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2236A - 계단용 가설난간지주 - Google Patents

계단용 가설난간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2236A
KR20140112236A KR1020130026707A KR20130026707A KR20140112236A KR 20140112236 A KR20140112236 A KR 20140112236A KR 1020130026707 A KR1020130026707 A KR 1020130026707A KR 20130026707 A KR20130026707 A KR 20130026707A KR 20140112236 A KR20140112236 A KR 20140112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vertical body
fixing
screw shaft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철
Original Assignee
윤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철 filed Critical 윤종철
Priority to KR1020130026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2236A/ko
Publication of KR20140112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2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6Consoles;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층간을 경사지게 연결하며 측면에 후방으로 절곡된 절곡단부(3)가 형성된 경사거푸집패널(2)과, 이 경사거푸집패널(2)의 측면에 상향설치되며 하단이 상기 절곡단부(3)의 끝단과 일치되도록 설치되는 측면거푸집패널(4)로 이루어진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계단(1)을 시공할 때, 상기 계단(1) 측면에 설치되는 가설난간지주(10)에 있어서, 상기 가설난간지주(10)는 상기 측면거푸집패널(4)의 외측면에 상하로 배치되며, 상측부에 횡바(60)가 고정되는 횡바고정수단(21)이 구비된 수직몸체부(20); 상기 수직몸체부(10)의 하단에서 일측방으로 돌출되며 그 상면에 상기 경사거푸집패널(2)의 절곡단부(3)와 측면거푸집패널(4)의 하단이 함께 끼워지는 걸림홈(32)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지지부재(31)와, 상기 지지부재(31)의 걸림홈(32)의 일측벽에 전후진 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그 회전에 따라 걸림홈(32)에 삽입된 측면거푸집패널(4)의 외측면 또는 경사거푸집패널(2)의 절곡단부(3)의 내측면에 가압 밀착되는 고정스크류(34)로 이루어진 하측클램핑부(30); 및 상기 수직몸체부(10)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측면거푸집패널(4)의 상단을 수직몸체부(10)에 고정시키는 상측클램핑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가설난간지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계단용 가설난간지주{A temporary type handrail supporter for stairs}
본 발명은 계단용 가설난간지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 및 철거가 간편하면서도 구조적으로 견고하여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계단용 가설난간지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빌딩 등의 건축물을 시공할 때 층간 이동 중 인부의 추락 등과 같은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계단 측면에 가설난간을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가설난간은 복수개의 지주 및 지주를 연결하는 횡바로 이루어지며, 보통 계단 시공용 거푸집에 설치하여 계단 시공전에도 층간을 이동하는 인부들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있다. 상기 거푸집은 층간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거푸집패널과, 이 경사거푸집패널의 측면에 상향 돌출되게 설치되는 측면거푸집패널로 이루어지며, 가설난간의 지주는 측면거푸집패널에 고정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지주를 측면거푸집패널에 고정시킬 때, 볼트를 지주를 관통시켜 측면거푸집패널에 박기 때문에, 지주의 설치작업 및 추후 철거작업이 번거롭고 측면거푸집패널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지주의 하단만이 측면거푸집패널에만 고정된 상태에서 상측에 횡바까지 설치되어 지주의 상측부에 무게중심이 형성됨에 따라 가설난간의 설치안정성이 떨어지므로, 층간을 이동하는 인부의 안전사고를 충분히 예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가설난간이 설치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계단이 시공되면, 가설난간을 철거할 때 지주를 고정시킨 볼트가 콘크리트에 매립된 상태이므로 가설난간의 철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351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거푸집을 