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572Y1 - 건축 구조물에서의 층간 설치용 가설 경사 계단 - Google Patents

건축 구조물에서의 층간 설치용 가설 경사 계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572Y1
KR200489572Y1 KR2020170003347U KR20170003347U KR200489572Y1 KR 200489572 Y1 KR200489572 Y1 KR 200489572Y1 KR 2020170003347 U KR2020170003347 U KR 2020170003347U KR 20170003347 U KR20170003347 U KR 20170003347U KR 200489572 Y1 KR200489572 Y1 KR 2004895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bar
stairway
support
present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060U (ko
Inventor
유수원
Original Assignee
유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수원 filed Critical 유수원
Priority to KR20201700033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572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0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0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5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5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0Steps or ladders specially adapted for scaff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 구조물에서의 층간 설치용 가설 경사 계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양쪽 지주(10)(20) 사이에 복수의 발판(30)이 배열 설치되는 가설 계단에 있어서, 상기 지주(10)(20)의 상단에 대해 각각 회전수단(10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주(10)(20) 상단의 구조물 밀착시 선택적 회전 가능하게 되어 상기 구조물에 슬라이드 안착 또는 걸림 안착되는 회전 지지체(2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고안은 공사 현장 등지에서 가설 계단의 설치시 작업자에 의한 간편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고려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건축 구조물에서의 층간 설치용 가설 경사 계단{A temporary step}
본 고안은 건축 구조물에서 층간 계단 설치시 임시적으로 설치되는 가설 계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 구조물에서 작업자의 층간 이동을 위한 가설 계단 설치시 사용자 편의 및 안전을 고려함은 물론 간편하고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 구조물에서의 층간 설치용 가설 경사 계단에 관한 것이다.
통상 건축 구조물의 신축 공사에서 작업자가 층간 오르내리며 이동할 수 있도록 가설 계단을 설치하고 있다.
종래 가설 계단은, 콘크리트 타설 후 경화되기 까지 이를 보호하기 위하여 임시적으로 설치되어 경사진 임시 이동로를 형성하게 되고, 이는 목재 또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게 되며, 그 구조를 살펴보면 양쪽 지주 사이에 복수의 발판이 경사각을 가지며 배열되어 이루어진 것이 적용된다.
상기와 같이 임시 이동로를 이루게 되는 가설 계단은 층간 설치된 상태에서 가설 계단의 상단이 구조물에 안정되게 고정되지 않고 밀착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작업자의 이동시 흔들림이 발생되고 심한 경우 가설 계단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왔다.
또한, 종래 가설 계단의 기본적 구조는 국내 실용신안 공개 제20-1998-0008346호 가설계단으로 제시된 바 있다.
이는, 공개 자료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다수개의 발판의 좌우양측단에 후레임을 삽치고정하여 가설계단을 구성함에 있어서, 각각 발판의 좌우양측에 각각 한 쌍의 볼트 돌출시킨 것을 일정간격으로 삽치구멍이 형성된 좌우 각각 한 쌍의 후레임에 삽치시킨 다음, 너트로 상기 볼트를 체결 고정하되 볼트가 상기 후레임의 구멍에서 회동자재하도록 체결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223371호 건축현장의 경사로용 가설 계단이제시된 바 있다.
이는, 목재패널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으로 통공과 스파이크를 구비한 플랜지가 소정부위에 형성된 한 쌍의 후방프레임; 상기 후방프레임과 대응하여 적당한 간격을 두고 장방형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전방프레임; 상기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의 사이에 각각 소정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다수의 발판으로 구성된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구조의 가설 계단은 설치 및 분리가 간편함에 따라 재활용을 통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작업 현장에서 가설 계단의 상하단을 구조물에 연결시키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어왔다.
