗물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757Y1
KR200489757Y1 KR2020170000795U KR20170000795U KR200489757Y1 KR 200489757 Y1 KR200489757 Y1 KR 200489757Y1 KR 2020170000795 U KR2020170000795 U KR 2020170000795U KR 20170000795 U KR20170000795 U KR 20170000795U KR 200489757 Y1 KR200489757 Y1 KR 2004897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mp
rainwater
vinyl house
overflow hole
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7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556U (ko
Inventor
송영기
Original Assignee
한중기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중기반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중기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07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757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5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5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7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7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76Greenhouse gut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76Devices or arrangements for removing snow, ice or debris from gutters or for preventing accumulation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설치하며, 비닐하우스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하방 경사지게 배치되어 빗물을 비닐하우스의 타측 방향으로 이송되게 하는 빗물받이, 상단에 상기 빗물받이의 일단을 연결 결합하며, 상측이 개방된 박스 구조를 가지는 집수통, 집수통의 측면 하부에 형성하며, 집수통 내 하부까지 빗물이 집수시 일부 빗물을 집수통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하부넘침홀, 하부넘침홀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집수통의 측면 상부에 형성하며, 집수통 내 상부까지 빗물이 집수시 일부 빗물을 집수통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상부넘침홀, 집수통의 하단에 연결 결합하며, 집수통으로 집수된 빗물을 집수조로 이송되게 하는 유입관, 집수통 내측 하부에 설치하며, 집수통에서 유입관으로 이송되는 빗물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판을 포함하는 비닐하우스용 빗물수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용 빗물수거장치{Rainwater collector for vinyl house}
본 고안은 빗물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천시 농업용 비닐하우스의 지붕 외측으로 흘러내리는 빗물을 집수조에 저장할 수 있게 하는 비닐하우스용 빗물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빗물은 오래전부터 수자원으로 사용되어오고 있으며, 성분상 이온성분이 수돗물보다 다수 첨가되어 있으므로, 농가에서 사용하여 경작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얻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빗물의 재사용이 대두되는 상황이고, 빗물 집수에 관한 설치를 법제화하고 있으며, 이는 법률(대한민국 수도법 제11조 3항: 2001년 9월 시행)로 제정되어 있다.
이러한, 빗물수거장치는, 비닐하우스 양측에 빗물받이를 통해 빗물을 받은 후, 공급관을 통해 집수조로 빗물을 저장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빗물수거장치는, 폭우와 같이 빗물의 용량이 많을 경우, 빗물받이와 공급관이 연결되는 부위에서 수압이 높아짐으로 인해 공급관을 통한 빗물이 이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이로 인해 빗물받이 부분에서 빗물이 넘쳐 흘러내리면서 비닐하우스 외측 토양이 빗물에 의해 패임과 더불어 배수로로 안정적인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빗물수거장치는,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847826호(2008.07.23)에 제시된다.
