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323U - 난간 지주대 - Google Patents

난간 지주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323U
KR20230001323U KR2020210003884U KR20210003884U KR20230001323U KR 20230001323 U KR20230001323 U KR 20230001323U KR 2020210003884 U KR2020210003884 U KR 2020210003884U KR 20210003884 U KR20210003884 U KR 20210003884U KR 20230001323 U KR20230001323 U KR 202300013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support
formwork
pressing
hand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8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준식
Original Assignee
남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준식 filed Critical 남준식
Priority to KR20202100038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323U/ko
Publication of KR202300013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32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2Workplatforms, railings; Arrangements for pouring concrete, attached to th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의 난간 지주대는, 거푸집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날개에 난간 설치를 위해 고정되는 지주대로서, 상기 날개의 하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받침대가 일단부에 구비된 수직부; 상기 받침대의 상측에 위치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날개의 상부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구비된 가압부; 및 상기 수직부의 타단부에 구비된 지지대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며, 단부가 상기 가압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가압력 제공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난간 지주대는, 수직부의 받침대 상부에 거푸집의 날개 하부면을 밀착시킨 후 거푸집 날개의 상측에 위치된 가압부를 가압력 제공부에 의해 하강시켜 날개 상부면을 고정시키게 되므로 알폼이나 유로폼 등과 같은 거푸집에 난간 고정이 용이하고, 작업 시간이 단축되며,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됨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난간 지주대 {GUARDRAIL POST}
본 고안은 난간 지주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알폼이나 유로폼 등과 같은 거푸집에 설치되어, 난간을 세우도록 구비된 난간 지주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이나 시설물, 토목 건설 현장에서는 시공 중에 공사 현장의 작업자를 비롯한 사람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 난간을 설치하고, 상기 난간을 지지하는 안전 난간대를 거푸집에 체결시키면서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한 층의 슬래브 및 벽체 시공을 위한 거푸집을 설치한 상태에서 해당층의 주위 둘레부와 엘리베이터 설치공간, 계단 부분 등은 상하로 연통된 공간이 형성되어 사람이 추락할 위험이 상존해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해당 부분에 안전 난간을 설치하고, 콘크리트 타설 시에 이를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난간 포스트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196719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발코니의 단턱에 기둥 고정브라켓이 칼브록을 통해 고정되므로 난간의 설치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여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며, 설치된 난간의 구조도 안정적이지 못하여 미관상은 물론 안전 면에서도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196719호(2000.07.07)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알폼이나 유로폼 등과 같은 거푸집에 손쉽고 빠르면서 안정적으로 설치 가능한 난간 지주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난간 지주대는, 거푸집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날개에 난간 설치를 위해 고정되는 지주대로서, 상기 날개의 하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받침대가 일단부에 구비된 수직부; 상기 받침대의 상측에 위치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날개의 상부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구비된 가압부; 및 상기 수직부의 타단부에 구비된 지지대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며, 단부가 상기 가압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가압력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거푸집 날개의 폭과 대응되는 간격을 갖도록 선후단에 제1, 2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돌기는 사이가 상기 받침대의 폭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부에 보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난간 지주대는, 수직부의 받침대 상부에 거푸집의 날개 하부면을 밀착시킨 후 거푸집 날개의 상측에 위치된 가압부를 가압력 제공부에 의해 하강시켜 날개 상부면을 고정시키게 되므로 알폼이나 유로폼 등과 같은 거푸집에 난간 고정이 용이하고, 작업 시간이 단축되며,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됨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난간 지주대를 거푸집 날개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난간 지주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난간 지주대를 확대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난간 지주대가 거푸집 날개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난간 지주대에서 가압부를 도시한 사시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난간 지주대에서 가압부의 제2 돌기 중심부에 형성된 홈부의 간격이 받침대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결합되기 전후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난간 지주대를 거푸집 날개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난간 지주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난간 지주대를 확대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난간 지주대가 거푸집 날개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난간 지주대에서 가압부를 도시한 사시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난간 지주대에서 가압부의 제2 돌기 중심부에 형성된 홈부의 간격이 받침대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결합되기 전후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간 지주대(100)는 수직부(110), 가압부(120) 및 가압력 제공부(130)를 포함하며, 거푸집(10)의 가장자리 상단 등에 형성된 측면 프레임인 날개(12)에 난간 설치를 위해 고정되는 장치이다.
수직부(1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10) 날개(12)의 하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받침대(112)가 하부 측면에 돌출 구비되고, 받침대(112)의 상측에 가압력 제공부(130)를 지지하는 지지대(114)가 돌출 구비된다.
더욱이, 수직부(110)는 상하측에 난간 구성을 위한 수평바가 결합되도록 설치공(116)이 횡방향으로 복수 형성된다.
이때 수직부(110)는 원형 파이프 구조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각 파이프 구조나 다각 파이프 구조 등으로도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받침대(112)는 철판을 평면 형상이 "U"자 형상을 갖도록 절곡한 상태에서 양단을 수직부(110)의 하단 양측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시킨다.
지지대(114)는 철판을 평면 형상이 "U"자 형상을 갖도록 절곡한 상태에서 양단을 받침대(112)의 상측인 수직부(110)의 하단 양측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시킨다.
더욱이, 지지대(114)는 너트부를 선단에 고정시켜 가압력 제공부(130)가 나선 체결되도록 구비한다.
가압부(12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12)와 지지대(114)의 사이에 위치되어 거푸집(10) 날개(12)의 상부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며, 거푸집(10) 날개(12)의 폭과 대응되는 간격을 갖도록 저면 전후에 제1, 2 돌기(122, 124)가 하방으로 절곡 형성된다.
제1, 2 돌기(122, 124)는 거푸집(10)의 날개(1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제2 돌기(124)는 중심부에 받침대(112)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홈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가압부(120)가 거푸집(10) 날개(12)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하강하게 되면 제2 돌기(124)의 홈부가 받침대(112)의 양측에 결합되므로 가압력 제공부(130)의 회전시 가압부(120)가 연동되지 않는다.
더욱이, 가압부(120)는 상면에 "X"자 형상의 보강돌기(126)가 가압에 의해 형성되어 거푸집(10) 날개(12)의 가압 과정에서 변형 등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가압부(120)는 상면 형상이 사각형으로 구비되므로 받침대(112)와 지지대(114)의 사이에 위치되면 가압력 제공부(130)를 회전시켜도 양측 모서리 부분이 수직부(110)의 표면에 걸리게 되므로 이동과정에서 가압력 제공부(130)에 연동되지 않는다.
가압력 제공부(13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14)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며, 단부가 가압부(120)의 중심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가압력 제공부(130)는 볼트 구조로 구비되며, 상부에 육각 기둥 형상의 머리가 구비되고, 머리 하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하단에 확경 상태로 형성된 돌기에 의해 가압부(120)의 중심에서 회전(자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난간 지주대(100)를 알폼이나 유로폼 등과 같은 거푸집(10) 날개(12)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거푸집(10)이 직립 설치된 상태에서 가장자리에 구비된 날개(12)가 상면을 향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가압력 제공부(13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받침대(112)와 가압부(120)와의 간격을 넓힌다.
다음으로, 거푸집(10) 날개(12)의 저면에 받침대(112)의 상면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가압력 제공부(130)를 공구 등을 통해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가압부(120)의 저면이 날개(12)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 가압부(120)는 하부 전후방에 하방을 향하도록 구비된 제1, 2 돌기(122, 124)가 거푸집(10) 날개(12)의 폭과 대응되므로 날개(1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가압력 제공부(130)를 더 회전시키면 가압부(120)의 저면이 날개(12)의 상면을 가압하게 되므로 수직부(110)가 거푸집(10) 날개(12)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역순으로 난간 지주대(100)를 거푸집(10) 날개(12)에서 분리시키면 난간 지주대(100)의 재활용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들은 서로 간에 명백하게 구현의 측면에서 배척되는 조합이 아닌 이상 위에서 예시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기타 가능한 다양한 변경조합의 실시예로 구현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100: 난간 지주대 110: 수직부
112: 받침대 114: 지지대
120: 가압부 122, 124: 제1, 2 돌기
126: 보강돌기 130: 가압력 제공부