KR 특허등록 제10-0509628호 등록일 2005년 08월 12일 KR 실용신안공개 제20-1998-0008346호 공개일 1998년 04월 30일 KR 실용신안등록 제20-0223371호 등록일 2001년 02월 28일 KR 실용신안등록 제20-0373393호 등록일 2005년 01월 06일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은 공사 현장 등지에서 가설 계단의 설치시 작업자에 의한 간편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작업자의 안전이 고려한 가설 계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시말해, 건축 구조물에 가설 계단의 설치시 설치 장소의 구조물 환경에 따라 가설 계단의 상단이 선택적으로 적용 설치되도록 하여 가설 계단의 안정된 고정 상태 유지는 물론 작업자가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건축 구조물에서 작업자가 층간 이동이 가능하도록 임시적으로 설치되는 가설 계단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한 쌍의 지주와; 상기 지주와 지주 사이에 배열되는 복수의 발판과; 상기 지주의 상단에 대해 각각 회전수단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주 상단의 구조물 밀착시 선택적 회전 가능하게 되어 상기 구조물에 슬라이드 안착 또는 걸림 안착되는 회전 지지체를 포함하여 달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지지체가, 상기 회전수단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상단에서 2개로 분기되어 이루어지며 구조물 거치시 수평 상태로 슬라이드 안착되는 일자형 수평단과, 상기 구조물 거치시 걸림 고정되도록 단부가 절곡되어 이루어진 절곡형 걸림단으로 형성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회전수단이, 상기 지주의 상단에 일체로 결합되며, 중심에 상기 수직바의 단부가 수직하게 삽입되어 하향 통과될 수 있도록 삽입공이 형성된 고정부재 및 상기 회전 지지체의 수직바 하단에 결합되어 상향 이동시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에 걸림되는 잠금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바의 하단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에 상기 잠금부재의 나사홀이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공사 현장 등지에서 가설 계단의 설치시 작업자가 작업 환경에 맞추어 일자형 수평단 또는 절곡형 걸림단을 선택한 후 이를 통해 구조물에 설치하여 사용하도록 함에 따라 간편한 설치는 물론 작업 안정성을 갖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 구조물에서의 층간 설치용 가설 경사 계단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회전 지지체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서 회전 지지체가 지주에 대해 상하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구조물에의 지지 및 걸림 고정이 선택적으로 가능한 가설 계단이 일자형 수평단을 통해 건축 구조물에 지지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구조물에의 지지 및 걸림 고정이 선택적으로 가능한 가설 계단이 절곡형 걸림단을 통해 건축 구조물에 걸림 지지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은, 작업 현장 등지에서 작업자가 높은 곳을 오르내리기 위해 설치하는 가설 계단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가설 계단은, 도 1 내지 도 6의 도시에 의하여 하단이 바닥면에 지지되고 상단이 일정각도 경사진 상태에서 구조물에 지지되는 양쪽 지주(10)(20)와, 상기 양쪽 지주(10)(20) 사이에 배열되는 복수의 발판(30) 및 상기 양쪽 지주(10)(20)의 상단에 구비되어 구조물의 특성에 따라 상기 지주(10)(20)의 상단이 슬라이드 고정 또는 걸림 고정되도록 하는 회전 지지체(200)로 구성된다.
상기 지주(10)(20)는, 공지와 같이 알루미늄 등의 소재로 압출 성형된 것이 적용될 수 있으며, 양쪽 내벽에 상기 발판(30) 결합을 위한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상기 발판(30)은, 상기 지주(10)와 지주(10) 사이에 위치되며 경사진 상태에서 양쪽 단부가 각각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져 일체형을 이루며 고정된다.
상기 회전 지지체(200)는, 금속 또는 내구성을 갖는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며 회전수단(100)을 통해 상기 지주(10)(20)의 상단에 각각 결합되는 수직바(210)와, 상기 수직바(210)의 상단으로부터 2개로 절곡 분기되는 일자형 수평단(220) 및 단부가 절곡된 절곡형 걸림단(2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수단(100)은, 상기 회전 지지체(200)의 수직바(210)가 상하로 삽입되어 슬라이드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공(122)이 형성된 고정부재(120)와, 상기 고정부재(120)의 삽입공(122)에 삽입된 상기 회전 지지체(200)의 수직바(210)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직바(210)의 하단에 결합되는 잠금부재(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바(210)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이 가능하며 상기 수직바(210)의 상단에는 2개로 분기된 일자형 수평단(220)과 절곡형 걸림단(230)이 구비된다.