본 고안은, 폭우와 같이 빗물의 용량이 많을 때, 빗물받이를 통해 이송된 빗물이 일정 위치에서 유출되게 하면서, 비닐하우스 외측 토양의 패임 발생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배수로로의 안정적인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비닐하우스용 빗물수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설치하며, 상기 비닐하우스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하방 경사지게 배치되어 빗물을 상기 비닐하우스의 타측 방향으로 이송되게 하는 빗물받이, 상단에 상기 빗물받이의 일단을 연결 결합하며, 상측이 개방된 박스 구조를 가지는 집수통, 상기 집수통의 측면 하부에 형성하며, 상기 집수통 내 하부까지 빗물이 집수시 일부 빗물을 상기 집수통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하부넘침홀, 상기 하부넘침홀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집수통의 측면 상부에 형성하며, 상기 집수통 내 상부까지 빗물이 집수시 일부 빗물을 상기 집수통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상부넘침홀, 상기 집수통의 하단에 연결 결합하며, 상기 집수통으로 집수된 빗물을 집수조로 이송되게 하는 유입관, 상기 집수통 내측 하부에 설치하며, 상기 집수통에서 상기 유입관으로 이송되는 상기 빗물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판을 포함하는 비닐하우스용 빗물수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필터판의 상면에는 걸림고리를 상방으로 돌출 형성한 링 구조의 걸림대를 더 결합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판에는 작업자로 하여금 상기 집수통 내부에 설치작업 및 이탈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링크부를 더 결합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링크부는, 일단이 상기 필터판에 연결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집수통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제1연결바, 일단이 상기 제1연결바의 타단에 연결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집수통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ㄱ' 수직단면 형상의 제2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비닐하우스용 빗물수거장치는, 빗물받이를 통해 집수된 빗물은 집수통으로 이동되고, 집수통에서 필터판을 통과한 후, 유입관에서 집수조로 이동할 때, 집수통에 저장되는 빗물의 수위에 따라 하부넘침홀과 상부넘침홀을 통해 일부 빗물이 집수통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빗물의 용량에 상관없이 배출을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빗물에 의한 비닐하우스 주변 토양의 훼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빗물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빗물수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빗물수거장치의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빗물수거장치의 구성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빗물수거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빗물수거장치의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비닐하우스용 빗물수거장치는, 빗물받이(100), 집수통(200), 하부넘침홀(300), 상부넘침홀(400), 유입관(500), 필터판(60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빗물받이(100)는 비닐하우스(10) 외측으로 떨어져 흘러내리는 빗물을 집수한 후, 이후 설명될 집수통(200)으로 이동되게 가이드한다. 이러한, 상기 빗물받이(100)는 상측에 개방부(110)가 형성된 관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빗물받이(100)의 길이방향 일단은 집수통(200) 내측으로 연결되게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빗물받이(100)의 길이방향 타단은 밀폐단(120)이 형성되어, 상기 빗물받이(100)로 집수되는 빗물이 상기 집수통(200)으로만 이동 배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빗물받이(100)의 일측은 상기 비닐하우스(10)의 외측면에 밀착 설치하는데, 이때, 상기 빗물받이(100)의 일측은 상기 비닐하우스(10) 외측면에 안정적인 밀착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비닐하우스(10)의 프레임에 고정상태로 결합 설치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빗물받이(100)는 상기 비닐하우스(10)에서 빗물을 집수한 후, 길이방향 일단에 연결되는 집수통(200)으로 이동 배출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비닐하우스(10)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한다. 즉, 상기 빗물받이(10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빗물받이(100)의 길이방향 타단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빗물받이(100)로 집수되는 빗물이 길이방향 일단 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상기 집수통(200)은 상기 빗물받이(100)로부터 빗물을 전달받아 집수한 후, 이후 설명될 유입관(300)으로 배출되게 가이드한다. 이러한, 상기 집수통(200)은 상측을 개방시킨 박스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집수통(200)의 일측은 상기 빗물받이(100)의 길이방향 일단과 연결 결합되어, 상기 빗물받이(100)로부터 이동되는 빗물을 상기 집수통(200) 내측으로 유입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집수통(200)의 하단은 유입관(300)에 연결 결합되어, 상기 집수통(200) 내부에 유입 집수된 상기 빗물을 유입관(300)으로 배출되도록 이동되게 한다. 