손상시키지 않고 설치 및 철거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면서도 구조적으로 견고하여 이동중인 인부들의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계단용 가설난간지주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건물의 층간을 경사지게 연결하며 측면에 후방으로 절곡된 절곡단부(3)가 형성된 경사거푸집패널(2)과, 이 경사거푸집패널(2)의 측면에 상향설치되며 하단이 상기 절곡단부(3)의 끝단과 일치되도록 설치되는 측면거푸집패널(4)로 이루어진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계단(1)을 시공할 때, 상기 계단(1) 측면에 설치되는 가설난간지주(10)에 있어서,
상기 가설난간지주(10)는 상기 측면거푸집패널(4)의 외측면에 상하로 배치되며, 상측부에 횡바(60)가 고정되는 횡바고정수단(21)이 구비된 수직몸체부(20);
상기 수직몸체부(10)의 하단에서 일측방으로 돌출되며 그 상면에 상기 경사거푸집패널(2)의 절곡단부(3)와 측면거푸집패널(4)의 하단이 함께 끼워지는 걸림홈(32)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지지부재(31)와, 상기 지지부재(31)의 걸림홈(32)의 일측벽에 전후진 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그 회전에 따라 걸림홈(32)에 삽입된 측면거푸집패널(4)의 외측면 또는 경사거푸집패널(2)의 절곡단부(3)의 내측면에 가압 밀착되는 고정스크류(34)로 이루어진 하측클램핑부(30); 및
상기 수직몸체부(10)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측면거푸집패널(4)의 상단을 수직몸체부(10)에 고정시키는 상측클램핑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가설난간지주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측클램핑부(40)는 수직몸체부(20)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스크류(33)와 동일한 방향으로 전후진되는 나사축(41)과, 이 나사축(41)의 선단에서 하향돌출되며 가압면이 측면거푸집패널(4)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가압판(42)과, 상기 나사축(41)의 기단에 나사결합된 조임너트(43)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임너트(43)를 조여주면 나사축(41)이 후진되면서 가압판(42)이 측면거푸집패널(4)에 가압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가설난간지주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직몸체부(10)의 중간부에는 상기 상측클램핑부(40)의 나사축(41)이 관통되는 장공(22)이 상하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상측클램핑부(40)를 수직몸체부(20)에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50)이 더 구비되며, 이 승강수단(50)은 수직몸체부(20)보다 직경이 큰 단관으로 이루어져 수직몸체부(20)를 따라 승강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나사축(41)이 전후로 관통결합된 슬라이더(51)와, 이 슬라이더(51)를 수직몸체부(20)에 위치 고정시키는 고정볼트(5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가설난간지주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설난간지주(10) 하단이 계단(1) 시공용 경사거푸집패널(2)의 절곡단부(3)와 측면거푸집패널(4)의 하단에 동시에 고정될 뿐만 아니라 중간부가 측면거푸집패널(4)의 상단에 고정되므로, 가설난간지주(10)를 거푸집을 손상시키지 않고 거푸집에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층간을 이동하는 인부들의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가설난간지주(10)를 계단(1) 시공용 거푸집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계단(1)을 콘크리트로 시공하기 전에도 가설난간지주(10)를 거푸집에 설치하여 계단(1) 시공전에 층간을 이동하는 인부들의 안전사고까지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스크류(34)와 조임너트(43)를 돌리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가설난간지주(10)를 거푸집에 설치 및 해체할 수 있어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가설난간지주(10)의 중간부에서 승강되면서 측면거푸집패널(4)의 상단에 고정되므로, 일정규격의 측면거푸집패널(4)만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건설현장에서 사용하다 버려진 다양한 사이즈의 판재를 측면거푸집패널(4)로 활용할 수 있어 자원낭비를 막고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가설난간지주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가설난간지주를 이용한 가설난간의 설치상태도