Claims (3)

  1. 거푸집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날개에 난간 설치를 위해 고정되는 지주대로서,
    상기 날개의 하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받침대가 일단부에 구비된 수직부;
    상기 받침대의 상측에 위치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날개의 상부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구비된 가압부; 및
    상기 수직부의 타단부에 구비된 지지대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며, 단부가 상기 가압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가압력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지주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거푸집 날개의 폭과 대응되는 간격을 갖도록 선후단에 제1, 2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돌기는 사이가 상기 받침대의 폭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지주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부에 보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지주대.
KR2020210003884U 2021-12-21 2021-12-21 난간 지주대 KR2023000132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884U KR20230001323U (ko) 2021-12-21 2021-12-21 난간 지주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884U KR20230001323U (ko) 2021-12-21 2021-12-21 난간 지주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323U true KR20230001323U (ko) 2023-06-28

Family

ID=86946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884U KR20230001323U (ko) 2021-12-21 2021-12-21 난간 지주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323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6719B1 (ko) 1996-03-29 1999-06-15 김영환 무인기지국 자동제어장치를 부가한 무인기지국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6719B1 (ko) 1996-03-29 1999-06-15 김영환 무인기지국 자동제어장치를 부가한 무인기지국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29364C2 (ru) Система опалубки для бетонных плит
KR200490153Y1 (ko) 교량용 거치식 점검설비
KR101348380B1 (ko) 계단턱의 폭과 높이조절이 가능한 pc계단용 거푸집조립체
KR20130091452A (ko) 거푸집 고정수단이 구비된 안전작업발판 구조
KR20070005533A (ko) 갱폼
KR100989771B1 (ko) 난간 가설용 지지구
KR101387296B1 (ko) 교량의 점검 및 보수 유지관리를 위한 레일 걸이식 점검통로
KR20140112236A (ko) 계단용 가설난간지주
KR100665340B1 (ko)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시공 데크의 설치 구조
KR20230001323U (ko) 난간 지주대
KR20090109991A (ko) 난간 가설용 지지구
KR102269140B1 (ko) Rc 보 영구 거푸집 거치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rc 보 시공 방법
CN210508466U (zh) 一种预制楼梯的临时防护栏
JP6093121B2 (ja) 建築物の解体工法
KR200489572Y1 (ko) 건축 구조물에서의 층간 설치용 가설 경사 계단
DK2378035T3 (en) A method for alignment of a telescoping vertikalrør with main or base plate
KR102217613B1 (ko) 데크 난간대
KR102636240B1 (ko) 테이블폼 시스템 및 그 해체방법
RU2008105317A (ru) Конструкция балкон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CN218406487U (zh) 一种可调楼梯模板
CN214996001U (zh) 一种可调节悬挑混凝土结构模板支架
KR20190004153A (ko) 돌출발코니용 갱폼
CN215212324U (zh) 一种砼高低台可调节高度的吊模支撑与加固装置
KR102121363B1 (ko) 기능성 지지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건축구조물 시공방법, 그리고 그 시공방법에 따라 시공된 건축구조물
KR20090003717U (ko) 보 거푸집용 안전 난간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