이때, 상기 집수통(200)의 하단은 유입관(3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결합되어, 상기 빗물받이(100)와 유입관(500)의 상호 연결되는 연결각을 조절가능하게 함으로써, 설치시 위치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하부넘침홀(300)은 상기 집수통(200)의 측면 하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빗물받이(100)의 길이방향 일단이 연결 결합되는 상기 집수통(200) 위치의 하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하부넘침홀(300)은 상기 집수통(200)의 측면 하부를 내외측으로 관통되게 함으로써, 상기 집수통(200) 내 하부, 즉, 상기 빗물받이(100)의 길이방향 일단이 연결 결합된 위치까지 상기 빗물이 집수시, 일부 빗물을 상기 집수통(200)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이같이, 상기 하부넘침홀(300)은 상기 집수통(200) 내 하측으로 일정량 이상의 상기 빗물이 집수될 때, 상기 하부넘침홀(300)까지 상승하는 상기 집수통(200) 내 상기 빗물의 일부가 상기 집수통(200)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바, 상기 집수통(200) 내에서 빗물의 수위가 상기 하부넘침홀(300) 상부보다 상승하는 것을 억제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집수통(200)의 측면 하부에는 상기 하부넘침홀(300)과 연결되어, 상기 하부넘침홀(300)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빗물을 농경지의 배수로(도면미도시)나 상기 비닐하우스(10) 내측으로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하부연결관(도면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상부넘침홀(400)은 상기 집수통(200)의 측면 상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빗물받이(100)의 길이방향 일단이 연결 결합되는 상기 집수통(200) 위치의 상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상부넘침홀(400)은 상기 집수통(200)의 측면 상부를 내외측으로 관통되게 함으로써, 상기 집수통(200) 내 상부, 즉, 상기 빗물받이(100)의 길이방향 일단이 연결 결합된 위치보다 상부로 상기 빗물이 집수시, 일부 빗물을 상기 집수통(200)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이같이, 상기 상부넘침홀(400)은 상기 집수통(200) 내 상측으로 일정량 이상의 상기 빗물이 집수될 때, 상기 상부넘침홀(400)까지 상승하는 상기 집수통(200) 내 상기 빗물의 일부가 상기 집수통(200)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바, 상기 집수통(200) 내에서 빗물의 수위가 상기 상부넘침홀(400) 상부보다 상승하는 것을 억제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집수통(200)의 측면 상부에는 상기 상부넘침홀(400)과 연결되어, 상기 상부넘침홀(400)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빗물을 농경지의 배수로(도면미도시)나 상기 비닐하우스(10) 내측으로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상부연결관(도면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같이, 상기 집수통(200) 내측에 집수되는 상기 빗물이 각각 상기 하부넘침홀(300)과 상기 상부넘침홀(400) 위치까지 상승할 경우, 일부의 상기 빗물이 상기 집수통(200)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이후 설명될 상기 필터판(600)을 통한 유입관(500)으로부터 빗물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더불어, 상기 집수통(200) 내측에 집수되는 상기 빗물이 상기 집수통(200)의 상단 테두리 부분을 흘러넘치지 않고 상기 하부넘침홀(300)과 상기 상부넘침홀(400)을 통한 수위에 따라 상기 집수통(200) 외부로 배출되게 함에 따라 상기 집수통(200)에 집수되는 상기 빗물을 용도에 따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집수통(200)의 하부넘침홀(300)을 통해서는 침전물이 많이 포함된 빗물이 배출되고, 상대적으로 상기 하부넘침홀(300)보다 상부에 배치된 상기 상부넘침홀(400)을 통해서는 상기 하부넘침홀(300)보다 깨끗한 빗물이 배출됨으로써, 빗물의 사용용도를 다양하게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하부넘침홀(300)과 상기 상부넘침홀(400)은 상기 집수통(200) 내측에 집수된 빗물 중 일부를 유입관(500)이 아닌 상기 집수통(200) 외부로 배출되게 하면서, 상기 빗물에 의한 유입관(500)과의 연결부위에 대한 압력을 감소시켜 유입관(500)으로의 빗물 배출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유입관(500)은 상기 빗물받이(100)에서 상기 집수통(200) 내측으로 집수된 상기 빗물을 집수조(도면미도시)로 이송되게 하는 관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유입관(500)의 상단 일측은 상기 집수통(200)의 하단에 연결되게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유입관(500)의 길이방향 일단은 집수조에 연결되도록 결합하며, 상기 유입관(500)의 길이방향 타단은 다른 집수조를 추가 구비할 경우, 다른 집수조에 연결되도록 결합하거나, 다른 집수조가 추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에는 폐쇄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판(600)은 상기 집수통(200)에 집수된 상기 빗물에서 이물질을 걸러 내도록 하는 필터부재이다. 즉, 상기 필터판(600)은 상기 집수통(200)에서 상기 유입관(500)으로 이동하는 상기 빗물에서 이물질을 걸러낸다. 