도 3은 도 2의 요부를 보인 측단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가설난간지주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설치상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가설난간지주는 횡바(60)와 함께 가설난간을 구성하는 것으로, 건물 시공시 계단(1)의 측면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계단(1)은 건물의 층간을 경사지게 연결하며 측면에 후방으로 절곡된 절곡단부(3)가 형성된 경사거푸집패널(2)과, 이 경사거푸집패널(2)의 측면에 상향설치되며 하단이 상기 절곡단부(3)의 끝단과 일치되도록 설치되는 측면거푸집패널(4)로 이루어진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설난간지주(10)는 상기 거푸집에 설치되는데, 측면거푸집패널(4)의 외측면에 상하로 배치되는 수직몸체부(20)와, 이 수직몸체부(20)의 하단에서 일측방으로 돌출되어 경사거푸집패널(2)의 절곡단부(3)와 측면거푸집패널(4)의 하단에 동시에 고정되는 하측클램핑부(30)와, 상기 수직몸체부(20)의 일측면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측면거푸집패널(4)의 상단에 고정되는 상측클램핑부(40)와, 이 상측클램핑부(40)를 수직몸체부(20)에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직몸체부(20)는 사각 등의 다각 또는 원형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나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사각파이프를 예시하였다. 수직몸체부(20)의 상측부에는 횡바(60)를 고정시키는 횡바고정수단(21)이 구비되는데, 이 횡바고정수단(21)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U볼트와 너트인 것을 예시하였다. 수직몸체부(20)의 중간부에는 일측면에서 타측면방향(전후방향)으로 관통된 형태의 장공(22)이 상하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하측클램핑부(30)는 수직몸체부(20)의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수평 돌출되며 상면에 하측으로 오목한 걸림홈(32)이 형성된 지지부재(31)와, 이 지지부재(31)의 걸림홈(32)의 일측벽에 전후진 가능하게 나사결합된 고정스크류(34)로 이루어진다. 이때, 고정스크류(34)의 선단에는 확장된 지지면을 갖는 고정부(35)가 구비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재(31)는 금속판을 U자 형상으로 제작한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그 일측벽이 수직몸체부(20)의 하단부 양측면에 결합된 것을 예시하였다. 이때, 지지부재(31)의 일측벽이며 수직몸체부(20)의 양측면에 한 쌍의 너트체(33)가 구비되고, 한 쌍의 고정스크류(34)가 각 너트체(33)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상기 상측클램핑부(40)는 수직몸체부(20)의 장공(22)을 관통하여 선단 및 기단이 각각 수직몸체부(20)의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되는 나사축(41)과, 이 나사축(41)의 선단에서 하향 돌출되며 수직몸체부(20)쪽을 향하는 면이 상기 측면거푸집패널(4)의 내측면에 가압 밀착되는 가압판(42)과, 상기 나사축(41)의 기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너트(43)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수단(50)은 상측클램핑부(40)를 수직몸체부(20)에서 승강시키는 것으로, 수직몸체부(20)보다 직경이 큰 단관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수직몸체부(2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51)와, 이 슬라이더(51)의 측면에 구비되어 슬라이더(51)를 수직몸체부(20)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54)로 이루어진다. 이때, 슬라이더(51)의 상측에 나사축(41)이 전후로 관통결합되어 나사축(41)이 슬라이더(51)와 함께 승강된다.
한편, 슬라이더(51)의 일측면에는 고정볼트(54)가 나사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체결부(53)가 구비된다. 또한, 슬라이더(51)의 전면에는 측면거푸집패널(4)의 외측면이 지지되는 지지돌부(52)가 돌출되며, 이 지지돌부(52)는 도 3에서와 같이 고정스크류(34)의 선단이 수직몸체부(20)의 전방으로 돌출된 거리만큼을 보상함으로써, 가설난간지주(10) 설치시 수직몸체부(20)가 측면거푸집패널(4)과 평행하게 유지되도록 해준다. 그리고 한편, 상측클램핑부(40)의 가압판(42)과 하측클램핑부(30)의 고정부(35)의 가압면은 평면이 아닌 굴곡진 형상이나 톱니 형상과 같이 이루어져서 거푸집패널에 가압 밀착될 때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단용 가설난간지주를 거푸집에 설치하는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가설난간지주(10)의 하측클램핑부(30)의 걸림홈(32)에 경사거푸집패널(2)의 절곡단부(3)와 측면거푸집패널(4)의 하단이 함께 삽입되도록 한 후 고정스크류(34)를 조여주면, 고정스크류(34) 선단의 고정부(35)가 측면거푸집패널(4)의 외측면에 가압 밀착되어 가설난간지주(10)의 하단이 경사거푸집패널(2)과 측면거푸집패널(4)에 동시에 고정된다.