상기 수직바(210)는, 상기 고정부재(120)의 삽입공(122)에 상하 슬라이드 삽입되어 일정높이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일자형 수평단(220)은, "ㅡ" 형의 일자 형태로 구조물의 수평 슬래브(S)에 지지시 수평하게 올려져 지지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수직바(210)의 상단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그 단면은 원형 뿐만아니라 패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형 걸림단(230)은, 일단이 상기 수직바(210)의 상단에서 상기 일자형 수평단(220)과 함께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이 "ㄱ" 형상으로 절곡되어 절곡부분이 철골(T) 등에 걸림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120)는, 일측이 상기 지주(10)(20)의 양쪽 외측에 각각 일체형으로 결합되며, 중심에 상기 지주(10)(20)와 평행한 삽입공(12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120)는, 상기 지주(10)(20)에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되거나, 상기 지주(10)(20)의 압출 성형시 함께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140)는, 상기 수직바(210)의 하단에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 지지체(200)의 수직부(210)가 상기 고정부재(120)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게 된다.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수직바(210)의 하단에 나사부(212)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나사부(212)에 상기 잠금부재(140)가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면 된다. 상기 잠금부재(140)는 중심에 상기 나사부(212)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홀(142)이 형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 구조물에서의 층간 설치용 가설 경사 계단의 조립 및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조립시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설 계단을 이루는 지주(10)(200의 상단 외측에 고정부재(120)를 용접 등을 통해 일체로 결합시킨 다음 상기 고정부재(120)의 삽입공(122)에 회전 지지체(200)의 수직바(210)를 삽입시킨 후 상기 수직바(210)의 나사부(212)에 잠금부재(140)를 나사 결합시키되 상기 고정부재(120)에 대해 상기 수직바(210)가 일정거리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한 상태에서 결합 고정시키면 된다.
설치시에는,
구조물의 슬래브(S) 등과 같은 평활면 상단에 거치시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설 계단을 경사지게 위치시킨 후 상단에 제공된 상기 회전 지지체(200)를 회전시켜 일자형 수평단(220)이 평활면의 상면에 올려지도록 얹히면 설치가 완료 된다.
구조물에서 철골(T) 등과 같은 걸림 가능한 구조물에 거치시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회전 지지체(210)를 회전시켜 절곡형 걸림단(230)이 구조물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절곡형 걸림단(230)의 단부가 구조물에 걸림되도록 하면 설치가 완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S: 슬래브 T: 철골
10,20: 지주 30: 발판
100: 회전수단
120: 고정부재 122: 삽입공
140: 잠금부재 142: 나사홀
200: 회전 지지체
210: 수직바 212: 나사부
220: 일자형 수평단
230: 절곡형 걸림단

Claims (4)

  1. 건축 구조물에서 작업자가 층간 이동이 가능하도록 임시적으로 설치되는 가설 계단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한 쌍의 지주(10)(20)와; 상기 지주(10)와 지주(20) 사이에 배열되는 복수의 발판(30)과; 상기 지주(10)(20)의 상단에 대해 각각 회전수단(10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주(10)(20) 상단의 구조물 밀착시 선택적 회전 가능하게 되어 상기 구조물에 슬라이드 안착 또는 걸림 안착되는 회전 지지체(200)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 지지체(200)가,
    상기 회전수단(1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바(210)와, 상기 수직바(210)의 상단에서 2개로 분기되어 이루어지며 구조물 거치시 수평 상태로 슬라이드 안착되는 일자형 수평단(220)과, 상기 구조물 거치시 걸림 고정되도록 단부가 절곡되어 이루어진 절곡형 걸림단(230)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수단(100)은,