이러한, 상기 필터판(600)은 그물망 구조를 가지며, 상기 필터판(600)의 내측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판(600)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게 걸림고리(611)가 형성된 링 구조의 걸림대(610)를 결합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걸림대(610)는 상기 필터판(600)을 상기 집수통(200) 내측에서 이탈시키고자 할 때, 작업자가 바 부재(도면미도시)의 단부를 상기 걸림고리(611)에 걸림되게 하면서 상기 필터판(600)을 용이하게 상기 집수통(200)에서 들어올리도록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판(600)에는 작업자로 하여금 상기 집수통(200) 내부에 설치작업 및 이탈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연결링크부(620)를 연결되도록 결합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연결링크부(620)는 제1연결바(621), 제2연결바(6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바(621)는 상기 필터판(600)의 일측에 연결 결합되는 바 부재이다. 즉, 상기 제1연결바(621)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필터판(600)의 일측에 연결되게 결합하며, 상기 제1연결바(621)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집수통(200)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 상태로 제2연결바(622)에 연결되게 결합한다.
상기 제2연결바(622)는 상기 제1연결바(621)에 연결되도록 설치하여, 작업자가 파지한 상태로 상기 필터판(600)의 상기 집수통(200) 내 설치 및 이탈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는 바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제2연결바(622)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제1연결바(621)의 길이방향 타단에 연결되게 결합하며, 상기 제2연결바(622)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집수통(200)의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한다. 즉 상기 제2연결바(622)는 'ㄱ' 자의 수직단면 형상을 가지며, 하단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좀 더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손잡이(도면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빗물수거장치는, 상기 빗물받이(100)를 통해 집수된 빗물은 상기 집수통(200)으로 이동되고, 상기 집수통(200)에서 상기 필터판(600)을 통과한 후, 상기 유입관(500)에서 집수조로 이동할 때, 상기 집수통(200)에 저장되는 빗물의 수위에 따라 상기 하부넘침홀(300)과 상기 상부넘침홀(300)을 통해 일부 빗물이 상기 집수통(200)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상기 빗물의 용량에 상관없이 배출을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상기 빗물에 의한 비닐하우스 주변 토양의 훼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상기 빗물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빗물받이 200: 집수통
300: 하부넘침홀 400: 상부넘침홀
500: 유입관 600: 필터판

Claims (4)

  1. 비닐하우스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설치하며, 상기 비닐하우스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하방 경사지게 배치되어 빗물을 상기 비닐하우스의 타측 방향으로 이송되게 하는 빗물받이와;
    상단에 상기 빗물받이의 일단을 연결 결합하며, 상측이 개방된 박스 구조를 가지는 집수통과;
    상기 집수통의 측면 하부에 형성하며, 상기 집수통 내 하부까지 빗물이 집수시 일부 빗물을 상기 집수통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하부넘침홀과;
    상기 하부넘침홀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집수통의 측면 상부에 형성하며, 상기 집수통 내 상부까지 빗물이 집수시 일부 빗물을 상기 집수통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상부넘침홀과;
    상기 집수통의 하단에 연결 결합하며, 상기 집수통으로 집수된 빗물을 집수조로 이송되게 하는 유입관과;
    상기 집수통 내측 하부에 설치하며, 상기 집수통에서 상기 유입관으로 이송되는 상기 빗물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판;을 포함하며,
    상기 집수통의 측면 하부에는 상기 하부넘침홀과 연결되게 하부연결관을 구비하며, 상기 집수통의 측면 상부에는 상기 상부넘침홀과 연결되게 상부연결관을 구비하여, 상기 하부넘침홀과 상기 상부넘침홀으로 배출되는 빗물은 각각 상기 하부연결관 및 상기 상부연결관을 통해 농경지의 배수로나 비닐하우스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빗물을 용도에 따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비닐하우스용 빗물수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판의 상면에는 걸림고리를 상방으로 돌출 형성한 링 구조의 걸림대를 더 결합 구비하는 비닐하우스용 빗물수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판에는 작업자로 하여금 상기 집수통 내부에 설치작업 및 이탈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링크부를 더 결합 구비하는 비닐하우스용 빗물수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부는,
    일단이 상기 필터판에 연결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집수통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제1연결바와,
    일단이 상기 제1연결바의 타단에 연결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집수통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ㄱ' 수직단면 형상의 제2연결바를 포함하는 비닐하우스용 빗물수거장치.