그리고, 슬라이더(51)를 승강시켜 나사축(41)이 측면거푸집패널(4)의 상단면과 접촉되도록 한다. 이때, 측면거푸집패널(4)의 외측면은 슬라이더(51)의 지지돌부(52)의 전면에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조임너트(43)를 조여주면 나사축(41)이 후진되면서 가압판(42)의 가압면이 측면거푸집패널(4)의 내측면에 가압 밀착됨에 따라 측면거푸집패널(4)은 상기 상측클램핑부(40)의 가압판(42)과 슬라이더(51)의 지지돌부(52) 사이에 끼움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설난간지주(10)는 고정스크류(34)와 조임너트(43)를 돌려주기만 하면 거푸집에 고정되므로 설치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측면거푸집패널(4)이 손상되지 않아서 측면거푸집패널(4)을 충분히 재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소정기간 경과 후 가설난간을 철거하고자 할 경우, 고정스크류(34)와 조임너트(43)를 반대방향을 돌려주기만 하면 경사거푸집패널(2) 및 측면거푸집패널(4)에서 이격되므로 철거작업이 매우 간편하다.
그리고, 가설난간지주(10)의 하단이 측면거푸집패널(4)과 경사거푸집패널(2)의 하단에 동시에 고정될 뿐 아니라 중간부가 측면거푸집패널(4)의 상단에 고정되므로, 수직몸체부(20)의 하단만 고정되던 종래에 비해 좀 더 견고하게 고정되어 안정성이 향상됨으로써, 층간을 이동하는 인부들의 안전사고를 충분히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가설난간지주(10)의 상측 및 하측클램핑부(40, 30)가 시공된 계단(1)의 상면 및 하면을 단순히 가압하는 형태가 아니라 측면거푸집패널(4)의 상단 및 하단에 삽입 고정된 형태여서 측면 및 경사거푸집패널(4, 2)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가설난간지주(10)가 외력에 의해 시공될 계단(1)의 측방으로 슬립되지 않아서 인부들의 안전사고를 더욱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3)

  1. 건물의 층간을 경사지게 연결하며 측면에 후방으로 절곡된 절곡단부(3)가 형성된 경사거푸집패널(2)과, 이 경사거푸집패널(2)의 측면에 상향설치되며 하단이 상기 절곡단부(3)의 끝단과 일치되도록 설치되는 측면거푸집패널(4)로 이루어진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계단(1)을 시공할 때, 상기 계단(1) 측면에 설치되는 가설난간지주(10)에 있어서,
    상기 가설난간지주(10)는 상기 측면거푸집패널(4)의 외측면에 상하로 배치되며, 상측부에 횡바(60)가 고정되는 횡바고정수단(21)이 구비된 수직몸체부(20);
    상기 수직몸체부(10)의 하단에서 일측방으로 돌출되며 그 상면에 상기 경사거푸집패널(2)의 절곡단부(3)와 측면거푸집패널(4)의 하단이 함께 끼워지는 걸림홈(32)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지지부재(31)와, 상기 지지부재(31)의 걸림홈(32)의 일측벽에 전후진 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그 회전에 따라 걸림홈(32)에 삽입된 측면거푸집패널(4)의 외측면 또는 경사거푸집패널(2)의 절곡단부(3)의 내측면에 가압 밀착되는 고정스크류(34)로 이루어진 하측클램핑부(30); 및
    상기 수직몸체부(10)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측면거푸집패널(4)의 상단을 수직몸체부(10)에 고정시키는 상측클램핑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가설난간지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클램핑부(40)는 수직몸체부(20)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스크류(33)와 동일한 방향으로 전후진되는 나사축(41)과, 이 나사축(41)의 선단에서 하향돌출되며 가압면이 측면거푸집패널(4)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가압판(42)과, 상기 나사축(41)의 기단에 나사결합된 조임너트(43)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임너트(43)를 조여주면 나사축(41)이 후진되면서 가압판(42)이 측면거푸집패널(4)에 가압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가설난간지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몸체부(10)의 중간부에는 상기 상측클램핑부(40)의 나사축(41)이 관통되는 장공(22)이 상하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상측클램핑부(40)를 수직몸체부(20)에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50)이 더 구비되며, 이 승강수단(50)은 수직몸체부(20)보다 직경이 큰 단관으로 이루어져 수직몸체부(20)를 따라 승강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나사축(41)이 전후로 관통결합된 슬라이더(51)와, 이 슬라이더(51)를 수직몸체부(20)에 위치 고정시키는 고정볼트(5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가설난간지주.