    상기 지주(10)(20)의 상단에 일체로 결합되며, 중심에 상기 수직바(210)의 단부가 수직하게 삽입되어 하향 통과될 수 있도록 삽입공(122)이 형성된 고정부재 (120)및 상기 회전 지지체(200)의 수직바(210) 하단에 결합되어 상향 이동시 상기 고정부재(120)의 하단에 걸림되는 잠금부재(140)를 포함하도록 하며;
    상기 수직바(210)의 하단에 나사부(212)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212)에 상기 잠금부재(140)의 나사홀(142)이 나사 결합되어 고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에서의 층간 설치용 가설 경사 계단.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70003347U 2017-06-28 2017-06-28 건축 구조물에서의 층간 설치용 가설 경사 계단 KR2004895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347U KR200489572Y1 (ko) 2017-06-28 2017-06-28 건축 구조물에서의 층간 설치용 가설 경사 계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347U KR200489572Y1 (ko) 2017-06-28 2017-06-28 건축 구조물에서의 층간 설치용 가설 경사 계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060U KR20190000060U (ko) 2019-01-07
KR200489572Y1 true KR200489572Y1 (ko) 2019-07-05

Family

ID=65012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347U KR200489572Y1 (ko) 2017-06-28 2017-06-28 건축 구조물에서의 층간 설치용 가설 경사 계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572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538Y1 (ko) * 2004-04-12 2004-06-30 고려개발 주식회사 보행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967A (ja) * 1994-06-23 1996-01-16 Sekisui House Ltd はしご固定金具
KR980008346U (ko) 1996-07-15 1998-04-30 김삼수 가설계단
KR200223371Y1 (ko) 1998-12-10 2001-05-15 이병호 건축현장의 경사로용 가설 계단
KR100509628B1 (ko) 2003-07-04 2005-08-22 (주)두합 캡(cap)형태의 소재를 가공하는 트랜스퍼 머신과 이를사용한 가공방법 및 사용부품
KR200373393Y1 (ko) 2004-10-25 2005-01-15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지하철 계단용 경사로 가설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538Y1 (ko) * 2004-04-12 2004-06-30 고려개발 주식회사 보행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060U (ko) 201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5262B2 (en) Modular ledgers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11970873B2 (en) Bearing plate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KR101215330B1 (ko) 앵글 조립식 교량점검통로
KR101011417B1 (ko) 에프에스엠 공법용 시스템 거푸집 설비
KR101587400B1 (ko) 교량 상판 연장 시공용 일체형 거푸집
US10465399B2 (e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KR200490153Y1 (ko) 교량용 거치식 점검설비
US11976483B2 (en) Modular posts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KR101930844B1 (ko) 데크로드 난간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289048B1 (ko) 가설벤트를 이용한 조립식 고하중 안전계단
EP3870780A1 (en) Beam for formwork systems
JP6021604B2 (ja) 仮設足場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KR102088599B1 (ko) 각도 조정이 용이한 조립식 난간 구조
JP2009030345A (ja) 組立式立体構築物
KR20140112236A (ko) 계단용 가설난간지주
KR200489572Y1 (ko) 건축 구조물에서의 층간 설치용 가설 경사 계단
KR101739126B1 (ko) 탑다운 방식 지하 구조물 형성 방법
KR102053847B1 (ko) 리프트를 사용하는 건축물 출입용 방호선반
CN203393929U (zh) 可调节式楼梯临时防护栏杆
KR101265098B1 (ko) 조립형 난간
KR20190108739A (ko) 보 테이블폼 안전난간대
KR100901016B1 (ko) 건축물의 외벽 비계 안전 브라켓
JP4681428B2 (ja) 持ち出し手摺
KR20230001323U (ko) 난간 지주대
KR20150015699A (ko) 조립식 도로확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