KR2020170000795U 2017-02-16 2017-02-16 비닐하우스용 빗물수거장치 KR2004897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795U KR200489757Y1 (ko) 2017-02-16 2017-02-16 비닐하우스용 빗물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795U KR200489757Y1 (ko) 2017-02-16 2017-02-16 비닐하우스용 빗물수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556U KR20180002556U (ko) 2018-08-27
KR200489757Y1 true KR200489757Y1 (ko) 2019-08-12

Family

ID=63405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795U KR200489757Y1 (ko) 2017-02-16 2017-02-16 비닐하우스용 빗물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757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2634A (ja) * 1999-03-30 2000-10-10 Seikoo Sangyo Kk バルコニーの排水構造
JP2007182678A (ja) * 2005-12-29 2007-07-19 Sumitomo Forestry Co Ltd 集水器
KR101574644B1 (ko) * 2015-06-09 2015-12-04 혁신테크산업 주식회사 이물질이 함유된 초기빗물을 배제한 우수 집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691A (ja) * 1992-07-01 1994-01-28 Hitachi Maxell Ltd リチウム電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2634A (ja) * 1999-03-30 2000-10-10 Seikoo Sangyo Kk バルコニーの排水構造
JP2007182678A (ja) * 2005-12-29 2007-07-19 Sumitomo Forestry Co Ltd 集水器
KR101574644B1 (ko) * 2015-06-09 2015-12-04 혁신테크산업 주식회사 이물질이 함유된 초기빗물을 배제한 우수 집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556U (ko) 201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521884U (zh) 屋顶雨水收集灌溉系统
US20110100887A1 (en) Downspout debris collector
KR101838899B1 (ko) 빗물 재활용 처리 시스템 및 빗물받이의 필터설치구조
US20110239547A1 (en) Pivotable gutter assembly
KR200489757Y1 (ko) 비닐하우스용 빗물수거장치
KR101355342B1 (ko) 우수 재사용을 위한 집수장치
JP5668198B2 (ja) 雨水継手
WO2016085320A1 (en) Rainwater harvesting apparatus
CN206625319U (zh) 一种用于海绵城市雨水收集利用系统的立式调蓄罐
CN214460811U (zh) 一种屋面雨水收集装置
KR101925564B1 (ko) 저류조를 구비한 빗물집수장치
KR102249356B1 (ko) 빗물받이 홈통 구조체
CN206521784U (zh) 屋顶雨水收集装置
KR200431109Y1 (ko) 이물질 거름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
KR200440804Y1 (ko) 개량 우수받이
JP2003155761A (ja) 雨水貯留装置
CN211622308U (zh) 一种安装于屋顶的绿化排水设备
CN209556104U (zh) 雨水回收系统
JP2014058804A (ja) 集水桝の土砂、ゴミ除去装置
JP4915595B2 (ja) 雨水取り出し装置
JP5048467B2 (ja) 雨水取り出し装置
US20180112384A1 (en) Drainage treatment system
CN105908825A (zh) 一种楼顶雨水综合利用结构
CN206769233U (zh) 雨污水收集利用系统
CN206319397U (zh) 一种雨水弃流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