KR1020130026707A 2013-03-13 2013-03-13 계단용 가설난간지주 KR201401122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707A KR20140112236A (ko) 2013-03-13 2013-03-13 계단용 가설난간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707A KR20140112236A (ko) 2013-03-13 2013-03-13 계단용 가설난간지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236A true KR20140112236A (ko) 2014-09-23

Family

ID=51757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707A KR20140112236A (ko) 2013-03-13 2013-03-13 계단용 가설난간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223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44453A (ja) * 2014-08-22 2016-04-04 株式会社 シコク 手摺装置
CN108824956A (zh) * 2018-06-17 2018-11-16 安徽绿泉生态农业股份有限公司 一种花卉种植用防护护栏
KR101978804B1 (ko) * 2018-11-08 2019-05-15 김태순 안전난간대
WO2022036445A1 (en) * 2020-08-17 2022-02-24 Charitou George Guardrail post holder for construction platform
CN117139940A (zh) * 2023-10-30 2023-12-01 中铁城建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装配式预制楼梯扶手的焊接设备及其生产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44453A (ja) * 2014-08-22 2016-04-04 株式会社 シコク 手摺装置
CN108824956A (zh) * 2018-06-17 2018-11-16 安徽绿泉生态农业股份有限公司 一种花卉种植用防护护栏
KR101978804B1 (ko) * 2018-11-08 2019-05-15 김태순 안전난간대
WO2022036445A1 (en) * 2020-08-17 2022-02-24 Charitou George Guardrail post holder for construction platform
CN117139940A (zh) * 2023-10-30 2023-12-01 中铁城建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装配式预制楼梯扶手的焊接设备及其生产方法
CN117139940B (zh) * 2023-10-30 2024-01-19 中铁城建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装配式预制楼梯扶手的焊接设备及其生产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12236A (ko) 계단용 가설난간지주
JP2010043468A (ja) アンカーボルトセット装置及び基礎の施工方法
CN108756241B (zh) 一种剪力墙外侧悬挑楼板模板支设装置
KR100989771B1 (ko) 난간 가설용 지지구
US20200232213A1 (en) Method for producing a ceiling element and ceiling formwork
US8056237B1 (en) Guardrail stanchion and system
CN105637159A (zh) 模板元件
CN203583859U (zh) 一种建筑施工中固定悬臂工字钢的预埋螺栓锚固装置
CN213710356U (zh) 一种安装稳定性强的木模板支撑用钢管脚手架
KR100774553B1 (ko) 슬래브 거푸집 지지용 서포트
KR20090109991A (ko) 난간 가설용 지지구
KR20150098771A (ko) 가설 난간용 지주
CN110485723A (zh) 升降格构平架可调自由端支撑模板早拆体系及施工方法
CN108756211B (zh) 一种施工用铝模板
KR20150001323U (ko) 선박의 난간 설치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N204691249U (zh) 一种带有可踏面的楼梯踏步钢模板
KR200392054Y1 (ko)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고정장치
KR100592657B1 (ko) 건축물 조립식 계단 장착구조
KR200395096Y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난간대
KR100589848B1 (ko) 건축용 베란다 난간의 기초앵커
KR101021945B1 (ko) 수직구 성형용 강재 거푸집
CN210508466U (zh) 一种预制楼梯的临时防护栏
KR102020663B1 (ko) 난간프레임 위치 및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난간
KR101576542B1 (ko) 설치가 용이한 안전 난간
KR100901016B1 (ko) 건축물의 외벽 비계 안전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